KR100914223B1 -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223B1
KR100914223B1 KR1020047007556A KR20047007556A KR100914223B1 KR 100914223 B1 KR100914223 B1 KR 100914223B1 KR 1020047007556 A KR1020047007556 A KR 1020047007556A KR 20047007556 A KR20047007556 A KR 20047007556A KR 100914223 B1 KR100914223 B1 KR 10091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grooves
water
liquid accum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780A (ko
Inventor
쿤페트루스헨리쿠스알로이시우스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사라 리/디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라 리/디이 엔.브이. filed Critical 사라 리/디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5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것에는 활성 액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가진 저수조, 사용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의 내용물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가 제공되고, 그리고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가 화장실 배출용 물의 경로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장치를 화장실 변기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되며, 액체 집적용 요소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상에서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반면에,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플레이트의 하측부에도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되어서 그러한 수단이 플레이트 안에 제공된 모세관 채널을 통하여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과 소통된다.

Description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Device with toilet care action}
본 발명은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활성 액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가진 저수조 및, 사용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의 내용물과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소통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liquid collecting element)가 제공되고,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가 화장실 배출용 물의 경로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장치를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된 것이며, 액체 집적용 요소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 및,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를 가지며,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에는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한 장치는 국제 특허 출원 WO 99/66139 (S.C. 존슨 & 선)에 개시되어 있다. 저수조는 여기에서 병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병은 액체 집적용 요소와 고정 수단을 유지하는 유지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측에 제공된 플레이트로서 설계되며 홈들이 액체 집적용 수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장치의 병에는 단일의 구획부가 제공된다. 공지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병은 유지구와 연결되며, 유지구는 고정 수단에 의해서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플레이트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구획부로부터 활성의 액체를 취한다. 화장실 변기의 배출 동안에, 배출용 물은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의 상측부에서 유동하며, 그에 의해서 활성의 액체는 배출용 물로 배출된다. 배출된 활성의 액체는 화장실 변기를 세정할 수 있다. 더욱이, 활성 액체의 일부는 화장실을 신선하게 하도록 주변 환경으로 증발될 수 있다. 화장실 변기의 물을 내린 이후에, 플레이트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구획부로부터의 활성 액체의 새로운 양으로 채워진다.
공지된 장치의 단점은 플레이트의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이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화장실이 과도하게 사용되었을 때, 장치는 화장실을 세정하고 청결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각의 화장실 변기의 물을 내리는 동안에 충분한 활성 액체를 배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 장치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공지 장치의 단점을 제거한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는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이 상대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하측부에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되는데, 상기 수단은 액체 집적용 요소내에 배치된 채널을 통하여 배출용 물(flusing water)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과 소통된다.
놀랍게도, 하나의 결과로서,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적절한 화장실의 세정 및, 청결화를 달성하도록 활성 액체로 충분히 채워지는 동안에, 화장실은 곧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작동 상태에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활성의 액체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액체는 액체 집적용 요소 안에 있는 채널을 통하여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어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에 도달한다. 화장실 변기의 배출 이후에,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로부터 재생된다.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활성의 액체를 채널을 통하여 복귀시킴으로써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의 부가적인 재생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이, 화장실 변기의 배출 동안에,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에 의해서 활성 액체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욱이,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을 포괄할 수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을 목적으로 상대적으로 다량의 활성 액체를 취할 수 있다. 이것은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에 여러 번 연속해서 그것이 고갈되기 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주목되어야 하는 바로서,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것들과 같이,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이 활성의 액체를 배출용 물에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하측부상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증발 표면을 구성하여, 증발 표면을 통해서 활성의 액체가 증발하고 화장실 공간을 신선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다량의 활성 액체가 증발의 결과로서 배출 사이에 화장실 변기의 배출수에 방출되며, 따라서 매우 양호한 세정 및, 신선함이 획득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액체 집적용 요소가 제조되는 재료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채널들이 액체 집적용 요소 안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채널들이 액체 집적용 요소 안으로 펀치 가공되거나, 드릴 가공되거나, 또는 성형 다이 및, 그것과 유사한 것의 형상의 결과로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체 집적용 요소는 플레이트로서 설계되는데, 플레이트에는 배출용 물의 사용중에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르도록 스크린(screen)이 제공된다.
스크린 수단은 처음에 언급된 집적 수단이 화장실의 배출중에 원치 않는 다량의 활성 액체를 배출용 물에 직접적으로 부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수단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의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에 기여할 때 특히 유리하다.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에 저장된 활성의 액체는 따라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액체 집적용 수단의 재생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하방향으로 배향된 벽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이것은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의 상측부로부터 시작하여,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플레이트의 하측부의 방향으로 약간 그것을 지나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그리고/또는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모세관 홈을 구비한다. 그러나, 액체를 액체 집적용 요소의 위로 펼치는데 공헌하는 한, 그리고 재생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정확하게 한정된 액체 분포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한, 액체 집적용 수단에 대한 다른 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구조는 예를 들면 규칙적이거나 또는 규칙적이지 않거나 또는 그것의 조합일 수 있는 패턴인 오목부(well) 또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브러쉬(brush)와 같은 구조도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그러한 구조는 재생 가능하며 따라서 액체의 분포 특성은 공지되고, 한정되며, 재생 가능하다.
그러한 구조가 제공된 액체 집적용 요소는 더욱이 단순하고, 값싸며, 그리고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액체 집적용 수단의 양호하게 한정되고 재생 가능한 액체 분포 특성은 특히 병에 적어도 2 개의 활성 액체용 구획부가 제공되었을 때 소망스러운데, 이는 이들 구획부들이 장치의 최적 작용을 위해서 액체 집적용 요소에 특히 고정된 비율로 활성 액체를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익한 점에 따르면, 액체 집적용 요소에는 액체 집적용 요소를 유지구 안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잡기용 돌출부 및/또는 벽이 제공된다.
따라서, 액체 집적용 요소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굳건하게, 예를 들면 언급되었던 돌출부 및/또는 벽과 맞물린 유지구의 부품들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에 따르면, 장치에는 적어도 2 개의 활성 물질을 위한 구획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액체 집적용 요소상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서로 분리됨으로써, 액체 집적용 요소상에서도, 제 1 의 구획부로부터의 활성 물질이 제 2 의 구획부로부터의 활성 물질과 혼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길이 방향 단면에 수직인, 예시적인 구현예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 1 의 C 로 표시된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3 은 모세관 홈이 제공된 액체 집적 플레이트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도 3 에 표시된 상부 평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상부 평면의 상세도(Q)를 도시한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상세도(Q)의 선(B-B)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액체 집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액체 집적용 요소의 상측부 및, 배출용 물(flushing water)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그것의 하측부상에 제공될 수 있는 다른 구조체의 다수의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유출 개구를 통하여 도 22 의 선 XXIV-XXIV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병은 아직 유지구상에 놓여있지 않다.
도 9 는 병의 저부측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병의 상부측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 은 폐쇄용 캡의 상부측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 는 폐쇄용 캡의 저부측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 은 폐쇄용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 는 폐쇄용 캡의 상부 평면 및, 저부 평면을 사시도로 각각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 은 유연성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유연성 브래킷의 보조로 장치는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도 18 및, 도 19 는 유지구의 저부와 상부 평면을 각각 도시하는데, 유지구상으로 병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 은 제 3 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사용된 액체 집적용 요소의 상부와 저부 평면을 사시도로서 각각 도시한다.
도 22 는 제 3 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 은 튜브형 요소 위로 도 22 의 선 XXIII-XXIII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 는 유지구상에 장착된 상태인 병의 유출 개구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25 는 도 23 의 선 XXV-XXV를 따라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 은 도 24 의 선 XXVI-XXVI를 따라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 은 도 24 의 선 XXVII-XXVII를 따라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의 도 1 및, 도 2 에 표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유지구(holder, 1) 및, 활성 액체를 위한 저수조와 함께 유지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병(2)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저수조는 벽(36)에 의해서 분리된 2 개의 구획부(3,4)를 가진다.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로부터 장치를 매달도록 유지구에 연결된 현수 수단(suspension means)은 여기에 표시되지 않는다. 장치에는 모세관 홈(203,204,205)들이 제공된 플레이트(5)의 형태인 액체 집적용 요소가 더 제공되는데, 병(2)이 유지구(1)상으로 가압될 때 플레이트는 구획부(3,4) 안의 액체와 유체 연결된다. 플레이트(5)는 장치가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로부터 매달린 상태에서 배출용 물의 경로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유지구(1)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에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207)와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하여 면하는 하측부(208)상에 모두 모세관 홈(203, 204 및, 205)이 각각 제공되는데, 이들 모세관 홈은 명확성을 위해서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상의 모세관 홈들은 액체 수용 부위(201,202)로부터 플레이트(5)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3 개의 직선인 주요 모세관 홈(203)들로 분할된다. 더욱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207)에는 다수의 직선인 하위의 홈들(204a)과 다수의 원형인 하위의 홈들(204b)이 제공되는데, 이들은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주요 모세관 홈(203)과 연결된다. 함께, 이들 홈들은 실질적으로 수용 부위(201,202)상에 중심을 두는 거미줄과 같은 홈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플레이트(5)의 하측부(208) 상의 모세관 홈(205)은 플레이트(5)에서 원형의 경로를 따라서 동심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모세관 홈(205)들은, 적어도 플레이트(5)의 단면에서 보아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207)의 원형인 하위의 홈(204b)과 중첩되지 않는다.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어 면하는 플레이트(5)의 하측부(208)의 가장자리에는 직립의 벽(211)이 더 제공되는데, 이것은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207)로부터 시작되어,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플레이트(5)의 하측부(208)의 방향에서 그것을 지나서 연장된다.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207)의 모세관 홈(203,204)은 플레이트(5) 안에 있는 모세관 채널(210)을 지나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어 면하는 플레이트의 하측부의 원형인 모세관 홈(205)과 연결된다. 원형의 모세관 홈(205)은 실질적으로 서로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예를 들면 0.1 내지 4 mm 의 범위인 상호 거리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1 내지 3 mm 의 범위의 거리로 이격된다. 캔(can)으로 지칭되는 모세관 채널(210)은 예를 들면 0.05 - 0.5 mm 의 범위인 직경을 가진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구(1)에는 2 개의 연결용 이음쇠(6,7)가 제공되어서, 그에 대하여 구획부(3,4)의 개별적인 유출 개구(8,9)가 각각 연결될 수 있어서,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에 매달린 조건에서, 유출 개구들은 하방향으로 배향된다. 연결용 이음쇠(6,7)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유출 개구(8,9)는 부분적으로 폐쇄용 벽(10,11)에 의해서 각각 폐쇄되며, 그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통과 개구(12,13)가 각각 제공되며 채널(14,15)에서 각각 종료된다. 이들 채널(14,15)들의 각각의 유출구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207)상에 위치된 개별의 액체 수용 부위(201,202)와 소통한다.
구획부(3,4)로부터 오는 액체는 개별의 액체 수용 부위(201,202)상의 플레이트(5)상에 수용되며 플레이트(5)의 모세관 홈(203,204,205)의 네트워크(network)에 의해서 취해진다. 화장실 변기가 배출되면,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5)의 상측부의 모세관 홈(204,205)들은 활성 액체를 배출용 물에 배출시킨다. 이후에, 이러한 모세관 홈(203,204)들은 구획부(3,4)로부터 오는 액체와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어 면하는 플레이트의 하측부(208)의 모세관 홈(205)으로부터의 액체에 의해 재생된다. 따라서, 재생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서로 정확하게 조율되는 2 개의 구획부들로부터의 액체의 양은 플레이트(5)의 모세관 홈(203,204,205)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구획부로부터의 액체의 유출과 유지구의 작동은 그러한 문제에 대하여 유럽 특허 출원 EP 0 785 315 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785 315 의 내용은 도 1 및, 도 2 의 구현예에 주어진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7 은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또는 접시 형상의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하 측부들에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이것은 단지 제한된 수의 예이며, 이것이 임의의 패턴으로 제공된 사출 성형된 브러쉬(brush) 구조들 또는 돌출부 또는 톱니 형상과 같은 다른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8 내지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의 구현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다양한 성형 부품들이 분리되어 설명될 것이며 이후에 예시적인 구현예를 조립된 상태로 설명할 것이다.
도 8 은 병(102)의 유출 개구를 통하여 통과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데, 병(102)은 아직 유지구(101)상에 배치되지 않고 있다. 도 1 내지 도 6 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와 같이, 병(102)은 4 개의 성형된 부품들, 즉 저수조(reservoir)로부터 제조되었는데(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제 1 의 성형 부품), 저수조의 저부는 폐쇄용 캡(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제 2 의 성형 부품)으로 폐쇄된다. 폐쇄용 캡(147)은 2 개의 튜브형 요소(123,124)를 지지하는데, 그 안에는 로드(rod) 형상인 폐쇄용 요소(126,127)(도 13 에 도시된 제 3 의 성형 부품)가 구비된다. 이러한 로드 형상인 요소(126,127)들은 분리된 성형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다. 폐쇄용 캡(147) 안에는 액체 유출 개구(108,109)가 시일링 플러그(sealing plug;128,129)에 의해 폐쇄된다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된 제 3 의 성형 부품). 현수 수단(143)은 분리된 성형 부품(도 16 및, 도 17)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이것은 사출 성형된 이후에 유지구(101)에 연결된다. 유지구(101)는 분리된 성형 부품이며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유지구의 저부측에, 본 예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액체 집적용 요소(173)(도 20 및, 도 21)가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성형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로 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이전에, 우선, 성형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저수조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벽(140)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 안에는 분할용 벽(136)이 배치된다. 외측벽(140)과 분할용 벽(136)은 함께 2 개의 구획부(103,104)들을 둘러싸며, 이들 구획부들은 사용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조성의 활성 액체(active liquid)를 구비한다. 도 10 은 저수조의 측부를 도시하는데 그에 대하여 현수 수단(143)이 맞닿게 된다. 현수 수단(144)의 폭을 가진 요부(141)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또한, 깊은 요부(142)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현수 수단(143)상에 배치된 걸림 요소(144)가 맞물릴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폐쇄용 캡(147)상의 시일링 가장자리(146)와 협동하는 시일링 가장자리(145)를 도 9 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더욱이, 저수조에는 2 개의 귀 부분(148,149)과 2 개의 안내용 격벽(150,151)이 제공되는데, 이들은 저수조를 유지구(101)에 고정하는 것을 단순화시킨다.
위에서 이미 주목된 바와 같이, 도 11 및, 도 12 에 표시된 폐쇄용 캡은 2 개의 튜브형 요소(123,124)들을 지지하며, 여기에는 로드 형상의 폐쇄용 요소(126,127)(도 13)들이 구비된다. 폐쇄용 캡(147)에는 2 개의 유출 개구(108,109)가 더 제공되며, 여기에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일링 플러그(128,129)가 수용된다. 도 11 과 도 12 의 폐쇄용 캡(147)은 시일링 가장자리(146)를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는데, 이것은 저수조의 시일링 가장자리(145)와 협동한다. 더욱이, 자체적으로 폐쇄된 2 개의 제 2 시일링 가장자리(154)는 저수조의 구획부 벽에 대하여 맞닿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 에 표시되어 있는 폐쇄용 캡(147)의 저부측은 공기 챔버(125)를 명확하게 도시하는데, 이것은 시일링 벽(155)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시일링 벽(155)은 조립된 상태에서는 유지구(101)내에서 그 위에 맞물린 시일링 가장자리(156)와 협동한다. 더욱이, 2 개의 스크린 요소(157)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로드 형상의 폐쇄 요소(126,127)가 우발적으로 개방된 위치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린 요소(158)는, 병(102)이 유지구(101) 상으로 고정되기 전에, 폐쇄용 벽(15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번호 159 는 강화용 격벽을 표시하는데 이것은 폐쇄용 캡(147)이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번호 160 및, 161 은 중심 잡기 요소를 표시하는데, 이것은 저수조를 폐쇄용 캡(147)상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도 13 에 표시된 로드 형상의 요소에는 시일링 헤드(sealing head, 162)가 제공되는데, 시일링 헤드는 폐쇄용 캡(147)의 튜브형 요소(123,124)의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측부를 병(102)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밀폐의 방식으로 시일한다. 나머지로 나타난 실린더 형상의 부분(163)은 로드 형상의 요소가 몰드(mould)로부터 배출되고 사출되는 위치들을 형성한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난 시일링 캡(128,129)에는 다수의 가장자리(152,153)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시일링 캡(128,129)의 시일링 작용을 제공한다.
도 16 및, 도 17 의 현수 수단은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 둘레에 굽혀질 수 있는 유연성 브래킷(143)으로서 설계된다. 브래킷(143)으로, 이전에 언급된 걸림 요소(144)가 제공된다. 더욱이, 병(102)에 대하여 브래킷(143)의 중심을 잡도록 리브(164)가 브래킷상에 제공된다. 도 17 은 유지구(101)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브래킷(143)의 코 부분(165)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코 부분에는, 정지부(166)가 제공되어서 코 부분(165)이 유지구(101)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면 번호 167 로써 강화용 리브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브래킷(143)이 그 지점에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브래킷(143)의 다른 자유 말단에, 브래킷(143)이 화장실의 테두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168)가 제공된다. 더욱이, 브래킷(143) 상의 이러한 리브들은 장식을 제공한다.
도 18 은 유지구(101)의 저부를 도시하고 도 19 는 유지구(101)의 상부 평면을 도시한다. 유지구(101)에는 병(102)을 그 안에 배치시키도록 원주상의 가장자리(169)가 제공된다. 상승하는 가장자리(170)는 병(102)의 배치를 단순화시킨다. 슬롯(171)은 물의 양호한 유출에 기여한다. 제 2 의 슬롯(172)은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 대한 물의 양호한 공급을 제공한다. 도면 번호 174 는 개구를 표시하며, 그 안에 유연성 브래킷(143)의 코 부분(165)이 수용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75 는 2 개의 돌출부를 표시하며, 돌출부의 보조로 로드 형상의 요소(125,127)들은 병(102)을 배치시킬 때 상방향으로 밀려진다. 과도한 압력이 병(102)에서 상승될 위험성이 있을 때, 예를 들면, 화장실 공간내의 온도 및 압력의 결과로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때, 활성 액체는 유출 개구(108,109, 도 8)를 통하여 밖으로 가압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액체가 유출 개구(108,109)를 통해서 액체 집적용 요소(173)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구(101)에는 각 유출 개구(108,109)에 버퍼 챔버(176,177, 도 17)가 제공된다. 이러한 버퍼 챔버(176,177)들 각각의 안에는 4 개의 돌출부(178)들이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78)들은, 병(102)을 유지구(101)상으로 배치할 때,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개구에 있는) 시일링 캡(128,129)을 유출 개구(108,109)로부터 병(102)의 저수 구획부로 밀어낸다. 도 19 에서는 우회 슬롯(179)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병(102) 안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경우에 우회 슬롯을 통하여 활성 액체가 버퍼 챔버(176,177)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당연히, 압력이 감소될 때는 이들 우회 슬롯(179)을 통하여 활성 액체가 병(102) 안으로 역류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우회 슬롯(179)들은 병(102)의 구획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욱이, 도 19 는 이전에 언급된 시일링 가장자리(156)를 명확하게 도시하며, 이것은 폐쇄용 캡(147)의 폐쇄용 벽(155)과 협동한다. 더욱이, 시일링 가장자리(156)의 둘레에, 보호용 벽(180)이 배치되며, 보호용 벽은 병(102)을 배치할 때 시일링 벽(15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8 의 저부에는 3 개의 돌출부(181,182)들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액체 집적용 요소(173)가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액체 집적용 요소(173) 안에 있는 3 개의 개구(194,195)와 협동한다. 또한, 2 개의 유출 개구(183,184)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활성 액체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 도달할 수 있다. 격벽(185)은 유지구(101)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출 개구(183,184)의 둘레에, 실린더형 벽(18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조립된 조건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 대하여 맞닿는 자유 단부면을 가진다.
도 20 및, 도 21 은 액체 집적용 요소(173)를 도시하는데 이것에는 홈(189,190)들의 네트워크가 제공되며, 그들중에서 반경 방향의 홈(189)은 중앙의 유출 부위(192,19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는 원형의 홈(190)이 더 제공되며, 그것의 가상의 중심은 유출 부위(192,193)의 중심과 일치한다. 또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상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는 원형의 홈(196)이 제공되며, 이것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작은 구멍(191)을 통하여,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은 서로 소통할 수 있어서, 활성 액체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상에 모두 축적될 수 있다. 도 21 에 있어서,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원주가 종속된 가장자리(197)에 의해서 둘러싸이며, 종속된 가장자리는 홈(196) 안에 존재하는 활성의 액체가 배출 작용시에 배출용 물에 의해 이탈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2 개의 돌출부(198)가 존재하며, 그것의 보조로 액체 집적용 요소(173)는 화장실 변기의 벽에 대하여 정지된다. 또한, 중앙의 격벽(199)이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것은 상이한 활성의 액체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집적용 요소(173)를 유지구(101)에 연결하기 위하여 유지구(101)의 돌출부(181,182)에 의해 맞물린 개구(194,195)들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구멍(19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 표면내 홈(196)들은 상부 표면내의 반경 방향 홈(189)과 교차한다.
화장실 변기의 배출시에 활성의 액체는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하측부로부터 이탈되게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배출되지 않으므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이러한 하측부는 배출시에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측부를 활성의 액체로 급속하게 다시 채우는 액체 버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홈(189,190)의 네트워크 대신에, 액체 집적용 요소에는 활성 액체를 그 위로 안내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다른 수단은 브러쉬(brush)와 같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인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반대편인 상하측부들상에 배치된다. 또한,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방식으로 배치된 톱니 또는 돌출부의 패턴이 활성 액체를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위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대안의 구조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모든 이들 구현예들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하측부는 활성용 액체를 위한 버퍼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러한 버퍼로부터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상측부는 화장실의 배출 작용 이후에 다시 채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커다란 증발 표면이 획득되고 활성 성분의 실질적인 양이 배출 작용 이후에 직접적으로 증발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장점은 그것이 사출 성형 공정의 보조를 받아서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액체 집적용 요소(173)는 동일하게 한정된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포렉스(Porex)와 같은 다공성 재료를 사용할 때, 이와 같이 한정된 특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좌측 구획부로부터 활성 액체를 흡수하는 것은 우측 구획부로부터 활성 액체를 흡수하는 것보다 실질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거나 또는 그 역도 마찬가지다. 플레이트 형상의 요소의 반대편 상하측부들상에 배치된, 활성 액체를 안내하는 수단은 정확하게 한정된, 재생 가능한 흡수 특성을 가진 일종의 다공성 덩어리를 형성한다.
도 22 는 제 3 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유연성 브래킷(143), 병(102), 유지구(101), 액체 집적용 요소(173) 및, 이러한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방식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튜브형 요소(123,124)를 통과하는 도 22 의 선 XXIII-XXIII를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 23 으로부터, 로드 형상의 요소(126,127)들이 유지구(101)의 2 개 돌출부(175)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밀려져서, 로드 형상 요소(126,127)들의 시일링 헤드(162)가 튜브형 요소(123,124)의 밖으로 밀려졌던 것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용 캡(147)의 폐쇄용 벽(155)과 유지구(101)의 시일링 가장자리(156)에 의해 둘러싸인 압력 평형화 챔버(125)를 통하여, 공기의 소통이 2 개의 구획부(103,104)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 소통의 결과로서 발생한 것은 2 개의 구획부(103,104) 안에서 액체의 수위가 항상 같다는 것이다. 개별 구획부(103,104) 안에 있는 2 개의 액체들에서의 점성이 실질적으로 다를 경우에서조차도 압력 평형화 챔버(125)의 결과로서 여전히 실질적으로 같은 액체 수위가 유지된다.
선 XXIII-XXIII 로 표시된 단면도는 시일링 캡(128,129)이 폐쇄용 캡(147)의 유출 개구(108,109)의 밖으로 밀려나왔던 것을 도시한다.
도 24 는 도 22 의 선 XXIV-XXIV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단면은 병(102)의 유출 개구(108,109)를 통과한다. 유출 개구(108,109)를 둘러싸는 원통형 벽(186)은 돌출부(178)와 맞물려서 유지구(101)의 실린더형 부분(187)을 지지한다. 한편, 돌출부(178)는 폐쇄용 캡(147)의 유출 개구(108,109)로부터 시일링 캡(128,129)을 민다. 실린더형 시일링 가장자리(156)는 폐쇄용 캡(147)의 실린더형 시일링 벽(155)과 시일되게 협동한다. 도 24 는 액체 집적용 요소(173)가 돌출부(181,182)상에 고정되는 방식을 더 도시한다. 더욱이, 버퍼 챔버(176,177)의 수직인 벽 부분들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형 벽(188)의 자유 단부면들은 액체 집적용 요소(173)에 대하여 맞닿는 것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명확하게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부분(187)은 우회 슬롯(179)을 구비하며, 병(102) 안에 과도한 압력의 발생시에, 우회 슬롯을 통하여 액체가 병(102)으로부터 버퍼 챔버(176,177)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우회 슬롯(179)은 도 24 의 선 XVI-XVI를 따르는 단면도로서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단면도는 도 26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우회 슬롯(179)은 특히 구획부 안의 감소된 압력이 너무 높을 때 구획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5 의 단면도는 현수 수단(143)이 유지구(10)에 부착되어 병(102)과 협동하는 방식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또한, 유지구(101) 안의 액체 집적용 요소(173)의 위치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6 은 어떠한 방식으로 액체 집적용 요소(173)가 유지구(101) 안에 위치되는지 명확하게 한다. 또한, 버퍼 챔버(176,177)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안에 우회 슬롯(179)을 가진다. 도 26 은 유지구(101)의 시일링 가장자리(156) 및, 폐쇄용 캡(147)의 시일링 벽(155)을 도시한다. 폐쇄용 요소(12,127)를 상방향으로 밀기 위한 압력 평형화 챔버(125) 및, 그 안에 존재하는 돌출부(175)는 도 26 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후자는 또한 제 2 의 슬롯(172)을 유지하는데, 이것은 배출용 물이 액체 집적용 요소(173)로 통과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활성 액체와 함께 배출용 물이 유지구(101)로부터 통과될 수 있도록 유지구(101) 안에 슬롯(171)이 있다.
도 27 은 도 24 의 XXVII-XXVII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유지구(10)의 3 개 돌출부(181,182)를 나타내며, 돌출부의 보조로 액체 집적용 요소(173)는 유지구(10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유형의 변형들이 다음의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실질적으로 속하는 한, 그러한 모든 유형의 범위를 포괄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로서 한정된 액체 집적용 요소는 굽혀진 디자인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집적용 요소는 각도를 서로 구비하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용 물의 경로에 위치된 액체 집적용 요소의 상측부와 배출용 물의 경로에 직접적으로 위치하지 않은 하측부 모두에 상호 연결된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플레이트라는 용어는 평탄한 평판의 의미로서 의도된 것은 아니며, 오히려 2 개의 상하측부를 가진 목적물의 의미로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의 변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활성 액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가진 저수조, 사용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의 내용물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소통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가 제공되고, 그리고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액체 집적용 요소가 화장실 배출용 물의 경로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장치를 화장실 변기의 테두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된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로서, 액체 집적용 요소는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와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를 가지고,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에는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되고,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하측부에도 액체 집적용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액체 집적용 수단은 액체 집적용 요소에 제공된 채널을 통하여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과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집적용 요소는 플레이트로서 설계되며, 플레이트에는 배출용 물의 사용시에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르는 스크린(screen)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배향된 벽이 제공되며, 상기 벽은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플레이트의 상측부로부터 시작하여,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플레이트의 하측부의 방향에서 그것을 약간 지나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모세관의 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홈들은 플레이트에서 실질적으로 만곡된 경로를 따라서, 특히 원형 또는 타원형 경로를 따라서 동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홈들은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0.1 내지 4 mm 범위의 상호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은 0.05 내지 0.5 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모세관의 홈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는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액체 집적용 요소의 상측부상에 위치한 개별의 액체 수용 부위와 소통하는 유출 개구부가 제공되는 반면에,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모세관의 홈들은 수용 부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홈들은, 다수의 하위 홈(sub-groove)들뿐만 아니라 수용 부위와 직접 소통하는 다수의 주요 홈(main groove)들을 구비하고, 상기 하위의 홈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주요 홈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위의 홈들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홈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위의 홈들은 다수의 만곡된 홈들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된 홈들은 플레이트에 있는 개별의 수용 부위 둘레에서, 만곡된 경로들을 따라서, 특히 원형 또는 타원형 경로들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의 홈들은, 적어도 플레이트의 단면에서 보아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의 상기 만곡된 홈들과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로들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주요 홈들과 하위 홈들은 수용 부위상에 실질적으로 중심을 맞춘 거미줄과 유사한 홈의 네크워크(spider web-like groove network)를 함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채널이 형성되어서, 배출용 물의 흐름에 면하는 상측부로부터의 홈들이 배출용 물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게 면하는 하측부상의 홈들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유지구가 제공되며, 상기 유지구는 고정 수단 및, 상기 유지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구비하는 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액체 집적용 요소에는 플레이트를 유지구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잡기용 돌출부 또는 벽들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활성 액체용으로 적어도 2 개의 구획부가 제공되고, 액체 집적용 요소상의 액체 집적용 수단은 서로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액체 집적용 요소상에서도, 제 1 구획부로부터의 활성 물질이 제 2 구획부로부터의 활성 물질과 혼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19. 제 5 항에 있어서,
    홈들은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1 내지 3 mm 범위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KR1020047007556A 2001-11-19 2002-11-18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KR100914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9393 2001-11-19
NL1019393A NL1019393C2 (nl) 2001-11-19 2001-11-19 Inrichting met een toiletverzorgende werking.
PCT/NL2002/000746 WO2003060245A1 (en) 2001-11-19 2002-11-18 Device with toilet care 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80A KR20040054780A (ko) 2004-06-25
KR100914223B1 true KR100914223B1 (ko) 2009-08-26

Family

ID=1977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56A KR100914223B1 (ko) 2001-11-19 2002-11-18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928668B2 (ko)
EP (1) EP1446535B1 (ko)
JP (1) JP4184972B2 (ko)
KR (1) KR100914223B1 (ko)
CN (1) CN1316124C (ko)
AR (1) AR037558A1 (ko)
AT (1) ATE444414T1 (ko)
AU (1) AU2002343855B2 (ko)
CA (1) CA2466919C (ko)
DE (1) DE60233887D1 (ko)
ES (1) ES2333307T3 (ko)
IL (2) IL162026A0 (ko)
NL (1) NL1019393C2 (ko)
NZ (1) NZ532942A (ko)
TW (1) TW574461B (ko)
UA (1) UA76543C2 (ko)
WO (1) WO2003060245A1 (ko)
ZA (1) ZA200403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2046A (en) 2001-02-09 2002-08-14 Jeyes Group Ltd Liquid dispensing unit for a toilet bowl
ITRE20030016A1 (it) * 2003-02-17 2004-08-18 Re Le Vi Spa "dispenser multiplo per sostanze attive liquide, per vaso di wc"
JP5113246B2 (ja) * 2007-05-04 2013-01-09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吐出装置を取り付けるためのクリップ
JP5164482B2 (ja) * 2007-08-31 2013-03-21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WO2009123239A1 (ja) * 2008-03-31 2009-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
DE102008037723A1 (de) 2008-08-14 2010-02-25 Henkel Ag & Co. Kgaa WC-Körbchen mit Spülwasserverteilelement
JP6466290B2 (ja) 2015-08-27 2019-02-06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US10669705B2 (en) 2016-07-05 2020-06-02 Willert Home Products, Inc.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826A (ko) * 1999-04-19 2000-11-25 사라 리/디이 엔.브이. 변기의 테두리에 매달기 위한 세척 및 방향 유니트
JP2001342667A (ja) * 2000-05-31 2001-12-14 S T Chem Co Ltd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JP2003293427A (ja) * 2003-03-31 2003-10-15 S T Chem Co Ltd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KR100657426B1 (ko) 1999-12-14 2006-12-14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101759A (nl) * 1991-10-22 1993-05-17 Sara Lee De Nv Vloeibaar-reinigings- en/of verfrissingsmiddel voor een toiletpot.
ATE370284T1 (de) * 1998-06-15 2007-09-15 Johnson & Son Inc S C Flüssigkeitsspender
GB9915601D0 (en) * 1999-07-02 1999-09-01 Globol Chem Uk Ltd A dispenser
NL1016631C2 (nl) * 2000-11-17 2002-05-22 Sara Lee De Nv Inrichting met een meervoudig toiletverzorgende werking.
US6651261B1 (en) * 2002-07-19 2003-11-25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mounted toilet cleaner with extension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826A (ko) * 1999-04-19 2000-11-25 사라 리/디이 엔.브이. 변기의 테두리에 매달기 위한 세척 및 방향 유니트
KR100657426B1 (ko) 1999-12-14 2006-12-14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JP2001342667A (ja) * 2000-05-31 2001-12-14 S T Chem Co Ltd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JP2003293427A (ja) * 2003-03-31 2003-10-15 S T Chem Co Ltd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2026A (en) 2009-08-03
ATE444414T1 (de) 2009-10-15
AU2002343855A1 (en) 2003-07-30
NZ532942A (en) 2006-12-22
JP4184972B2 (ja) 2008-11-19
NL1019393C2 (nl) 2003-05-20
ZA200403669B (en) 2005-05-13
EP1446535A1 (en) 2004-08-18
UA76543C2 (en) 2006-08-15
US20040244101A1 (en) 2004-12-09
KR20040054780A (ko) 2004-06-25
JP2005515323A (ja) 2005-05-26
ES2333307T3 (es) 2010-02-19
CA2466919A1 (en) 2003-07-24
US6928668B2 (en) 2005-08-16
CN1316124C (zh) 2007-05-16
AR037558A1 (es) 2004-11-17
IL162026A0 (en) 2005-11-20
AU2002343855B2 (en) 2007-12-06
EP1446535B1 (en) 2009-09-30
DE60233887D1 (de) 2009-11-12
CN1589355A (zh) 2005-03-02
TW574461B (en) 2004-02-01
WO2003060245A1 (en) 2003-07-24
CA2466919C (en) 2010-08-17
TW200408753A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1974B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KR100657426B1 (ko) 액체 분배용 변기 림에 장착된 변기 세정기
AU2002222782A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CA2304837A1 (en) Cleansing and freshening unit intended for suspension from a rim of a toilet bowl
KR100914223B1 (ko) 화장실 관리 작용을 가진 장치
EP1153175B1 (en) A dispenser for releasing a substance into a toilet bowl
JP5478002B2 (ja) 通液構造及び該通液構造を備えた薬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