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37B1 -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37B1
KR100913937B1 KR1020070111656A KR20070111656A KR100913937B1 KR 100913937 B1 KR100913937 B1 KR 100913937B1 KR 1020070111656 A KR1020070111656 A KR 1020070111656A KR 20070111656 A KR20070111656 A KR 20070111656A KR 100913937 B1 KR100913937 B1 KR 10091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nger
water tank
magnet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706A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07011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탱크로 입수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서 물탱크의 하부 측면에는 제1유출구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유입구가 개폐밸브와 연결되고, 유입구가 구비된 개폐밸브의 반대편에는 감압밸브가 구비되며, 감압밸브에는 물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입수시키는 제2유출구가 구비되고, 개폐밸브의 상부에는 플런저와 자석이 구비된 플로트바디가 물탱크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의 입수량에 따라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자석식 유량조절밸브의 구성을 제공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유량조절, 개폐밸브, 감압밸브, 자석, 플런저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The flux regulation valve which uses the magnet}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부에 유량조절밸브를 삽입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ON·OFF 개폐밸브를 전기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닌 자석을 이용한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량조절밸브와 물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었는데, 물탱크의 바깥쪽에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고 유량조절밸브의 유출구가 물탱크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구성으로 공간활용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종래 유량조절밸브결합체로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번호 10-2006-0022452호가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밸브결합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도관(31) 내에는 코일스프링(32)과 샤프트(33) 및 오링(34)에 의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35)가 내장된다.
유량조절밸브(35)는 메인보디(36) 내의 압력이 유입도관(31) 내의 압력보다 높을경우라도 코일스프링(32)에 의하여 샤프트(33)가 상승하면서 유로를 폐쇄함에 따라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샤프트(33)내에 형성된 유입공(37)에 의하여 유입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유량조절밸브(35)를 거쳐 메인보디(36)내에 유입되는 유체는 외부제어에 의하여 조작되는 솔레노이드(38)와 솔레노이드(38)와 연결된 플렌저(39)에 결합된 다이아프렘(40)에 의하여 유체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41)를 거쳐 유출구(42)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체크밸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유량조절밸브가 물탱크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공간활용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ON·OFF 밸브를 전기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조작하였으므로 전기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고 물탱크 내부에 유량조절밸브를 삽입할 경우 전기 누출로 인한 2차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유량조절밸브를 물탱크 내부에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밸브를 전기식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닌 자석을 이용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유량조절밸브를 물탱크 내부에 구비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탱크로 입수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서 물탱크의 하부 측면에는 제1유출구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유입구가 개폐밸브와 연결되고, 유입구가 구비된 개폐밸브의 반대편에는 감압밸브가 구비되며, 감압밸브에는 물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입수시키는 제2유출구가 구비되고, 개폐밸브의 상부에는 플런저와 자석이 구비된 플로트바디가 물탱크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의 입수량에 따라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자석식 유량조절밸브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폐밸브를 전기식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닌 자석을 이용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유량조절밸브를 물탱크 내부에 구비하여, 콤팩트와 되고 있는 전자제품이나 가전제품의 공간활용을 용이한 효과와,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감압밸브(300)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감압밸브(300) 자체의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과 다른 개폐밸브(200)의 기능은 상세하게 설명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110) 내부의 상부에 수위센서(140)가 구비되고, 물탱크(110)의 하부 측면에는 제1유출구(130)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유입구(120)와 개폐밸브(200)와 감압밸브(300)가 구비되고, 개폐밸브(200)의 상부에 연결된 플로트바디(209)는 물탱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며, 감압밸브(300)에 구비된 제2유출구(302)는 물탱크(1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폐밸브(200)와 감압밸브(300)의 상세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개폐밸브(200)의 솔바디(201)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연결 구비되고, 솔바디(201)의 상부에는 개폐 다이아프램(202)이 구비되고, 개폐 다이아프램(202)에는 플런저패킹(204)을 내재하는 가이드(203)가 삽입되며, 플러저패킹(204)은 요크(205)의 플런저(206)와 연결되고, 요크(205)는 솔바디(201)에 결합된다.
또한 요크(205)의 플런저(206)의 상부에는 플런저캡스프링(207)이 구비되며, 틀런저(206)와 플런저캡스프링(207)의 외부를 플런저캡(208)으로 덮어씌우고, 플런저캡(208)은 플로트바디(209)의 중심에 삽입되며, 플로트바디(209)의 중심과 외곽 사이에는 페라이트자석(210)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네오디뮴(ND)자석(211)을 내재한 플로트캡(212)이 플로트바디(209)의 상부에 결합한다.
여기서, 네오디뮴(ND : neodymium)은 은백색 광택이 나는 희토류(稀土類) 원소의 하나이며, 공기 중에서는 푸른빛을 띤 회색이 되고, 연성(延性)과 전성(展性)이 있으며, 뜨거운 물과 반응하면 수소를 방출하고, 원자기호는 ND이다.
상기 요크(205)의 플런저(206)부터 플로트캡(212)까지의 결합체는 물탱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유입구(120)가 구비된 솔바디(201)의 반대편에는 물탱크에 전달되는 물의 압력을 줄여주는 감압밸브(300)가 연결되는데, 감압밸브(300)의 메인바디(303)가 솔바디(201)와 연결 구비되며, 메인바디(303)의 하부에는 샤프트가이드(301)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물이 물탱크에 전달되도록 제2유출구(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바디(303)의 상부에는 샤프트(304)와 일체로 연결된 다이아프램(305)이 구비되고, 다이아프램의 상부에는 스프링(306)이 순서대로 구비되며 다이아프램(305)과 스프링(306)은 커버(307)에 내재되고, 커버(307)는 메인바디(303)에 결합한다.
감압밸브(300)의 제2유출구(302)는 물탱크(1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유입구(120)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개폐밸브(200)와 감압밸브(300)을 거쳐 물탱크(110) 내부로 입수 되도록 연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개폐밸브(200)가 ON 상태에서 유입구(120)를 통하여 물이 입수되면, 입수된 물은 개폐밸브(200)를 거쳐 감압밸브(300)로 전달되고, 감압밸브(300)에 의하여 1차 감압된 물은 제2유출구(302)를 통하여 물탱크(110)의 내부로 물이 입수되어 차 오르기 시작한다.
그 후 물이 차오르면 플로트바디(209)와 결합된 플로트캡(212)은 부레와 같은 역할을 하위해서는 상부로 떠올라야 하는데, 플로트캡(212)이 상부로 떠오르는 기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플로트바디(209)에 구비된 페라이트자석(210)이 먼저 플런저(206)를 상부로 올리고 상부에 구비된 네오디뮴(ND)자석(211)이 상부로 당겨주면, 플런저(206)가 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개폐밸브(200)는 ON 상태를 유지하면서 물탱크(110)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
그 후 물탱크(110)에 물이 적정부까지 차오르게 되면 네오디뮴(ND)자석(211)과 플런저(206)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플런저(206)를 상부로 당기는 네오디뮴(ND)자석(211)의 자력이 약해지게 되어 플런저(206)는 하강하게 되고, 플런저(206)가 하강하면 플런저패킹(204)을 하부로 내려주게 되며, 플런저패킹(204)이 하부로 내려가면 개폐 다이아프램(202)의 유로를 차단시켜서 개폐밸브(200)를 OFF 상태로 만들고, 물탱크(110) 안으로 더 이상 물이 입수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물탱크 내부에 개폐밸브를 전기식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닌 자석을 이용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유량조절밸브를 삽입 구비시킨 구성으로, 콤팩트와 되고 있는 전자제품이나 가전제품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방지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와 개폐밸브 그리고 감압밸브가 갖추어진 제품에 사용되는데, 주로 비데에 사용되며 식기세척기나 드럼세탁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량조절밸브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석식 유량조절밸브 110. 물탱크 120. 유입구
130. 제1유출구 140. 수위센서 200. 개폐밸브
201. 솔바디 202. 개폐 다이아프램 203. 가이드
204. 플런저패킹 205. 요크 206. 플런저
207. 플런저캡스프링 208. 플런저캡 209. 플로트바디
210. 페라이트자석 211. 네오디뮴(ND)자석 212. 플로트캡
300. 감압밸브 301. 샤프트가이드 302. 제2유출구
303. 메인보디 304. 샤프트 305. 다이아프램
306. 스프링 307. 커버

Claims (2)

  1. 삭제
  2. 물탱크(110)의 하부측면의 제1유출구(130)와 하부에는 유입구(120)가 개폐밸브(200)와 연결되고 개폐밸브의 반대편에는 감압밸브(300)와 감압밸브에는 물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입수시키는 제2유출구(302)가 구비되고 개폐밸브의 상부에는 플런저(206)와 자석(210, 211)이 구비된 플로트바디(209)가 물탱크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의 입수량에 따라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개폐밸브(200)의 솔바디(201)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구비되고, 솔바디(201)의 상부에는 개폐 다이아프램(202)이 구비되고, 개폐 다이아프램(202)에는 플런저패킹(204)을 내재하는 가이드(203)가 삽입되며, 플러저패킹(204)은 요크(205)의 플런저(206)와 연결되고, 요크(205)는 솔바디(201)에 결합하여 물탱크 외부에 구비되며, 요크(205)의 플런저(206)의 상부에는 플런저캡스프링(207)이 구비되고, 틀런저(206)와 플런저캡스프링(207)의 외부를 플런저캡(208)으로 덮어씌우고, 플런저캡(208)은 플로트바디(209)의 중심에 삽입되며, 플로트바디(209)의 중심과 외곽 사이에는 페라이트자석(210)이 구비되고, 네오디뮴(ND)자석(211)을 내재한 플로트캡(212)이 플로트바디(209)의 상부에 결합하여 물탱크 내부에 삽입되어 개폐밸브를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KR1020070111656A 2007-11-02 2007-11-02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KR10091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56A KR100913937B1 (ko) 2007-11-02 2007-11-02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56A KR100913937B1 (ko) 2007-11-02 2007-11-02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06A KR20090045706A (ko) 2009-05-08
KR100913937B1 true KR100913937B1 (ko) 2009-08-25

Family

ID=4085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656A KR100913937B1 (ko) 2007-11-02 2007-11-02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35Y1 (ko) 2003-04-01 2003-07-04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유량 및 유압 제어밸브
KR100423083B1 (ko) * 2001-12-18 2004-03-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저수탱크의 수위조절장치
KR20060087843A (ko)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다임코 급수제어밸브
KR20070105145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맥코이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83B1 (ko) * 2001-12-18 2004-03-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저수탱크의 수위조절장치
KR200318835Y1 (ko) 2003-04-01 2003-07-04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유량 및 유압 제어밸브
KR20060087843A (ko)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다임코 급수제어밸브
KR20070105145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맥코이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06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482B2 (en) Magnetic suspension type water adding device and air humidifier
CN206530760U (zh) 防止低压漏水的进水电磁阀
KR101147940B1 (ko)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MX2012002882A (es) Ensamble de valvula solenoide para controlar el flujo de fluido, particularmente para maquinas de lavado.
CN201588103U (zh) 一种低水压全自动洗衣机
CN108222132B (zh) 一种进排水一体控制阀
CN211472751U (zh) 一种带有换向机构的进水装置及带有该进水装置的马桶
KR100913937B1 (ko) 자석을 이용한 유량조절밸브
US11939206B2 (en) Flui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8249143A (ja) 水撃緩和型水栓装置
CN2400653Y (zh) 剩磁保持式电磁水阀
CN210134493U (zh) 一种带有导水结构的进水装置
DE10337516A1 (de) Ventilanordnung zur Regulierung des Fließverhaltens einer magnetorheologischen Flüssigkeit
KR20060087843A (ko) 급수제어밸브
CN209294533U (zh) 一种家用电器用的水路三通换向机构
CN206320365U (zh) 单向节流型电磁阀
CN201823724U (zh) 一种带电泵和电磁封汽阀的蒸汽清洁器
CN218440649U (zh) 一种依据负压打开水通道的机构
EP1870621B8 (de) Ventil zur Steuerung eines Fluids
KR20080051503A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05841778U (zh) 一种用于汽车冷却液进出的控制阀
CN219827891U (zh) 一种进水电磁阀
CN220505951U (zh) 一种带手动泄压的双稳态电磁阀
CN211475017U (zh) 一种低温升压系统大开度电磁控制阀门
EP1416207A1 (en) Membrane valve with a pilot solenoid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