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96B1 -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96B1
KR100913796B1 KR1020070031589A KR20070031589A KR100913796B1 KR 100913796 B1 KR100913796 B1 KR 100913796B1 KR 1020070031589 A KR1020070031589 A KR 1020070031589A KR 20070031589 A KR20070031589 A KR 20070031589A KR 100913796 B1 KR100913796 B1 KR 10091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unit
web
authoring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761A (ko
Inventor
이성화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산업 (주) filed Critical 한국기술산업 (주)
Priority to KR102007003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는, 웹 페이지가 이루는 영역을 복수의 블록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블록 영역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각각 기능 모듈을 로딩함으로써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수정하는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저작 유닛과, 상기 저작 유닛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에 관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저장된 리소스를 로딩하여 웹 클라이언트에 상기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 영역별로 프린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린팅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웹 페이지, 웹 서버, 데이터 베이스, 템플릿,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Description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ng web p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데이터 베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웹 페이지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가 동작하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관리자 웹 페이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관리자 메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블록 영역으로 분할된 메인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복수의 블록 영역이 병합된 메인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일부 블록의 너비가 변경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특정 블록 영역의 추가 버튼이 클릭된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로그인 모듈이 미리보기로 표시된 메인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분할된 모든 블록 영역에 다양한 모듈이 로딩된 예를 보여주는 도 면.
도 13 내지 도 18은 메뉴 구성 유닛의 동작에 따른 메뉴 구성 과정을 시각적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레이아웃 유닛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템플릿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회원 관리 유닛이 제공하는 회원 관리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각종 기능 모듈에 사용자 옵션을 적용하기 위해 기능 설정 유닛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게시판 모듈에 대하여 수정 가능한 세부 옵션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에 의하여 도19에서 생성된 커스텀 모듈을 선택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과정을 종료한 후 최종 생성된 메인 페이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생성된 웹 페이지를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미니 웹 페이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트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프린팅 유닛이 제공하는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27의 영상 전송 장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27의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05, 244, 256, 254 : 통신 IF
110 : 웹 서버 115 : 인증 유닛
120 : 데이터 베이스 125 : 관리자 유닛
135 :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 140 : 메뉴 구성 유닛
145 : 회원 관리 유닛 150 : 레이아웃 유닛
155 : 기능 설정 유닛 160 : 저작 유닛
180 : 프린팅 유닛 170 : 변환 유닛
231 : 카메라 232 : 영상 전송 장비
234 : 스트리밍 서버 235, 236 : 클라이언트 기기
241 : 인코더 242 : 비디오 서버
243 : 허브 251 : 버퍼
252 : 트랜스코더 253 : 전송 제어부
255 : 인증부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터넷(internet)이나 인트라넷(intranet) 등의 통신 네트워크(network)의 발전에 의하여, 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여러 가지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 중에서, 유상, 무상의 여러 가지의 정보의 제공은, 통신 네트워크의 특징을 이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형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제공자가 통신 네트워크상의 서버(server) 장치에 홈페이지(homepage)라고 불리는 사이트를 개설하고, 거기에 액세스하고 임의의 노드(node) 장치와 대화를 행하거나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정보의 교환을, 임의의 서버 장치나 노드 단말 장치에서 적절히 행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라는 형식의 데이터로 송수신되고 있다. 그러나, 이 HTML 데이터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 데이터를 특정하는 파일, 제어 코드 등이 소정의 룰에 근거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것을 이해하고 적절한 HTML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은 상당히 전문적인 작업이다. 즉, 이러한 작업은 충분히 이해한 숙련한 작업자가 행할 수 있는 레벨의 일이고, 통상의 조작자가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되는 웹 페이지의 HTML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않다. 환언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작성은, 전문적으로 숙련된 작업자에게서만 가능하고, 통상의 소프트웨어 사용자 정도로는 상당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현재, 인터넷 포탈(portal) 업체들에서는 미리 짜여진 형태의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개인 웹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템플릿 방식에 의한 웹 페이지 작성 서비스는 그 사용상 편리성은 보장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합하는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웹 페이지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또한, 기업이나 교회 등과 같은 특정 사용자에 있어서는, 특정 사업이나 선교 방향에 적합한 형태로 웹 페이지를 작성할 필요가 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사용자에 있어서는 상기 템플릿 방식의 웹 페이지 작성 서비스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 취향 또는 사업 방향에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을 가변화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저작 서버는, 웹 페이지가 이루는 영역을 복수의 블록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블록 영역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각각 기능 모듈을 로딩함으로써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수정하는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저작 유닛; 상기 저작 유닛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에 관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이 터 베이스; 상기 저장된 리소스를 로딩하여 웹 클라이언트에 상기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 영역별로 프린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린팅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교회 홈 페이지 자동 작성 서비스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용도의 홈 페이지 작성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통신 IF(인터페이스)(105)와, 웹 서버(110)와, 인증 유닛(115)과, 데이터 베이스(120)와, 관리자 유닛(125)과, 서브 저작 유닛(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저작 유닛(160)은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과, 메뉴 구성 유닛(140)을 적어도 포함하며, 회원 관리 유닛(145), 레이아웃 유닛(150), 기능 설정 유닛(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IF(인터페이스)(105)는 웹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유/무선 신호를 물리적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며, 또한 상기 물리적 매체를 통하여 수신되는 유/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웹 서버(110)에 제공한다. 상기 유/무선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를 담은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이다. 송수신되는 신호가 유선 신호인 경우 상기 물리적 매체는 유선 케이블이 될 것이고, 송수신되는 신호가 무선 신호인 경우 상기 물리적 매체는 공기(air)가 될 것이다. 통신 IF(105)는 이더넷(Ethernet), 무선 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기타 다른 통신 규약을 따를 수 있다.
웹 서버(110)는 외부의 웹 클라이언트가 URN(Universal Resources Name)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에 따라 소정의 HTML 문서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웹 서버(110)로는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도 좋다.
인증 유닛(115)은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사용자를 인증한다. 상기 인증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ID와 패스워드의 조합이 사용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에는, 인증 유닛(115)은 관리자 유닛(125)으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기 생성된 HTML 문서를 웹 서버(110)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관리자인 경우에는, 인증 유닛(115)은 관리자 유닛(125) 및 서브 저작 유닛(160)으로의 접근도 허용한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웹 서버(110)를 통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리소스를 저장한다. 상기 리소스에는 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파일, CGI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물리적으로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램(RAM) 등 읽고 쓰기가 가능한 어떠한 매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다음의 도 2와 같은 세부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의 URL(20), 예를 들어 "hm.onmam.com"에 대한 메인 데이터 베이스(DB0)와, 상기 서버(100)를 통하여 제작된 HTML 문서 및 기타 리소스들을 저장하는 서브 데이터 베이스들(DB1, DB2, DB3)로 세분화(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될 수 있다. 복수의 가입자들은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가입하여 URL(21, 22, 23)을 할당 받고 상기 URL 당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DB1, DB2, DB3)를 제공받는다. 상기 가입자들은 상기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와 공통된 도메인에 속하며, "○○○.onmam.com"과 같은 형태의 URL을 할당 받는다.
한편, 하나의 URL을 갖는 웹 페이지는 그 하위에 세분화된 웹 페이지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교회에 대한 웹 페이지가 "user2,onmam.com"이라는 URL에 생성되어 있다고 할 때, 도 3과 같이 상기 웹 페이지의 하위 웹 페이지를 위한 URL(22a, 22b)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위 웹 페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교회의 지부나 봉사 조직의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웹 페이지에 대한 하위 웹 페이지는 얼마든지 생성될 수 있으나, 이들 하위 웹 페이지들이 별도의 리소스를 제공받지는 않는다. 즉, 이들 웹 페이지들은, 단일의 데이터베이스(DB2)가 제공하는 리소스를 공유하게 된다.
관리자 유닛(125)은 인증 유닛(115)에 의하여 상기 가입자 중 관리자에 의한 접근인 경우에는 관리자 페이지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서브 저작 유닛(160)에 의한 웹 페이지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웹 페이지를 실제로 변경하여 해당 서브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다.
기본적으로, 어떤 웹 페이지가 상위, 하위 웹 페이지인가와 상관없이, 웹 페이지 별로 별도의 관리자를 가질 수도 있으나, 리소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상위 웹 페이지의 관리자는 하위 웹 페이지의 관리자를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위 웹 페이지의 관리자는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하위 웹 페이지에 관리자로서 로그인 할 수 있는 것이다.
서브 저작 유닛(160) 중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은 가입자의 초기 웹 페이지를 상기 가입자(관리자)의 요청에 의하여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모듈을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뉴 구성 유닛(140)은 상기 메인 페이지에 삽입되는 메뉴를 생성, 변경 또는 삭제하고, 메뉴의 각 항목과 해당 HTML 문서를 링크시킨다.
레이아웃 유닛(150)은 메뉴 구성 유닛(140)에 의하여 생성된 메뉴의 항목과 연결되는 HTML 문서의 레이아웃을 템플릿의 형태로 제공한다. 관리자는 상기 템플릿 중에서 원하는 형태의 템플릿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HTML 문서를 생성한다.
회원 관리 유닛(145)은 어떤 가입자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회원의 자격을 규정한다. 회원 관리 유닛(145)은 상기 회원의 자격을 관리자, 회원, 준회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회원의 자격에 따라서 해당 웹 페이지의 접근, 수정, 글쓰기, 정보 제공 등의 기능 중 일부가 제한될 수 있다.
기능 설정 유닛(155)은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에서 추가되는 디폴트(default) 모듈의 형태가 아니라 관리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된 모듈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은 디폴트 형태의 모듈 외에도 상기 생성된 모듈을 선택하여 메인 페이지의 할당된 영역을 채울 수도 있다.
변환 유닛(170)은 저작 유닛(160)에서 생성된 웹 페이지를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미니 웹 페이지로 변환한다. 변환 유닛(17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프린팅 유닛(180)은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 영역별로 프린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린팅 유닛(18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가 동작하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90)를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 즉 클라이언트 기기(31, 32, 34, 35)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PC(31, 32)는 직접 상기 네트워크(90)를 통하여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노트북 컴퓨터(35), 무선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34) 등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33)를 거쳐서 네트워크(90)와 연결될 수 있다. 아무튼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기기의 종류나 네트워크의 종류는 불문한다.
이상 도 1에 나타난 구성요소(블록)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 치, 이산 하드웨어 성분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는,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어떤 관리자가 인증 유닛(115)의 인증을 받으면 관리자 유닛(125)은 도 5와 같은 관리자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자 웹 페이지의 좌측단에는 저작 유닛(160)의 각 기능들에 대응되는 메뉴(이하, 관리자 메뉴라고 함; 41) 항목들이 표시되어 있다. 관리자는 상기 메뉴 항목 중 하나를 클릭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웹 페이지를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관리자 메뉴(41)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자 메뉴(41)는 메인 항목(51, 52, 53, 54, 55)과 해당 서브 항목들로 이루어진다. 메인 항목(51, 52, 53, 54, 55)은 도 1의 저작 유닛(160)에 포함되는 각각의 유닛(135, 140, 145, 150, 155)의 기능에 대응된다.
먼저, 메인 페이지 관리 항목(51)의 서브 항목인 "메인 페이지 구성" 항목을 클릭하였을 경우 이루어지는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의 동작을 설명한다.
관리자로부터 상기 메인 페이지 구성 항목이 선택되면, 메인 페이지 구성 유 닛(135)는 도 7과 같은 메인 페이지 편집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편집 화면의 상단에는 로고 영역(61), 디폴트 메뉴 영역(62), 및 사용자 메뉴 영역(63)이 할당되어 있다. 그 이외의 영역은 관리자가 임의로 그 면적 및 분할 개수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해진 가로 크기(width)에 대하여 도 7와 같이 6×3의 분할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총 18개의 블록 영역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이 18개의 영역에 대하여 각각 특정 모듈(게시판, 설문조사 등 도 6의 기능모듈관리의 세부 항목에 있는 특정 기능을 위한 HTML 문서를 의미함)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이아웃은 단조로울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이러한 레이아웃에 변형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18개의 블록 영역 중 일부를 병합(merge)하거나 하나의 블록 영역을 2이상으로 세분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블록 영역 64 및 65는 블록 영역 72로 병합되었고, 블록 영역 66 및 67은 블록 영역 73으로 병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영역의 병합 및 세분화를 조합하면, 마치 워드 프로세서에서 표를 편집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메인 페이지를 관리자가 원하는 임의의 레이아웃이 되도록 분할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블록 영역을 병합하는 방법으로는 대상인 가로 또는 세로로 인접한 두 블록 영역을 사용자가 클릭한 후 병합 명령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두 블록 영역을 나누는 경계를 클릭(또는 더블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분화의 경우는 특정 블록 영역을 선택한 후 분할 방향(가로 또는 세로)만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좌측열의 블록들은 고정 너비 프레임을 구성하므로, 좌측열의 블록들은 그 다음 열의 블록들과는 병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최종적으로 관리자가 원하는 레이아웃이 결정되었으면, 관리자는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블록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모듈을 추가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듈 추가를 위하여는 해당 블록 영역의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한편, 관리자는 도 8과 같이 분할 또는 병합되는 방식으로 생성된 블록들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도 8에서 블록 영역 75 및 블록 영역 76간의 경계(74)를 마우스로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를 좌/우방향으로 드래그(drag)함으로써 상기 블록 영역들(75, 76)의 너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블록 영역들(75, 76)의 너비가 변경된 결과는 도 9와 같이 도시된다.
관리자는 이와 같이 블록 영역들의 좌우 경계를 선택 및 드래그하여 상기 블록 영역들의 너비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영역들의 상하 경계를 선택 및 드래그하여 상기 블록 영역들의 높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통하여, 관리자는 임의의 블록 영역의 크기, 모양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요약하면, 관리자는 먼저, 소정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를 갖는 블록들을 생성한다. 그 후, 관리자는 생성된 블록들 중 일부의 블록들을 병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고, 어떤 블록들의 경계를 선택 및 드래그하여 상기 블록들의 크기 및 모양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특정 블록 영역의 추가 버튼이 클릭된 경우, 메인 페이지 유닛(135) 이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HTML 화면의 예이다. 좌측의 "사용중인 기능"에는 다양한 종류의 모듈들이 표시되어 있고, 우측은 특정 모듈에 대한 후보들을 표시한다. 관리자가 만약, 로그인 모듈(81)을 선택하였다고 하면(로그인 모듈에 대한 후보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 도 11과 같이 블록 영역 71에는 로그인 모듈(81)이 미리보기로 표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듈이 추가된 상태에서는 추가 버튼 대신에, 변경 버튼(91) 및 삭제 버튼(92)이 나타난다.
관리자는 삭제 버튼(92)을 눌러서 상기 로딩된 모듈을 제거하여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고, 변경 버튼(91)을 눌러서 상기 로딩된 모듈을 다른 모듈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든 블록 영역에 대하여 각각 필요한 모듈을 로딩하게 되면 메인 페이지 구성은 마무리될 수 있다. 도 12는 모든 블록 영역에 다양한 모듈이 로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의 동작에 따른 메인 페이지 구성 과정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다음의 도 13 내지 도 18은 메뉴 구성 유닛(140)의 동작에 따른 메뉴 구성 과정을 시각적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메인 항목 중 하나인 홈피 수정하기 항목(52)은 "메뉴 구성 및 내용 수정"이라는 서브 항목과, "메뉴 스타일 변경"이라는 서브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메뉴 구성 및 내용 수정이라는 서브 항목을 선택하면, 메뉴 구성 유닛(140)은 관리자에게 도 13과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먼저, 사용자 메뉴를 구성할 메뉴 항목들을 생성한다. 도 13의 예 에서는 "교회소개"(111), "영상설교말씀"(112), "하늘문선교"(113), "주일학교"(114) 및 "소식과공지(115)"의 총 5개 메뉴 항목이 설정되었다. 그 후, 관리자는 하위메뉴추가 버튼(116)을 클릭하면, 메뉴 구성 유닛(140)에 의하여 도 14와 같은 HTML 화면이 제공된다.
메뉴그룹(122)에서 상기 5개의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생성할 하위 메뉴의 이름을 메뉴이름(123)에 기록한다. 메뉴종류(124)에서는 기존문서 즉,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문서를 연결할 것인가 아니면 외부의 다른 웹 사이트에 있는 HTML 문서를 링크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기존문서를 사용할 것으로 선택된 경우, 찾아보기(125)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120)에 기 저장된 HTML 문서를 연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위치(126)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하위 메뉴에 대한 웹 페이지가 기존 창에서 열릴 것인지 새 창에서 열릴 것인지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3으로 돌아가서, 상기 생성된 하위 메뉴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면 간단히 "삭제"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것만으로 해당 하위 메뉴는 삭제된다.
또한, 관리자가 수정 버튼(117)을 클릭하면, 메뉴 구성 유닛(140)에 의하여 도 15와 같은 HTML 화면이 제공된다. 여기서, 도 14에서와 마찬가지로, 메뉴종류, 연결문서, 연결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3에서, 관리자가 이동 버튼(118)을 클릭하면, 메뉴 구성 유닛(140)에 의하여 도 16과 같은 HTML 화면이 제공된다. 여기서, "예배안내"라는 하위 메뉴를 어떤 메뉴 항목의 어떤 위치로 이동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스 트(141)에서 특정 메뉴 항목 또는 하위 메뉴를 선택한 후 그 이전 또는 그 이후의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피 수정하기 항목(52)의 서브 항목인 "메뉴 스타일 변경"을 선택하면, 메뉴 구성 유닛(140)은 관리자에게 도 17과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텍스트(151) 또는 사용자 이미지(152) 중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만약, 사용자 이미지(152)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메뉴로 사용될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게 된다.
관리자가 좌측의 미리보기(preview)에 표시된 상기 생성된 5개의 메뉴항목에 적용할 스타일을 우측16개의 샘플 중에서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메뉴항목의 스타일이 간단히 적용된다. 도 18은 이와 같은 스타일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메뉴의 예를 보여 준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메뉴 및 연결되는 HTML 문서를 모두 결정하였다면, 실제로 상기 연결된 HTML 문서 내용을 편집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HTML 문서를 작성하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도 19와 같이 레이아웃 유닛(150)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템플릿 중 용도에 맞는 것을 하나 선택함으로써 상기 HTML 문서 작성이 간편해진다.
한편, 관리자가 도 6에서 회원관리(53)라는 메인 항목을 선택하면, 회원관리 유닛(145)은 도 20과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가입 신청한 사람에 대하여 적용할 회원 등급을 결정 또는 변경하거나, 특정 회원의 접근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회원 자격을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2와 같은 메인 페이지가 각각의 모듈 선택에 의하여 구성되기는 하지만, 상기 모듈은 그 속성(property)이 디폴트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듈에 관리자가 다양한 옵션을 부여하고 싶다면, 별도의 작업이 추가로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가 도 6의 기능모듈관리(55)라는 메인 항목 중 서브 항목을 선택하면(여기서는 "게시판/앨범/공지"를 선택한 것을 예로 함), 기능 설정 유닛(155)은 상기 모듈들에 적용되는 다양한 옵션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도 21과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추가 버튼(191)을 눌러서 포토앨범, 게시판, 공지사항 등 다양한 모듈들을 추가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들에 대해서는 미리보기, 기본설정의 변경, 권한설정의 변경, 또는 삭제와 같은 동작이 선택될 수 있다. 이 중에서 3번째 항목인 자유게시판의 기본설정의 "변경" 버튼을 클릭한 경우, 기능 설정 유닛(155)은 도 22와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도 22에서 보면, 관리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스킨선택, 이름 변경, 페이지당 목록수, 댓글 사용여부, 답글 사용여부, 자료실 사용여부, 비밀글 사용여부 등의 다양한 세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의 글에 추가될 필드(번호, 제목, 작성자 등)도 취사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옵션 선택에 의하여 동일한 모듈이라도 다른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아무튼, 관리자가 도 21과 같이 4개의 커스텀(custom) 모듈을 생성하였다고 하면, 다시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을 통하여 메인 페이지에 상기 생성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관리자가 도 6의 "메인 페이지 구성"이라는 서브 항목을 클릭 함으로써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를 호출하면,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은 다시 도 12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관리자가 이 블록 영역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추가 버튼(블록 영역이 비어있는 경우) 또는 변경 버튼(블록 영역에 어떤 모듈이 로딩된 경우)을 클릭하면,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135)은 도 23과 같은 HTML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관리자가 포토앨범 항목을 선택하였다고 하면 관리자가 도 20에서 생성한 커스텀 모듈 중에서 포토앨범 형태에 해당하는 "하늘문 PHOTO(212)" 항목과 "새가족 소개(213)" 항목이 우측 박스에 리스팅된다. 관리자는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세부 설정한 포토앨범을 메인 페이지에 로딩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자가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들을 수행한 후에는, 누구라도 "○○○.onmam.com"라는 URL에 접속하여 다음의 도 24의 예와 같은 웹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물론, 사진, 글 등의 실제 데이터를 게시하는 작업은 별도로 요구됨). 홈 페이지 제작 및 운영에 필수라 할 수 있는 HTML 태그(TAG), 웹 서버,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관한 지식이 전무한 관리자라도, 이러한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방식의 간단한 키 입력 및 마우스조작 과정들만으로, 커스터마이즈된 다양한 웹 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누구라도 조건 없이 손쉽게 접근하여 평등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함이 마땅한, 교회 홈 페이지(종교 홈 페이지)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 24에서와 같은 웹 페이지는 데스크 톱 컴퓨터, IPTV 등 대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클라이언트 기기에 적합하지만, 모바일 폰, PDA 등과 같이 소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클라이언트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클라이언트 기기는 주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과 같은 무선망 환경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25는 저작 유닛(160)에서 생성된 웹 페이지(221)를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미니 웹 페이지(222)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변환 유닛(170)는 웹 페이지(221)의 내용 중에서 일부분만을 추출하여 간단한 형태의 미니 웹 페이지(222)를 생성한다.
이 때, 미니 웹 페이지(222)에는 웹 페이지(221)에 포함된 블록들을 식별할 수 있는 제목들이 나열되고, 상기 제목들에는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블록의 웹 문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변환 유닛(170)은 웹 페이지(221)에서 상기 제목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상기 제목으로는, 웹 페이지(221)의 각 블록들에 존재하는 기능 모듈(예: html 문서)의 'title' 태그(tag)에 기록된 텍스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블록에서 표시되는 첫 번째 텍스트를 상기 제목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6은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린트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프린팅 유닛(180)이 제공하는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웹 클라이언트는 도 24와 같은 메인 페이지를 통하여 프린트 명령을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린트 명령은 통신 IF(105)를 통하여 프린팅 유닛(180)에 전달된다. 이 때, 프린팅 유닛(180)은 도 26과 같은 선택 화면을 웹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웹 클라이언트는 상기 선택 화면에서 프린트하기를 원하는 블록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회소개'라는 대분류의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그 하위 분류인 '교회소개', '목회비전', '예배안내', '섬기는 사람들', '찾아오시는 길' 등의 항목이 모두 선택된다. 또는, 각각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항목(블록)들 중에서 일부 항목의 체크 박스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택 화면에서 웹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블록을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프린팅 유닛(180)은 해당 블록들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들(html 문서들)을 데이터 베이스(120)로부터 추출하여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따라서, 웹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공된 html 문서들을 순차적으로 프린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Real Time Streaming Service) 및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도 아울러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교회 예배당에 CCTV 및 영상전송장비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실현하여 예배 과정(설교, 성가대 등)을 원격지(가정, 병원, 출장지 등)에서 실시간 시청할 수 있도록 실시간/비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더욱 많은 사람들이 예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주일에 교회에 가야 하지만, 아프거나 몸이 불편해 교회에 갈 수 없는 경우, 지방 및 해외출장, 또는 병원에 있어 교회에 갈 수 없는 경우, 예배시간을 맞추지 못해 예배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 설교를 다시 시청하고 싶은 경 우, 어린 아이로 인해 유아실 또는 교육관에서 예배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직접 교회의 예배 과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정이 있으면 클라이언트 기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예배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도 27은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메라(마이크로 폰 포함; 231)에 의하여 포착된 동영상 및 음성은 영상 전송 장비(232)에 의하여 압축된 형태로 또는 압축되지 않은 형태로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90)를 통하여 스트리밍 서버(234)로 전송된다. 이러한 전송은 실시간 방송을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비실시간 방송(VOD 서비스)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 작은 시간대를 선택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영상 전송 장치(232)는 동영상 및 음성을 디지털 파일로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233)과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기기(235)는 예배 과정에 참여하기 위하여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에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VOD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 기기(235, 236)는 도 24의 "On Air" 메뉴(221)를 클릭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거나(예배가 진행 중인 경우에 한함), "VOD 보기" 버튼(222)을 클릭하여 VOD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서,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스트리밍 서버(234)가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235)로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VOD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 때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인증 유닛(115)에 의해 정상적인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경우에 한하여, 스트리밍 서버(234)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정상적인 인증 과정을 거친 경우가 아니면 클라이언트 기기(235)의 서비스 요청이 있어도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는 스트리밍 서버(234)에 인증값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클라이언트 기기(235)는 상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도 28은 도 27의 영상 전송 장비(23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메라(231)로부터 포착된 동영상 및 음성은 비디오 서버(242)로 입력된다. 상기 카메라(231)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는 비디오 서버(242)로 디지털 데이터가 직접 입력되겠지만, 아날로그 카메라인 경우에는 비디오 서버(242)는 먼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DAC; Digital-Analog Converter)에 대하여 먼저 아날로그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디오 서버(242)는 동영상에 관한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1)를 통신 IF(244)를 통하여 스트리밍 서버(234)로 전송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비디오 서버(242)와 허브(243)를 통하여 연결되는 인코더(241)에 의하여 압축된 후,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코더(241)는 MPEG-2, MPEG-4, H.264 등 다양한 비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9는 도 27의 스트리밍 서버(23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트림1은 통신 IF(256)을 통하여 입력되며, 트랜스코더(252)에 의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VOD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다른 포맷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환에는 비디오 코딩 표준간의 변환 뿐만 아니라, 동일한 코딩 표준 내에서의 해상도, 프레임율, 비트율 등의 변환도 포함된다. 만약, 스트림1이 전혀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 라면 트랜스코더(252)는 소정 코딩 표준 코덱에 의하여 상기 스트림1을 인코딩하여야 할 것이다.
인증부(255)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로부터 정상적인 인증값이 통지되었는가를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에 한하여 클라이언트 기기(235, 236)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전송 제어부(253)는 인증부(255)에 의하여 인증된 클라이언트 기기(235)에 상기 변환에 의하여 생성된 스트림2(실시간 스트림 또는 VOD 스트림)를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235)에 통신 IF(254)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 전송 제어부(253)는 전송 환경에 적합하도록 가변적으로 비트율 등을 변경함으로써 끊김 없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적 비트율 변경을 위하여 버퍼(251)는 스트림2의 일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전송 제어부(253)의 요청이 있으면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스트리밍 서버(234)와 웹 페이지 저작 서버(100)가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어도 본 발명의 적용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페이지 저작 서버에 의하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 취향 또는 사업 방향에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을 가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VOD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웹 페이지가 이루는 영역을 복수의 블록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블록 영역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각각 기능 모듈을 로딩함으로써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수정하는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저작 유닛;
    상기 저작 유닛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에 관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저장된 리소스를 로딩하여 웹 클라이언트에 상기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의 프린터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 영역들 중 선택을 하도록 하는 선택 화면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블록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을 일괄적으로 프린트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린팅 유닛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인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관리자의 권한을 갖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저작 유닛의 동작이 수행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는
    상기 웹 페이지의 관리자 및 그 상위 웹 페이지의 관리자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되거나 수정된 웹 페이지의 내용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미니 웹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유닛은 상기 블록의 기능 모듈에 포함된 title 태그에 기록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미니 웹 페이지로 변환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복수의 가로 개수 및 복수의 세로 개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블록 영역들을 생성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 영역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블록 영역들을 병합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 영역들 중 일부의 블록 영역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로그인 모듈, 게시판 모듈, 공지사항 모듈, 및 앨범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은
    상기 분할된 블록 영역의 추가 버튼 또는 수정 버튼이 눌러지면 내장된 상기 기능 모듈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딩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메뉴 항목 및 그 하위메뉴를 추가, 수정, 이동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항목 및 상기 하위메뉴를 추가, 수정, 이동 또는 삭제하는 메뉴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상기 메뉴 항목 또는 하위 메뉴와 연결되는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HTML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아웃 유닛을 더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상기 기능 모듈의 세부 설정이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된 커스텀(custom) 모듈을 생성하는 기능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페이지 구성 유닛에 의하여 로딩되는 기능 모듈은 생기 생성된 커스텀 모듈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저작 서버.
KR1020070031589A 2007-03-30 2007-03-30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KR10091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89A KR100913796B1 (ko) 2007-03-30 2007-03-30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89A KR100913796B1 (ko) 2007-03-30 2007-03-30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61A KR20090000761A (ko) 2009-01-08
KR100913796B1 true KR100913796B1 (ko) 2009-08-26

Family

ID=404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89A KR100913796B1 (ko) 2007-03-30 2007-03-30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33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타스 웹 저작 장치
KR101785845B1 (ko) * 2016-01-14 2017-10-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모니터링 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동적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지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1929B (zh) * 2015-11-30 2020-06-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滚筒洗衣机的排水泵及具有其的滚筒洗衣机
KR101875480B1 (ko) * 2016-11-24 2018-07-06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기업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713A (ko) * 2000-04-25 2000-08-05 이태형 인터넷신문의 저작시스템 및 저작방법
KR20030095546A (ko) * 2002-06-12 2003-12-24 (주)아이비솔루션 웹모듈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웹사이트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713A (ko) * 2000-04-25 2000-08-05 이태형 인터넷신문의 저작시스템 및 저작방법
KR20030095546A (ko) * 2002-06-12 2003-12-24 (주)아이비솔루션 웹모듈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웹사이트 구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33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타스 웹 저작 장치
KR101785845B1 (ko) * 2016-01-14 2017-10-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모니터링 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동적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지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61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1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8042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irtual tour content using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CN112632942B (zh) 一种文档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62784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information to be retrieved over a computer network
US7664827B2 (en)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tributing a terminal with information containing menu and link arranged on image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20140026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ng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7023972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forming data for web communities and web applications
KR100803580B1 (ko) 동기 멀티미디어 통합언어 포맷을 이용한 전자 음악 배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1999017229A1 (fr) Systeme de signets par affichage d'image
US20080313550A1 (en) RECORDING MEDIUM ON WHICH Web CONFERENCE SUPPORT PROGRAM IS RECORDED AND Web CONFERENCE SUPPORT APPARATUS
WO2008092079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ntent from web sources and posting content to web logs
US20180376209A1 (en) Video player framework for a media distribution and management platform
KR100913796B1 (ko)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CN102314428A (zh) 一种分布式构造网页的方法
US9721321B1 (en) Automated interactive dynamic audio/visual performance with integrated data assembly system and methods
JP2009223891A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てウェブ情報を閲覧する方法
JP2006004136A (ja) Html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8503B1 (ko) 웹사이트 링크정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028970A (ja) 動画配信システム
KR20070103951A (ko) 웹 페이지 저작 방법 및 장치
CN102314427A (zh) 一种分布式生成网页的方法
KR20090114908A (ko) 웹 페이지 제공 서버 및 웹 페이지 편집 방법
JP2002024132A (ja) Webページ作成装置およびWebページ作成方法
Mansoo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Dynamic Website for Electronic Libr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