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37B1 -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37B1
KR100913537B1 KR1020070135743A KR20070135743A KR100913537B1 KR 100913537 B1 KR100913537 B1 KR 100913537B1 KR 1020070135743 A KR1020070135743 A KR 1020070135743A KR 20070135743 A KR20070135743 A KR 20070135743A KR 100913537 B1 KR100913537 B1 KR 10091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ad lamp
relay
high beam
low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918A (ko
Inventor
최병노
Original Assignee
(주) 원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원익 filed Critical (주) 원익
Priority to KR102007013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도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입력측 커넥터를 통해 인가되는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안정기의 구동전압으로 이용하기 위한 신호 공급부;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2구의 단자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측 커넥터;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에 제어되는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구동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의 동작에 대응하여 헤드 램프가 하이 빔 혹은 로우 빔을 방사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도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헤드 램프는 원거리를 조명하는 하이 빔(High Beam) 램프와 근거리를 조명하는 로우 빔(Low Beam) 램프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단자(A, B, C)를 가지는 입력측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온/오프, 하이 빔, 로우 빔이 제어되는데, 이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은 차량 제조업체나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5 종류의 입력측 커넥터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입 1의 입력측 커넥터는 B 단자에서 A 단자로 전류가 흐 르는 경우에 로우 빔이 발생되도록 하고, C 단자에서 A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하이 빔이 발생되도록 한다. 타입 2의 입력측 커넥터는 A 단자에서 B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로우 빔이 발생되도록 하고, A 단자에서 C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하이 빔이 발생되도록 한다. 타입 3과 타입 4의 입력측 커넥터는 A 단자와 C 단자에서 B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로우 빔이 발생되도록 하고, A 단자에서 C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하이 빔이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서, 타입 4의 입력측 커넥터는 A 단자와 C 단자에 전압이 공급되고 B 단자가 오픈된 경우에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한다. 타입 5의 입력측 커넥터는 A 단자에서 B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로우 빔이 발생되도록 하고, A 단자에서 B 단자와 C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하이 빔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는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에 입력측 커넥터 타입의 종류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를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헤드 램프 구동장치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드 램프 구동장치는 헤드 램프(10), 헤드 램프(1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하는 배터리(40), 배터리(40)로부터의 구동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릴레이(30), 배터리(40)에서 공급된 구동 전력을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헤드 램프(10)에 공급하는 안정기(20), HID 램프(10)의 온/오프·하이 빔·로우 빔용 신호를 공급하는 입력측 커넥터(50), 헤드 램프(10)의 하이 빔과 로우 빔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60), 솔레노이드(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70), 입력측 커넥터(5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하이 빔용 신호인지 로우 빔용 신호인지를 파악하는 신호 확인부(80), 및 입력측 커넥터(50)로부터의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배터리 제어 릴레이(30)에 공급하는 정류부(90)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헤드 램프 구동장치에서는 신호 확인부(80)를 통해 입력측 커넥터(50) 타입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입력측 커넥터(50)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가 지시하는 헤드 램프(10)의 온/오프, 하이 빔용 신호, 로우 빔용 신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호 확인부(80)는 신호 확인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81)를 포함하게 된다.
신호 확인부(80)는 솔레노이드 제어부(70) 및 정류부(90)와 함께 컨트롤러 장치를 형성하게 되는데, 신호 확인부(80)가 입력측 커넥터(50)로부터의 신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호 확인 IC(81)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이 컨트롤러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회로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정기(20)로 공급되는 배터리(4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배터리 제어 릴레이(30)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헤드 램프 구동장치의 구성이 더욱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도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입력측 커넥터를 통해 인가되는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안정기의 구동전압으로 이용하기 위한 신호 공급부;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2구의 단자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측 커넥터;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에 제어되는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구동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의 동작에 대응하여 헤드 램프가 하이 빔 혹은 로우 빔을 방사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측 커넥터는 전원전압 신호, 접지전압 신호, 혹은 오픈 신호가 인가되는 3구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는 상기 단자들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들의 조합으로 생성된다.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상기 입력측 커넥터의 제1 구에 인가된 접지전압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출력측 커넥터 중 제1 출력측 커넥터에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상기 입력측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에 인가된 전원전압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출력측 커넥터 중 제2 출력측 커넥터에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는 기계식 릴레이 또는 전자식 릴레이이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솔레노이드이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하이 빔용 램프 혹은 로우 빔용 램프를 점등시킨다.
상기 정류부, 상기 신호 공급부, 상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릴레이는 상기 안정기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헤드 램프는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에 의해 점등 혹은 소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집적회로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한 회로 구성만으로도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의 온/오프, 하이 빔, 로우 빔을 제어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기를 통해 공급된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헤드 램프의 온/오프가 제어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구동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 제어 릴레이 장치와 배선이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 제어부를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 제어부, 신호 공급부, 전파정류기 등이 안정기 내부에 형성 가능함으로써 그 구성이 더욱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입력측 커넥터(110), 출력측 커넥터(120), 신호 공급부(130), 구동 제어부(140), 정류부(150), 릴레이(160), 및 램프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포함한 모든 실시 예의 헤드 램프로는 HID 램프를 비롯하여, 고휘도 LED 및 할로겐 램프 등이 모두 이용 가능하다.
입력측 커넥터(110)는 A, B, C의 3구 단자를 통해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공급한다. 하이 빔용 신호 및 로우 빔용 신호는 3구 단자 각각에 공 급되는 전원전압 신호, 접지전압 신호 및 오픈 신호의 조합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하이 빔용 신호 및 로우 빔용 신호는 모두 램프를 점등시키기는 신호가 된다.
출력측 커넥터(120)는 안정기에 접속되어 안정기의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안정기는 출력측 커넥터(120)로부터 전달된 구동전압을 통해 구동됨과 아울러 이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헤드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출력측 커넥터(120)는 도 2의 타입 1에 사용되는 제1 출력측 커넥터(P+, P-)와 타입 2~5에 사용되는 제2 출력측 커넥터(N+, N-)를 포함한다.
신호 공급부(130)는 출력측 커넥터(120)에 안정기의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안정기의 구동전압으로는 입력측 커넥터(110)를 통해 인가되는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이용되며, 이 안정기의 구동전압은 안정기를 구동시키는 전압으로 이용됨과 아울러 헤드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전압으로도 이용된다. 상세히 하면, 신호 공급부(130)는 입력측 커넥터(110)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하이 빔용 신호이거나 로우 빔용 신호인 경우 안정기에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헤드 램프가 턴-온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신호 공급부(130)는 입력측 커넥터(110)로부터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출력측 커넥터(120)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안정기가 턴-오프되도록 함으로써, 헤드 램프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헤드 램프의 구동전압이 베터리 제어 릴레이의 제어하에 배터리를 통해 안정기에 공급되면, 안정기가 헤드 램프의 구동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헤드 램프를 제어하고, 헤드 램프의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과는 별도로 공급되었던 것에 반해, 본 발 명에서는 입력측 커넥터(110)를 통해 공급되는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헤드 램프의 구동전압으로도 이용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그 구성 및 배선이 훨씬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신호 공급부(130)는 상기와 같이 출력측 커넥터(120)에 구동전압을 공급함과 아울러,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 제어부(140)에 형성된 포토 커플러(P1, P2)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제어부(140)는 신호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포토 커플러(P1, P2)의 동작에 대응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를 통해 릴레이(1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신호 공급부(130)로부터 하이 빔용 신호가 공급되어 포토 커플러(P1, P2)가 동작되는 경우, 구동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160)를 동작시킨다. 반면, 신호 공급부(130)로부터 로우 빔용 신호가 공급되어 포토 커플러(P1, P2)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구동 제어신호의 출력이 차단되어 릴레이(160)의 하이 빔 동작이 중지된다.
정류부(150)는 전파정류기로서, 입력측 커넥터(110)로부터 공급된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한다.
릴레이(160)는 릴레이 제어부(161)와 릴레이 단자부(162)를 포함하여, 구동 제어부(140)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램프 제어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릴레이 단자부(162)는 포토 커플러(P1, P2)를 통해 릴레이 제어부(161)에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제1 방향으로 도통되고, 포토 커플러(P1, P2)를 통해 릴레이 제어부(161)에 신호가 공급될 때에는 릴레이 제어부(161)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도통된다.
램프 제어부(170)는 솔레노이드로서, 입력측 커넥터(110)로부터 하이 빔용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2 방향으로 도통되는 릴레이 단자부(162)에 의해 솔레노이드(170)가 하이 빔 방향으로 동작된다. 이때, 헤드 램프는 반사갓에 따라 하이 빔 또는 로우 빔을 방사하는 하이 빔-로우 빔 일체형이다. 솔레노이드(170)는 평상시에는 제1 방향으로 도통되는 릴레이 단자부(162)에 의해 헤드 램프가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하이 빔용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2 방향으로 도통되는 릴레이 단자부(162)에 의해 헤드 램프가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반대로, 평상시에는 헤드 램프가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로우 빔용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 헤드 램프가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신호 공급부(130), 구동 제어부(140), 릴레이(160), 및 정류부(150)는 함께 컨트롤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고, 안정기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헤드 램프 제어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입력측 커넥터 타입들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평상시에는 헤드 램프가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고, 하이 빔용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 헤드 램프가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설정된 것을 전제로 한다.
먼저, 타입 1에서는 로우 빔용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전류가 B 단자에서 A 단자로 흐른다. 도 4에서 전류가 B 단자에서 A 단자로 흐르는 경우, B 단자가 제2 노드(NB)→제6 노드(NN-)→제2 다이오드(D2)→제4 노드(NP+)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P+ 단자에 접속되고, A 단자가 제1 노드(NA)→제5 노드(NP-)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P- 단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1 출력측 커넥터(P+, P-)를 통해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공급되어 헤드 램프가 점등된다. 하지만, 포토 커플러(P1, P2)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포토 커플러(P1, P2)가 동작되지 않음으로써 솔레노이드(170)는 헤드 램프를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헤드 램프는 로우 빔을 방사하게 된다.
타입 1에서 하이 빔용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류가 C 단자에서 A 단자로 흐른다. 도 4에서 전류가 C 단자에서 A 단자로 흐르는 경우, C 단자가 제3 노드(NC)→제4 노드(NP+)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P+ 단자에 접속되고, A 단자가 제1 노드(NA)→제5 노드(NP-)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P- 단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1 출력측 커넥터(P+, P-)를 통해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공급되어 헤드 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제3 노드(NC)→제1 포토 커플러(P1)→제1 저항(R1)→제2 저항(R2)→제1 노드(NA)의 경로를 통해서 전류가 흘러 제1 포토 커플러(P1)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40)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릴레이(160)를 하이 빔 작동시키고, 릴레이(160)에 의해 솔레노이드(170)는 헤드 램프를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헤드 램프는 하이 빔을 방사하게 된다.
타입 2 내지 타입 5에서는 로우 빔용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전류가 A 단자에 서 B 단자로 흐른다. 도 4에서 전류가 A 단자에서 B 단자로 흐르는 경우, A 단자가 제1 노드(NA)→제5 노드(NP-)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N+ 단자에 접속되고, B 단자가 제2 노드(NB)→제6 노드(NN-)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N- 단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2 출력측 커넥터(N+, N-)를 통해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공급되어 헤드 램프가 점등된다. 하지만, 포토 커플러(P1, P2)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포토 커플러(P1, P2)가 동작되지 않음으로써 솔레노이드(170)는 헤드 램프를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헤드 램프는 로우 빔을 방사하게 된다.
타입 3 및 타입 4의 경우, 전류가 C 단자에서 B 단자로 흐르더라도 마찬가지로 헤드 램프가 로우 빔을 발생하게 된다.
타입 2 내지 타입 5에서 하이 빔용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류가 A 단자에서 C 단자로 흐른다. 도 4에서 전류가 A 단자에서 C 단자로 흐르는 경우, A 단자가 제1 노드(NA)→제5 노드(NN+)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N+ 단자에 접속되고, C 단자가 제3 노드(NC)→제4 노드(NP+)→제2 다이오드(D2)→제6 노드(NN-)를 통해 출력측 커넥터(120)의 N- 단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2 출력측 커넥터(N+, N-)를 통해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공급되어 헤드 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제1 노드(NA)→제2 저항(R2)→제2 포토 커플러(P2)→제3 노드(NC)를 통해 전류가 흘러 제2 포토 커플러(P2)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40)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릴레이(160)를 하이 빔 작동시키고, 릴레이(160)에 의해 솔레노이드(170)는 헤드 램프를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 서, 헤드 램프는 하이 빔을 방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집적회로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한 회로 구성만으로도 입력측 커넥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헤드 램프의 온/오프, 하이 빔, 로우 빔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컨트롤러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신호 공급부(130), 구동 제어부(140), 정류부(150), 및 릴레이(160) 등의 회로를 안정기 내부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의 구동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 릴레이(3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됨과 아울러, 입력측 커넥터(110)를 통해 입력되는 하이 빔용 신호 및 로우 빔용 신호를 헤드 램프의 구동전압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의 구성 및 배선이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측 커넥터(210), 출력측 커넥터(220), 신호 공급부(230), 구동 제어부(240), 정류부(250), 릴레이(260), 및 램프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단, 도 4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출력측 커넥터(120)가 2쌍의 +, - 단자로 형성되었던 것에 반해, 도 5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출력측 커넥터(220)가 1쌍의 +, - 단자로 형성되고, 신호 공급부(230)에 출력측 커넥터(220)로 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구성(231)이 추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측 커넥터(310), 출력측 커넥터(320), 신호 공급부(330), 구동 제어부(340), 정류부(350), 릴레이(360), 및 램프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단, 도 5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릴레이(260)가 코일을 이용한 기계식 릴레이였던 것에 반해, 도 6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릴레이(360)가 4개의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브릿지 형태의 전자식 릴레이이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340)에는 전자식 릴레이(36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341)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전자식 릴레이(360)는 대각선 위치에 있는 2개의 트랜지스터들이 한 쌍으로 도통됨으로써 도통되는 위치에 따라 헤드 램프의 하이 빔 혹은 로우 빔을 제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측 커넥터(410), 출력측 커넥터(420), 신호 공급부(430), 구동 제어부(440), 정류부(450), 릴레이(460), 및 램프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단, 도 4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릴레이(160)가 코일을 이용한 기계식 릴레이였던 것에 반해, 도 7의 제4 실시 예에서는 릴레이(460)가 도 6의 제3 실시 예와 동일한 전자식 릴레이로 형성되며, 구동 제어부(440)에도 제3 실시 예와 동일한 릴레이 제어 구성(441)이 추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측 커넥터(510), 출력측 커넥터(520), 신호 공급부(530), 구동 제어부(540), 정류부(550), 릴레이(560), 및 램프 제어부(570)를 포함한다. 단, 도 4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헤드 램프의 위치를 하이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 혹은 로우 빔용 반사갓에 대응하는 위치로 변경하는 하이 빔-로우 빔 일체형 램프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구성의 램프 제어부(170)를 통해 헤드 램프의 하이 빔과 로우 빔을 제어했던 것에 반해, 도 8의 제5 실시 예에서는 하이 빔용 램프, 로우 빔용 램프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램프 제어부(570)가 각각의 램프 점등을 제어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측 커넥터(610), 출력측 커넥터(620), 신호 공급부(630), 구동 제어부(640), 정류부(650), 릴레이(660), 및 램프 제어부(670)를 포함한다. 단, 도 5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하이 빔-로우 빔 일체형 램프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구성의 램프 제어부(270)를 통해 헤드 램프의 하이 빔과 로우 빔을 제어했던 것에 반해, 도 9의 제6 실시 예에서는 하이 빔용 램프, 로우 빔용 램프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램프 제어부(670)가 각각의 램프 점등을 제어하게 된다.
도 1은 입력측 커넥터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5 종류의 입력측 커넥터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헤드 램프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헤드 램프 20 : 안정기
30 : 배터리 제어 릴레이 40 : 배터리
50, 110, 210, 310, 410, 510, 610 : 입력측 커넥터
60 : 솔레노이드 70 : 솔레노이드 제어부
80 : 신호 확인부 81 : 신호 확인 IC
90, 150, 250, 350, 450, 550, 650 : 전파정류기
120, 220, 320, 420, 520, 620 : 출력측 커넥터
130, 230, 330, 430, 530, 630 : 신호 공급부
140, 240, 340, 440, 540, 640 : 구동 제어부
160, 260, 360, 460, 560, 660 : 릴레이
161 : 릴레이 제어부 162 : 릴레이 단자부
170, 270, 370, 470, 570, 670 : 램프 제어부

Claims (8)

  1. 입력측 커넥터를 통해 인가되는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를 안정기의 구동전압으로 이용하기 위한 신호 공급부;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2구의 단자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측 커넥터;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에 제어되는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구동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의 동작에 대응하여 헤드 램프가 하이 빔 혹은 로우 빔을 방사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커넥터는 전원전압 신호, 접지전압 신호, 혹은 오픈 신호가 인가되는 3구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는 상기 단자들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들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상기 입력측 커넥터의 제1 구에 인가된 상기 접지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출력측 커넥터 중 제1 출력측 커넥터에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하이 빔용 신호 혹은 로우 빔용 신호가 상기 입력측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에 인가된 상기 전원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출력측 커넥터 중 제2 출력측 커넥터에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기계식 릴레이 또는 전자식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하이 빔용 램프 혹은 로우 빔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 상기 신호 공급부, 상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릴레이는 상기 안정기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램프는 상기 안정기의 구동전압에 의해 점등 혹은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KR1020070135743A 2007-12-21 2007-12-21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KR10091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743A KR100913537B1 (ko) 2007-12-21 2007-12-21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743A KR100913537B1 (ko) 2007-12-21 2007-12-21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918A KR20090067918A (ko) 2009-06-25
KR100913537B1 true KR100913537B1 (ko) 2009-08-21

Family

ID=4099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743A KR100913537B1 (ko) 2007-12-21 2007-12-21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687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 램프 회로의 개조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회로
KR20030028792A (ko) * 2003-02-27 2003-04-10 (주)씨피아이코리아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KR20050013385A (ko) * 2003-07-28 2005-02-04 (주)씨피아이코리아 브릿지회로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687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 램프 회로의 개조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회로
KR20030028792A (ko) * 2003-02-27 2003-04-10 (주)씨피아이코리아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KR20050013385A (ko) * 2003-07-28 2005-02-04 (주)씨피아이코리아 브릿지회로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918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6184B (zh) 车辆用灯具的点灯控制装置
US20080022479A1 (en) Power tool combination and synchronization control device
KR20040034412A (ko) 점등 회로
JP2006103404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回路
US20100112831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ower distribution unit
KR10091353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제어장치
JP2010111356A (ja) 車両用灯具の発光装置
CN107925375B (zh) 空气调节机
US20060158039A1 (en) Circuit for preventing simultaneous on operations
EP3549403B1 (en) Lighting system
WO2008096249A2 (en) Led driver
JP6886845B2 (ja) 信号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US20150222265A1 (en) Relay module device
JP2005143002A (ja) 入力回路
JPS6249085A (ja) 電流信号操作電磁弁
KR100914037B1 (ko) 단심 검지 기능을 갖춘 프리 볼트용 진로 표시 led 신호기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진로 표시용 led 신호기
JP2019204665A (ja) センサユニット、照明器具、電子機器
KR100319050B1 (ko) 광파이버로제어신호가전달되는공제어장치및그회로
CN212750731U (zh) 一种继电器安全控制装置
JP4260704B2 (ja) 信号制御装置及び検出センサ並びに多光軸光電センサ
KR100504091B1 (ko) 브릿지회로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KR100459208B1 (ko) 디지털 출력보드의 릴레이 동작상태 귀환회로
JP3831067B2 (ja) 2位置ダブルソレノイド型電磁弁制御装置、2位置ダブルソレノイド型電磁弁
JP6862783B2 (ja) 除菌機能付き給湯装置
KR100347095B1 (ko) 가스연소기기의점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