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385B1 - 오존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오존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385B1
KR100913385B1 KR1020070094303A KR20070094303A KR100913385B1 KR 100913385 B1 KR100913385 B1 KR 100913385B1 KR 1020070094303 A KR1020070094303 A KR 1020070094303A KR 20070094303 A KR20070094303 A KR 20070094303A KR 100913385 B1 KR100913385 B1 KR 10091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power supply
ozone generator
ground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051A (ko
Inventor
권용석
심용섭
Original Assignee
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텍(주) filed Critical 센텍(주)
Priority to KR102007009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3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기준으로 양측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오존발생부; 상기 오존발생부 양측 하부 기판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오존발생부를 거쳐 상부 및 측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양측 하부 기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오존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오존발생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아 고압 방전하는 방전관; 상기 방전관의 둘레에 설치되어 접지를 유도하는 접지망; 및 일단은 상기 접지망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형상이고,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지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칭, 오존, 오존발생, 접지, 송풍기, 터미널, 타이머, 살균, 탈취

Description

오존발생장치{Ozone generator}
본 발명은 오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용량의 전원공급부에 대비하여 최적 설계에 의한 최대 성능을 구현하며, 무게 균형도가 높고, 디자인면에서 미려한 오존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O3)은 산소원자 3개가 결합된 산소의 동소체로서, 강한 산화력, 살균력 및 탈취력을 가져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고자 산소 분자에 인위적으로 고압의 전기에너지를 가해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발생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산업용, 상업용, 가정용 등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지만, 특히 가정용인 경우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제품 등에 내장되는 등 오존발생장치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오존발생장치의 소형화 및 높은 효율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한 오존발생장치는 고압의 방전에 필요한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 급부 및 고압 방전관에 의해 오존가스를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일 방향으로만 구비된다. 일예로, 오존발생부가 일 방향으로 단수개만이 구비되는 오존발생장치는 오존발생부가 복수개 구비되더라도 그 크기가 대폭 증가하지 않는 소정 용량의 전원공급부에 대비하여 오존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 오존발생부가 일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오존발생장치는 오존발생부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고, 가전제품에 내장될 정도의 소형화가 어려워지며, 팬과 같은 송풍기는 전원공급부에 설치되어 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등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거나 소형화 및 높은 효율성이라는 두 가지 면에서 최적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와 오존발생부의 무게비는 최소 20:1로 전체 오존발생장치의 무게중심이 전원공급부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이유로 오존발생장치를 설치하거나 운반하는 등 취급시 무거운 전원공급부가 아래로 위치하게 되고, 오존발생장치가 불안정하게 위치되어 사용자가 다루기 힘드며, 외관상 전원공급부와 오존발생부의 불균형으로 인해 부착 작업시 균형이 맞지 않아 작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부는 보통 고압 방전관을 감싸는 접지망 및 상기 접지망과 연결되어 외부와 접지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망과 연결되는 접지선의 단부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거나 용접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작업 공정,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이 그 만큼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연결 부위가 단락될 수 있어 접지 성능이 감소되거나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소형 오존발생장치는 일반적으로 단순한 동작의 on/off만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살균 및 정화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상기 오존발생장치를 투입 및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고자 상기 공간에 들어서게 되면, 기존에 발생된 과잉 오존 및 장치에서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중독되거나 인체의 호흡기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는 등 인체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정용 등 소형화가 요구되는 오존발생장치에서 소정 용량의 전원공급부에 대비하여 최적 설계에 의한 최대 성능을 구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장치의 취급시 전체적인 무게 균형도를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체 오존발생장치의 소형화를 극대화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접지부재의 조립 작업시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키고, 확실한 접지에 의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존발생시간을 조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기준으로 양측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오존발생부; 상기 오존발생부 양측 하부 기판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오존발생부를 거쳐 상부 및 측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양측 하부 기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오존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오존발생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아 고압 방전하는 방전관; 상기 방전관의 둘레에 설치되어 접지를 유도하는 접지망; 및 일단은 상기 접지망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형상이고,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지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상기 접지부재의 일단의 터미널 형상은 걸고리 형상이며,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나사에 의해 조립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상기 접지부재의 일단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지망의 공극에 결합 유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존발생부가 전원공급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소정 용량의 전원공급부에 대비하여 소형화된 오존발생장치의 최대 성능 구현을 위한 전체 구조의 최적화를 이루고, 일 방향으로 오존발생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오존발생장치에 비해 오존발생부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살균 및 탈취 등의 오존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존발생장치의 무게중심인 전원공급부가 장치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취급시 전체적인 안정감을 높이고, 길다한 일자형 외관에 의해 벽 등의 공간 배치에 있어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송풍기가 오존발생부의 하부면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오존발생부의 내부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전체 오존발생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미널 형상의 일단을 가지는 접지부재에 의해 접지망과 접지부재를 간편하게 부착하여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키고, 접지부재의 교환 또는 보수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탄성력에 의한 확실한 접지로 고장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타이머에 의해 작동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본 장치를 투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존은 제거되고 공기는 살균 및 정화되는 등 오존발생시간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내부 구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100)는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 상기 전원공급부(110)를 기준으로 도2의 도면상 좌측(150a) 및 우측(150b)이 대칭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1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오존가스를 발생하는 오존발생부(150) 및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오존발생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내부에 1차측 및 2차측 코일이 내장된 변압기(115), 도3의 도면상 상기 변압기(115)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어부에 대응되는 회로기판,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존발생부(150)의 동작 시간을 설정 또는 제어하는 타이머(111),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조작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전원공급부(110)의 상부면에 각각 설치되어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램프(112), 오존발생의 세기를 조절하고 설정하는 세기조절스위치(113) 및 전체 장치의 on/off 동작을 설정하는 작동스위치(1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변압기(115)는 180V 내지 220V의 교류 전원을 2200V 내지 3000V의 고압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타이머(111)는 전체 장치의 작동 시간을 예를 들면 15분, 30분, 45분, 1시간 등으로 나누어 특정 시간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와 달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연속적인 시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장치를 소정 공간에 작동시킨 후 셋팅한 시간 및 대기 시간을 보내고 오존을 발생시킨 공간과 통하게 되더라도 잔류하는 오존은 거의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발생된 오존은 산소로 변환되어 공기 정화, 탈취 및 산화작용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존발생부(150)는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석영 재질로 이루어져 고압 방전이 이루어지는 방전관(152), 상기 방전관(15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고전압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코로나 방전 방식으로 방전이 이루어지는 방전 전극(153), TiO2, 백금, 팔라듐이 코팅되어 상기 방전관(152)을 감싸 접지를 유도하는 접지망(151) 및 상기 방전관(152)을 지지하는 절연체로 형성된 지지구(1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전 방식은 플라즈마 방전 방식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부(150)의 하부면 내측에는 외부 공기를 오존발생부(15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과 같은 송풍기(158)가 구비되어 도3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처럼 외부 공기가 상기 오존발생부(150)의 하부면으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면 및 측면부의 다수 배출구(157)를 통해 배출되어 오존 및 외부 공기와의 순환이 고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송풍기(158)는 전원공급부(110) 또는 오존발생부(150)의 별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존발생부(15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극대화시킨다.
또한, 상기 오존발생부(150)는 상기와 같은 송풍기(158)의 배치를 통해 소형화시키고, 최소 크기 및 용량의 전원공급부(110)에 대비하여 양 방향으로 오존발생부(150)가 형성됨으로써, 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오존발생장치에 비해 공기와 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성능은 극대화시키며, 전체 구조의 최적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무게중심이 있는 전원공급부(110)를 장치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취급시 무게 균형도를 높이고, 길다란 일자형 외관을 갖춤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킨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기판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존발생부(150)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기판(160)은 상기 오존발생부(150)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고무 또는 지지다리와 같은 이격부재(162)에 의해 오존발생장치(100)가 부착되는 부착부(A)과 이격되어 충분한 양의 공기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판(160) 중 상기 송풍기(158)가 안착될 부위는 원형으로 흡입구(161)가 절개되어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존발생부(150)는 상기 접지망(151)과 전원공급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판형 접지부재(155)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부재(155)의 일단(155a)은 상기 접지망(151)에 탈부착이 가장 용이한 걸고리형과 같은 터미널 형상을 가져 손쉽게 상기 접지망(151)의 공극에 끼워져 조립 및 결합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타단(155b)은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접지되도록 나사(156)에 의해 조립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부재(155)의 교환, 보수, 생산시와 같은 조립 결합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155)의 양단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접지부재(155)가 조립 결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고, 이에 따라 확실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내부 구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장치의 기판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존발생장치 110 : 전원공급부
111 : 타이머 112 : 작동램프
113 : 세기조절스위치 114 : 작동스위치
115 : 변압기 150 : 오존발생부
151 : 접지망 152 : 방전관
153 : 방전전극 154 : 지지구
155 : 접지부재 156 : 나사
157 : 배출구 158 : 송풍기
160 : 기판 162 : 이격부재
A : 부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기준으로 양측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오존발생부;
    상기 오존발생부 양측 하부 기판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오존발생부를 거쳐 상부 및 측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양측 하부 기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오존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오존발생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아 고압 방전하는 방전관;
    상기 방전관의 둘레에 설치되어 접지를 유도하는 접지망; 및
    일단은 상기 접지망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형상이고,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지되도록 결합되는 접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의 일단의 터미널 형상은 걸고리 형상이며,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나사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의 일단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지망의 공극에 결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
  7. 삭제
KR1020070094303A 2007-09-17 2007-09-17 오존발생장치 KR10091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03A KR100913385B1 (ko) 2007-09-17 2007-09-17 오존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03A KR100913385B1 (ko) 2007-09-17 2007-09-17 오존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51A KR20090029051A (ko) 2009-03-20
KR100913385B1 true KR100913385B1 (ko) 2009-08-20

Family

ID=4069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303A KR100913385B1 (ko) 2007-09-17 2007-09-17 오존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44B1 (ko) * 2020-10-14 2021-06-23 김유석 플라즈마와 자외선 방식을 이용한 2웨이 방식 공기 살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25Y1 (ko) * 1999-09-01 2000-02-15 김창우 지주대
KR20040026077A (ko) * 2002-09-17 200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25Y1 (ko) * 1999-09-01 2000-02-15 김창우 지주대
KR20040026077A (ko) * 2002-09-17 200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4-0026077 (2004.03.27.공개)*
국내등록특허공보 10-0281770 (2001.02.15. 공고)*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70425 (2001.03.21.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51A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8435B (en) 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ic appliance
CN101920031B (zh) 等离子体空气消毒净化器及其空气消毒净化方法
EP1430910B1 (en) Air cleaning device
CN100368024C (zh) 空气净化器
KR101207365B1 (ko) 엘이디 램프 기능을 겸하는 공기 청정기
WO2015138802A1 (en) Sanitizer
WO2020001068A1 (zh) 空气净化器
KR100913385B1 (ko) 오존발생장치
JP4253666B2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陰イオン発生器
KR100819376B1 (ko) 공기정화 음이온발생 형광램프
CN216404079U (zh) 一种利用等离子体活化水实现消毒杀菌一体化的洗手装置
CN215027527U (zh) 一种空气净化滤芯
CN207507658U (zh) 静电式油烟净化器
KR20120079757A (ko) 산업용 순간방전 플라즈마 공기정화장치
KR200366588Y1 (ko) 음이온 발생기
CN214381539U (zh) 一种等离子发生器及具有其的空气消毒器
CN219433427U (zh) 空气净化消毒器
KR20140005038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수 정화 장치
CN219031447U (zh) 一种自动扶梯扶手的快速灭菌消毒装置
CN215048670U (zh) 一种小型化低压臭氧发生装置
CN215765635U (zh) 一种空气净化消毒装置
CN108539593B (zh) 离子发生器及空气净化装置
KR200305433Y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 제어 장치
CN112923499A (zh) 等离子体空气消毒机
CN207511827U (zh) 一种紧凑型臭氧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