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252B1 -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252B1
KR100913252B1 KR1020070103768A KR20070103768A KR100913252B1 KR 100913252 B1 KR100913252 B1 KR 100913252B1 KR 1020070103768 A KR1020070103768 A KR 1020070103768A KR 20070103768 A KR20070103768 A KR 20070103768A KR 100913252 B1 KR100913252 B1 KR 100913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ulticast
information
stability
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816A (ko
Inventor
유명식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25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노드의 물리적 위치 정보가 소스 노드로 전송되어 안정성 측정 정보를 항상 유지하는 노드의 안정성 판단 단계(S10); 소스 노드가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하면, 이를 수신한 이동 노드들은 자신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를 소스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내의 모든 이동 노드들에 대한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가 소스 노드에 수집되는 정보 수집 단계(S20); 상기 수집된 각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가장 안정적인 노드를 선택하여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과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 조사 후 안정성 임계수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로 선택되는 멀티캐스트 트리 노드 선별 단계(S30); 상기 소스 노드는 논리적 노드들에게 선택된 모든 논리적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선택된 논리적 노드는 인접한 논리적 노드에게 정보를 교환하고, 논리 Hello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 및 전송시 지나간 경로를 기록하여, 설정된 홉 수만큼 전송하고, 논리 Hello 메시지를 수신한 인접한 논리적 노드는 해당 논리적 노드와 연결된 물리 경로 정보를 획득하여 가상 링크가 연결되는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단계(S40); 상기 멀티캐스트 트리와 가상 링크를 유지하는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단계(S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들의 위치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 노드들에 대한 안정성을 수집하고 분석하므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논리적인 노드들 간의 연결을 통해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트리 유지, 안정성, 이동 노드

Description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A Stable Multicast Tree Creation Method for Ad Hoc Network by Considering Stability of Mobile Node}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정적인 이동 노드들로 구성된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애드 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인프라가 없는 장소에서 이동 노드들이 자율적으로 임시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애드 혹 네트워크는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무선 통신을 위해 기반 시설을 구축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이동 사용자들간 협업이 필요한 응용이 증가하면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통신은 점차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통신을 위한 대부분의 멀티캐스트는 한정된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이며,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은 소스 노드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라 불리는 모든 목적지 노드들에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트리를 필요로 한다.
기존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신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방식에는 트리 기반 방식과 메시 기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트리 기반 방식은 멀티캐스트 트리를 따라 전송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므로 자원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 노드의 잦은 이동성으로 인해 두 이동 노드간 경로가 끊어졌을 경우 트리를 재구성하기 때문에 전체 토폴로지 변화에 따른 트리 재구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삭제
대표적인 트리 기반 방식의 프로토콜로는 MAODV(Multicast Operation of the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와 AMRIS(Ad hoc Multicast Routing protocol utilizing Increasing id-numberS) 등이 있다.
상기 메시 기반 방식은 멀티캐스트 패킷 전송이 메시 구조를 따라 전송되는 방식으로 메시 구조에서는 다중 경로를 통해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동 노드의 이동성으로 경로가 끊어졌을 경우에도 다른 경로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되어 트리 기반 방식보다 연결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메시 구조에서의 빈번한 토폴로지 변화와 멀티캐스트 세션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의 오버헤드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삭제
대표적인 메시 기반 방식의 프로토콜로는 ODMRP(On-Demand Multicast Routing Protocol)와 FGMP(Forwarding Group Multicast Protocol)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애드 혹 네트워크는 노드의 이동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토폴로지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동적인 토폴로지에서 효율적으로 트리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룹 멤버만 멀티캐스트 데이터 포워딩에 참여하도록 하는 비상태 멀티캐스트 방식인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기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방식은 멀티캐스트 패킷이 유니캐스트 패킷에 캡슐화되어 그룹 멤버들 간에만 전달되며 각 패킷에 목적지 주소들의 목록이 포함되는 것으로, 기존의 네트워크 계층의 멀티캐스트와는 달리 응용 계층에서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이다.
삭제
따라서, 기존의 네트워크 계층의 멀티캐스트가 그룹 멤버들뿐만 아니라 다른 노드들로 구성된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반면,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은 오직 그룹 멤버들로만 구성되는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트리가 구성되며, 이러한 오버레이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변화를 하부 유니캐스트 프로토콜에서 다루도록 하고 있지만 멀티캐스트 그룹의 수가 많은 경우 패킷에 저장해야 하는 정보가 많아져서 효율성의 문제를 갖는다.
삭제
대표적인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방식의 프로토콜로는 AMRoute(Ad-hoc Multicast Routing Protocol)와 NICE-MAN(Efficient End System Multicast for Mobile Ad hoc Networks) 등이 있다.
AMRoute는 트리 구조와 메시 구조를 둘 다 이용한 방식으로, 먼저 코어가 그룹 요청 메시지를 플러딩하여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 사이에 메시를 형성하고, 코어는 트리 생성 메시지를 메시를 통해서 전송함으로써 도 1과 같은 가상의 트리를 형성한다.
삭제
이 방식의 장점은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화했을 경우 메시 내에 그룹 멤버들 사이의 경로가 존재하는 한, 데이터는 트리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이지만, 상기 AMRoute는 언제나 정적인 가상 메시 상에서의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하여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삭제
상기 NICE-MAN은 도 2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의 형태로 임의의 지역 마다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대표 노드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대표 노드를 선출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일정 지역의 범위를 미리 정하고, 지역 내 모든 이동 노드 사이의 메시지 왕복 전달 시간을 비교하여 이동 노드의 거리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대표 노드가 선정한다.
삭제
이 방식의 장점은 계층적 오버레이 멀티캐스트를 형성하므로 클러스터 별로 토폴로지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기존의 오버레이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이동 노드들에 대한 오버헤드 메시지와 네트워크 자원의 감소를 보여주지만, 대표 노드의 선출이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고려하지 못한 임의의 지역을 대표하는 노드로 선출된 점에서 멀티캐스트 트리의 안정성을 충족하지는 못한 방식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 이동 노드의 안정성과 주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 노드들과의 연결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논리적 노드를 선정하기 위해 모든 이동 노드들의 위치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안정성 정보들을 수집하고 판단하고, 상기 안정성 정보 수집 방법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이동 노드를 논리적 노드로 선정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과 멀티캐스트 트리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 간의 연결성을 고려한 논리적 노드 선정 방식, 논리적 노드들 간의 연결에 가상 링크를 활용하는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식을 통해 멀티캐스트 트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 트리에 대한 유지에 방법에 있어 멀티캐스트 트리를 유지하는 전역적인 유지 방식과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가상 링크를 유지하는 지역적인 유지 방식을 통해 멀티캐스트 트리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므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의 자유로운 이동 노드들의 이동성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함에 있어,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들의 위치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 노드들에 대한 안정성을 수집하고 분석하므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논리적인 노드들 간의 연결을 통해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또한,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이후에도 안정성 정보가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바탕으로 적용되므로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리의 불안정성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낭비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과정에서의 안정성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리적 노드 선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구성도로서, 다수의 이동 노드가 물리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논리적 노드를 선정하고 이들을 가상의 링크로 연결한 멀티캐스트 트리와 물리 토폴로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삭제
상기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의 생성 방법은 노드의 안정성 판단 단계(S10), 정보 수집 단계(S20), 멀티캐스트 트리 노드 선별 단계(S30),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단계(S40),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단계(S50)로 구성된다.
도 4는 각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성을 수치화하는 노드의 안정성 판단 단계(S10)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주기적으로 노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S11 단계), 이동 노드의 시간에 따른 이동성(속도의 평균)을 계산하고(S12 단계), 이동 노드의 안정성 정보를 갱신한다(S13 단계).
도 4를 참조하면, 모든 이동 노드들은 위치 정보 시스템을 통해 주기적으로 자신이 이동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정 시간부터 현재 시간 T까지 속도의 평균을 구한다.
이때, 이동성 정보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며, 임의의 시간 t에서 이동 노드 N의 좌표는 (Xt, Yt)이고, 시간 (t-1)에서의 좌표는 (Xt-1, Yt-1)일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이동 노드 N에 대한 속도의 평균 Mv 가 계산된다.
삭제
Figure 112009029852144-pat00016
상기 Mv 는 0 이상의 값으로 만약 Mv 의 값이 0이면 이동성이 전혀 없는 노드를 뜻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모든 이동 노드의 Mv 는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스 노드에게 전송됨으로써, 애드 혹 네트워크의 모든 이동 노드들은 각자의 위치 정보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현재 물리적 위치 정보를 통해 안정성 측정 정보를 항상 유지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도 5는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동 노드들에 대한 정보 수집 단계(S2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수집 단계(S20)는 물리 토폴로지 내에 있는 모든 이동 노드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소스 노드가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하면, 이를 수신한 이동 노드들은 상기 S10단계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를 소스 노드에게 전송하고,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다시 브로드캐스트 한다.
삭제
이와 같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소스 노드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 노드들에 대한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상기 멀티캐스트 정보는 해당 이동 노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지 노드인지를 확인하는 정보이다.
삭제
도 6은 소스 노드가 수집한 모든 이동 노드들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을 위한 멀티캐스트 트리 노드 선별 단계(S30)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때, 수치화된 이동성 정보는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요소로 사용되는데, 즉 수치화된 이동성의 값이 낮은 이동 노드는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삭제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노드는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안정적인 노드를 선택하고(S31 단계), 선택된 노드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과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후(S32 단계), 이 안정성 값이 안정성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며(S33 단계), 안정성 임계치를 만족할 경우 선택된 노드는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로 선택되고(S34 단계), 안정성 임계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 정보를 바탕으로 그 다음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진 노드를 선택하도록 상기 S31 단계로 되돌아가는 최적화 과정을 수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7은 선택된 논리적 노드를 가상의 링크로 연결하여 멀티캐스트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S4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노드가 논리적 노드들에게 선택된 모든 논리적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선택된 논리적 노드는 인접한 논리적 노드에게 정보를 교환하고,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 논리 Hello 메시지를 생성한다.
삭제
생성된 논리 Hello 메시지는 기존의 Hello 메시지와 달리 1 홉 이상의 노드들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시 지나간 경로를 기록하며, 논리적 노드는 논리 Hello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이는 설정한 홉 수만큼 전송된다.
삭제
논리 Hello 메시지를 수신한 인접한 논리적 노드는 해당 논리적 노드와 연결된 물리 경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를 통해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을 위한 가상의 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논리 Hello 메시지를 수신한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은 멀티캐스트 참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해당 논리적 노드에게 전송한다.
삭제
상기 과정을 통해서 멀티캐스트를 위한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및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 관리가 이루어진다.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단계(S50)는 도 8의 순서도와 같이,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를 위한 전역 유지 단계(S51)와,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가상 링크 유지를 위한 지역 유지 단계(S52)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역 유지 단계(S51)는 소스 노드가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를 위해서 일정 시간마다 멀티캐스트 트리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로, 멀티캐스트 트리의 안정성에 대한 판단은 트리의 생성 과정과 동일한 단계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가장 안정적인 트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멀티캐스트 트리 재생성(S511 단계)과, 새로운 멀티캐스트 트리 적용(S512 단계) 후 종료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역 유지 단계(S52)는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가 가상의 링크를 유지하는 단계로, 주기적인 논리 Hello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며(S521 단계), 가상 링크의 손실 여부를 확인하고(S522 단계), 가상의 링크가 손실되었을 때는 다시 소스 노드에게 통보하여 전역 유지 단계(S50)를 수행하도록 하고, 손실이 없을 때는 가상 링크를 재탐색(S523 단계) 후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를 유지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방식의 AMRoute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기존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방식의 NICE-MAN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과정에서의 안정성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리적 노드 선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7)

  1. 삭제
  2.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에 있어서,
    수학식
    Figure 112009029852144-pat00017
    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이동성 정보를 계산하되, 임의의 시간 t에서 이동 노드 N의 좌표는 (Xt, Yt)이고, 시간 (t-1)에서의 좌표는 (Xt-1, Yt-1)일 때, 이동 노드 N에 대한 속도의 평균 Mv 가 계산되며, 상기 Mv 값이 0이면 이동성이 전혀 없는 안정적인 노드로, 상기 계산된 모든 이동 노드의 Mv 값은 소스 노드에 전송되어, 현재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통해 안정성 측정 정보를 항상 유지하는 노드의 안정성 판단 단계(S10);
    물리 토폴로지 내 모든 이동 노드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소스 노드가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하면, 이를 수신한 이동 노드들은 상기 S10단계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를 소스 노드에게 전송하고,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다시 브로드캐스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 노드들에 대한 이동성 정보와 멀티캐스트 정보가 소스 노드에 수집되는 정보 수집 단계(S20);
    상기 소스 노드로 수집된 각 노드의 이동성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안정적인 노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노드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과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 조사 후 안정된 값이 안정성 임계수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로 선택되는 멀티캐스트 트리 노드 선별 단계(S30);
    상기 소스 노드는 논리적 노드들에게 선택된 모든 논리적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선택된 논리적 노드는 인접한 논리적 노드에게 정보를 교환하고,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들에 대한 관리를 위해 1홉 이상의 노드를 통해 논리 Hello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 및 전송시 지나간 경로를 기록하여, 설정된 홉 수만큼 전송하고, 논리 Hello 메시지를 수신한 인접한 논리적 노드는 해당 논리적 노드와 연결된 물리 경로 정보를 획득하여 가상 링크가 연결되는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단계(S40);
    상기 멀티캐스트 트리와 가상 링크를 유지하는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의 멀티캐스트 트리 노드 선별은 안정성 임계수치를 만족할 경우 선택된 노드는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로 선택되며, 안정성 임계수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노드들의 안정성 정보를 바탕으로 그 다음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진 노드를 선택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50단계의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는 소스 노드가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유지를 위해서 일정 시간마다 멀티캐스트 트리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되, 상기 안정성은 트리의 생성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가장 안정적인 트리를 유지하는 전역 유지 단계(S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50단계의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가상 링크 유지는 멀티캐스트 트리를 구성하는 논리적 노드가 가상의 링크를 유지하도록, 주기적인 논리 Hello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며, 가상 링크의 손실시 소스 노드에게 통보하는 지역 유지 단계(S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KR1020070103768A 2007-10-15 2007-10-15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KR10091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68A KR100913252B1 (ko) 2007-10-15 2007-10-15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68A KR100913252B1 (ko) 2007-10-15 2007-10-15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816A KR20070110816A (ko) 2007-11-20
KR100913252B1 true KR100913252B1 (ko) 2009-08-24

Family

ID=3908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768A KR100913252B1 (ko) 2007-10-15 2007-10-15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38B1 (ko) * 2008-12-12 2011-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186A (ko) * 2002-09-24 2005-06-17 해리스 코포레이션 이동 애드 혹 통신망에서의 시간 전이 통신망 프로토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186A (ko) * 2002-09-24 2005-06-17 해리스 코포레이션 이동 애드 혹 통신망에서의 시간 전이 통신망 프로토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2권 TC편 제9호(모바일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 멀티캐스팅 라우팅),200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816A (ko)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 et al. DCAR: Distributed coding-aware routing in wireless networks
Dhumane et al. Routing issues in internet of things: a survey
US9356858B2 (en) Redirecting traffic via tunnels to discovered data aggregators
Biradar et al. Link stability based multicast routing scheme in MANET
JP5275511B2 (ja) 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決定をサポートする方法および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
Farooq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RPL objective functions for multi-gateway ad-hoc low-power and lossy networks
CN105557028A (zh) 基于有向非循环图成员关系的用于路径计算的控制集标识
CN110167100A (zh) 一种物联网中中继节点的选择方法
Mu An improved AODV routing for the zigbee heterogeneous networks in 5G environment
Ardakani et al. CBA: A cluster-based client/server data aggregation routing protocol
Sasidharan et al. Improving network lifetime and reliability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based on LOADng routing protocol
KR100913252B1 (ko)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노드의 안정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 방법
KR101107326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웃 노드 발견 및 보고 방법
Li et al. A reliability-oriented web service discovery scheme with cross-layer design in manet
Nath et al. Energy efficient reverse path routing protocol for asymmetric l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yagi et al. Implementation of Ant Colony Optimization with OLSR in Mobile Ad hoc Network
Fonseca Multipath Routing for Wireless Mesh Networks
López et al. Analysing the overhead in Mobile ad-hoc network with a hierarchical Routing structure
Rahman et al. A new approach of extendable multicast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 hoc networks
Nwelih et al.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obile ad-hoc network (MANET) protocols based on selected criteria
Xue et al. Optimization on OLSR protocol for lower routing overhead
Vinothkumar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based on route stability in MANETs Using 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
Al-Mashaqbeh et al. Clear: A cross-layer enhanced and adaptive routing framework for wireless mesh networks
Clausen et al. Path accumulation extensions for the LOADng routing protocol in sensor networks
Calomme et al. An overlay maintenance protocol for overlay routing on top of ad ho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