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535B1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535B1
KR100912535B1 KR1020070087864A KR20070087864A KR100912535B1 KR 100912535 B1 KR100912535 B1 KR 100912535B1 KR 1020070087864 A KR1020070087864 A KR 1020070087864A KR 20070087864 A KR20070087864 A KR 20070087864A KR 100912535 B1 KR100912535 B1 KR 10091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bile terminal
access point
tunnel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0280A (en
Inventor
류호용
홍성백
이경호
전경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의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이동 단말 및 서버를 구비하는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가지고 있는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검색하여 최적의 접속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한 후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서버 사이에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기 터널 및 통신을 위한 활성 터널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활성 터널을 통해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a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multiple heterogeneous interfaces, and a method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system. Search for the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of the terminal to determine the optimal access point, and after performing the second layer agreement to the determined optimal access point to configure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It creates a standby tunnel and an active tunnel for communication at the interface of the optimal connection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update through the generated active tunnel.

핸드오버,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 서버, 끊김 없는 이동성, L2 협약, 활성 터널, 대기 터널. Handover, multiple air interfaces, mobile terminals, servers, seamless mobility, L2 agreement, active tunnel, standby tunnel.

Description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성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기종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Pv6 단말의 끊김 없는(Seamless)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mobility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of an IPv6 terminal using a heterogeneous air interface.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이하, IPv6라 칭함) 이동 단말이 이전 망과 다른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이전의 망과 연결을 끊고 새로운 망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등은 다시 새로운 망과 연결되기 전까지의 핸드오프 지연으로 인하여 끊김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이동 IPv6(MIPv6)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동 노드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게 되면 2계층(L2) 핸드오버가 수행된 후 3계층(L3) 핸드오버가 수행되므로 서비스가 중단되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Internet Protocol Version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v6)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to a new network different from the old network and hands over, the mobile terminal disconnects from the old network and connects with the new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However, services that must be provided in real time are interrupted due to a handoff delay before being connected to a new network. Similarly, in the conventional mobile IPv6 (MIPv6), when the mobile node searches for a new access point, the second layer (L2) handover is performed and then the third layer (L3) handover is performed, thus providing a seamless service. can not do.

따라서 상기 MIPv6에서의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 IFTF에서는 2계층 핸드오버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3계층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IPv6 고속 핸드 오버(FMIPv6 :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FMIPv6은 L2 계층에서의 핸드오버 예상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탐지와 새로운 임시 주소(NCoA : New Care of Address) 획득을 빨리하여 L3 계층에서의 전체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handover delay in MIPv6, IFTF proposes the 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FMIPv6) technology to perform the 3rd layer handover before the 2nd layer handover occurs. The FMIPv6 is a protocol for reducing the overall handover delay in the L3 layer by quickly detecting the movement and acquiring a new care of address (NCoA) based on the handover prediction information in the L2 layer.

그러나 상기 IPv6 고속 핸드오버를 위해서는 이동하는 동안의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을 버퍼링(Buffering)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홈 에이전트(Home Agent)와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이용하여야 한다. 때문에 상기 IFTF에서는 IPv6 고속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에 대한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고, 액세스 라우터가 IPv6만을 지원하고 있다. However, the IPv6 fast handover must have a function of buffering data traffic while moving and use signaling with a home agent. Therefore, the IFTF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terminal for IPv6 fast handover, and the access router supports only IPv6.

하지만, 아직까지는 IPv6 망과 IPv4망이 공존하고 있으므로 IPv4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이에 대해 IFTF에서는 액세스 라우터에서 IPv4를 지원하는 경우에 대한 드래프트(Draft)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IPv4 망을 이용하여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일 뿐 고속 핸드오버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종망간의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어렵다. However, IPv6 and IPv4 networks coexist so that support for IPv4 is required. In this regard, IFTF proposes a draft for supporting IPv4 in an access router, but it is only for supporting mobility using an IPv4 network, but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a method for fast handover, it is heterogeneous. It is difficult to perform seamless handover between manganese.

한편, 서로 다른 이종망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 IEEE 802.21에서는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 Media Independent Handover)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 이는 이벤트 서비스, 커맨드 서비스 및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MIH 상위 계층은 MIH를 통해 적절한 망 정보를 제공받아 최적화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support seamless handover between different heterogeneous networks, IEEE 802.21 has standardized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technology. It provides an event service, a command service, an information service, and the like, and the upper layer of the MIH is provided with appropriate network information through the MIH to perform an optimized handover.

그러나 상기 MIH 기술은 기존의 이동 단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에서 MIH를 위한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오버헤드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MIH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overhead exists because a function for MIH should be added in network equipment as well as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따라서 발명은 IPv6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이종의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이종망 간의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mobility support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by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heterogeneous multiple air interfaces in a system supporting mobility of IPv6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임시주소를 이용하여 IPv6 연결성을 유지하고, 무선 링크 상태에 따라 터널을 절체하여 단말이 이동중에 발생하는 L2 핸드오버 시간과 L3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핸드오버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IPv6 connectivity by using a plurality of temporary addresses, the overall handover time by reducing the L2 handover time and L3 handover delay time that occurs while the mobile station by switching the tunnel according to the radio link s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다중의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이동 단말 및 서버를 구비하는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가지고 있는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접속점들 중 최적의 접속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서버 사이에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기 터널 및 통신을 위한 활성 터널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활성 터널을 통해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in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a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multiple heterogeneous interfaces.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an optimal access point among the searched access points, performing a second layer agreement with the determined optimal access point, and 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for the determined interface of the optimal access point, creating an active tunnel for standby and communication at the interface of the optimal access poi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and generating the active Involv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a binding update through a tunnel It characterized.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다중의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이동 단말 및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검색하여 최적의 접속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구성을 수행하고,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기 터널 및 통신을 위한 활성 터널의 생성을 요청하여 응답에 따라 상기 대기 및 활성 터널을 생성하고, 바인딩 업데이트에 따른 바인딩 정보를 할당하는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기 및 활성 터널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바인딩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상기 바인딩 정보를 할당하고, 이동 단말로 상기 바인딩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a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multiple heterogeneous interfaces and supporting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each interface is provided. Search for an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determine an optimal access point, perform a second layer agreement and Internet protocol address configuration to the determined optimal access point, and generate an standby tunnel and an active tunnel for communication at the interface of the optimal access point; Request the mobile station to generate the standby and active tunnels according to the response, allocate the bi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update, and transmit a response to the standby and active tunnel gener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inding. Allocate the bi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pdate request, and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rver for transmitting the binding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Pv4/IPv6 접속 라우터를 통하여 IPv6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고, 두개 이상의 IPv6 연결성을 통해 현재의 연결성을 끊기 전에 새로운 연결이 설정되어 빠르게 스위치 오버가 됨으로써 L3 정보를 갱신할 필요 없이 전체적으로 핸드오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액세스 라우터에서 기능 변경 또는 추가 요구 없이 빠른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IPv6 mobility through an IPv4 / IPv6 access router and update L3 information by quickly switching over by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before disconnecting current connectivity through two or more IPv6 connectivity. The overall handover time can be reduced without the need, and the access router can support fast handover without changing or adding functionali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은 IPv6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IPv6 클라이언트(xGMIP Mobility IPv6 Client)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10)과, IPv6 서버(xGMIP Mobility IPv6 Server)(30)를 기반으로 이들을 IPv4/IPv6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액세스 라우터(ACR)(20a) 또는 액세스 포인트(AP)(2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라우터(20a)는 기지국(RAS)(21)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10)의 이동 단말과 접속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20b)와 기지국(21)은 이하, 이동 단말과 접속되는 접속점(POA : Point Of Attachement)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10 of an IPv6 client (xGMIP Mobility IPv6 Client) client and an IPv6 server (xGMIP Mobility IPv6) to support mobility of an IPv6 terminal. Server) 30 is composed of an access router (ACR) 20a or an access point (AP) 20b that connects them via an IPv4 / IPv6 network. The access router 20a connects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client 10 through a base station (RAS) 21. The access point 20b and the base station 21 will hereinafter be described collectively as a point of attachment (POA)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10)은 단말의 이동에 따라서 접속점(POA)을 결정하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30)에게 터널을 요구하고, 자신의 IPv6 홈 어드레스 정보를 바인딩 정보로 전달하여 자신과 상기 서버(30) 사이의 터널(IPv6-over-IPv4 또는 IPv6-over-IPv6)을 설정한다.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client determines a connection point (PO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requests a tunnel from the server 30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lient, and transmits its IPv6 home address information as binding information. A tunnel (IPv6-over-IPv4 or IPv6-over-IPv6) between itself and the server 30 is established.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10)은 WiFi, Wibro, 3GPP 등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갖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이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 WiFi 인터페이스와 802.16 WiBro 인터페이스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이종 망에 대해서 협약(Association)을 갖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nd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client may have two or more different interfaces, such as WiFi, Wibro, 3GP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s 802.11 WiFi interface and 802.16 WiBro as shown in FIG. Interface Having two interfaces and having associations for the two heterogeneous networks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이와 같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10)의 기능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메시지(Mobility Message)를 서버(30)와 송수신하는 기능(xGMIP Mobility Messaging Function)(110),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통하여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현재 상태를 수집하는 기능(Heterogeneous Interface Scanning Function)(130), 수집된 각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대기 인터페이스를 결정 및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IP 정보를 구성하는 기능(IP Configuration Function)(120)을 포함한다. Such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client i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bile message (Mobility Message) with the server 30 as shown in Figure 3 (xGMIP Mobility Messaging Function) 110, air interface Heterogeneous Interface Scanning Function (130), which collects the current state of each interface through scanning on the network, determines the active / standby interface based on the collected state information of each interface, and the IP for each interface. IP configuration function 120 includes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핸드오버 시간은 L2 협약의 변경에 의해서 나타는 L2 핸드오버 시간과 L3 라우터의 변경에 의해서 나타는 L3 핸드오버 시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Meanwhile, the handover time that may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the sum of the L2 handover time indicated by the change of the L2 agreement and the L3 handover time indicated by the change of the L3 router. .

그러면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mobile terminal in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이동성 지원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ity support process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of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10)은 부팅되면 우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초기화를 시작한 후, 201단계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 인터페이스에 대해 적절한 접속점(POA)을 검색한다. 이때, 검색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접속점 리스트에 설정한다. 이에 따라 202단계에서 이동 단말(10)은 검색된 접속점 리스트에서 가장 적절한 접속점을 선택한 후 L2 협약(Association)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client's mobile terminal 10 starts to boot, the mobile terminal 10 first starts initializing the interface, and then searches for an appropriate point of attachment (POA) for each interface it owns in step 201.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found connection point is set in the connection point list. Accordingly, in step 202, the mobile terminal 10 selects the most appropriate access point from the searched access point list and performs L2 association.

상기 L2 협약이 끝나면 상기 이동 단말(10)은 IP 구성 기능을 통해 IP 구성 결과를 리포팅(Reporting)한다. 즉, 203단계에서 이동 단말(10)은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기반으로 활성/대기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임시주소(CoA : Care-of-Address)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접속점을 통해 서버(30)로 IP 정보를 요구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된 접속점은 IPv4 또는 IPv6일 수 있기 때문에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IPv4에 대해서는 DHCPv4를 이용하고, IPv6에 대해서는 ‘IPv6 Stateful(DHCPv6)’ 또는 ‘Stateless IP’구성 방법을 이용한다. After the L2 agreement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10 reports an IP configuration result through an IP configuration function. That is, in step 203, the mobile terminal 10 determines the active / standby interface based on the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and determines the selected access point to determine a care-of-address (CoA) for each interface. Request the IP information to the server 30 through. In this case, since the selected access point may be IPv4 or IPv6, different methods are used for each. Here, DHCPv4 is used for IPv4, and IPv6 stateful (DHCPv6) or stateless IP configuration method is used for IPv6.

이후, 204단계에서 이동 단말(10)은 서버(30)로 활성 인터페이스와 대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활성/대기 터널 요청(Tunnel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205단계에서 서버(30)는 활성/대기 터널을 생성하고, 206단계에서 활성 터널과 대기 터널을 구분하기 위한 BID 및 선택(Preference) 정보를 포함한 터널 응답(Tunnel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reafter, in step 204, the mobile terminal 10 transmits an active / standby tunnel request message to the server 30 using the active interface and the standby interface. Accordingly, in step 205, the server 30 generates an active / standby tunnel, and in step 206, transmits a tunnel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BID and preferenc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 active tunnel and a standby tunnel.

그런 다음 207단계에서 이동 단말(10)은 상기 터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활성 터널/대기 터널을 생성하고, 208단계에서 활성 터널을 통하여 자신의 홈 주소(HoA)를 포함한 바인딩 업데이트(Bi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209단계에서 서버(30)는 수신된 상기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바인딩 정보를 상기 생성된 터널에 할당한 후, 210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10)로 바인딩 응답(Binding Acknowledg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10)은 바인딩 정보를 상기 생성된 터널에 할당한다. 상기 생성된 터널은 CoA의 형식에 따라서 IPv6-over-IPv4 또는 IPv6-over-IPv6일 수 있다. Then, in step 207, the mobile terminal 10 receives the tunnel response message to generate an active tunnel / standby tunnel, and in step 208, a binding update message including its home address (HoA) through the active tunnel. Send it. Then, in step 209, the server 30 allocates binding information to the generated tunnel by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binding update message, and then in step 210, the server 30 binds to the mobile terminal 10. Send a message.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 assigns binding information to the generated tunnel. The generated tunnel may be IPv6-over-IPv4 or IPv6-over-IPv6 in the form of CoA.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이동 단말(10)은 활성 터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에 최적의 접속점 변경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10)은 자신이 갖고 있는 대기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최적의 접속점을 감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감시 메시지를 접속점에 전달하고,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변경이 필요하면 기존의 L2 협약을 끊고 새로운 접속점과 L2 협약 과정을 수행한다. 새로운 협약이 끝나면, 이동 단말(10)은 상기 새로운 최적의 접속점에 대한 IP 구성 과정을 수행하고, 변경된 대기 인터페이스에 대해 새로운 터널 생성을 요구한다.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mobile terminal 10 can change the optimal access point while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active tunnel. The mobile terminal 10 periodically transmits a monitoring message to the access point in order to monitor the optimum access point for the standby interface it owns. Carry out the agreement process. After the new agreement, the mobile terminal 10 performs the IP configuration process for the new optimal access point, and requests the creation of a new tunnel for the changed standby interfa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후 이동성 지원 시스템은 이동 단말(10)에 대해 활성/대기 인터페이스의 절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이미 대기에 대해 IP 구성이 끝나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10)은 현재의 활성 터널을 통하여 변경 요청(Switch-Over Request) 메시지를 서버(3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이동 단말(10)은 대기 터널로 변경될 것을 알려주고, 상기 서버(30)로부터 응답이 오면 바인딩 정보를 현재 대기 터널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이동 단말(10)은 현재 대기 인터페이스를 활성 인터페이스로, 현재 활성 인터페이스를 대기 인터페이스로 상태를 변경한다.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mobility support system may need to switch the active / standby interface to the mobile terminal 10. At this time, since the IP configuration is already completed for the standby, the mobile terminal 10 transmits a switch-over request message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current active tunnel. Then, the mobile terminal 10 notifies that the change to the standby tunnel, and when a response from the server 30 connects the binding information to the current standby tunnel. The mobile terminal 10 then changes the state to the current standby interface as the active interface and the current active interface to the standby inte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개 이상의 이종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L2 협약이 끝나고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L3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새로운 L3 핸드오버 시간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핸드오버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or more heterogeneous interfaces, the handover time can be reduced as a result of having no new L3 handover time by using the previously set L3 information after the L2 agreement is completed.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인터페이스를 갖는 IPv6 단말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Pv6 terminal connection state having heterogeneous network interfaces in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v6 클라이언트의 이동 단말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supported by a mobile terminal of an IPv6 cl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이동성 지원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of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다중의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이동 단말 및 서버를 구비하는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of a mobile terminal in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a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multiple heterogeneous interfaces, 상기 이동 단말이 가지고 있는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검색하는 과정;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검색된 접속점들 중 최적의 접속점을 결정하는 과정; Determining an optimal connection point among the searched connection points;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하는 과정; Performing a second layer agreement to the determined optimal access point;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하는 과정; 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for the interface of the determined optimal access point;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서버 사이에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기 터널 및 통신을 위한 활성 터널을 생성하는 과정; 및 Creating an standby tunnel and an active tunnel for communication at an interface of the optimal access poi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And 상기 생성된 활성 터널을 통해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Seamless mobility support method using a wireless multi-interface in the mobility support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binding update through the generated active tunne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현재 설정된 인터페 이스 상태에 따라 상기 최적의 접속점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And periodically retrieving a state of each interface to change the optimal access point according to a currently set interface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접속점을 변경하는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nging of the optimal connection point comprises: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Periodically retrieving a state for each interface; 상기 검색 결과가 대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이면, 새로운 최적의 접속점을 검색하는 단계; Searching for a new optimal connection point if the search result requires a change of the optimal connection point for a standby interface; 상기 새로운 최적의 접속점에 대한 대기 인터페이스로 상기 대기 인터페이스를 절체하는 단계; Switching the standby interface to the standby interface for the new optimal access point; 상기 새로운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하는 단계; Performing a second layer agreement to the new optimal access point; 상기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끊는 단계;및 Breaking a second layer agreement to the optimal connection point; and 상기 새로운 최적의 접속점에 대한 대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And 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for a standby interface for the new optimal access poin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전의 접속점과의 제2계층 협약을 끊기 전에 상기 결정된 접속점과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cond layer agreement may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multi-interface in the mobility support system, wherein the second layer agreement with the determined access point is executed before the second layer agreement with the previous access point is terminated. How to support mo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하는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iguring of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comprises: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기반으로 활성/대기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n active / standby interface based on an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으로 IP 구성 요청을 하는 단계; 및 Making an IP configuration request to access poin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interfaces; And 상기 IP 구성 요청에 따른 응답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에 대한 임시주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And determining a temporary address for an access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according to a response according to the IP configuration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상태를 검색하여 상기 생성된 터널들을 절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And searching for the radio link state of each interface to switch the generated tunne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터널들을 절체하는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of the generated tunnels comprises: 상기 이동 단말에서 현재 활성 터널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Transmitting a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server through a currently active tunnel;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바인딩 정보를 대기 터널에 연결하는 단계; 및 Connecting binding information to a standby tunnel upo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server; And 상기 현재 활성 터널을 대기 터널로 상기 현재 대기 터널을 활성 터널로 절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And switching the current standby tunnel to an active tunnel, using the current active tunnel as a standby tunnel. 다중의 이기종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이동 단말 및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IPv6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An IPv6 mobility support system having a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multiple heterogeneous interfaces and supporting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속점을 검색하여 최적의 접속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구성을 수행하고,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기 터널 및 통신을 위한 활성 터널의 생성을 요청하여 응답에 따라 상기 대기 및 활성 터널을 생성하고, 바인딩 업데이트에 따른 바인딩 정보를 할당하는 이동 단말; 및 Search for the connection point connected to each interface to determine the optimal connection point, perform the second layer agreement and Internet protocol address configuration to the determined optimal connection point, and the active tunnel for standby tunnel and communication to the interface of the optimum access point A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standby and active tunnels according to a response by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and allocating bi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binding update; And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기 및 활성 터널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고, 바인딩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상기 바인딩 정보를 할당하고, 이동 단말로 상기 바인딩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And a server transmitting a response to the standby and active tunnel cre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llocating the bi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binding update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bi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Suppor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현재 설정된 인터페이스 상태에 따라 상기 최적의 접속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최적의 접속점으로의 제2계층 협약을 수행하고, 상기 최적의 접속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periodically searches for a state for each interface to change the optimal access point according to a currently set interface state, to perform a second layer agreement with the changed optimal access point,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access point. A mobility support system comprising 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for an interfac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현재 활성 터널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바인딩 정보를 대기 터널에 연결하여 상기 현재 활성 터널을 대기 터널로 상기 현재 대기 터널을 활성 터널로 절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지원 시스템.Whe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change request message to the server through the current active tunne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es a response to the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server, the mobile terminal connects binding information to a standby tunnel to connect the current active tunnel. Mobility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current standby tunnel into an active tunnel.
KR1020070087864A 2006-12-01 2007-08-30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09125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0358 2006-12-01
KR1020060120358 2006-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80A KR20080050280A (en) 2008-06-05
KR100912535B1 true KR100912535B1 (en) 2009-08-18

Family

ID=3980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64A KR100912535B1 (en) 2006-12-01 2007-08-30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5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91B1 (en) * 2007-12-17 2009-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using secure tunnel
KR101057815B1 (en) 2008-12-04 2011-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unneling-based mobility support device and method
KR101132295B1 (en) * 2010-11-12 2012-04-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for supporting flow mobility in proxy mipv6 and system therefor
CN112839391B (en) * 2019-11-25 2024-04-02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4G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8810A1 (en) 2000-10-18 2003-01-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in mobile IP
US6947401B2 (en) 2000-03-0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7401B2 (en) 2000-03-0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US20030018810A1 (en) 2000-10-18 2003-01-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in mobile IP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cro/micro-mobility fast handover in hierarchical mobile IPv6,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29 (2006) pp.611-617
RFC4140-Hierarchical Mobile IPv6 Mobility Management (HMIPv6) (http://www.faqs.org/ftp/rfc/pdf/rfc4140.txt.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80A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urmi et al. Mobility management for IP-based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Review, challenge and perspective
US7450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US7372835B2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KR100810207B1 (en) Handover method between core network entities in packet-switched based network and therefor apparatus
KR100655828B1 (en) Wide area network mobility for ip based networks
JP4875630B2 (en) Method for releasing link after handover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20060280146A1 (en) Handover support for multiple types of traffic
KR200800981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tical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67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ddress prefix information associated with handover in networks
KR1009125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US8155080B2 (en) Media independent handover-based network system having a vertical handover capability and vertical handover method thereof
US20070133463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handover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1287283B (en) Method for implementing network switch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2009014775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ssign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media independent handover
KR1009225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using multiple wireless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JPWO2009119833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method between different types of access networks, mobile terminal, server
US84627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layer 3 hand-over
KR1015981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CN101208910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handover
KR100614732B1 (en) Method mobility supporting of multimedia service, and its program storing recorded medium
Hussain et al. A novel intra-domain continues handover solution for inter-domain Pmipv6 based vehicular network
WO2008089671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reducing handover delay
KR100931383B1 (en) Handover Method and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n IP-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33999B1 (en) The mobility management method for seamless handover using user terminal with multi interfaces
Kumar et al. Optimal ranking-based discovery and selection of wmat using information service of ieee 802.21 in mobile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