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507B1 -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507B1
KR100912507B1 KR1020070094750A KR20070094750A KR100912507B1 KR 100912507 B1 KR100912507 B1 KR 100912507B1 KR 1020070094750 A KR1020070094750 A KR 1020070094750A KR 20070094750 A KR20070094750 A KR 20070094750A KR 100912507 B1 KR100912507 B1 KR 10091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ass
designated
separators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77A (ko
Inventor
엄보윤
나동길
정훈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5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우편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복수의 집중국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구분기의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기반으로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의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우편물 자동 구분 처리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함은 물론, 전체 우편물류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94750
다량 우편물, 구분기, 분류

Description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BULK MAIL GENERATING SYSTEM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X-001-02, 과제명: 실시간 우편물류 요소기술 개발].
다량 우편물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개별 고객에게 고지서 또는 광고물의 발송을 위해 제작하는 우편물이다.
일반적으로 다량 우편물은 집중국에서 접수를 받아서 이들 우편물들을 배달할 배달국의 관할 집중국 (도착 집중국) 별로 분류 작업을 한 후 도착 집중국들로 보내진다. 이때 우편물들을 접수하여 도착 집중국으로 발송하는 집중국들을 발송 집중국이라 칭한다. 다량 우편물 접수 시, 우편물들이 도착 집중국 별로 미리 분류하여 제출되는 경우에는 발송 집중국에서 도착 집중국별 구분 처리 없이 곧바로 발송할 수 있어 운용 비용의 절감을 초래하므로 다량 우편물 발송 업체에게 우편물 요금을 할인하여 주고 있다. 다량 우편물 발송 업체는 이러한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하여 수취인의 우편번호 크기 순으로 우편물을 정렬하여 인쇄한 후 우편 번호 여섯 숫자 중 도착 집중국을 식별할 수 있는 우편번호 앞 세 자리를 기준으로 제작된 우편물들을 분류하여 파속한 후 접수를 하고 있다.
한편, 도착 집중국에 도달한 우편물들은 우편물이 배달될 해당 배달국 별로 구분되어 보내져야 하므로 자동 구분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우편물을 해당 배달국별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편 번호의 앞 세자리가 그 기준이 되며, 이를 위해 구분 처리할 번호가 별도로 지정된 복수의 구분기를 이용한다. 그런데 다량 우편물들의 접수 형태가 도착지 집중국별로, 우편번호 크기 순으로만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도착 집중국에 도달한 우편물은 불필요하게 구분기에 적재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집중국의 1호기 구분기에서 구분되어지는 우편번호(들)와 2호기 구분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우편번호(들)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우편번호 별로 해당 구분기에 투여되어져야 하지만, 우편물들이 구분기별로 분류 되어있지 않고 단순히 우편번호 별로만 분류되어 접수되는 현 상황에서는 우편물들이 불필요하게 구분기를 탄다거나 혹은 수동으로 우편물들을 구분한 후 구분기에 올려 놓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근래, 통상 우편 물량의 70% 이상이 다량 우편물이며, 이로 인해 다량 우편물의 재분류는 업무 효율성의 저하는 물론, 처리 시간의 큰 증가를 유발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율적인 우편물 자동 구분 처리 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은,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의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으로서, 우편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복수의 집중국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구분기의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기반으로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의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은, 복수의 집중국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구분기의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저장하는 우편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의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파일 처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별도의 하드웨어나 장비 없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쉽게 파일을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로 우편물을 제작하여 접수함으로써 우편물 자동 구분 처리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함은 물론, 전체 우편물류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을 구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100)은 집중국 분류 기준 입력기(110), 우편 서비스 서버(120) 및 우편 제작업 체용 웹 시스템(130)를 포함한다.
집중국 분류 기준 입력기(110)는 집중국 담당자에 의해 입력되는 각 집중국의 구분기 별로 지정된 구분 처리 번호(이하,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라고 칭함)를 우편 서비스 서버(120)로 전달한다.
우편 서비스 서버(120)는 집중국 분류 기준 입력 시스템(110)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ataBase; DB)(122) 및 보안 유지를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포함한다.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은 파일 처리기(132)를 포함한다.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은 우편 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된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기반으로 파일 처리기(132)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파일 처리기(132)는 우편 제작 업체의 다량 우편물 제작을 위한 파일(이하,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이라 칭함)의 데이터의 정렬 순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는 보유하고 있는 우편물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우편물 제작 파일의 생성을 완료하고, 출력 프로그램을 통해 우편물들을 출력하는 작업을 통해 우편물을 제작하기 전에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파일 처리기(132)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참고로, 집중국 분류 기준 입력기(110)와 우편 서비스 서버(120) 및 우편 서비스 서버(120)와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은 유선 네트워크는 물론 무선 네트워크로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집중국 분류 기준 입력기(110)를 조작하는 집중국 담당자 및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을 통해 우편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고자 하는 우편 제작 업체 담당자는 별도로 지정된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서 우편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처리기(132)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을 입력받은 파일 처리기(132)는 우편 서비스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122)에 저장된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이로 인해 집중국 담당자에 의해 지정된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대로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의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변환해준다. 실제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는 우편물 물량 또는 집중국의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100)은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한편,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는 파일 처리기를 통해 변환된 파일을 이용하여우편물을 출력하고 이렇게 제작이 완료된 우편물들을 수동으로 구분하고 파속하는 작업을 거친 후에 집중국에 접수하는데, 이때 인쇄된 우편물들을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 순으로 파속하는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는 다음과 같이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중국 담당자는 집중국 별로 구분기의 일련 번호를 지정하고, 낮은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구분기의 지정 처리 번호 중 제일 높은 번호가 큰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구분기의 지정 처리 번호 중 제일 낮은 번호보다 크도록 설정한다.
예로서, 동서울 집중국에 세 대의 구분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1번 구분 기는 131, 132 및 142, 2번 구분기는 136 및 150, 그리고, 3번 구분기는 148 및 172를 각각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로 설정한다. 이 경우, 출력된 다량 우편물을 파속하는 인원은 지정 처리 번호, 즉 우편 번호 앞 세자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구분기가 변경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구분기 별로 파속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의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의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는 우편물 제작을 위한 준비단계로써 우편물 제작 파일을 생성한다(S102). 이렇게 생성된 우편물 제작 파일은 우편 제작업체용 웹 시스템(130)의 파일 처리기(132)를 이용하여 집중국 별 구분기에서 처리되도록 지정된 번호 순으로 재정렬된다(S104).
S104 단계를 통해 변환된 우편물 제작파일은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의 출력프로그램으로 출력이 되고(S106), S106 단계를 통해 출력된 우편물들과 함께 보내져야 할 속지들은 삽입 장치(Inserter)를 이용하여 봉투에 삽입된다(S108).
S108 단계가 완료되어 정렬된 우편물을 수동으로 구분기 별 지정 처리 번호에 따라 파속하여 팔레트(Pallet)에 적재하고(S110), 팔레트 별로 집중국에 접수한다(S112).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은 별도의 하드웨어나 장비 없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쉽게 파일을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로 우편물을 제작하여 접수함으로써 우편물 자동 구분 처리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함은 물론, 전체 우편물류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처리기(132)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의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7)

  1.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의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이, 우편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복수의 집중국에서 운용하는 복수의 우편물 구분기들에게 부여되어 있는 지정 처리 번호--상기 지정 처리 번호는 우편 번호를 포함하는 주소 정보에 대응함--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다량 우편물 제작 업체가 우편물 제작을 위해 사용하는 텍스트 형태의 우편물 제작 파일의 내용--상기 내용은 우편 번호를 포함함--을 검토하여, 상기 우편물 제작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이, 집중국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 집중국에서 운용하는 복수의 우편물 구분기들에게 지정된 지정 처리 번호를 입력하고 수정하는 관리를 수행하고, 입력 및 수정된 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집중국에서 운용하는 복수의 구분기에 대하여 각각의 고유 일련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구분기의 일련 번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정 처리 번호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 집중국에서 운영하는 복수의 구분기 중 하나의 구분기에 부여된 제1 일련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처리 번호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지정 처리 번호가, 상기 제1 일련 번호와는 다른 일련 번호를 가지는 다른 구분기들의 일련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지정 처리 번호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지정 처리 번호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방법.
  5. 복수의 집중국에서 각각 운용 중인 복수의 구분기 별로 지정 처리 번호를 지정하여 입력하거나, 입력된 지정 처리 번호를 수정하는 집중국 분류기준 입력기;
    상기 복수의 구분기 별로 입력된 지정 처리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다량 우편물 제작업체가 우편물을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을 정렬시키는 파일 처리기
    를 포함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우편 서비스 서버에 위치되어 관리되며,
    상기 우편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집중국에서 운용하는 복수의 구분기에 대하여 각각의 고유 일련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구분기에 대하여 각각 해당 고유 일련 번호에 대응하여 우편물 구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처리 번호가 대응되어 있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처리기는,
    상기 우편물 제작 파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 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구분기별 지정 처리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다량 우편물 제작 파일을 정렬하는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KR1020070094750A 2007-09-18 2007-09-18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KR10091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50A KR100912507B1 (ko) 2007-09-18 2007-09-18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50A KR100912507B1 (ko) 2007-09-18 2007-09-18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77A KR20090029477A (ko) 2009-03-23
KR100912507B1 true KR100912507B1 (ko) 2009-08-17

Family

ID=4069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50A KR100912507B1 (ko) 2007-09-18 2007-09-18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5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987A (ja) * 1995-12-25 1997-07-08 Hitachi Ltd 郵便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2006980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제일컴테크 다량 기록관리 우편물의 자동지원 접수처리 장치
WO2007065615A1 (de) 2005-12-05 2007-06-14 Deutsche Post Ag Verfahren zum sortieren von postsendungen und datenstruktur für einen sortierpl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987A (ja) * 1995-12-25 1997-07-08 Hitachi Ltd 郵便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2006980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제일컴테크 다량 기록관리 우편물의 자동지원 접수처리 장치
WO2007065615A1 (de) 2005-12-05 2007-06-14 Deutsche Post Ag Verfahren zum sortieren von postsendungen und datenstruktur für einen sortierp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77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5015B (zh) 分拣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577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ferencing a specific mail target for enhanced mail owner customer intelligence
US8131652B2 (en) Residential delivery indicator
EP1439496B1 (en) System for tracking mailpieces
US6804577B2 (en) Reply mail processing system
US20080288463A1 (en) Shipping Information Transfer
US77694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gregating undesired mail
US20020107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n electronic mail to a best qualified recipient by using machine learning
EP1560166A2 (en) Method for storing mail piece data
US20050171919A1 (en) Method for generating mailpieces and storing mailpiec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AU20032661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postal article inscriptions or document inscriptions
US8508767B2 (en)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s to achieve manufacturing efficiency
US8903542B2 (en) Method of processing mailpieces, the method including combining the batches of mailpieces
US20060143032A1 (en) Advanced electronic notification for a mailpiece
KR100912507B1 (ko) 다량 우편물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US8780382B2 (en)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s to achieve postage optimization
US20050149765A1 (en) Default address matching system
US20210150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redelivery using computer readable codes
US20040236707A1 (en) Portable mailing system
EP2812131A1 (fr) Procédé pour trier des envois avec un tri destinataire
US20060143033A1 (en) Method for providing advanced notification of mailpiece contents
US20240082879A1 (en) Commingling optimization of mail
US76226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rting unaddressed items
KR20100064732A (ko) 우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1009381A (ja) 情報処理型郵便区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