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06B1 -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06B1
KR100912106B1 KR1020080112496A KR20080112496A KR100912106B1 KR 100912106 B1 KR100912106 B1 KR 100912106B1 KR 1020080112496 A KR1020080112496 A KR 1020080112496A KR 20080112496 A KR20080112496 A KR 20080112496A KR 100912106 B1 KR100912106 B1 KR 10091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annel
information
wireless
collector
met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준
김용배
김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테크
Priority to KR102008011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3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consumption-meter devices, e.g. electricity, gas or water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한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과 통신채널의 변경과정 없이 바로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에 통신채널이 할당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검침의 요청이 요청되는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이용하여 ID 대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무선검침요청을 알리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상기 설정된 ID 대응통신채널로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와;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고, 그에 대한 대응값인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유량수집기(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수도, 가스, 무선, 검침, RF, PDA, ID, 일련번호

Description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Radio remote control inspection equipment with the simplified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인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무선통신 수행 시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한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과 통신채널의 변경과정 없이 바로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에 통신채널이 할당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 검침을 위한 무선통신과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무선검침시간 또한 단축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무선검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제어 검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전기 및 수도와 같은 도시기반시설의 경우 행정기관에서 그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일예로, 수도 요금의 경우 검침원들이 집집마다 방문한 후 수도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이를 수기로 기재하여 이를 토대로 수도요금을 징수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금징수방법은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기의 확인을 위해 집집마다 방문해야 하는데 이 때문에,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는 사생활 침해를 야기시키고, 검침원에게는 방대한 업무시간을 소요함과 더불어 막대한 검침비용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특허등록 제 151000호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는 RF(Radio Frequency)통신(이하, 무선통신이라 함)을 이용하여 주택에서 사용한 수도 사용량에 관련된 데이터를 원거리에서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사생활 침해 및 방대한 검침업무시간과 더불어 막대한 검침비용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는 검침에 필요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에 통신채널을 할당하여 이용한다. 이처럼 원격검침을 위해 사전에 약정한 주파수 대역은 424.7MHz ∼ 424.95MHz를 이용하는데 이는, 424.7MHz ∼ 424.95MHz의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앞에서 언급한 주파수 대역에 통신채널을 단채널로 할당하여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424.7MHz ∼ 424.95MHz에서 주파수 간섭의 영향 없이 안정하게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단채널의 통신채널을 사용중에는 추가로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해소방안으로, 무료이용 주파수 대역인 424.7㎒ ∼ 424.95㎒를 주파수의 간섭 없이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주파수 대역폭인 대략 12.5㎑로 구분하여, 12.5㎑의 최소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총 21개의 다채널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되는 21개의 다채널의 중심주파수를 살펴보면, 0번 채널은 424.7MHz, 1번 채널은 424.7125MHz, 2번 채널은 424.725MHz, …, 20번 채널은 424.95MHz를 갖는다. 여기서, 0번 채널(이하 0번 제어채널이라 칭함)은 제어 채널로 사용되도록 사전에 약속되어 있기 때문에, 0번 제어채널의 제어에 의해 20개의 통신채널 중 일부 통신채널이 사용중이라도 사용중이지 않는 나머지 통신채널을 이용해 추가로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의 통신채널설정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종래 통신채널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종래 통신채널의 설정방법은 먼저,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유량수집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혹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유량수집기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기 위하여 먼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점유 채널의 탐색을 요청(S10)한다.
상기 요청에 의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가용통신채널 탐색모듈은 다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채널이 있는지를 탐색(S11)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가용통신채널 탐색모듈에서 비점유 채널의 탐색 은 낮은 주파수 대역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20개의 통신채널을 사전에 설정된 탐색순서에 따라 특정 통신채널부터 탐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채널 탐색(S11)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통신채널을 발견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가용채널 탐색모듈은 그 검색된 점유되지 않은 채널로 통신채널의 변경을 요청하는 통신채널변경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무선통신부를 통해 0번 제어채널로 유량수집기로 통신채널변경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한다(S12).
여기서, 통신채널변경 요청신호에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변경하여야 할 통신채널 번호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유량수집기는 항시 0번 제어채널에서 대기 상태로 있기 때문에 통신채널변경 요청신호는 0번 제어채널을 통해 무선수신된다. 유량수집기는 통신채널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대응값인 통신채널변경 응답신호를 0번 제어채널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송(S13)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유량수집기로부터의 통신채널변경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변경된 통신채널로 전환하여 통신 개시 설정을 수행(S14)하고, 이에 대응하여 유량수집기는 통신 개시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다시 통지한다(S15). 이러한 과정을 마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유량수집기 사이에 할당된 비점유 통신채널을 통해 검침관련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S16)한다.
이후,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유량수집기 간에 검침관련 데이터의 무선 통신이 완료되었는지 확인(S17)하고, 검침관련 데이터의 무선 통신이 완료된 경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가용통신채널 탐색모듈은 0번 제어채널에 휴지시간을 부 여(S18)한다.
이처럼, 0번 제어채널에 휴지시간을 부여하는 주된 이유는 다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도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을 위해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적어도 1초 이상의 휴지시간이 부여된다.
여기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가용통신채널 탐색모듈은 유량집수기와 무선통신을 위해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한 시간 즉, S11단계부터 S15단계까지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40초가 초과되었는지를 계속 확인(S19)하여 40초 이내인 경우에는 각 단계가 정상적으로 수행(S20)되도록 제어하고, 40초를 초과한 경우 강제종료(S21)한다.
이처럼, 0번 제어채널의 이용시간을 제한하는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각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과 더불어 장시간 0번 제어채널의 사용 중 다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할 경우 야기되는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앞에서 언급한 0번 제어채널의 휴지시간 및 이용시간과 관련된 제재는 정보통신부고시 제1999-46호(1999,6,4)로 정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인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종래 통신채널 설정방법은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마다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 및 통신채널의 변경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과정상 단계가 복잡하며, 무선검침과 관련된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마다 매번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 및 통신채널의 변경과정을 반복수행해야 함으로써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검침과 관련된 무선통신 수행 시 0번 제어채널을 통해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 및 통신채널의 변경과정 수행 시 수반되는 제재인 무선통신 완료시마다 부여되는 0번 제어채널의 휴지시간과 더불어 0번 제어채널의 이용시간이 법적으로 정해진 시간인 40초를 초과한 경우 무선통신이 강제종료됨으로써 무선검침과 관련된 무선통신 수행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는 검침시간의 단축 및 검침비용의 절감을 위해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검침원을 대체하는 유량중계기 및 중앙서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유량수집기와 유량중계기 간에 검침에 필요한 데이터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유량중계는 유량수집기로부터 무선송신된 검침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송하여 검침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량중계기는 검침효율을 위해 특정구역에 포함된 70∼250개 정도의 유량수집기를 관리하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각 문제점은 그 세기가 더욱더 크게 파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인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무선통신 수행 시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한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과 통신채널의 변경과정 없이 바로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에 바로 통신채널이 할당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제어 검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는 무선검침의 요청이 요청되는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이용하여 ID 대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무선검침요청을 알리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상기 설정된 ID 대응통신채널로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고, 그에 대한 대응값인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유량수집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와;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와;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 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통신채널 설정모듈과;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유량수집기의 ID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채널설정모듈을 제어하여, 그 입력된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그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량수집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세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는 그 유량수집기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이고, 상기 통신채널 설정모듈은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인 고유한 일련번호정보를 BCD코드화 한 후 BCD코드화된 상기 유량수집기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 중 일부와 할당통신채널군을 이루는 통신채널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값을 ID 대응 통신채널로 설정한다.
상기 유량수집기는, 가스, 전기 또는 수도 등의 사용량을 측정한 값인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유량수집기에 부여된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것으로,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생성되는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무선수신되는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사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세세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에는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는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수집기측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가 기저장되며, 상기 유량수집기측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무선수신된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포함된 ID정보를 상기 유량수집기측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된 ID정보와 매칭하여 일치한 경우에만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과정은, 유량수집기에서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유량수집기의 무선검침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포함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유량수집기로 상기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유량수집기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저장된 ID정보와 매칭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추출한 ID정보와 기저장된 ID정보가 일치한 경우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량수집기에서 생성된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무선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유량수집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검침관련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의 설정은 상기 유량수집기의 ID정보의 경우 그 유량수집기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로서, 이를 BCD코드화 한 후 BCD코드화된 상기 유량수집기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 중 일부와 할당통신채널군을 이루는 통신채널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값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검침장치인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무선통신 수행 시 0번 제어채널을 이용한 비점유 통신채널의 탐색과정과 통신채널의 변경과정 없이 바로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에 통신채널이 할당 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 검침을 위한 무선통신과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무선검침시간 또한 단축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무선검침작업을 수행하는 작업환경을 서비스하여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는 크게,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와, 그 휴대용 무선단말기(100)가 검침관리하는 유량수집기(200)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무선검침의 요청이 요청되는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이용하여 ID 대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무선검침개시를 알리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상기 설정된 ID 대응통신채널로 전송하는 단말로서, PDA,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가 가능한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세부적인 구성은 정보입력부(110), 정보표시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통신채널 설정모듈(140), 무선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정보입력부(110)는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검침하는데 요구되는 전반적인 명령/요청, 일예로, 검침하고자 하는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가 입력되는 장치로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입력부(110)를 터치스크린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후술되는 정보표시부(120)인 액정(LCD)에 적층되어 제공되어짐으로써, 정보입력은 사용자가 손이나 필기구 등을 통해 스크린 위의 일정 부위를 터치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인식하여 터치패널 데이터로 가공하고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160)가 인지하여 데이터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보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는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제조년월일 및 제조생산넘버를 포함하는 고유한 일련번호정보이다.
상기 정보표시부(120)는 무선으로 검침하는데 요구되는 전반적인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액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측 데이터 저장부(130)는 상기 유량수집기(200)들로부터 무선수신된 검침관련정보가 저장되는데, 각 유량수집기(200)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도록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 검침일시정보, 사용량 데이터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되어진다.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측 통신채널 설정모듈(140)은 정보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통신채널 설정모듈(140)은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인 고유한 일련번호정보를 BCD(Binary-Coded Decimal)코드화 한 후 BCD코드화된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 중 일부(여기서는, 마지막 2자리수)와 할당통신채널군을 이루는 통신채널의 총 개수(여기서는, 20개)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값을 ID 대응 통신채널로 설정한다.
즉, BCD코드화된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가 "0×00, 0×00, 0×00, 0×00, 0×20, 0×45"이고, 마지막 2자리수인 "0×45"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아래의 박스와 같이 수행하여 5번 통신채널이 ID 대응 통신채널로 설정된다.
LSB[3:0]=>0×05 LSB[7:4]=>0×40 LSB7[:4]>>4=>0×04 버퍼 1 = 0×05 & 0×0f; 버퍼 2 = 0×04 & 0×0f; 버퍼 1 = 0×05 버퍼 1 = 0×04 아이디 버퍼 = (0×04*10) + 0×05 ; 아이디 버퍼 = 45 채널 버퍼 = 45%20 ;(나머지값 계산) 채널 버퍼 = 5 if(채널 버퍼 = 0) 설정 채널 = 20 else 설정 채널 = 채널 버퍼; 따라서 설정채널 = 5번 채널이 된다.
단, 모듈로 연산에 의해 도출되는 값이 0으로 도출된 경우에는 10번 통신채 널이 ID 대응 통신채널로 설정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여기서, 할당통신채널군은 무료이용 주파수 대역인 424.7㎒ ∼ 424.95㎒를 주파수의 간섭 없이 무선검침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12.5㎑의 최소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총 21개의 통신채널 중 0번 제어채널을 제외한 20개의 통신채널이 해당된다. 단, 향후에 무료이용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이 추가로 할당되는 경우 할당통신채널군에 속하는 통신채널의 개수는 그만큼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측 무선통신부(150)는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RF)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FM 트랜스미터 모듈, 적외선 통신이 수행되는 IR module, 블루투스 모듈 또는 IEEE802.11b 모듈 등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시켜주는 다양한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측 제어부(160)는 정보입력부(110)를 통해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의 입력을 통한 무선검침요청이 발생하면, 통신채널설정모듈(140)을 제어하여, 그 입력된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그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량수집기(200)로부터 무선전송되는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유량수집기(200)는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고, 그에 대한 대응값인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말로서, 이러한 유량수집기(200)의 세부적인 구성은 측정부(210), 데이터 저장부(220), 무선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측정부(210)는 기계식 계량기 등에 부착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흐르는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파이프를 통하여 흐르는 수도 등의 흐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감지센서와 그 감지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수도 사용량을 계산하는 계산기로 구분하여 이루어진다.
유량수집기(200)측 데이터 저장부(220)는 측정부(210)에서 생성된 사용량 데이터나 자신의 ID정보 등과 같이 무선검침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이다.
유량수집기(200)측 무선통신부(230)는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것으로,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장치이다.
유량수집기(200)측 제어부(240)는 측정부(210)로부터 생성되는 사용량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20)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고,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무선수신되는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220)에서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사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유량수집기(200)에도 정보입력부 및 통신채널 설정모듈을 포함하여,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유량수집기(200) 별로 20개의 통신채널이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자신의 ID정보를 변경하고, 그 변경된 ID정보를 바탕으로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3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변가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수집기(200)는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그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S100)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검침원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에 구비된 정보입력부(110)를 조작하여 검침하고자 하는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무선검침을 요청(S110)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통신채널 설정모듈(140)을 제어하여,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 정(S120)한다.
이후,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입력된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포함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통신부(150)로 출력하여, 무선통신부(150)에서 무선검침 요청신호가 이전에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전송되도록 제어(S130)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50)는 입력된 무선검침 요청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환한 상태이다.
이후, 무선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의 통신채널과 동일한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수신대기상태(S100)에 있는 해당 유량수집기(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부터 무선전송되는 무선신호로 변환된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수신한다. 무선통신부(230)는 무선신호로 변환된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원래의 무선검침 요청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유량수집기(200)측 제어부(240)는 입력된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추출한 후,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ID정보와 매칭하여 일치하는지 확인(S140)한다.
이 확인(S140)과정에 의해 추출한 ID정보와 기저장된 ID정보가 일치 않은 경우, 유량수집기(200)는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그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하는 S100단계로 돌아감으로써, 정확한 검침관련 데이터의 무선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량수집기(200)측 제어부(240)는 추출한 ID정보와 기저장된 ID정보가 일치한 경우, 데이터 저장부(220)에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 출된 사용량 데이터에 자신의 ID정보 및 검침일시정보 등을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S150)하여, 무선통신부(230)으로 출력함으로써, 자신이 대기상태로 있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 무선전송(S16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에도, 무선통신부(230)는 검침관련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환한 상태이다.
이후,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검침관련신호를 수신한다. 이때에도, 무선통신부(150)는 무선신호로 변환된 검침관련신호가 원래의 검침관련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부(160)로 입력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검침관련신호를 데이터저장부(130)에 유량수집기(100)별로 구분되도록 저장(S170)함으로써 무선검침과정을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의 설명은 유량수집기(20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100) 위주로 설명되었지만,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는 검침시간의 단축 및 검침비용의 절감을 위해 검침원이 소지한 휴대용 무선단말기(100)가 유량중계기로 대체됨으로써, 휴대용 무선단말기(100)가 수행한 검침작업을 유량중계기가 수행하고, 유량중계기는 검침작업 수행에 의해 획득한 검침관련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여 검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유량수집기와 휴대용 무선단말기 간의 종래 통신채널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무선검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휴대용 무선단말기 110 : 정보입력부
120 : 정보표시부 130,220 : 데이터 저장부
140 : 통신채널 설정모듈 150,230 : 무선통신부
160,240 : 제어부 200 : 유량집수기
210 : 측정부

Claims (7)

  1. 삭제
  2. 무선검침의 요청이 요청되는 유량수집기의 ID정보를 이용하여 ID 대응통신채널을 설정하고, 무선검침요청을 알리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상기 설정된 ID 대응통신채널로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와;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고, 그에 대한 대응값인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유량수집기(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110)와;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120)와;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30)와;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통신채널 설정모듈(140)과;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부(150)와; 상기 정보입력부(110)를 통해 유량수집기의 ID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채널설정모듈(140)을 제어하여, 그 입력된 유량수집기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그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량수집기(200)로부터 무선전송되는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량수집기(200)는, 가스, 전기 또는 수도 등의 사용량을 측정한 값인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210)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유량수집기(200)에 부여된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것으로,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무선신호 변환하여,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부(230)와; 상기 측정부(210)로부터 생성되는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무선수신되는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서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사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는 그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이고,
    상기 통신채널 설정모듈(140)은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인 고유한 일련번호정보를 BCD코드화 한 후 BCD코드화된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 중 일부와 할당통신채널군을 이루는 통신채널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값을 ID 대응 통신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4. 삭제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는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수집기(200)측 데이터 저장부(220)에는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가 기저장되며,
    상기 유량수집기(200)측 제어부(240)는 상기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ID 대응 통신채널로 무선수신된 상기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포함된 ID정보를 상기 유량수집기(200)측 데이터 저장부(220)에 기저장된 ID정보와 매칭하여 일치한 경우에만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6. 유량수집기(200)에서 자신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ID 대응 통신채널에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0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무선검침을 요청하는 단계(S110)와;
    상기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참조하여 할당통신채널군 중 그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상기 무선검침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포함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유량수집기(200)로 상기 설정된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무선전송하는 단계(S130)와;
    상기 유량수집기(200)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부터 무선전송되는 무선검침 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저장된 ID정보와 매칭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와;
    추출한 ID정보와 기저장된 ID정보가 일치한 경우 누적저장된 사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침관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50)와;
    상기 유량수집기(200)에서 생성된 검침관련신호를 ID 대응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로 무선전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에서 상기 유량수집기(200)로부터 무선전송되는 검침관련신호를 저장하는 단계(S1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120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에 대응되는 ID 대응 통신채널의 설정은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ID정보의 경우 그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로서, 이를 BCD코드화 한 후 BCD코드화된 상기 유량수집기(200)의 고유한 일련번호정보 중 일부와 할당통신채널군을 이루는 통신채널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방법.
KR1020080112496A 2008-11-13 2008-11-13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KR10091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96A KR100912106B1 (ko) 2008-11-13 2008-11-13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96A KR100912106B1 (ko) 2008-11-13 2008-11-13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106B1 true KR100912106B1 (ko) 2009-08-13

Family

ID=4120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496A KR100912106B1 (ko) 2008-11-13 2008-11-13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58B1 (ko) * 2012-05-09 2014-04-22 신한정밀 주식회사 중계장치 id를 생성하는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원격 검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482A (ja) * 1992-09-18 1994-04-15 Aichi Tokei Denki Co Ltd データ収集装置
KR20010009666A (ko) * 1999-07-13 2001-02-05 전주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KR20010097842A (ko) * 2000-04-26 2001-11-08 신성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40087637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검침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482A (ja) * 1992-09-18 1994-04-15 Aichi Tokei Denki Co Ltd データ収集装置
KR20010009666A (ko) * 1999-07-13 2001-02-05 전주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KR20010097842A (ko) * 2000-04-26 2001-11-08 신성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40087637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검침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58B1 (ko) * 2012-05-09 2014-04-22 신한정밀 주식회사 중계장치 id를 생성하는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원격 검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266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RU237089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иртуальной радиосвязи
US7680486B2 (en) Sensor network system
CN103688519B (zh) 利用车载机的远程操作系统
KR20130070976A (ko) 이동 가능한 충전 장치와 연동한 전기 자동차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592895B1 (ko)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CN102739862A (zh) 一种智能手机遥控器
US9279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utility meters
CN106302804B (zh) 一种电力现场作业的交互方法及系统
KR100912106B1 (ko) 간소화된 통신채널 설정구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및 방법
KR102429289B1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CA2596207A1 (en) Amr transmitter with programmable operating mode parameters
CN107465998B (zh) 多数据采集系统
US200501081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elemetric measurements
CN1953370B (zh) 通过对象推入设定文件修改嵌入式系统参数值的方法
KR20100100203A (ko) 중계기가 필요없는 다중 수도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58432A (ja) 検針システム
CN202957889U (zh) 一种智能手机遥控器
CN103368615B (zh) 近场通讯连线方法
CN101441089A (zh) 维护导航目的地信息的系统和方法
EP1265450A2 (en) System for reading utility meters
CN205959388U (zh) 智能无线计量仪表生产线无线传输功能自动检测装置
KR100884470B1 (ko) 근거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1491536A (zh) 用于便携式终端的盖
KR100370449B1 (ko) 자동통합검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