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35B1 -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35B1
KR100909235B1 KR1020070110470A KR20070110470A KR100909235B1 KR 100909235 B1 KR100909235 B1 KR 100909235B1 KR 1020070110470 A KR1020070110470 A KR 1020070110470A KR 20070110470 A KR20070110470 A KR 20070110470A KR 100909235 B1 KR100909235 B1 KR 10090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function
current reference
current
security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386A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섭
주식회사 부강금속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주식회사 부강금속조명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2007011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등의 오동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오동작의 종류를 표시하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은, 보안등의 오동작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류 기준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전구와 연결된 안정기를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류 기준값들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을 비교하고 해당 오동작에 대응하는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오동작 표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해당 오동작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오동작의 종류는 전구 오동작, 안정기 오동작 및 과전류 발생을 구비한다. 상기 전류 기준값들은 상기 안정기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1전류 기준값, 상기 전구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2전류 기준값, 및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3전류 기준값을 구비한다. 따라서 보안등 관리자는 보안등의 오동작 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보안등을 관리할 수가 있다
보안등, 안정기, 오작동, 표시부, 표시 방법

Description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Types of Security Light Malfunction}
본 발명은 보안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안등의 오동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오동작의 종류를 표시하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등은 어두운 골목길에 환하게 빛을 비추어 사람들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조명장치로서, 전봇대와 함께 설치되거나 전봇대와 별도로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종래의 보안등은 상용 전력에 의해 빛을 비추는 전구, 전구를 지지하는 지지대, 전구를 동작시키고 상용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정기, 누전이 발생하면 상용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기, 및 상용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안등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켜면 상용 전력이 안정기를 통하여 전구에 공급되고전구는 보안등이 설치된 장소를 환하게 빛을 비추고,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끄면 전구와 다른 전기 소자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전구는 꺼진다. 이와 같은 방 식으로 종래의 보안등은 동작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종래 보안등의 전구가 켜지지 않으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그 보안등의 오작동의 원인을 찾아야만 한다. 즉, 보안등의 오작동의 원인이 외부에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보안등에 직접 접근하여 그 오작동의 원인을 찾아야 하고,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종래의 보안등은 안정기, 스위치, 누전 차단기 등이 따로따로 설치되고 그에 따라 각각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동작의 원인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만 한다.
아울러, 누전 때문에 보안등의 전구가 켜지지 않고 전력 차단기조차 고장이 난 경우에, 관리자가 보안등에 접근하는 과정에 감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하지 않는 보안등의 오동작을 검출하여 그 오동작의 종류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은, 보안등의 오동작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류 기준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전구와 연결된 안정기를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류기준값들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을 비교하고 해당 오동작에 대응하는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오동작 표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해당 오동작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오동작의 종류는 전구 오동작, 안정기 오동작 및 과전류 발생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기준값들은 상기 안정기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1전류 기준값, 상기 전구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2전류 기준값, 및 상기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3전류 기준값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전류 기준값은 스위치를 켠 후 상기 전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제2전류 기준값은 상기 전구를 제거했을 경우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제3전류 기준값은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가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할 때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1전류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안정기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제1전류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검출된 전류값을 상기 제2전류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2전류 기준값과 같으면, 상기 전구가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3전류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보안등의 전기 회로에 과전류가 발생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실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은, 미리 설정 한 기준값을 바탕으로, 보안등의 오동작의 종류를 판단하여 외부에 표시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보안등의 오동작 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은 해당하는 오동작의 종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오동작 원인을 제거할 있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보안등을 관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작동 표시방법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이 적용된 장치의 구성도로서, 상용 전력(AC 220V)을 입력받아 빛을 발하는 전구(11), 전구(11)를 동작시키고 전구(11)에 공급되는 상용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키는 안정기(12), 상용 전력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부(14), 안정기(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13), 검출기(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된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전류 기준값들을 비교하여 오작동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15) 및 오작동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16)로 이루어진다.
전구(11)는 일반적으로 고압에 의해 켜진 후 일정한 밝기를 유지한다. 안정기(12)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용 전력을 변환하는 변압기, 전력을 충방전시키고 완충시키는 축전기, 및 전구(11)를 켜기 위한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전원부(14)는 상용 전력을 입력하여 보안등 오동작 표시장치의 내부에 포함된 전자 부품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검출기(13)는 안정기(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제어부(15)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소자로서 검출기(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된 전류값을 받아 미리 설정된 전류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오동작의 종류를 판단한다. 표시부(16)는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되는 오동작의 종류를 외부에 표시한다. 미설명부호 "17"은 전력차단기로서, 오동작이 발생했을 때 또는 과전류가 흐를 때 상용 전력을 차단한다.
이러한 보안등 오동작 표시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표시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보안등의 전구가 켜지지 않는 오동작의 종류를 가정하고, 이러한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들을 각각 측정하여 전류 기준값들을 알아낸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구가 고장났을 경우, 안정기가 고장났을 경우, 및 누전과 같은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를 보안등이 동작하지 않는 원인으로 가정하고, 각각의 경우를 판단하기 위한 전류 기준값을 설정한다(S1).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전류 기준값을 구하는 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를 켠 후 전구가 빛을 일정하게 발할 때, 즉 전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1 전류 기준값(Iref-1)으로 설정한다. 전구가 고장났을 경우, 즉 전구를 제거했을 경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2 전류 기준값(Iref-2)으로 설정한다. 또한 누전과 같은 여러 원인 때문에 안정기에 흐르 는 전류값이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할 때의 전류값, 즉 안정기에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시점의 전류값을 제3 전류 기준값(Iref-3)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표 1은 나트륨 전구(NH-)와 금속형 전구(MH-)가 설치된 보안등에서, 상기와 같은 오류 발생 조건에서, 안정기에서 검출된 제1 내지 제3 전류기준값을 나타낸다.
전구(Watt) 제1 전류기준값(A) 제2 전류기준값(A) 제3 전류기준값(A)
NH150 0.8 1.6 2.4
NH250 1.5 2.5 3.5
NH400 1.8 4.3 5.8
MH175 0.9 1.8 2.6
MH250 1.3 2.6 3.3
MH400 1.9 4.1 5.0
이와 같이 S1단계에서 동작조건을 설정한 다음에 보안등이 해당 장소에 설치된 후 스위치가 켜져서 전구가 빛을 발한다. 이때 검출기는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S2).
검출기가 검출한 전류값(Idec)을 제어부에 출력하면, 제어부는 제1전류 기준값(Iref-1)과 검출기가 검출한 전류값(Idec)을 비교한다(S3). S3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1 전류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어부는 안정기 고장 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그에 따라 표시부는 보안등의 안정기가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한다 (S4).
그런데 S3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1 전류 기준값 보다 크면, 제어부는 제2 전류 기준값과 검출한 전류값을 비교한다(S5). S5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2 전류 기준값과 같으면, 제어부는 전구 고장 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그에 따라 표시부는 전구가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한다(S6).
이와는 다르게, S5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2전류 기준값과 다르면, 제어부는 제3전류 기준값과 검출한 전류값을 비교한다(S7). S7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3전류 기준값보다 크면, 제어부는 과전류 발생 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그에 따라 표시부는 보안등의 전기 회로에 누전과 같이 전류가 누설되고 있음을 표시한다(S8).
한편, S7 단계에서 검출한 전류값이 제3전류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어부는 보안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판단하여 표시부에 오동작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9).
이와 같은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 표시부가 S4 단계의 안정기 오동작을 표시하거나, S6 단계의 전구 오동작을 표시하거나, S8 단계의 과전류 발생 표시하면, 관리자는 보안등의 고장 원인을 쉽게 인식하고 그 고장 원인을 제거한다. 즉, 표시부가 전구 오동작이나 안정기 오동작을 표시하면 전구나 안정기를 교체하고, 누전 발생을 표시하면 전기 회로를 점검하고 수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은 상기와 같은 오동작이 발생하면 사용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여기서, 오동작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표시방법이 적용된 표시부로서, 전구의 고장에 따른 오동작 표시 영역(16-1), 안정기 고장에 따른 오동작 표시 영역(16-2) 및 과전류 발생에 따른 오동작 표시 영역(16-3)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오동작 표시영역은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5)로부터 해당하는 오동작 표시신호가 출력되면 해당하는 오동작 표시영역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작하여 빛을 내게 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16)가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된, 안정기 오동작 표시신호를 입력하여 안정기 오동작 표시영역(16-2)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킴으로써, 보안등의 오동작의 원인이 안정기에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표시부(16)를 구현하였지만 LCD와 같은 여러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이들을 복합해서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표시부(16)가 설치되는 판에는 점등시간 설정부(21)가 함께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등시간 설정부(21)에는 상기 표시부(160)를 통하여 표시되는 오동작의 종류를 글씨로 표현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이 적용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다른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이 적용된 표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Claims (5)

  1. 보안등의 오동작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류 기준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전구와 연결된 안정기를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류기준값들과 상기 검출된 전류값을 비교하고 해당 오동작에 대응하는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오동작 표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해당 오동작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오동작의 종류는 전구 오동작, 안정기 오동작 및 누전 발생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기준값들은 상기 안정기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1전류 기준값, 상기 전구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2전류 기준값, 및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는 제3전류 기준값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기준값은 스위치를 켠 후 상기 전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제2전류 기준값은 상기 전구를 제거했을 경우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제3전류 기준값은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전류가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할 때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1전류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안정기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제1전류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검출된 전류값을 상기 제2전류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2전류 기준값과 같으면, 상기 전구가 오동작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제3전류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보안등의 전기 회로에 과전류가 발생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오동작 표시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70110470A 2007-10-31 2007-10-31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KR10090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0A KR100909235B1 (ko) 2007-10-31 2007-10-31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0A KR100909235B1 (ko) 2007-10-31 2007-10-31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86A KR20090044386A (ko) 2009-05-07
KR100909235B1 true KR100909235B1 (ko) 2009-07-27

Family

ID=4085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70A KR100909235B1 (ko) 2007-10-31 2007-10-31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44B1 (ko) * 2012-05-23 2014-06-13 (주) 코콤 스마트 엘이디 조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9Y1 (ko) 2000-05-18 2000-10-16 주식회사티. 에이. 티 조명등 회로의 유무선 방식 고장상태 검출장치
KR200233403Y1 (ko) 1996-05-03 2001-10-25 박 찬 영 조명등회로의 고장상태 검출장치
KR200283297Y1 (ko) 2002-04-16 2002-07-26 최규휘 가로등의 고장 감지 및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403Y1 (ko) 1996-05-03 2001-10-25 박 찬 영 조명등회로의 고장상태 검출장치
KR200200399Y1 (ko) 2000-05-18 2000-10-16 주식회사티. 에이. 티 조명등 회로의 유무선 방식 고장상태 검출장치
KR200283297Y1 (ko) 2002-04-16 2002-07-26 최규휘 가로등의 고장 감지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86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0224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turvavalaisimen yhteydessä
US6580230B2 (en) Energy conservation dimmer device for gaseous discharge devices
WO2008141343A1 (en) Light fitting
US20100213866A1 (en) Ballast and ballas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ple anti-arcing control for electronic ballast
US20030160573A1 (en) Auxiliary controller
US7446483B2 (en) Backlight light source drive device
KR100909235B1 (ko)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US7830102B2 (en) Light source driving device
KR20060081314A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KR101000401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0899456B1 (ko) 보안등 오동작 표시장치
KR100638714B1 (ko)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US8729817B2 (en) Latching circuit for ballast
KR102208981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실외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329073Y1 (ko) 고장부위 표시 및 자동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조명등의점등회로
KR20090088584A (ko) 회로손상진단이 용이한 가로등장치
KR100452341B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단락 보호회로
KR200442855Y1 (ko) 램프 및 안정기의 고장검출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점멸기
JP2009158214A (ja) 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100655229B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리얼타이머형 무부하보호회로 및 자기진단 표시등
KR100909237B1 (ko) 통합형 전기 안정장치
KR200310554Y1 (ko) 방전등 전원제어장치
KR200243678Y1 (ko) 가로등 방전등과 안정기의 이상여부 표시회로
KR200296241Y1 (ko) 가로등 점등장치의 이상 여부 감시장치
KR200314000Y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단락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