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997B1 -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997B1
KR100908997B1 KR1020070092364A KR20070092364A KR100908997B1 KR 100908997 B1 KR100908997 B1 KR 100908997B1 KR 1020070092364 A KR1020070092364 A KR 1020070092364A KR 20070092364 A KR20070092364 A KR 20070092364A KR 100908997 B1 KR100908997 B1 KR 10090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ptical fiber
fiber grating
pulsation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270A (ko
Inventor
김종열
전영주
이재훈
이전
유현희
이시우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9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진자가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에 위치하는 촌, 관, 척 3점에 위치시킨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피검진자의 맥을 감지함과 동시에 맥진센서에 감지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 및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격자, 센서, 맥진센서, 맥진, 실시간.

Description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HUMAN PULSE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본 발명은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진자가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에 위치하는 촌, 관, 척 3점에 위치시킨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Fiber Bragg Grating, FBG)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피검진자의 맥을 감지함과 동시에 맥진센서에 감지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 및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韓醫學), 동양의학(東洋醫學)에서는 손목 내측에 위치한 동맥상의 특정위치인 촌, 관, 척의 맥박을 측정하여 피검진자의 질병을 진단하는 맥진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맥진법은 인체에 흐르는 기와 혈의 조화를 파악하여 십이 장부의 기능적인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주로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에 세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맥박의 강약(압력의 강약), 주기 등을 감지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그러나 황제내경, 맥경과 같은 고전에서 맥에 대한 정의들은 대부분 비유적 이거나 난해한 부분이 많고 현재의 한의학 교육에서도 주관적이고 막연한 느낌을 교육하는 것이 쉽지 않아 한의학 임상 진료에 있어 맥진의 의미가 객관성이나 재현성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의사의 손가락에 의한 주관적인 느낌에서 시작하는 맥진법의 숙달과 임상 활용에도 오랜 기간의 진료 경험이 필요하게 되며 진료 한의사 및 환자의 여러 가변적인 상황에 따라 일일이 체계화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한의사마다 감각과 소견이 일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와 처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압센서를 이용한 맥진기는 촌, 관, 척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고, 장맥과 단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으며, 센서가 독립적으로 하우징되어 있지 않아서 센서 간 간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맥과 세맥의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구비하여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에 위치하는 촌, 관, 척 3점에 위치시켜 피검진자의 맥을 정확히 진맥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진자가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피검진자의 맥을 감지하면서 동시에 감지되는 맥을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 및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은, 광섬유의 코어에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한 굴절률 및 격자간격의 변화가 유도되도록 특정 페이저 마스크의 주기 간격에 의하여 격자가 새겨진 광섬유격자(FBG) 센서와;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의 다수 개가 일정 길이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가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 표면과 접촉되어 촌, 관, 척 3점에 대응하여 맥을 측정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어 맥진센서 헤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맥진센서와; 피검진자의 손목을 올려 고정시키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손목 부분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맥진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 위에 위치하 도록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맥진센서의 일측에 있는 맥진센서 헤드가 상기 고정대와 개폐식으로 구성되도록 한 센서하우징; 및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로부터 측정된 피검진자의 맥에 대한 진맥 파형을 수집 및 분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스펙트럼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는 2 mm 길이의 광섬유격자 센서가 2 mm 간격으로 5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맥진센서는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를 포함하는 광섬유 3개를 한 블록으로 구성하여 손목의 촌, 관, 척에 각각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3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맥진센서는 각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의 간격을 3 mm로 형성하되 각 블록은 8 mm 간격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맥진센서는 플렉시블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은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통하여 촌, 관, 척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센서로는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대맥/세맥 및 장맥/단맥을 모두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은 검진자가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센서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맥을 감지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맥진센서에 감지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교육 적 차원에서 단지 고전 문헌에 따른 형이상학적 표현 외에 직접 파형의 모양과 특성에 따른 맥의 개념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 감도가 뛰어난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피검진자의 촌, 관, 척 3점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맥의 변화까지 정확하게 반영한 진맥 파형을 추출하고, 맥진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킴으로써 임상에 적용 시 진맥 및 병증진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격자 센서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편의상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는 대표적으로 1a 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는 광섬유의 코어에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한 굴절률(n) 및 격자간격(d)의 변화가 유도되도록 특정 페이저 마스크(phase mask)의 주기 간격에 의하여 격자가 새겨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에 광대역의 광원(Lin)이 입사되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의 빛(Lout)은 통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때, 반사되는 특정 파장을 브래그 파장(λB)이라 하며, 광섬유의 굴절률(n) 및 격자의 간격(d)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λB = 2nd 라는 관계식이 성립되며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 주위의 온도, 압력, 스트레인(strain)이 변화되면 그에 따라 광섬유의 굴절률(n) 및 격자의 간격(d)이 변화되고 이는 브래그 파장(λB)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브래그 파장(λB)의 변화를 측정하면 주위의 물리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의 가장 큰 장점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센서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각각의 파장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하여 이를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어, 멀티 어레이 센서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맥진센서를 구성함에 있어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를 사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은 맥진센서(10), 센서하우징(30), 및 스펙트럼분석기(20)로 구성된다.
상기 맥진센서(10)는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를 일정 길이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를 형성하고,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가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 표면과 접촉되어 촌, 관, 척 3점에 대응하여 맥을 측정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어 맥진센서 헤드(1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센서하우징(30)은 피검진자의 손목을 올려 고정시키는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의 손목 부분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버튼(33)을 구비한 높낮이조절부(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맥진센서(10)는 피검진자의 손목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대(31)의 상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맥진센서(10)의 일측에 있는 맥진센서 헤드(11)는 상기 고정대(31)와 개폐식으로 구성되되 피검진자의 맥을 측정할 때는 상기 센서하우징(30)과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펙트럼분석기(20)는 이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격자 센서로 구성한 맥진센서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맥진센서(10)의 일실시 예로서, 다수 개의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를 일정 길이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를 고정하는 맥진센서 헤드(11)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는 5 개를 직렬로 배열하되, 요골동맥의 혈관 굵기가 2 ~ 3 mm 정도임을 고려하여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의 길이가 2 mm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광섬유격자 센서들(1a 내지 1e) 간의 간격도 2 mm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맥진센서(10)에 사용된 다수 개의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는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 표면과 접촉되어 촌, 관, 척 3점에 대응하여 맥을 측정하도록 배열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는 9 개를 병렬로 배치하되, 3 개씩 한 블록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를 3 개씩 한 블록으로 구성한 것은 촌, 관, 척 세 부분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는 검진자가 맥진을 할 경우 세 손가락을 사용하므로 손가락의 일반적인 굵기를 고려하여 각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 사이의 간격은 3 mm로 하고, 각 블록 사이의 간격은 8 mm가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진센서 헤드(11)는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1 내지 9)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센서하우징(30)의 고정대(31)의 상부에 위치하여 맥 측정 시에 상기 센서하우징(30)에 결합하여 맥진센서(10)가 고정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펙트럼분석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스펙트럼분석기(20)는 레이저모듈(21), 1×N 커플러(22), 프로세서(23), 디스플레이(24), 데이터베이스(25), N 개의 센서모듈(26), 및 커플러(27)로 구성된다.
상기 스펙트럼분석기(20)는 광섬유격자 센서(1a 내지 1e)에 광대역 광원을 인가시키고, 피검진자의 맥에 의한 파장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프로세서(23)를 통하여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를 통하여 파형을 검진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맥 파형에 대한 맥진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하여 진맥 및 병증진단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지 고전 문헌에 따른 형이상학적 표현 외에 직접 피검진자에 대한 맥진 파형의 모양과 특성에 따른 맥의 개념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한 맥파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동일한 피검진자의 맥을 실시간으로 측정한 것으로, 검진자가 피검진자의 손목 위에 올려놓은 맥진센서(10)를 직접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측정한다.
각 맥파를 도시한 그래프를 살펴보면, 일정시간에 대하여 그 펄스 수가 동일하고, 그 형태가 동일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각 파형의 크기(Amplitude)가 차이가 나는데, 이것은 맥이 뛰는 혈관과 센서의 위치에 따라 느 껴지는 맥의 크기가 다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100)의 맥진센서(10)가 감지하는 맥의 크기가 다름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격자 센서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격자 센서로 구성한 맥진센서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펙트럼분석기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한 맥파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지 9 :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
1a 내지 1e : 광섬유격자 센서
10 : 맥진센서 11 : 맥진센서 헤드
20 : 스펙트럼분석기 21 : 레이저모듈
22 : 1×N 커플러 23 : 프로세서
24 : 디스플레이 25 : 메모리
26 : 센서모듈 27 : 커플러
30 : 센서하우징 31 : 고정대
32 : 높낮이조절부 33 : 높낮이버튼
100 : 맥진 시스템

Claims (5)

  1. 광섬유의 코어에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한 굴절률 및 격자간격의 변화가 유도되도록 특정 페이저 마스크의 주기 간격에 의하여 격자가 새겨진 광섬유격자(FBG) 센서와;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의 다수 개가 일정 길이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가 피검진자의 손목 내측 표면과 접촉되어 촌, 관, 척 3점에 대응하여 맥을 측정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어 맥진센서 헤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맥진센서와;
    피검진자의 손목을 올려 고정시키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손목 부분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맥진센서를 피검진자의 손목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맥진센서의 일측에 있는 맥진센서 헤드가 상기 고정대와 개폐식으로 구성되도록 한 센서하우징; 및
    상기 광섬유격자 센서로부터 측정된 피검진자의 맥에 대한 진맥 파형을 수집 및 분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스펙트럼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는 2 mm 길이의 광섬유격자 센서가 2 mm 간격으로 5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진센서는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를 포함하는 광섬유 3 개를 한 블록으로 구성하여 손목의 촌, 관, 척에 각각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3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맥진센서는 각 어레이 광섬유격자 센서의 간격을 3 mm로 형성하되 각 블록은 8 mm 간격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진센서는 플렉시블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KR1020070092364A 2007-09-12 2007-09-12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KR10090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64A KR100908997B1 (ko) 2007-09-12 2007-09-12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64A KR100908997B1 (ko) 2007-09-12 2007-09-12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270A KR20090027270A (ko) 2009-03-17
KR100908997B1 true KR100908997B1 (ko) 2009-07-22

Family

ID=4069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364A KR100908997B1 (ko) 2007-09-12 2007-09-12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6656A (zh) * 2015-05-28 2015-08-26 天津大学 光纤光栅脉搏测试头、新型三路光学脉搏测试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2200B (zh) * 2012-08-06 2013-12-18 山东省科学院激光研究所 脉诊信号传感器探头及光纤脉诊信息采集系统
CN104224141B (zh) * 2014-09-23 2016-05-25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脉诊信号传感器探头
CN104739389B (zh) * 2015-04-15 2017-04-26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曲面应变片、脉搏信号提取装置及方法和脉象诊疗系统
CN111772599A (zh) * 2020-08-17 2020-10-16 四川脉卫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远程中医脉诊系统的病人端子系统及方法
CN115770019B (zh) * 2022-12-06 2024-04-26 天津大学 一种脉搏测量传感装置及测量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145A (ja) * 1988-07-22 1990-02-05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JPH05317276A (ja) * 1992-05-25 1993-12-03 Mitsubishi Rayon Co Ltd 脈拍センサヘッド
KR20010074845A (ko) * 1998-08-24 2001-08-09 마틴 씨. 바루크 맥박 전이 시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145A (ja) * 1988-07-22 1990-02-05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JPH05317276A (ja) * 1992-05-25 1993-12-03 Mitsubishi Rayon Co Ltd 脈拍センサヘッド
KR20010074845A (ko) * 1998-08-24 2001-08-09 마틴 씨. 바루크 맥박 전이 시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6656A (zh) * 2015-05-28 2015-08-26 天津大学 光纤光栅脉搏测试头、新型三路光学脉搏测试系统及方法
CN104856656B (zh) * 2015-05-28 2018-11-09 天津大学 光纤光栅脉搏测试头、三路光学脉搏测试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270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hakov et al. Pulse wave velocity measurement with multiplexed fiber optic Fabry–Pérot interferometric sensors
KR100908997B1 (ko)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ES2928760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no invasiva del nivel de glucosa en sangre
KR100820159B1 (ko) 혈압측정 방법 및 장치
KR100745673B1 (ko) 생체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JP6293927B2 (ja) センサ
JP2015231512A (ja) 血圧測定装置
ITPI20110127A1 (it) Struttura di tonometro indossabile
WO2013180085A1 (ja) 血圧測定装置
Miyauchi et al. Basic experiment of blood-pressure measurement which uses FBG sensors
Koyama et al. Influence on calculated blood pressure of measurement posture for the development of wearable vital sign sensors
Nedoma et al. Comparison of BCG, PCG and ECG signals in application of heart rate monitoring of the human body
Ogawa et al. Simultaneous measurement of heart sound, pulse wave and respiration with single fiber bragg grating sensor
Kumar et al. Fiber Bragg grating-based pulse monitoring device for real-time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A feasibility study
Katayama et al. Classification of pulse wave signal measured by FBG sensor for vascular age and arteriosclerosis estimation
Liang et al. Wearable and multifunctional self-mixing microfiber sensor for human health monitoring
He et al. Optical fiber sensors for heart rate monitoring: A review of mechanisms and applications
KR100969853B1 (ko) 배열형 맥진 센서를 구비하는 맥파 측정 시스템
KR20080043545A (ko) 휴대용 맥진기 및 그 맥진방법
Katayama et al. Improvement of blood pressure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Elsarnagawy A simultaneous and validated wearable FBG heartbeat and respiration rate monitoring system
KR101023702B1 (ko) 맥파 측정 센서 및 측정 장치
Katayama et al. Verification of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ing Optical Fiber Sensor—Tracing Sudden Blood Pressure Changes—
Koyama et al. Verification of optimal installation point of FBG sensor for pulsation strain measurement
Miyauchi et al. Verification of the systolic blood-pressure measurement principle by FBG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