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917B1 -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917B1
KR100908917B1 KR1020070085204A KR20070085204A KR100908917B1 KR 100908917 B1 KR100908917 B1 KR 100908917B1 KR 1020070085204 A KR1020070085204 A KR 1020070085204A KR 20070085204 A KR20070085204 A KR 20070085204A KR 100908917 B1 KR100908917 B1 KR 10090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xhaust
outside air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437A (ko
Inventor
용영수
Original Assignee
(주)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하 filed Critical (주)은하
Priority to KR102007008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9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는 가스렌지 측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풍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기풍흡입쳄버와, 배기풍흡입쳄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외기유입쳄버 및 외기배출쳄버와, 외기유입쳄버와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배기풍흡입쳄버의 하부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기풍을 배기풍흡입쳄버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튜브와, 외기유입쳄버와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가열통로부를 가진 열교환기와; 외기유입쳄버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외기유입쳄버로부터 바이패스통로부로의 외기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유니트와, 배기풍흡입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풍을 실외로 배출하는 제 1송풍유니트와, 외기배출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제 2송풍유니트와,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필터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에 의하면 하나의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을 분할하여 각각의 쳄버를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면서도 가스렌지의 폐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가스렌지, 폐열, 열교환기

Description

가스렌지 후드조립체{Hood assembly of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가정의 주방에는 조리기구용 가스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물 또는 기름 증기, 연소기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등이 배출된다. 특히, 호텔이나 레스토랑, 튀김요리, 꼬치요리, 특히 유지(油脂)를 포함한 증기나 진애(塵埃)를 갖는 배기풍이 발생하는 음식점 등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배기풍이 발생되므로 가스렌지의 상부에는 배기풍을 배출하기 위한 렌지후드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 렌지후드 조립체는 옥외로 설치되는 배기덕트와 연결되며 하방으로 확개된 후드 하우징과, 후드 하우징과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후드 하우징에 설치되어 배기풍으로부터 유지 분이나 진애가 혼합된 타르 형상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그리스필터나 그리스 세퍼레이터 등의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렌지 후드 조립체는 후드 하우징이 단순히 확개 된 구성을 가지고 있으 므로 송풍기의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배기풍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33065호에는 배기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정화장치는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와, 필터를 세정액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을 위하여 필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11951호에는 상하부 배기방식 렌지후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양 흡입형 가스렌지후드가 특허 공개 제 2005-0318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0497863호에는 주방용 와류식 환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개시된 렌지후드 또는 와류식 환기장치는 주방에서 가스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기름 등을 포함하는 증기, 배기가스 등과 같은 배기풍을 단순히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장치는 동절기에 가열된 실내공기와 함께 배출되므로 실내의 난방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렌지로부터 발생된 열이 렌지후드를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게 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심하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414704호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를 고안한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가스렌지 후드조립체를 더욱 개선하여 구조가 간단한 가스렌지후드 조립체를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음식물을 조리한 후의 폐열을 회수하여 외기를 가열할 수 있는 가스렌지후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는 가스렌지 측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풍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기풍흡입쳄버와,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외기유입쳄버 및 외기배출쳄버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하부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기풍을 상기 배기풍흡입쳄버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튜브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상기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가열통로부를 가진 열교환기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쳄버로부터 상기 바이패스통로부로의 외기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유니트와;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풍을 실외로 배출하는 제 1송풍유니트와;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제 2송풍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필터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유니트는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상기 바이패스통로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로에 회 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제 1송풍유니트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는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1다공판과,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댐퍼유니트의 하부에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2다공판과,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제 2송풍유니트의 하부에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3다공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다공판 및 제 2다공판과 제3다공판에는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에 의하면 하나의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을 분할하여 각각의 쳄버를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은 가스렌지후드 조립체을 제공한다.
또한, 오염된 내기를 배출하고 외기를 유입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렌지의 폐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동절기에 실내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스렌지의 후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는 가스렌지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포함한 증기, 연기, 냄새, 가스렌지의 배기가스 등의 배기풍을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외기를 가스렌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하거나 외기를 가스렌지가 설치된 실내에 공급하여 주위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 후드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의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에 적용되는 댐퍼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스렌지의 후드 조립체(10)는 가스렌지(5)의 상부에 위치되며 배기풍흡입쳄버(20)와 외기 유입쳄버(60) 및 외기배출쳄버(40), 바이패스통로부(90)가 형성된 하우징(15)과, 외기 유입쳄버(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 유니트(70)와, 배기풍과 외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배기풍흡입쳄버(20)의 내부에는 배기풍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제 1송풍유니트(35)가 설치되고, 외기배출쳄버(40)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송풍기 유니트(55)가 설치되고, 하우징(15)의 저면에는 배기풍흡입쳄버(20)로 흡입되는 배기풍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 유니트(12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스렌지의 후드 조립체(10)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20)은 가스렌지(5)의 상부의 선반(7)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5)의 내부는 구획격벽(16,17,18)에 의해 가스렌지(5)로부터 발생하는 배기풍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풍흡입쳄버(20)와, 실외의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쳄버(60)와, 외기유입쳄버(60)와 연통되어 외기를 배출하는 외기배출쳄버(40)와, 유입된 외기가 열교환기를 거치지않고 외기배출쳄버(40)로 유통되는 바이패스통로부(90)로 구획된다.
배기풍흡입쳄버(20)는 하우징(15)의 중앙에 설치되어 좌우측에 위치한 외기유입쳄버(60) 및 외기배출쳄버(40)와 폐쇄된 배기풍흡입통로가 형성된다. 배기풍흡입쳄버(20)의 하부에는 제 1다공판(23)이 설치되고, 제 1다공판(23)의 하부에는 열교환기(100)가 열교환기장착부(30)에 장착된다.
제 1다공판에는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 1송풍유니트에서 배기풍을 흡입하는 경우 제 1송풍유니트의 입구측이 위치하는 다공판의 중앙은 흡입력이 세게 작용하는 한편 입구측이 주변인 다공판의 가장자리는 흡입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다공판의 중앙보다는 가장자리의 다공판에 통공을 더 밀집하게 형성하여 흡입력이 균일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 1송풍유니트의 다공판의 중앙에는 통공을 작게 형성하고 다공판의 가장자리에는 통공을 크게 형성하여 흡입력을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풍흡입쳄버(20)의 우측에 위치한 외기유입쳄버(60)의 하부에는 제 2다공판(63)이 설치되고, 제 2다공판(63)의 하부에는 제 1연결통로부(70)가 형 성되고, 배기풍흡입쳄버(20)의 좌측에 위치하는 외기배출쳄버(40)의 하부에는 제 3다공판(43)이 설치되고 제 3다공판(43)의 하부에는 제 2연결통로부(50)가 형성된다.
제 2 및 제 3 다공판은 제 2송풍유니트의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제 1다공판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통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공판의 중앙보다는 다공판의 가장자리에 통공을 더 밀집하게 형성하여 흡입력이 균일하도록 한다.
배기풍흡입쳄버(20)의 열교환기장착부(30)와 외기유입쳄버(60)의 제 1연결통로부(70)와 외기배출쳄버(40)의 제 2연결통로부(50)는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배기풍흡입쳄버(20)의 상부에는 제 1송풍유니트(35)가 설치되어 배기풍을 흡입하여 하우징(15)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풍배출구(37)를 통해 배출한다. 그리고 외기배출쳄버(40)의 상부에는 제 2송풍유니트(55)가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여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외기 배출구(57)를 통해 실내로 배출한다.
제 1 및 제 2송풍 유니트(35)(55)는 시로코 팬이 이용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기풍배출구(37)와 외기 배출구(57)에는 덕트에 의해 연결된다. 덕트는 플랙시블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기유입쳄버(60)와 외기배출쳄버(40)의 후면에는 바이패스통로부(90)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연통공(65)(45)이 형성된다.
외기유입쳄버(60)의 외기유입통로에는 바이패스통로부(90)로의 외기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유니트(70)가 설치된다.
댐퍼 유니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적어도 제 1, 2 배출구(73)(74)를 가지는 댐퍼하우징(71)과, 댐퍼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76)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단속하는 분기드럼(75)과, 댐퍼하우징(71)에 설치되어 분기드럼(75)을 정역회전시키는 제 1모터(79)를 구비한다. 제 1배출구(74)는 제 1연통공(65)과 연결되어 바이패스통로부(90)와 연통되고 제 2배출구(73)는 외기유입쳄버(60)와 연통된다.
따라서 분기드럼(75)이 제 1모터(79)에 의해 회전하여 분기드럼(71)의 공급구(78)가 제 1배출구(74)와 연통되게 위치하면 외기는 바이패스통로부(80)로 유통되고 분기드럼(75)의 공급구(78)가 제 2배출구(73)와 연통되게 위치하면 외기는 외기유입통로에서 제 2다공판(63)을 거쳐 제 1연결부(70)를 통해 열교환기장착부(30)로 유통된다.
댐퍼 유니트(70)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외기를 바이패스 통로부(80)로 유통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댐퍼유니트(17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외기유입쳄버(60)의 하우징(15)에 제 1연통공(65)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외기유입쳄버(60)와 바이패스통로부(90)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진 몸체(171)와, 몸체(171)의 통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71)의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175)과, 몸체(171)에 설치되어 회전판(175)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가진다. 액츄에이터는 몸체(171)의 외측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하우징(179) 내부에 설치된다. 액츄에이터로 모터 등을 이용한다. 따라서 몸체(171)의 통로를 폐쇄하는 회전판(175)에 의해 외기가 바이패스통로부(90)로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기를 바이패스통로부(90)로 유통시기키 위해서는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회전판(175)을 회전시켜 몸체(171)의 통로를 개방하면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유로가 짧고 외기의 흐름저항이 작은 바이패스통로부(90)로 외기가 유통되게 된다.
그리고 외기유입쳄버(60)의 외기유입구에는 댐퍼유니트(70)의 댐퍼하우징(71)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 2필터유니트(80)가 설치된다. 제 2필터유니트(80)는 필터 케이스(83)와, 필터케이스(85)에 내장되는 제 2필터(85)를 구비한다. 필터 케이스(83)의 일측면에는 제 2필터(85)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는 가스렌지(5)측으로부터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기풍의 열을 이용하여 외기유입체버(60)의 제1연결통로부(70)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열교환기(100)는 양측이 개구된 가열통로부(105)를 형성하는 본체(103)와, 본체(103)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가열통로부(105)와 구획되는 방열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107)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열통로부(105)를 통과하는 공기와 튜브(107)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튜브(107)에는 방열핀(109)이 구비된다. 본체(103)에 설치되는 튜브(107)는 배기풍량과 가열통로부(105)의 공기 저항을 감안하여 그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100)가 열교환기장착부(30)에 장착됨으로써 하 우징(15)의 하부에서 흡입되는 배기풍이 열교환기(100)의 튜브(107)를 통해 배기풍흡입쳄버(20)로 유통은 되지만 열교환기(100)의 양측에 위치한 제 1및 제 2연결통로부(70)(50)로는 유통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외기유입쳄버(60)로 유입된 외기는 댐퍼유니트(70)에 의해 외기유입통로로 유통되어 제 1연결통로부(70)를 통해 열교환기(100)의 본체(103)의 가열통로부(105)를 가로질러 외기배출쳄버(40)의 제 2연결통로부(50)로 유통된다.
이때 가열통로부(105)를 통과하는 외기는 배기풍이 통과하는 튜브(107)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기의 온도보다 일정온도 이상이 더 높은 외기가 외기 배출쳄버(4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하우징(15)의 저면에 형성된 배기풍흡입쳄버(20)의 배기풍흡입구에는 하우징(15)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필터유니트(120)가 설치된다.
제 1필터 유니트(120)는 열교환기(100) 입구 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00)의 튜브(107)로 유입되는 배기풍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망상의 제 1필터(123)와 제 1필터(123)를 지지하는 지지대(125)를 구비한다. 제 1필터유니트(120)는 도시된 것처럼 2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이 외에도 2개로 나누지 않고 1개로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필터(123)는 내식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필터유니트(120)는 세척 또는 교환을 위해 하우징(15)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일측이 힌지 연결되거나 자석에 의해 하우징(15)과 결 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15)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필터유니트(120)의 일측에는 손잡이(127)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5)의 하면의 일측에는 가스렌지(5)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130)이 1개 또는 2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5)의 하부의 전면에는 조명등(130)과 송풍유니트(35,55)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140)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의 작용을 도 6의 댐퍼유니트를 적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를 난방하는 동절기에 가스렌지(5)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시 연기, 기름을 포함하는 증기, 냄새 등의 배기풍을 배기하기 위하여 후드 조립체(1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댐퍼 유니트(170)를 조작하여 몸체(171)의 회전판(175)이 몸체(171)의 통로를 차단하여 제 1연통공(65)으로 외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 2 송풍유니트(35)(55)가 구동되면, 가스렌지(5)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된 배기풍은 하우징(15)의 저면에 설치된 제 1필터유니트(120)를 통하여 유입되고, 제 1 필터유니트(120)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 된 후 열교환기(100)의 튜브(107)와 제 1송풍 유니트(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2송풍기 유니트(55)가 구동됨에 따라 제 2필터유니트(80)를 통하여 외기가 외기유입쳄버(60)의 외기유입통로로 유입된다. 유입된 외기는 가스렌지(5)의 폐열과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열교환기(100)의 가열통로부(105)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는 제 2송풍유니트(55)를 통하여 실내로 공 급되어 내부를 난방하게 된다.
한편, 하절기와 같이 유입되는 외기의 가열이 불필요한 경우 댐퍼유니트(170)의 회전판(175)을 90도 회전시켜 몸체(171)의 통로를 개방시키면 유입된 외기는 제 1연통공(65)과 바이패스통로부(90)를 거쳐 제 2송풍유니트(55)를 통하여 실내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스렌지후드조립체의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렌지 후드조립체에 적용되는 댐퍼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하우징 20: 배기풍배출쳄버
40: 외기배출쳄버 60: 외기유입쳄버
70: 댐퍼유니트 80: 제 2필터유니트
90: 바이패스통로부 100: 열교환기
120: 제 2필터유니트

Claims (3)

  1. 가스렌지 측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풍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기풍흡입쳄버와,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외기유입쳄버 및 외기배출쳄버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하부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기풍을 상기 배기풍흡입쳄버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튜브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상기 외기배출쳄버를 연결하는 가열통로부를 가진 열교환기와;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쳄버로부터 상기 바이패스통로부로의 외기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유니트와;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풍을 실외로 배출하는 제 1송풍유니트와;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제 2송풍유니트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필터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제 1송풍유니트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는 상기 배기풍흡입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1다공판과,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댐퍼유니트의 하부에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2다공판과,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제 2송풍유니트의 하부에 상기 외기배출쳄버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 3다공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다공판 및 제 2다공판과 제3다공판에는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니트는 상기 외기유입쳄버의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쳄버와 상기 바이패스통로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 후드 조립체.
  3. 삭제
KR1020070085204A 2007-08-23 2007-08-23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KR10090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04A KR100908917B1 (ko) 2007-08-23 2007-08-23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04A KR100908917B1 (ko) 2007-08-23 2007-08-23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437A KR20090020437A (ko) 2009-02-26
KR100908917B1 true KR100908917B1 (ko) 2009-07-23

Family

ID=4068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04A KR100908917B1 (ko) 2007-08-23 2007-08-23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41B1 (ko) * 2016-08-30 2017-03-30 한홍렬 가스렌지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6668A (zh) * 2018-09-29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厨房空调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04Y1 (ko) * 2005-12-26 2006-04-26 (주)은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04Y1 (ko) * 2005-12-26 2006-04-26 (주)은하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41B1 (ko) * 2016-08-30 2017-03-30 한홍렬 가스렌지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437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0965A1 (en)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CN113124479A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CN110657524B (zh) 厨房空气调节系统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20060087209A (ko) 조리기구용 배기시스템
KR100908917B1 (ko)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KR100601216B1 (ko)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주방용 후드
JP2003021356A (ja) 空気調和機
KR101001187B1 (ko) 분기체가 일체로 형성된 전열교환기
KR200414704Y1 (ko) 가스렌지 후드조립체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KR20090022639A (ko) 환기장치의 댐퍼조립체
KR20090022640A (ko) 환기장치의 케이스
KR100601217B1 (ko)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주방용 후드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102476778B1 (ko) 후드
KR100534469B1 (ko) 레인지 후드 겸용 에어컨
KR102413580B1 (ko) 공기 가열에 의한 멸균 기능을 갖는 에어컨
CN218093602U (zh) 风机组件、集成灶
KR200230268Y1 (ko) 확장부를 가진 열교환기가 장착된 급배기 겸용 레인지 후드
JP2006098041A (ja) 空気調和機
KR20080087532A (ko) 주방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