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34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349B1
KR100908349B1 KR1020070062964A KR20070062964A KR100908349B1 KR 100908349 B1 KR100908349 B1 KR 100908349B1 KR 1020070062964 A KR1020070062964 A KR 1020070062964A KR 20070062964 A KR20070062964 A KR 20070062964A KR 100908349 B1 KR100908349 B1 KR 10090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lr
ghlr
called party
wir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925A (ko
Inventor
조은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34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유선 교환기를 통하여 착신자의 이동 전화망으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유선 교환기에서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질의 메시지를 GHLR로 전송하고, GHLR에서 착신 측 HLR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착신 측 HLR의 신호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HLR에서 상기 GHLR로 접속 불가 신호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GHLR에서 유선 교환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유선 교환기에서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발신 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HLR의 장애 발생시 LM 발신 호를 GHLR 조회 단계에서부터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연결 점유 및 MSC 교환기에 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이동통신, MSC, HLR, GHLR, Land to Mobile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SENDING CALL WHEN TRUBLE HL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발신 수행시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선 교환기 105 : 게이트웨이 홈 위치 등록기(GHLR)
110 : 홈 위치 등록기(HLR) 115 : 이동교환기(MSC)
120 : 이동 단말(M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한다)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LR의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HLR은 이동통신에서의 필수 시스템으로, 핸드폰의 위치, 상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상태 정보를 요구하는 시스템에게 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즉, 유선전화와 이동통신을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인 사용자 이동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HLR은 이와 같은 기능 외에도 가입자 부가서비스 정보 등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며, 이를 요구하는 시스템에게 제공한다. 또한, HLR은 시스템 레벨의 이중화를 지원하는 구조를 기본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높은 안정성과 고 가용성을 지원한다.
이동통신은 가입자가 이동하게 되므로 가입자의 이동위치를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계속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가입자의 단말기는 수시로 해당 기지국 교환기의 HLR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고, 이를 토대로 전화가 올 경우 해당 위치 기지국에게 연락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한다.
단말기의 위치등록은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단말기는 가까운 기지국으로 무선 전화기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이라 한다)와 단말기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이하 ESN이라 한다) 메시지를 보내고, 기지국은 이 메시지를 이동교환기(MSC)로 보낸다.
이때 이동교환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MIN을 네트워크 안의 모든 MIN과 비교해 해당 단말기가 홈 교환국 위치인지 방문자 교환국 위치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HLR 은 해당 단말기의 정보를 요구하게 되는데 만일 해당 단말기가 외부에 있을 경우 이동교환기는 신호전송 포인트(STP:Signaling Transfer Point)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추적 루트)를 이용하여 그 가입자가 속해 있는 HLR로 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HLR은 이 신호를 받아 MIN과 ESN을 이용해 번호가 유효성 여부를 확인한 후 위치정보를 HLR에 등록하고 해당 단말기 정보를 외부 이동교환기로 보낸다. 이때 이동교환기에서는 이를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함으로서 가입자는 홈 위치 이외의 곳에 있는 동안 홈 이동교환기를 거칠 필요 없이 착신 대기한다.
따라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입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전화국에서는 홈 이동교환기로 연결을 수행하며, 홈 이동교환기는 HLR 에게 착신할 단말기의 위치를 묻는다. HLR 에서 만일 착신 단말기가 외부에 있을 경우 다른 이동교환기 ID 번호를 알려주고, 홈 위치에 있을 경우 바로 연결한다.
만일, 착신 단말기가 외부에 있을 경우 HLR 은 착신 단말기를 찾기 위한 임시 가입자 번호(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이하 TLDN이라 한다)를 할당해 줄 것을 외부 이동교환기에게 요청하고, 외부 이동교환기에서는 TLDN 을 HLR 로 보내주고, HLR 은 이 TLDN 번호를 홈 이동교환기로 전달하여 연결한다.
또한, 기존에 유선전화에서 발신하여 이동단말에서 수신하는(Land to Mobile, 이하 LM이라 한다) 호가 발생한 경우, 통신서비스업체(예를 들어, KT) 유선 교환기에서는 게이트웨이 홈 위치 등록기(GHLR)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질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GHLR에서는 착신 측 HLR과 이동교환기의 TLDN을 받아서 유선 교환기로 전송한다. 이후 유선 교환기에서는 수신한 TLDN을 토대로 해당 이동교환기에 호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HLR은 이동통신망내의 가입자의 MIN, ESN, 부가서비스 정보등을 저장하여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에 필요한 서비스를 하면서 교환기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착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교환기와 더불어 통신망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HLR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단말기의 위치를 찾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입자 인증이 불가능하여 연결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HLR을 통해 실시간으로 백업을 수행하다가 장애가 발생할 시, 장애가 발생한 HLR을 백업 HLR로 복구하여 정상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복구 시스템이 구축된다.
그러나 백업 HLR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백업 HLR까지도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사항을 발신측 단말기에서는 알 수 없으므로 계속된 통화 재시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발신호 처리 방식에 있어서는, 착신 측 HLR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신호점이 다운된 상태인 경우 발신을 할 수 없는 경우임에도 추가적인 발신 호 연결절차를 통하여 발신 요청 메시지가 착신 이동교환기로 전달되고, 착신 측 이동교환기에서는 다시 장애가 발생한 착신 측 HLR로 위치조회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연결이 이루어지고 착신 측 이동교환기에서의 부하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HLR의 장애 발생시 발신 호를 차단하여 불필요한 연결 및 이동교환기의 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해야 하나 현재로서는 그에 대한 별다른 방안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HLR의 장애 발생시 GHLR 조회 단계에서부터 발신 호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연결 점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발신 시 HLR의 다운 및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GHLR에서 HLR의 상태를 파악하여 유선 교환기로 전달함으로써, 유선 교환기에서 진행중인 발신 호 연결을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송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는, 유선 교환기를 통하여 착신자의 이동 전화망으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질의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홈 위치 등록기(GHL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GHLR에서 착신 측 홈 위치 등록기(HLR)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측 HLR의 신호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HLR에서 상기 GHLR로 접속 불가 신호(Access Deny Signal)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GHLR에서 상기 유선 교환기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발신 호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GHLR이 상기 착신 측 HLR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 상태정보를 통하여 상기 착신 측 HLR의 장애여부를 미리 파악한 경우, 상기 착신 측 HLR의 추가 정보 없이도, 상기 GHLR에서 상기 유선 교환망으로 접속 불가 신호(Access Deny Signal)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착신 측 HLR의 상태정보는, 상기 GHLR이 착신 측 HLR로 서브시스템 상태시험(S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측 HLR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착신 측 HLR이 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허용(SSA) 메시지와, 상기 착신 측 HLR이 비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금지(SSP)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해당 발신 호를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HLR의 장애 발생시 GHLR 조회 단계에서부터 발신 호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연결 점유를 방지하는 것이다.
즉,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발신 시에 HLR의 다운 및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GHLR에서 미리 파악해둔 HLR의 상태 정보 또는 장애가 발생한 HLR로부터 접속 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GHLR에서 유선 교환기로 전달함으로써, 유선 교환기망에서는 진행중인 발신 호 연결을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멘트를 유선전화 사용자에게 송출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유선교환기에서는 이동교환기(MSC)로 착신 이동단말의 위치를 요청하는 메시지 전송 절차를 더 이상 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동작절차를 방지하고, 장애가 발생한 HLR로 인해 일시적로 MSC가 급증할 수 있는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발신 수행시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 처리 시스템은, 유선 전화들의 발신 및 착신 호를 처리하는 유선 교환기(100)와, 망 내에서의 고정점에 위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급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는 망 내 데이터베이스 기능과 게이트 기능을 포함하는 GHLR(105)과, 착신 측 HLR(110)과 착신 측 MSC(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착신측 HLR(110)은 GHLR(105)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 통화 요청 호가 기본 호 또는 기타 호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중 호 판별기능은 가입자 상태가 유휴(IDLE) 인 경우와 부가서비스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에 기본 호로 판단하고, 착신가입자의 TLDN으로 실제 착신이 가능하고, TL(TermList)이 수신자의 자체망인 경우에도 기본 호로 판단하며, 부가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거나, 착신가입자의 TLDN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또는 3G망에 로밍된 경우에는 기타 호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호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LM 발신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유선 교환기(100)로부터 착신자의 이동단말(120)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유선 교환기(100)가 150단계에서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ationRequest Invoke : LOC[Digits])를 GHLR(105)로 전송하면, GHLR(105)에서는 해당 국번이 수용된 착신 측 HLR(110)을 찾은 후, 152단계에서 찾은 착신 측 HLR(110)로 디지트값을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전송한다. 이때, GHLR(105)의 서브시스템 번호(SSN: Subsystem Number)는, 예컨대 8(MSC)로 설정한다.
착신 측 HLR(110)에서는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수신하면 위치 요청(Local Invoke)된 신호점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인지한 후, 호 판단기준에 의해 기본 호임을 판별하고, 154단계에서 착신 측 MSC(115)로 TLDN을 얻기 위한 라우팅 요구 메시지(RTR[MIN])를 전송한다.
착신 측 MSC(115)는 156단계에서 착신 측 HLR(110)의 요청에 따라 TLDN을 할당하여 착신 측 HLR(110)로 전송하고, 착신 측 HLR(110)은 158단계에서 수신한 TLDN을 위치요구 복귀결과(LocationRequest Return Result) 메시지에 포함하여 GHLR(105)로 전송한다. 160단계에서 GHLR(105)은 수신한 TLDN을 유선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유선 교환기(100)에서는 착신측 MSC(115)로 TLDN을 포함하는 ISUP(ISDN User Par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착신측 MSC(115)에서는 수신한 ISUP 메시지에 포함된 TLDN을 토대로 착신측 이동 단말(120)로 얼러트(Alert)를 전송한다.
이에 유선 전화망과 이동 단말(120)의 호가 설정하여 서로간에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신측 HLR(204)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LM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선 전화망을 통하여 유선 교환기(200)로부터 착신자의 이동 단말(208)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유선 교환기(200)가 210단계에서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GHLR(202)로 전송하면, GHLR(202)에서는 해당 국번이 수용된 착신 측 HLR(204)을 찾은 후, 212단계에서 찾은 착신 측 HLR(204)로 디지트값을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전송한다.
착신 측 HLR(204)은 위치 요청된 신호점이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인지한 후, 호 판단기준에 의해 호를 판단한다. 착신 측 HLR(204)은 현재 착신 측 TLDN을 받을 수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이므로 기타 호로 인지한 후, 214단계에서 TL을 일반전화 교환망(PSTN)으로 하여 위치 요청에 포함된 디지트 값을 포함한 위치요구 복귀결과 메시지(loc[TL])를 GHLR(202)로 전송한다.
216단계에서 GHLR(202)은 수신한 위치요구 복귀결과 메시지(loc[TL])에 포함된 착신 측 MSC(206) ID(MSCID)에 해당하는 로밍지역코드(RAC)값을 찾아 위치요구 복귀결과 메시지(loc[TL])에 RAC 및 착신번호(Dialed Digits)를 포함하여 유선 교환기(200)로 전송하면, 유선 교환기(200)에서는 수신한 RAC나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측 MSC(206)로 호 설정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 유선 교환기(200)에서는 218단계에서 착신 측 MSC(206)로 TL을 포함하는 ISUP 메시지를 전송하고, 220단계에서 착신 측 MSC(206)는 수신한 ISUP 메시지에 포함된 TL을 토대로 착신 측 HLR(204)로 디지트가 포함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다시 전송한다.
그러나 착신 측 HLR(204)은 현재 비정상적인 상태이므로 착신 측 MSC(206)로 위치요구 실패(Fail)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발신 호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에는 디폴트 로밍지역코드(Default RAC)값을 사용하여 착신 측 MSC(206)에서 224단계의 실패 안내 멘트를 유선 교환기(200)로 송출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과 오류 및 재송요 구(Reject) 메시지 전송을 통해서 유선 교환기(200)에서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선전화망에서 LM발신을 수행하면, 350단계에서 유선 교환기(300)는 GHLR(305)로 디지트에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전송하고, 352단계에서 GHLR(305)은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착신 측 HLR(310)로 전송한다. 이때, GHLR(105)의 서브시스템 번호(SSN: Subsystem Number)는, 예컨대 8(MSC)로 설정한다.
착신 측 HLR(310)에서는 위치 요청된 신호점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임을 인지한 후, 착신 측 HLR(310)의 신호점이 다운되거나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 측 HLR(310)이 고장임을 인식하고, 354단계에서 GHLR(305)로 접속 불가 신호(Access Deny Signal)를 전송한다.
이에 356단계에서 GHLR(305)은 착신 측 HLR(310)로부터 수신한 접속 불가 신호를 위치요구 복귀결과 메시지에 포함하여 유선 교환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유선 교환기(300)에서는 착신 측 HLR(310)이 고장난 상태이므로 발신 호를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멘트를 유선 전화망으로 송출한다.
다만, 착신 측 HLR(310)이 접속 불가 신호를 GHLR(305)로 보낼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GHLR(305)에서 미리 수집한 착신 측 HLR(310)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착신 측 HLR(310)의 장애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 다.
즉, GHLR(305)과 착신 측 HLR(310)간에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태 메시지를 주고 받음으로써, 각 시스템의 동작상태 및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GHLR(305)이 착신 측 HLR(310)로 시스템의 상태를 요구하는 서브시스템 상태시험(SST: Subsystem Status Test) 메시지를 전송하면, 착신 측 HLR(310)은 현재 시스템이 정상적인 상태임을 알려주는 서브시스템 허용(SSA : SubSystem Allowed) 메시지나 현재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알려주는 서브시스템 금지(SSP : SubSystem Prohibited) 메시지와 같은 상태 응답 메시지를 GHLR(305)로 전송하게 되며, 이를 통해 GHLR(305)은 기본적인 착신 측 HLR(310)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GHLR(305)은 접속 불가 신호를 생성하여 유선 교환기(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GHLR(305)은 착신 측 HLR(310)로부터 접속 불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접속 불가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지만, 비정상적인 상태 메시지(SSP)를 기 수신한 경우에는 착신 측 HLR(310)이 비정상작동 중임을 인지하고 이를 유선 교환기(300)로 알려주어 발신 호 절차가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GHLR(305)은 장애가 발생한 후에도 착신 측 HLR(310)로 시스템의 상태를 요구하는 서브시스템 상태시험(SST: Subsystem Status T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백업 HLR 등을 통해 장애를 해소하거나 자체적인 장애 해소여부를 주기적으로 뭍게 된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동안에도 착신 측 HLR(310)로부터 별다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착신 측 HLR(310)가 계속적인 장애 발생 상태임을 인 지한다.
이후, 착신 측 HLR(310)의 장애가 해소된 상태일 경우에는 GHLR(305)의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현재 시스템이 정상적인 상태임을 알려주는 서브시스템 허용(SSA : SubSystem Allowed) 메시지를 GHLR(305)로 전송하게 된다.
또는 GHLR(305)의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 없이도, 착신 측 HLR(310)의 장애가 해소된 직후, 착신 측 HLR(310)가 자체적으로 GHLR(305)로 접속 가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LR 장애발생 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LM 발신을 수행하면, 405단계에서 유선 교환기가 GHLR로 디지트에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전송하고, 410단계에서 위치요구 요청 메시지(LOC[Digits])를 수신한 GHLR은 HLR로 디지트를 전송한다.
이후 415단계에서 HLR이 정상동작 상태이면, 420단계로 진행하여 HLR에서 수신한 호에 대해 기본 호 또는 기타 호인지 여부를 판단 한 후, 그에 따른 일반적인 LM 발신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415단계에서 HLR의 신호점이 다운되거나 장애가 발생된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425단계에서 HLR이 고장임을 인식하고, GHLR로 접속 불가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요구 복귀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430단계에서는 GHLR에서 HLR로부터 수신한 접속 불가 신호를 유선 교환 망으로 전송함으로써, 435단계에서는 HLR이 고장난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이는 불필요한 연결절차 및 MSC의 부하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유선 교환망은 발신 호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또한 유선 교환망에서는 발신을 요구한 유선 전화로 더 이상의 호 진행이 불가능하다는 안내 멘트를 송출하고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호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수신 신호들은 공통선 신호방식(CCS: Common Channel Signaling) No.7, Sigtran(Signaling Transport) 또는 MAP 메시지를 이용하며, MAP 메시지에는 위치요구(LocationRequest) 메시지, 단문메시지 요구(SMSrequest) 메시지 또는 별도로 정의된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선전화에서 이동단말로의 발신 시 HLR의 다운 및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GHLR에서 HLR의 접속 불가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 교환기로 전달함으로써, 유선 교환기에서는 진행중인 발신 호 연결을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HLR의 장애 발생시 LM 발신 호를 GHLR 조회 단계에서부터 HLR 의 장애여부를 판단하거나 인지한 후, HLR의 장애 여부를 유선 교환기로 통보함으로써, 종래의 HLR 장애발생시에도 추가적인 위치요청 절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연결 점유 및 MSC에 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유선 교환기를 통하여 착신자의 이동 전화망으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착신할 번호를 포함한 질의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홈 위치 등록기(GHL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GHLR에서 착신 측 홈 위치 등록기(HLR)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측 HLR의 신호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HLR에서 상기 GHLR로 접속 불가 신호(Access Deny Signal)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GHLR에서 상기 유선 교환기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발신 호를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GHLR이 상기 착신 측 HLR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 상태정보를 통하여 상기 착신 측 HLR의 장애여부를 미리 파악한 경우, 상기 착신 측 HLR의 추가 정보 없이도, 상기 GHLR에서 상기 유선 교환기로 접속 불가 신호(Access Deny Signal)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측 HLR의 상태정보는,
    상기 GHLR이 착신 측 HLR로 서브시스템 상태시험(S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측 HLR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GHLR에서 수신하는 과정
    을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착신 측 HLR이 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허용(SSA) 메시지와, 상기 착신 측 HLR이 비정상적인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서브시스템 금지(SSP)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유선 교환기에서 해당 발신 호를 종료하고, 이에 대한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송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 호 처리방법.
KR1020070062964A 2007-06-26 2007-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KR10090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64A KR100908349B1 (ko) 2007-06-26 2007-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64A KR100908349B1 (ko) 2007-06-26 2007-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25A KR20080113925A (ko) 2008-12-31
KR100908349B1 true KR100908349B1 (ko) 2009-07-20

Family

ID=4037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64A KR100908349B1 (ko) 2007-06-26 2007-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314A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발신 불능 안내 방송 방법
KR20020069981A (ko) * 2001-02-28 2002-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게이트웨이 위치 등록기의 리셋 메시지 스크리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314A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발신 불능 안내 방송 방법
KR20020069981A (ko) * 2001-02-28 2002-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게이트웨이 위치 등록기의 리셋 메시지 스크리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25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0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subscriber number ported from a first operator to a second operator, in particular suitable for use in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
CN101180896B (zh) 入境漫游用户呼叫控制系统
KR100297033B1 (ko)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된 이동체 가입자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35160A1 (en) Border roaming gateway
US7616953B2 (en) System and a method of realizing subscriber&#39;s foreign roaming service through the router
CN102027766B (zh) 对移动网络中的语音资源的接入进行控制的方法、系统
US6738629B1 (en) Method for flood pag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171219B2 (en) Backward update strategy for location management
WO2008000123A1 (fr) Système,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gérer une défaillance d&#39;un noeud de commutation mobile
KR20070052209A (ko) 이동통신 시스템, 호 제어 서버, 및 호 제어 방법
US7684793B2 (en) Anti-traffic redirection system
US200602914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call routing in GSM foreign mode for CDMA to GSM roaming
JP2002058074A (ja) 移動体通信網における認証失敗についてのデフォルトモードを提供する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396471B2 (en) Mobile switching centre handover
KR1009083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홈 위치 레지스터 장애 발생시 발신호 처리방법
KR101554548B1 (ko) 긴급 전화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EP1864521B1 (en) Method and apparatus by which a home network can detect and counteract visited network inbound network traffic redirection
US20060252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by which a home network can detect and counteract visited network inbound network traffic redirection
KR10093688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A2338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wireless unit at the border between geographic service areas
KR20120037596A (ko) 이종망간의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309444B1 (ko) 방문 가입자 위치 등록기의 일부 프로세서 장애시 호 착신방법
KR10029836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이동가입자의위치등록중에호착신방법
KR100827063B1 (ko) 이동 통신망에서 홈 가입자 위치 등록 데이터 베이스다운시 모바일 스위칭 센터의 제한된 인증서비스 방법 및그 장치
JP3736533B2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ページング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用いた基地局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