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851B1 - 줌 렌즈 - Google Patents

줌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851B1
KR100906851B1 KR1020070053698A KR20070053698A KR100906851B1 KR 100906851 B1 KR100906851 B1 KR 100906851B1 KR 1020070053698 A KR1020070053698 A KR 1020070053698A KR 20070053698 A KR20070053698 A KR 20070053698A KR 100906851 B1 KR100906851 B1 KR 10090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positive refractive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728A (ko
Inventor
김상조
조현국
채경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85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 G02B15/145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5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crystals, e.g. rock-salt,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줌 렌즈는 종래 줌 렌즈에 비해 광학 전장이 짧고, 반사부재를 이용한 소형,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소형기기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줌렌즈, 광학, 반사부재, 휴대폰, PDA, 전장, 소형, 광각단, 망원단.

Description

줌 렌즈 {Zoom lens}
도 1은 종래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배시의 줌 렌즈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렌즈군 200 제2렌즈군
300 제3렌즈군 400 제4렌즈군
500 제5렌즈군 600 적외선 필터
700 상면 110 제1렌즈
120 제2렌즈 130 제3렌즈
210 제4렌즈 220 제5렌즈
230 제6렌즈 310 제7렌즈
320 조리개 410 제8렌즈
420 제9렌즈 510 제10렌즈
본 발명은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나 이동통신단말기에 CCD 또는 CMOS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를 이용한 콤팩트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내장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소자는 소형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촬상소자에 구비되는 줌 렌즈에 대해서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종래 5군의 렌즈군으로 구성된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종래 줌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GR1),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GR2),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GR3),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GR4),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GR5)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줌 렌즈는 광각단(Wide mode)에서 망원단(Tele mode)으로 변배시에 각 렌즈군은 화살표 방향의 줌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변배시에 제2렌즈군(GR2)은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4렌즈군(GR4)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며 변배와 포커스 조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종래 줌 렌즈는 광학 전장이 길기 때문에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소형 단말기에 탑재하기가 곤란하며, 많은 렌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줌 렌즈에서는 프리즘을 이용한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긴 광학 전장의 길이로 인해 프리즘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줌 렌즈에 비해 광학 전장이 짧고, 소형, 박형화를 구현하여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소형기기에 장착할 수 있는 줌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줌 렌즈는 5군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줌 렌즈는 제1렌즈군(100), 제2렌즈군(200), 제3렌즈군(300), 제4렌즈군(400), 제5렌즈군(500)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5렌즈군(500)과 상면(700) 사이에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600)가 위치한다.
도 2에서 제1렌즈군(100)은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2렌즈군(200)은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3렌즈군(300)은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4렌즈군(400)은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5렌즈군(500)은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줌 렌즈는,
7.36<TTLw/Fw<8.16 (1)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100)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식 (1)에서 수치가 상한값보다 커지면 줌 렌즈의 소형, 박형화가 어려워지고, 하한값보다 작아지면 주변부의 코마수차가 커져서 상의 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줌 렌즈는 제3렌즈군(300)의 굴절력에 따라 전장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1.85<f3/Fw<2.15 (2)
(단, f3는 제3렌즈군(300)의 초점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에서 수치가 상한값보다 커지면 제3렌즈군(300)의 초점거리가 커져서 줌 렌즈를 소형화하기에 곤란한 점이 있고, 하한값보다 작아지면 제3렌즈군(300)의 초점거리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렌즈의 곡률이 작아져서 제작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줌 렌즈는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제1렌즈군(100)은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렌즈(110)는 한쪽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렌즈(110)의 상측을 향한 면은 상의 왜곡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비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렌즈(120)는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렌즈(120)는 빗변이 광경로를 90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로 되어 있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프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120)가 직각삼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줌 렌즈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3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렌즈(130)는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Vd_L3>56, Nd_L3<1.65 (3)
(단, Vd_L3는 제3렌즈(130)의 아베수, Nd_L3는 제3렌즈(130)의 굴절률임)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렌즈군(200)은 제4렌즈(210), 제5렌즈(220), 제6렌즈(23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렌즈(21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이다.
제5렌즈(220)는 양쪽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6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5렌즈(220)와 제6렌즈(230)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3렌즈군(300)은 제7렌즈(310)와 조리개(Aperture stop)(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7렌즈(310)는 양쪽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으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조리개(320)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리개(320)는 광학계에서 빛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일수록 렌즈의 중심부만 이용하게 되므로 렌즈의 수차는 작아지는 반면 초점심도는 커지게 된다.
제4렌즈군(400)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8렌즈(410),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9렌즈(42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8렌즈(410)와 제9렌즈(420)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4렌즈군(400)은 제2렌즈군(200)이 변배할 때에 상면 변동의 보정 및 수차 보정 역할을 위해 기본적으로 색수차를 만족해야 하므로,
Vd_L8>60, Vd_L9<30 (4)
(단, Vd_L8은 제8렌즈(410)의 d선에 대한 아베수, Vd_L9은 제9렌즈(420)의 d선에 대한 아베수임)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렌즈군(500)은 적어도 한쪽면이 비구면이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0렌즈(510)를 포함하며, 상면 만곡과 왜곡 수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0렌즈(510)는 플라스틱 재질 뿐만 아니라 글래스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배시의 줌 렌즈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a)는 광각단(Wide mode)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고, 도 3 (b)는 중간단(Middle mode)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고, 도 3 (c)는 망원단(Tele mode)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 (a)의 광각단에서 도 3 (c)의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제2렌즈군(200)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4렌즈군(400)이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한다. 변배시에 제1렌즈군(100), 제3렌즈군(300), 제5렌즈군(500)은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제2렌즈군(200)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변배가 수행되고, 이와 동시에 제4렌즈군(400)이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스 조정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렌즈군(100)의 제2렌즈(120)의 형태가 빗변이 광경로를 90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로 되어 있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프리즘으로 구성된 실시예이다.
도 4에서 제1렌즈(110)를 통해 들어온 빛은 제2렌즈(120)의 반사부재에 의해 90도로 반사되어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렌즈(120)의 반사부재의 빛이 반사되는 면에 알루미늄 코팅을 하여 빛이 더욱 잘 반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낸 표이다.
[표 1]
No 곡률반경 d Nd Vd
1 30.216 0.60 1.847 23.8
2** 14.193 1.03
3 무한대 6.00 1.847 23.8
4 무한대 0.20
5** 5.692 1.63 1.618 63.4
6** 45.319 0.10
7** 3.751 0.60 1.806 40.7
8** 1.762 1.35
9 -5.105 0.50 1.488 70.4
10 3.636 1.10 1.762 26.6
11 16.119 4.21
12** 3.554 0.60 1.488 70.4
13** 66.945 0.35
14 Stop 무한대 2.75
15 14.743 1.00 1.618 63.4
16 -2.850 0.50 1.847 23.8
17 -5.570 2.28
18** 213.129 0.40 1.530 55.9
19** 32.759 1.00
20 무한대 0.80 1.517 64.2
21 무한대
[표 1]에서 No는 면번호, d는 면간 거리, Nd는 d선에 대한 굴절률, Vd는 아베수를 각각 나타내고, 면번호의 **표시는 비구면 렌즈를 나타낸다. 여기서 면간 거리인 d는 도 2에 표시된 면번호간의 거리이다. 따라서, d는 각 렌즈면의 두께가 될 수도 있고, 렌즈 사이의 거리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비구면 정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40271971-pat00001
(단, z는 광학면의 정점으로부터 광축에 따른 거리,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 c는 광학면의 정점에서의 곡률, K는 코닉 계수(conic coefficient), D, E, F, G, H, I, J...는 비구면 계수임)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비구면에 대한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2]
No k D E F G H I
2 -1.010622 1.71510E-04 -2.20226E-05 7.94155E-07 -1.50382E-08 1.03313E-10
5 0.408677 1.33739E-03 -6.65672E-05 2.15480E-06 2.53785E-08 1.61310E-09
6 89.594957 1.79926E-03 -1.36401E-04 5.26159E-06 2.07390E-07 -1.93099E-08 3.88272E-10
7 -5.971402 -5.18182E-03 2.80457E-04 1.78901E-04 -3.13434E-05 1.37095E-06
8 -3.030012 2.92511E-02 -8.56820E-03 2.64472E-03 -2.84335E-04 -3.43303E-11
12 3.942438 -7.14990E-04 1.14278E-03 -4.98022E-05 1.65282E-04 -1.33095E-05
13 2505.869 1.40330E-02 1.14278E-03 -4.98022E-05 1.65282E-04 -1.33095E-05
18 12948.676 -1.76809E-02 7.22135E-03 -2.05624E-03 2.34903E-04 6.31800E-06 -1.06709E-12
19 278.650 -1.69907E-02 7.07136E-03 -1.85637E-03 1.83683E-04 4.92405E-06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단(Wid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sm), 왜곡수차(Distortion)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간단(Middl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단(Tel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의 그래프에서는 빛의 각 파장에 따른 제1실시예 데이터를 색으로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파장이 656.28[nm]인 경우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587.56[nm]인 경우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546.07[nm]인 경우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486.13[nm]인 경우는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낸 표이다.
[표 3]
No 곡률반경 d Nd Vd
1 27.563 0.60 1.847 23.78
2** 13.394 1.18
3 무한대 6.00 1.847 23.78
4 무한대 0.10
5** 6.255 1.60 1.618 63.39
6** 219.474 0.10
7** 11.113 0.60 1.618 63.39
8** 2.966 1.31
9 -5.001 0.50 1.618 63.39
10 3.054 1.15 1.834 37.3
11 14.570 4.22
12** 4.355 0.49 1.583 59.46
13** 54.115 0.34
14 Stop 무한대 2.79
15 15.816 1.00 1.618 63.39
16 -2.850 0.50 1.847 23.78
17 -5.478 2.43
18** 4.151 0.50 1.487 70.44
19** 3.669 0.80
20 무한대 0.80 1.517 64.2
21 무한대
[표 3]에서 No는 면번호, d는 면간 거리, Nd는 d선에 대한 굴절률, Vd는 아베수를 각각 나타내고, 면번호의 **표시는 비구면 렌즈를 나타낸다. 여기서 면간 거리인 d는 도 2에 표시된 면번호간의 거리이다. 따라서, d는 각 렌즈면의 두께가 될 수도 있고, 렌즈 사이의 거리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비구면 정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40271971-pat00002
(단, z는 광학면의 정점으로부터 광축에 따른 거리,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 c는 광학면의 정점에서의 곡률, K는 코닉 계수(conic coefficient), D, E, F, G, H, I, J...는 비구면 계수임)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 비구면에 대한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4]
No k D E F G H I
2 0.744542 0.257898E-03 -0.303203E-04 0.114974E-05 -0.239081E-07 1.85698E-10
Figure 112007040271971-pat00003
5
-0.417085 0.152673E-02 -0.919628E-04 0.372094E-05 -0.728029E-07 0.407940E-08
6 -6817.500 0.191979E-02 -0.147300E-03 0.643421E-05 0.584739E-07 -0.959505E-08 2.01563E-10
7 -21.548495 0.119258E-01 -0.210192E-02 0.370260E-03 -0.294962E-04 0.677925E-06
8 -1.559260 0.219273E-01 -0.517188E-03 -0.104890E-04 0.183919E-03 0.244715E-08
12 6.442244 -.100855E-02 0.649439E-03 0.140327E-03 0.834306E-04 -0.133067E-04
13 1565.667391 0.103384E-01 0.344879E-02 -0.132065E-03 0.725914E-03 0.225951E-07
18 -10.505808 0.185235E-02 0.119639E-02 -0.719212E-03 0.601311E-04 0.632127E-05 -1.66616E-10
19 0.0 -.178567E-01 0.623909E-02 -0.176190E-02 0.166503E-03 0.492623E-05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단(Wid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간단(Middl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단(Tele mode)에서의 수차그래프이며,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그래프에서는 빛의 각 파장에 따른 제2실시예 데이터를 색으로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파장이 656.28[nm]인 경우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587.56[nm]인 경우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546.07[nm]인 경우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장이 486.13[nm]인 경우는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 렌즈는 종래 줌 렌즈에 비해 렌즈의 매수가 적고, 광학 전장이 짧기 때문에 소형,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줌 렌즈는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소형기기에 탑재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1렌즈의 상측을 향한 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는 줌 렌즈.
  5.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Vd_L3>56, Nd_L3<1.65 (단, Vd_L3는 제3렌즈의 아베수, Nd_L3는 제3렌즈의 굴절률임)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6. 삭제
  7. 삭제
  8.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군은 양쪽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으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를 포함하는 줌 렌즈.
  9. 삭제
  10. 삭제
  11.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군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8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9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Vd_L8>60, Vd_L9<30 (단, Vd_L8은 제8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 Vd_L9은 제9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임)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12. 광경로를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군을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7.36<TTLw/Fw<8.16
    (단, TTL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첫번째 렌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의 조건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군은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으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0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렌즈는 플라스틱 재질인 줌 렌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렌즈는 글래스 재질인 줌 렌즈.
  15. 제4항, 제5항, 제8항 및 제11항 내지 제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1.85<f3/Fw<2.15 (단, f3는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임)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16. 제4항, 제5항, 제8항 및 제11항 내지 제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상기 제2렌즈군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렌즈군이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는 줌 렌즈.
KR1020070053698A 2007-06-01 2007-06-01 줌 렌즈 KR10090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698A KR100906851B1 (ko) 2007-06-01 2007-06-01 줌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698A KR100906851B1 (ko) 2007-06-01 2007-06-01 줌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728A KR20080105728A (ko) 2008-12-04
KR100906851B1 true KR100906851B1 (ko) 2009-07-08

Family

ID=4036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698A KR100906851B1 (ko) 2007-06-01 2007-06-01 줌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594B1 (ko) * 2010-02-01 2016-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줌 광학계
CN114296225A (zh) * 2022-01-10 2022-04-08 辽宁中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改变镜片形状的变焦镜头
KR102579947B1 (ko) 2022-05-09 2023-09-18 주식회사 한탑 언 락킹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창호용 락킹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349A (ko) * 2003-05-30 2004-12-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20060013522A (ko) * 2003-05-30 2006-02-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20060076216A (ko) * 2004-12-28 2006-07-0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JP2006317478A (ja)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変倍光学系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349A (ko) * 2003-05-30 2004-12-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20060013522A (ko) * 2003-05-30 2006-02-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20060076216A (ko) * 2004-12-28 2006-07-0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JP2006317478A (ja)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変倍光学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728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248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2083931B1 (ko) 광각 렌즈계
KR100882621B1 (ko) 줌 렌즈
KR10200498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052126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402675B1 (ko) 촬상 광학계
KR101782994B1 (ko) 소형 줌 렌즈
KR10209450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071868A (ko) 촬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20230007296A (ko) 촬상 광학계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2013241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0906851B1 (ko) 줌 렌즈
KR102268263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1724265B1 (ko) 촬영 렌즈계
KR20110007627A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561819B1 (ko) 초소형 촬상렌즈
KR101416279B1 (ko) 소형 줌렌즈
KR100882717B1 (ko) 줌 렌즈
KR20100026621A (ko) 줌 렌즈
KR10089660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