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282B1 -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282B1
KR100904282B1 KR1020070066407A KR20070066407A KR100904282B1 KR 100904282 B1 KR100904282 B1 KR 100904282B1 KR 1020070066407 A KR1020070066407 A KR 1020070066407A KR 20070066407 A KR20070066407 A KR 20070066407A KR 100904282 B1 KR100904282 B1 KR 100904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powder
liver
gro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610A (ko
Inventor
이승철
박은주
김정미
박해룡
Original Assignee
마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산시 filed Critical 마산시
Priority to KR102007006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2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55Aquatic anima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A61K35/57 - A61K35/6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간세포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분말은 손상된 간지표인 증가된 혈중 AST, ALT 및 ALP 효소활성의 감소효과가 있으며, 간세포 및 백혈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여 간세포 보호,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미더덕분말, 오만둥이분말, 간질환, AST, ALT, ALP, DNA

Description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diseases containing a powder of Styela clava or Styela plicata}
본 발명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 중요한 각종 대사작용 및 해독작용을 총괄하고 혈류량이 풍부하여 '인체의 화학공장', '제2의 심장'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산업화 시대를 사는 우리 신체는 각종 공해물질 및 유독물질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이를 해독하기 위하여 간은 끊임없이 혹사당하고 있다. 또한 과음, 흡연 등은 간 손상의 원인이 되어 간의 해독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더불어 알코올의 섭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알코올 섭취량은 2004년 성인 1인당 1일 평균 음주량이 맥 주 8병으로 1962년에 비해 6.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1 National Nutrition Survey Report in Korea. 보건복지부). 과다한 음주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지만 특히 식도암, 만성췌장염, 구강인두 후두암, 간경변 등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Lieber CS, Leo MA. 1992. Alcohol and liver. In Medical and nutritional complications of alcoholims mechanism and management ; Lieber CS, ed. Plenum Medical Book Co., Mew York. p 185; Lieber CS, Garro A, Leo MA, Mak KM, Worner T. 1986. Alcohol and cancer. Hepatology 6: 1005-1019).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활성 산소종과 같은 유리 라디칼을 생성하여 지질과산화물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간세포 파괴 및 섬유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Cederbaum AI. 1989. Introduction: Role of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alcohol toxicity. Free radical biology Med. 7: 537-539; Bjorneboe GE. 1993. Antioxidant status and alcohol-related disease. Alcohol Alcoholism 28: 111-116). 따라서 간독성을 일으키는 유발물질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보이는 물질 및 알코올 다량 섭취로 인한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의 탐색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미더덕(Styela clava)은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해양생물로서, 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양식이 시작되면서 어민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농림부 통계 연보, p.291. 1993). 그리고, 미더덕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는 해양생물로서, 특히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우리나라 소비량의 80%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독특한 맛과 향긋한 향 때문에 연중 이용되고 있으며, 4월부터 7월 사이 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 미더덕의 소비 형태는 주로 찜이나 된장찌개 등의 재료로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밖에 횟감용으로는 4 ~ 5월경에 채취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미더덕에 대한 연구는 스테롤함량(Jo YG. 1978. The sterol composition of Styela clava. Kor Fish Soc 11: 97-101), 계절에 따른 영양성분 조성의 변화(Lee KH, Park CS, Hong BI, Jung BC, Cho HS, Jea YG. 1995.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 J Korean Soc . Food Nutr 24: 268-273; Ahn SH. 2003. Extraction of glycosaminoglycans from Styela clava tunic. Biotechnol Bioproc Eng 18: 180-185) 등 주로 성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기능성 성분으로 껍질로부터 글루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을 추출한 예(Lehrer RI. 2001. Clavanins and styelins, alpha-helica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the hemocytes of Styela clava. Adv Exp Med Biol 484: 71-76)가 있고 근래 들어 미더덕 유래 용혈성 항균 펩티드에 대한 보고가 외국에서 연구되어 공지된바 있으나(Menzel LP, Lee IH, Sjostrand B, Lehrer RI. 2002. Immunolocalization of clavanins in Styela clava hemocytes. Dev Comp Immunol 26: 505-515; Lee IH, Zhao C, Nguyen T, Menzel, Waring AJ, Sherman MA, Lehrer RI. 2001. Clavaspirin, an antibacterial and haemolytic peptide from Styela clava. J Pept Res 58: 445-456; Taylor SW, Craig AG, Fischer WH, Park M, Lehrer RI. 2000. Styelin D, an extensively modified antimicrobial peptide from ascidian hemocytes. J Biol Chem 275: 38417-38426), 간세포 보호 효과에 대 한 연구 결과는 발표된 바 없다.
한편, 오만둥이 (Styela plicata)는 미더덕과 (Styelidae)의 일종으로 척색동물문의 미색동물아문, 해초강, 측성해초목에 속하는 해양생물에 속하는 주름 미더덕 또는 흰 멍게라고도 불리어 진다(Park SM, Seo HK, Lee SC. Prepara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56-1259). 오만둥이는 미더덕과 형태는 비슷하지만 입수공과 출수공이 미더덕처럼 밖으로 나와 있지 않고 다소 둥그스름하며 꼬리가 없고, 껍질표면의 돌기가 굵고 다소 옅은 빛깔을 띄고 있다. 오만둥이는 미더덕보다 향이 조금 약하며, 껍질이 부드럽고 쫄깃하여 씹는 맛이 미더덕보다 좋아 된장이나 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Park SM, Seo HK, Lee SC. Prepara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56-1259). 오만둥이에는 헤파린과 dermatan sulfate가 함유되어 항응고효능을 갖으며(Cavalcante MCM, Allodi S, Valente AP, Strausi AH, Takahashi HK, Mourao PAS, Pavao MSG. 2000. Occurrence of heparin in the invertebrate Styela plicata (Tunicata) is restricted to cell layers facing the outside environment. J Biol Chem 275: 36189-36196; Pavao MSG, Aiello KRM, Werneck CC, Silva LCF, Valente AP, Mulloy B, Colwelli NS, Tollefseni DM, Mourao PAS. 1998. Highly sulfated dermatan sulfates from ascidians. J Biol Chem 273: 27848-27857), 항균 펩티드로서 plicatamide라는 octapeptide가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Tincu JA, Menzel LP, Azimov R, Sands J, Hong T, Waring AJ, Taylor SW, Lehrer RI. 2003. Plicatamide an antimicrobial octapeptide from Styela plicata hemocytes. J Biol Chem 278: 13546-13553). 또한 오만둥이의 hemocyte는 사람의 K-562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있으며(Raftos DA Hutchinson A. 1995. Cytotoxicity reactions in the solitary tunicate Styela plicata . Developmental and comparative immunology 19: 463-471), 오만둥이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대장암 세포주의 증식억제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Kim JJ, Kim SJ, Kim SH, Park HR, Lee SC. 2006.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7-941). 그러나 오만둥이의 간세포 보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손상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물질을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해양생물자원으로부터 간 손상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찾아내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보호,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식품 첨가제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포함하는 간세포보호,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식품 첨가제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은 간 손상으로 증가한 지표인 혈장 AST, ALT 및 ALP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정상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을 정도로 거의 정상 수준으로 간기능을 회복시켰다. 또한 알코올 투여로 인한 간세포 및 백혈구세포의 DNA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간세포, 더 나아가 백혈구세포의 보호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세포 보호 및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 약조성물,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해양생물자원으로부터 간 손상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을 스크리닝하여 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놀랍게도 미더덕과 오만둥이가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투여가 랫트의 간 손상으로 활성이 증가된 혈장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 ALT(Alanine amino transferase), ALP(Alkaline phosphotase) 효소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며(도1 내지 도3), 정상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을 정도로 거의 정상 수준으로 간기능을 회복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투여는 알코올 투여로 인한 간세포의 DNA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탁월한 간세포보호효과가 있으며 (도 4 및 표6), 또한 백혈구 세포의 DNA 손상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 (도5 및 표 7)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간세포 보호 및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의 제조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건조 또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거나 또는 동결건조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분쇄과정은 건조과정의 전, 후 어느 경우나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0.01 ~ 10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90%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을 포함하는 의약조성물은 의약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5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가능한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 공한다. 본 발명의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분말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식품 또는 음료 중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에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0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건강 음료 조성물은 필수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함유하는 것 외에 사용되는 액체성분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이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 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분말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및 개선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대상의 간질환으로는 자기면역성 간질환, 약물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감염성 간질환, 선청성대사성 간질환,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경화, 지방간, 간암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더덕분발 또는 오만둥이 분말은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 DNA 손상을 줄여 주었다. 세포 내 DNA 손상은 세포의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암으로까지 발전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 분말은 암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험 재료 및 시약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미더덕(Styela clava)과 오만둥이(Styela plicata)는 경상남도 마산시 진동면 고현마을에서 구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은 체중 250 내지 270 g인 8주령의 숫컷 스프라그 다우리 (Sprague-Dawley) 랫트 40 마리를 (주) 코아텍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Lab-chaw 식이를 제공하면서 안정화시켰다.
동물사료 구성성분인 카제인, 미네랄 혼합물과 비타민 혼합물은 ICN Pharmaceuticals Inc. (Costa Mesa,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옥수수전분은 대상(주) (Seoul, Korea)에서 옥수수 기름은 제일제당 (주) (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다. 그 밖에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약들은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제품을 구입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용매 및 시약은 모두 일급 이상의 등급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미더덕과 오만둥이 동결건조 분말을 포함한 사료의 제조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구입한 직후 수돗물에 수세하여 표면에 붙어있는 염분, 및 모래를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깨끗한 물에 조심스럽게 헹구었다. 그리고, 상기 미더덕을 세 부분(전체, 살, 껍질)으로 분리하고, 각 부위별로 믹서기(Mixer MC 811C, (주) 노비타, 한국)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70℃의 심온 동결기(Upright Deep Freezer VX 530, 한국)에서 급속 동결한 후, 동결건조 기(Freeze Dryer FD 5512, (주)일신랩, 한국)로 4일 동안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27 mesh의 체로 걸러 미더덕 및 오만둥이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1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영양소함유량이다. 실험기간동안 랫트에 투여한 식이는 표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미더덕과 오만둥이 영양소 함유량 (%)
미더덕 오만둥이
단백질 41.9 42.8
지방 6.2 11
탄수화물 40.3 30.4
회분 11.6 15.8
식이조성물
대조군 (n=10)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 (n=10)
카제인 20 20 18.743 18.716
옥수수전분 55.949 55.949 54.392 54.563
슈크로즈 10 10 10 10
옥수수유 5 5 4.814 4.67
셀룰로즈 분말 4 4 4 4
비타민 혼합물a 1 1 1 1
비타민 혼합물b 3.5 3.5 3.5 3.5
바이타르산 콜린 0.25 0.25 0.25 0.25
DL-메티오닌 0.3 0.3 0.3 0.3
뷰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 0.001 0.001 0.001 0.001
오만둥이 - - 3 -
미더덕 - - - 3
100 100 100 100
a AIN-93 비타민 혼합물 (ICN Biochemicals, Cleveland, 미국)
b AIN-93 미네랄 혼합물 (ICN Biochemicals, Cleveland, 미국)
실시예 2 랫트에 대한 알코올 및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투여 방법
안정화된 상태의 랫트를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해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세 그룹의 랫트들에게 각각 표 2와 같은 조성의 식이를 6주간 섭취시켰다. 알코올 투여군에는 25%의 알코올을 음용수에 섞어 (5g/day) 투여하였고,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과 알코올+미더덕 투여군에는 25%의 알코올을 음용수에 섞어 (5g/day) 투여하면서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만둥이와 미더덕을 각각 식이 3%로 섞어 투여하였다.
랫트들은 동물실험실에서 개개의 스테인레스 케이지에서 사육하였고 모든 랫트에게 6주 동안 해당 식이를 증류수와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사료는 4℃에 보관하면서 급여하였고, 사육기간 동안 사육실의 온도는 20℃, 습도는 55%를 유지하였으며 명암은 12시간(08:00~20:00)을 주기로 자동 조절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매일 기록하였고 매 7일마다 체중을 측정한 후, 사육일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에서 나온 모든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각 군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ANOVA를 실시한 후 p <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비교분석하였다.
실시예 3 실험 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성장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랫트를 6주간 사육한 후,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성장률를 결정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군,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과 알코올+미더덕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체중증가량과 성장률은 오히려 알코올 투여군과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알코올 투여로 인한 추가 열량공급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각 군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성장률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체중 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성장률
대조군(n=10)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n=10)
체중증가량(g) 57.0 ± 2.3a 80.6 ± 6.0b 74.4 ± 5.2b 81.1± 4.2b
식이섭취량 (g/d) 12.0 ± 0.0b 11.5 ± 0.2a 11.3 ± 0.2a 11.5 ± 0.2a
성장률* (%) 13.2 ± 0.5a 19.4 ± 1.3b 18.3 ± 1.1b 19.5 ± 0.8b
*성장률 (Food efficient ratio, %) = (체중증가량/총 식이섭취량)×100
측정값은 각 군당 10마리의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같은 행에서 같은 알파벳(a, b)을 갖지 않는 값들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p<0.05).
실시예 4 장기 무게에 대한 알코올,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투여의 효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랫트를 6주간 사육한 후, 장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체중 100g 당의 장기무게를 결정하였다. 과량의 에탄올 섭취는 지방간 및 간장의 섬유화로 간이 비대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도 표 4에서와 같이 알코올 투여군에서 간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을 알콜과 함께 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체중 100g 당 간무게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장의 경우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과 비장의 무게는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 100g 당 장기 무게
대조군 (n=10)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 (n=10)
간 (g) 2.43 ± 0.02a 2.69 ± 0.05b 2.64 ± 0.04b 2.58 ± 0.05b
심장 (g) 0.34 ± 0.01ns 0.35 ± 0.01 0.33 ± 0.01 0.34 ± 0.01
신장 (g) 0.69 ± 0.02a 0.74 ± 0.02ab 0.74 ± 0.01b 0.70 ± 0.02ab
비장 (g) 0.20 ± 0.01ns 0.20 ± 0.00 0.19 ± 0.01 0.18 ± 0.01
측정값은 각 군당 10마리의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같은 행에서 같은 알파벳(a, b, ab)을 갖지 않는 값들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p<0.05). ns: 유의성 없음
실시예 5 알코올에 의한 중성 지질 함량 증가에 대한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영향
오만둥이와 미더덕의 투여가 알코올투여로 인하여 증가된 랫트의 혈장 중성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6주간 실험동물들을 사육한 후, 12시간 동안 절식 시킨 후 에테르 마취를 시키고 랫트의 복부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헤파린 처리된 시험관에 옮긴 후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분석시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중성지방 농도를 리파아제-글리세롤 포스페이트 옥시데이즈 방법(McGowan, M.W., Artiss, J.D., Strandbergh, D.R. and Zak, B. A peroxidase- 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3): 538-42 (1983))에 기초를 둔 비씨에스 진단 키트(Bioclinical system,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식이군에서 중성지방(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알코올 섭취는 혈장 중성지방 수치를 높이고 미더덕 투여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투여가 알코올을 투여한 랫트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 (n=10)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 (n=10)
트리글리세리드 (mg/dL) 57.3 ± 3.0a 76.5 ± 9.6b 81.0 ± 5.2b 64.6 ± 2.4ab
측정값은 각 군당 10마리의 래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같은 행에서 같은 알파벳(a,b, ab)을 갖지 않는 값들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p<0.05).
실시예 6 알코올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중 AST , ALT ALP 효소 활성에 대한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효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을 6주간 사육한 후, 간 손상지표인 혈장 AST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LT(Alanine amino transferase) 및 ALP (Alkaline phosphatase) 비씨에스 진단 키트 (Bioclinical system,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 내지 3).
혈장 AST, ALT 및 ALP 활성은 알코올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계속적인 알코올 투여로 간손상유발물질의 생성이 촉진되고 간 대사에 작용하여 대사이상을 초래하며 간세포손상이 증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알코올에 의해 증가한 혈장 AST, ALT 및 ALP 활성은 미더덕 투여시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정상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거의 정상 수준으로 간기능이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오만둥이 투여군도 알코올 섭취군에 비해 혈장 AST, ALT, ALP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투여는 알코올에 의해 유도되는 간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7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세포의 DNA 손상에 대한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효과
알코올의 과량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 결과로 세포 내 DNA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며 이는 세포의 돌연변이를 유발해서 암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의 DNA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comet assay 또는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분석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 섭취가 알코올로 유도된 간세포 DNA 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omet assay(Singh, P. N. McCoy, M. T., Tice R. R. and Schneider, E. L. (1988)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 Cell Res . 175, 184-191)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6주간 실험동물을 사육한 후 적출한 간 1g을 철저히 마쇄한 후, 차가운 인산완충용액이 담긴 원심분리용 튜브에 조직을 넣어 -85℃에서 보관하였다. 보관된 조직을 콜라게나제가 함유된 용액 (150units/ 1g liver)/10ml HBSS)이 담긴 플라스크에 옮겨 37℃ shaking incubator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40G 의 속도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만 취해서 700G에서 다시 한번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바닥에 모인 세포를 취해 75 ㎕의 0.7% low melting agarose gel(LMA)과 섞은 후, 1.0% normal melting agarose(NMA)가 미리 코팅된 normal slide 위로 세포 현탁액과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고, 여기에 커버글라스를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Gel 이 굳으면 커버글라스를 벗기고 그 위에 다시 0.7% LMA 용액 75 ㎕로 한겹 더 덮어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슬라이드의 젤이 다 굳으면 미리 준비해 둔 차가운 alkali lysis buffer(2.5 M NaCl, 100 mM Na2EDTA, 10 mM tris)에 사용 직전에 1% Triton X-100을 섞은 후 슬라이드를 담가 저온,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침지시켜 DNA의 이중가닥을 풀어주었다. Lysis가 끝난 후, 슬라이드를 전기영동 탱크에 배열하고 4℃의 차가운 전기영동 완충액(300 mM NaOH, 10 mM Na2EDTA, pH>13)를 채워 40분 동안 unwinding 시켜 DNA의 alkali labile sites가 드러나게 한 후 25 V/300±3 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빛에 의해 DNA가 부가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의 과정은 전기영동 탱크를 어두운 천으로 덮은 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0.4 M Tris buffer(pH 7.4)에 10분씩 담가 세척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슬라이드를 건조시켰다. 20 ㎍/㎖ 농도의 ethidium bromide로 핵을 염색한 후 커버글라스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Germany)상에서 관찰하였다. CCD 카메라 (Nikon, Japan)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이미지는 Komet 5.0 comet image analyzing system(Kinetic Imaging, UK)이 설치된 컴퓨터 상에서 분석하였다. DNA 손상 및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 Tail DNA)과 핵과 꼬리사이의 거리(Tail Length) 및 Tail DNA와 Tail Length의 곱의 값인 Tail Moment 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SE)를 구하고 각 물질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여 F 값을 구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유의성 차이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5%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세포의 DNA 손상은 알코올 단독 투여군에 비해 오만둥이와 미더덕을 병합 투여한 군에서 % tail DNA가 각각 44, 40%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DNA 손상도를 나타내는 다른 지표인 tail moment와 tail length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표 6).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투여가 알코올 투여에 의한 랫트 간장세포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n=10)
Tail Moment 17.9 ± 2.8b 6.2 ± 0.4a 6.7 ± 0.9a
Tail Length (μm) 102.0 ± 10.0b 76.4 ±1.7a 73.5 ± 3.0a
측정값은 각 군당 10마리의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같은 행에서 같은 알파벳(a, b)을 갖지 않는 값들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오만둥이와 미더덕 분말은 알코올과 병합 투여한 경우 알코올 단독 투여에 의한 간세포의 DNA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알코올 투여에 의한 백혈구 세포의 DNA 손상에 대한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효과
알코올의 과량섭취는 간 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에서도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백혈구의 DNA 손상에 대한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을 6주간 사육한 후, 해부당일 채취한 전혈 5㎕를 취해 75 ㎕의 0.7% low melting agarose gel(LMA)과 섞은 후, 1.0% normal melting agarose(NMA)가 미리 코팅된 normal slide 위로 세포 현탁액과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고, 여기에 커버글라스를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Gel 이 굳으면 커버글라스를 벗기고 그 위에 다시 0.7% LMA 용액 75 ㎕로 한겹 더 덮어 슬라이드를 제작하고,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DNA 손상도 실험을 하였다.
알코올 및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 분말을 6주간 투여 후 백혈구 DNA 손상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알코올과 오만둥이, 알코올과 미더덕을 병합 투여한 군에서 백혈구 DNA 손상도 (% tail DNA)가 각각 55, 56%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DNA 손상도를 나타내는 다른 지표인 tail moment와 tail length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표 7).
오만둥이 또는 미더덕의 투여가 알코올 투여에 의한 랫트 백혈구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투여군 (n=10) 알코올+오만둥이 투여군 (n=10) 알코올+미더덕 투여군 (n=10)
Tail Moment 6.4 ± 2.0b 1.5 ± 0.4a 1.4 ± 0.1a
Tail Length (μm) 35.6 ± 6.8b 21.9 ± 3.5a 23.1 ± 0.9a
측정값은 각 군당 10마리의 래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같은 행에서 같은 알파벳(a, b)을 갖지 않는 값들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오만둥이와 미더덕 분말은 알코올과 병합 투여한 경우 알코올 단독 투여에 의한 백혈구세포의 DNA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산제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mg
옥수수전분 100mg / 유 당 100mg /탈 크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 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정제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mg
옥수수전분 100mg / 유 당 100mg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캡슐제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mg
유 당 50mg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젤라틴 캡슐제에 충진하여 제조한다.
4. 액제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mg
이성화당 10g / 서 당 10g / 레몬향 적량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고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5. 건강 식품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 비타민 B2 0.15 ㎎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 비타민 C 10 ㎎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 엽산 50 ㎍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 황산제1철 1.75 ㎎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 제1인산칼륨 15 ㎎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 탄산칼슘 100 ㎎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6. 건강 음료의 제조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 1000 ㎎
구연산 1000 ㎎ / 올리고당 100 g / 매실농축액 2 g /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배합한 각종 식품류 및 음료류를 제조함으로서 간기능 보호, 간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알코올투여군, 알코올과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병행투여군에서의 랫트의 혈장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 효소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알코올투여군, 알코올과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병행투여군에서의 랫트의 혈장 ALT(Alanine amino transferase) 효소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알코올투여군, 알코올과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병행투여군에서의 랫트의 혈장 ALP(Alkaline phosphatase) 효소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알코올투여군, 알코올과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병행투여군에서의 간세포 DNA 손상도를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알코올투여군, 알코올과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의 병행투여군에서의 백혈구 DNA 손상도를 비교한 것이다.

Claims (4)

  1.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로 인한 간조직 손상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이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경화,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의약조성물.
  3. 미더덕분말 또는 오만둥이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로 인한 간조직 손상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이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경화,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20070066407A 2007-07-03 2007-07-03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04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07A KR100904282B1 (ko) 2007-07-03 2007-07-03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07A KR100904282B1 (ko) 2007-07-03 2007-07-03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10A KR20090003610A (ko) 2009-01-12
KR100904282B1 true KR100904282B1 (ko) 2009-06-25

Family

ID=4048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407A KR100904282B1 (ko) 2007-07-03 2007-07-03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36B1 (ko) * 2011-10-14 2014-01-29 대한민국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Korean.Soc.Appl.Biol.Chem., Vol.49, No.3, pp.227-232 '미더덕 아세톤 추출물이 산화적 DNA 손상억제 및 암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10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848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188486A (ja) 体脂肪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17031121A (ja) Ampk活性化剤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WO2003006037A1 (fr) Medicaments de traitement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Park et al. Kimchi and an active component, β-sitosterol, reduce oncogenic H-Rasv12-induced DNA synthesis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3625A (ko) 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0979888B1 (ko) 우렁쉥이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04282B1 (ko) 미더덕 또는 오만둥이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2040809B1 (ko) 홍합패각 및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칼슘복합제 및 이의 용도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5969529B2 (ja) 抗炎症剤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CN102987501B (zh) 用蛹虫草、茧提取物制备保健食(疗)品之营养(液)饮料及冲剂的方法
KR10171456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493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7031120A (ja) TNF−α及びIL−6産生抑制剤及びそれを用いた筋肉炎症抑制剤
KR20180124426A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근육 성장 또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