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60B1 -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60B1
KR100904160B1 KR1020070090017A KR20070090017A KR100904160B1 KR 100904160 B1 KR100904160 B1 KR 100904160B1 KR 1020070090017 A KR1020070090017 A KR 1020070090017A KR 20070090017 A KR20070090017 A KR 20070090017A KR 100904160 B1 KR100904160 B1 KR 10090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battery
switching
switching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000A (ko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7009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1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이 배터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를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와 같은 스위치를 이용하고, 이러한 푸쉬 버튼 스위치의 선택 및 선택해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된 후에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용 교류 전원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결한다.
배터리, 방전, 보호,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otton switch)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BATTERY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배터리(Battery) 보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배터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Battery)는 통신시스템의 메인 동작 전원 또는 보조 동작 전원의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은 보통 전화국사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비이며, 여러 고객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다중화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 백본 회선에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가입자에게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DSLAM은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안정적으로 DS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DSLAM은 주요 동작 전원으로 상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 이외에도, 상용전원 공급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보조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DSLAM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해서 배터리를 구비 하게 된다. 즉, 배터리는 상용전원이 DSLAM에 인가되지 않은 상황에서 DSLAM의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 수행 시 필요한 동작 전원을 DSLAM에 공급한다.
그러나, 배터리는 DSLAM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방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러한 방전이 배터리의 최저전압 이하에서도 지속 되는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방전현상을 방지해서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보호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보호 장치는 스위치(11), 다이오드(12, 14), 스위치(15), 제어부(16) 및 메인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스위치(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On/Off) 되며, 스위칭 온(switching on) 된 경우 배터리(13)의 전원을 제어부(16)에 인가한다. 제어부(16)는 배터리(13)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15)에 인가한다. 이때, 다이오드(12)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해서, 배터리(13)의 전원에 의해 스위칭 온 상태로 되어 배터리(13)의 전원이 제어부(16)에 인가되도록 한다. 스위치(15)는 제어부(16)에서 발생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배터리(13)의 전원을 DSLAM(17)에 인가한다. 이에 DSLAM(17)은 인가된 배터리(13)의 전원에 의해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는 DSLAM(17)의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 수행이 완료되면, 스위치(11)를 스위칭 오프 시킨다. 이에 따라, DSLAM(17)에 배터리(13)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한편, 메인 전원 공급부(18)은 스위치(11)가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상용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6) 및 DSLAM(17)에 인가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보호 장치는 스위치(11)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배터리(13)의 전원을 DSLAM(17)으로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3)의 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를 수명단축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스위치(11)는 사용자의 직접 선택 동작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지속하는 스위치로서, 예를 들면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DSLAM(17)에 다시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경우, DSLAM(17)이 설치된 장소에 방문하여 스위치(11)를 직접 스위칭 온 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또한, 스위치(11)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배터리(13)의 전원을 DSLAM(17)으로의 공급을 제어하더라도, 다이오드(12)를 통해 제어부(16)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배터리(11)의 방전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용 교류 전원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결한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의 구성을 종래의 스위치와 달리하고, 이러한 스위치의 선택 및 선택해 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된 후에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장치를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어 상기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상기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배터리의 전원 인가 및 상기 제어부에 소정 레벨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통신시스템으로의 인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가 발생하기 전까지 선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배터리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와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제어부에 소정 레벨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 온/오프 되도록 연동 되어 있으며,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을 인가받은 후, 다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로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로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의 변환동작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장치는 상기 스위치부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인가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직류전원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오프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메인 전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된 메인 전원 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온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하이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하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용 교류 전원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결한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를 제안한다.
즉,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의 구성을 종래의 스위치와 달리하고, 이러한 스위치의 선택 및 선택해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된 후에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용 교류 전원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결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는, 스위치부(21), 스위칭 레귤레이터(22), 다이오드(23, 24, 25, 26), 스위치(27), 메인 전원 공급부(28) 및 제어부(29)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1)는 제1스위치(21a)와 제2스위치(21b)로 구성되며,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동시에 스위칭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연동 되어 있다. 이때,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일 수 있다.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푸쉬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각 푸쉬 버튼 스위치의 버튼을 소정 부재로 연결하여 동시에 스위칭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한다. 즉,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안 스위칭 온 되고, 선택이 해제되면 스위칭 오프 상태로 복귀하는 스위치이다. 제1스위치(21a)의 제1측 및 제2측은 각각 배터리(20) 및 저항 R1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21b)의 제1측 및 제2측은 각각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전원출력단자(Vout) 및 제어부(29)의 인터럽트 감지단자(INT)에 연결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인에이블 단자(EN), 전원입력단자(Vin) 및 전원출력단자(Vout)를 갖는다. 이때, 인에이블 단자(EN)는 저항 R1을 통해 제1스위치(21a)의 제2측에 연결되고, 전원입력단자(Vin)는 다이오드(23) 및 다이오드(24)의 캐소드(cathode) 측에 연결되고, 전원출력단자(Vout)는 제2스위치(21b)의 제1측 에 연결되고, 제어부(29)의 전원단자(V)에 연결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인에이블 단자(EN)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다이오드(23)에서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이때,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전원은 DC 15V이고, 레귤레이터 전원은 DC 3V일 수 있다.
즉,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저항 R1을 통해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에 의해 인에이블 된 후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되는 배터리(20)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소정의 메인 전원이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메인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인 전원은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의해서 상용 교류(AC) 전원의 변환동작을 통해서 발생되는 전원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메인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어부(29)에서 발생된 논리 하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다이오드(23)을 통해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을 소정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 도중에 중단된 경우일 수 있다. ,
반면,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저항 R1을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메인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배터리(20)의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29)가 활성화 된 후, 스위치부(21)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9)에서 발생된 논리 로우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제어부(29)는 전원단자(V), 전원 감지단자(PF), 제1제어단자(CNT1), 제2제어단자(CNT2) 및 인터럽트 감지단자(INT)를 갖는다. 이때, 전원단자(V)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전원출력단자(Vout)에 연결되고, 전원 감지단자(PF)는 메인 전원공급부(28)에 연결되고, 제1제어단자(CNT1)는 다이오드(26)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연결된다. 그리고, 인터럽트 감지단자(INT)는 제2스위치(21b)의 제2측에 연결된다.
제어부(29)는 메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 또는 메인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최초로 전원단자(V)에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되고(activated), 스위칭 온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27)에 인가한다. 이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가 배터리(20)의 전원에 의해 인에이블 된 후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되는 배터리(20)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 경우이다. 이에 따라, 스위치(27)은 제어부(29)에서 인가된 스위칭 온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배터리(20)의 전원이 DSLAM(30)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DSLAM(30)은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에 따라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메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는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이고, 메인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는 상용 교류(AC)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 부(28)는 메인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메인 전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9)에 제공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제어부(29)는 레귤레이터 전원이 최초로 전원단자(V)에 인가되어 활성화된 후, 인터럽트 감지단자(CNT)에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논리 로우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26)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한다. 이후, 제어부(29)는 슬립(sleep)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제어부(29)에서 인가된 로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 되어 레귤레이터 전원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다시 사용자에 의해서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의 선택이 해제되면, 배터리(20)의 전원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전원입력단자(Vin) 및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되지 않게 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디스에이블 되어 레귤레이터 전원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9)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메인 전원 공급부(28)는 상용 교류 전원을 메인 전원으로 변환하여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제공하고, 상기 메인 전원을 각각 다이오드(24) 및 DSLAM(30)에 제공한다. 이때, 다이오드(24)는 메인 전원을 정류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상기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인가된 메인 전원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상기 정류된 메인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류된 메인 전원은 DC 15V이고, 레귤레 이터 전원은 DC 3V일 수 있다. 제어부(29)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출력된 레귤레이터 전원에 따라 스위칭 오프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27)를 스위치 오프 시킨다. 이는 상용 교류 전원이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정상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배터리(20)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DSLAM(30)은 메인 전원 공급부(28)에서 인가되는 메인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한편, 메인 전원 공급부(28)는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상용 AC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전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9)에 제공한다. 제어부(29)는 메인 전원 공급부(28)에서 제공된 메인 전원 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신호를 스위치(27)에 인가한다. 스위치(27)는 제어부(29)에서 제공된 스위칭 온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배터리(20)의 전원이 DSLAM(30)에 공급되도록 한다. DSLAM(30)은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에 따라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9)는 논리 하이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26)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상기 논리 하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다이오드(23)을 통해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을 소정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하여 제어부(29)의 전원단자(V)로 인가한다. 이로써, 제어부(29)는 상용 교류 전원 이상 여부에 상관없이 동작하게 되어 DSLAM(30)이 안정적으로 운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는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상용 AC 전원이 공급된 경우와 공급되지 않은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상용 AC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스위치부(21)의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안 스위칭 온 되어 저항 R1 및 다이오드(23)를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각각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 및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인에이블 단자(EN)에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이때,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전원은 DC 15V이고, 레귤레이터 전원은 DC 3V일 수 있다.
제어부(29)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되고(activated), 스위칭 온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27)에 인가한다. 이때,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된 후부터 상기 제어부(29)에서 스위칭 온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선택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되어 스위칭 온 신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27)는 제어부(29)에서 제공된 스위칭 온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배터리(20)의 전원을 DSLAM(30)에 인가한다. DSLAM(30)은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에 따라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DSLAM(30)에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의 수행이 완료되면, 스위치부(21)의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선택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터리(20)의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스위치부(21)의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는 선택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다시 선택되면, 각각 저항 R1 및 다이오드(23)를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 및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인에이블 단자(EN)에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전원입력단자(Vin)에 인가된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제어부(29)는 인터럽트 감지단자(INT)에서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제공된 레귤레이터 전원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를 감지하고, 로우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26)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하고, 동작을 중지하는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제어부(29)가 최초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된 후에 활성화 상태에서 인터럽트 감지단자(INT)에 제공된 레귤레이터 전원의 라이징 에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제어부(29)에서 인가된 로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 되어 레귤레이터 전원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다시, 사용자에 의해서 제1스위치(21a) 및 제2스위치(21b)의 선택이 해제되면, 배터리(20)의 전원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전원입력단자(Vin) 및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되지 않게 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디스에이블 되어 레귤레 이터 전원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제어부(29)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하, 상용 교류 전원이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공급된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DSLAM(30)의 정상동작 여부 테스트 및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전원 공급부(28)에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DSLAM(30)은 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 대신에 메인 전원 공급부(28)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 전원 공급부(28)는 상용 교류 전원을 메인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인 전원을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제공하고, 변환된 메인 전원을 각각 다이오드(24) 및 DSLAM(30)에 제공한다. 다이오드(24)는 상기 변환된 메인 전원을 정류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저항 R3 및 다이오드(25)를 통해 인가된 메인 전원에 따라 인에이블 되고,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된 메인 전원을 소정 레벨의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류된 메인 전원은 DC 15V이고, 레귤레이터 전원은 DC 3V일 수 있다. 제어부(29)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22)에서 출력된 레귤레이터 전원에 따라 스위칭 오프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27)를 스위치 오프 시킨다. 따라서, DSLAM(30)은 메인 전원 공급부(28)에서 인가되는 메인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한편, 메인 전원 공급부(28)는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메인 전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9)에 제공한다. 제어부(29)는 메인 전원 공급부(28)에서 제공된 메인 전원 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신호를 스위치(27)에 인가한다. 스위치(27)는 제어부(29)에서 제공된 스위칭 온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배터리(20)의 전원이 DSLAM(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9)는 논리 하이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26)를 통해 스위칭 레귤레이터(22)의 인에이블 단자(EN)에 인가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22)는 상기 논리 하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다이오드(23)을 통해 인가된 배터리(20)의 전원을 소정 레귤레이터 전원으로 출력하여 제어부(29)의 전원단자(V)로 인가한다. 이로서, 제어부(29)는 상용 교류 전원 이상 여부에 상관없이 동작하게 되어 DSLAM(30)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보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배터리 21 : 스위치부
22 : 스위칭 레귤레이터
27 : 스위치
28 : 메인 전원 공급부
29 : 제어부

Claims (13)

  1.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인에이블 되어 상기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상기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배터리의 전원 인가 및 상기 제어부에 소정 레벨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통신시스템으로의 인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가 발생하기 전까지 선택되어 있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배터리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와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switching on/off)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제어부에 소정 레벨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사용자의 선택 지속 여부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 온/오프 되도록 연동 되어 있으며,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로 구성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을 인가 받은 후, 다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로 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로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의 변환동작을 중지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가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인가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직류전원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소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오프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 시키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메인 전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된 메인 전원 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온 시키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하이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하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KR1020070090017A 2007-09-05 2007-09-05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KR10090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17A KR100904160B1 (ko) 2007-09-05 2007-09-05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17A KR100904160B1 (ko) 2007-09-05 2007-09-05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00A KR20090025000A (ko) 2009-03-10
KR100904160B1 true KR100904160B1 (ko) 2009-06-22

Family

ID=4069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017A KR100904160B1 (ko) 2007-09-05 2007-09-05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83B1 (ko) 2011-10-14 201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29172B1 (ko) * 2014-07-07 2016-06-13 파워소프트 주식회사 자체소모전력 차단 기능이 구비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189A (ko) * 1992-09-17 1994-04-29 오가 노리오 배터리보호회로
JPH09308114A (ja) * 1996-05-14 1997-11-2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KR20050112621A (ko) * 2004-05-27 2005-12-01 주식회사 케이이씨 배터리 보호 회로
KR20070087501A (ko) * 2006-02-23 2007-08-2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보호 회로 및 전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189A (ko) * 1992-09-17 1994-04-29 오가 노리오 배터리보호회로
JPH09308114A (ja) * 1996-05-14 1997-11-2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KR20050112621A (ko) * 2004-05-27 2005-12-01 주식회사 케이이씨 배터리 보호 회로
KR20070087501A (ko) * 2006-02-23 2007-08-2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보호 회로 및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00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9807B2 (en) PD in PoE system having redundant PSE channel inputs
US10013012B2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10110129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control circuit for a power-supply unit, computer power-supply unit and method for switching a power-supply unit
US201201441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er system with at least two power supply units
JP2004134147A (ja) 点灯回路
US8904203B2 (en) Power supply assembly for a terminal having ethernet energy supply operating in plurality of operating modes under the control of logic unit with one DC/DC converter
US7944089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odule
JP2010075043A (ja) コントローラと絶縁型インターフェイスとを有する回路および電源ならびに方法
US7187563B1 (en)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mutually-isolated power sources
JP2012511199A (ja) 少なくとも2つの電源ユニット及び少なくとも1つの電力消費構成要素を有するアセンブリ、アセンブリ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US111590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lectricity according to power policy
KR100904160B1 (ko)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보호 장치
JP2011147285A (ja) 電源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JPH099310A (ja) 加入者回線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電源回路
US8237309B2 (en) Arrangement having parallel-connected DC power supply units
CN102799257A (zh) 电源保护电路
JP2014233129A (ja) 小容量電源、電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15844B2 (en)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a network termination unit of a message transmission system
US1056678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ity with a plurality of AC-DC regulators
KR101677612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7255249B2 (ja) 電源回路及び電子装置
KR100653284B1 (ko) 3상 디지털 유피에스 시스템
WO2011026270A1 (zh) 通信设备的掉电保护方法及系统、电源控制器
JPH0417520A (ja) 並列運転電源制御装置
KR20100001744U (ko) 자동 부하절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