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923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923B1
KR100903923B1 KR1020070103313A KR20070103313A KR100903923B1 KR 100903923 B1 KR100903923 B1 KR 100903923B1 KR 1020070103313 A KR1020070103313 A KR 1020070103313A KR 20070103313 A KR20070103313 A KR 20070103313A KR 100903923 B1 KR100903923 B1 KR 10090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water
dispense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8052A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923B1/en
Priority to PCT/KR2008/005355 priority patent/WO2009051346A2/en
Publication of KR2009003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용기로 취출되기 위한 물 또는 얼음의 양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입력부; 상기 버튼에 의해서 선택된 물 또는 얼음의 양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양 만큼의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enser formed in a door;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enser and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ing unit; An input unit having a button for select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to be taken out into the container; A memory unit stor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selected by the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fter the water or ice is removed by the amount selected by the user, the supporting unit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by the driving unit.

디스펜서 dispense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by supplying cold air to a storage compartment.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물통이나 아이스 메이커와 연결되는 디스펜서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펜서에는 외부에서 가압함에 의해 물이나 얼음이 배출되도록 하는 레버나 버튼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나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물이나 얼음이 배출되어 상기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ispenser connected to a bucket or an ice maker is disposed 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lever or a button for discharging water or ice by pressing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lever or the button, water or i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to extract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door.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레버나 버튼을 눌러야 디스펜서에서 물이나 얼음이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water or ice is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only when a user presses a lever or a butt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특히, 사용자가 레버나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물의 배출량이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물이 배출되는 동안 배출되는 물의 양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s determined by the time the user presses the lever or the butto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hold the container while pressing the lever, and the user must continuously check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while the water is discharged. There is discomfort.

본 실시예는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펜서에 놓인 용기가 감지되어 자동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frigerator in which a container placed in the dispenser is sensed and the amount of water or ice discharged automatically can be controlled.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용기로 물 또는 얼음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refrigerator such that after the supply of water or ice to the container is completed, the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container is pulled out.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용기로 취출되기 위한 물 또는 얼음의 양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입력부; 상기 버튼에 의해서 선택된 물 또는 얼음의 양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양 만큼의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enser formed in the door;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enser and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ing unit; An input unit having a button for select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to be taken out into the container; A memory unit stor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selected by the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fter the water or ice is removed by the amount selected by the user, the supporting unit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by the driving unit.

삭제delet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상기 용기로 공급되기 위한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 덕트; 상기 배출 덕트를 개폐시키는 밸브;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레버; 상기 용기의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취출 레버의 가압 여부 또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용기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penser is formed in the door;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enser and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water or ice to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uct; An operation lever operated by a user to take out the water or ic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weight or pressure of the container; A driving unit having a motor for driving the bea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alve, wherein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ejection lever is pressed or the container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받침부의 인출입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및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해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된다.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penser is formed in the door;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provided with a container; A driving unit having a motor for driving the bearing unit;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he bearing portion is pulled in or ou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selection button.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or ice extraction metho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That is,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manually or automatically.

그리고, 자동으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동안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고, 용기를 들고 취출되는 양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nd, if the water or ice is automatically taken out, the user has to remove the hassle of holding the container while the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hassle of having to continuously check the amount of the container is removed Can be obtained.

또한, 용기에 일정량의 물 또는 얼음이 공급된 경우, 용기가 놓여진 받침부가 자동으로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상기 용기를 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or ice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container as th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is automatically drawn ou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20)가 포함된 다. 상기 도어(20)는 힌지부(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nd a door 2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or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by a hinge (not shown). In addition, a handle 22 is formed in the door 20.

본 실시예에서 일 례로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냉장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refrigerator having a pair of doors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를 열지 않고 음식물 등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하는 홈바(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30)에는 음료수나 화장품과 같은 용품이 보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home bar 30 that allows food or the like to be taken out without opening the door 20. The home bar 30 may store articles such as drinks or cosmetics.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의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0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물탱크(200) 또는 아이스 메이커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2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00 for discharging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20. In addition, the dispenser 10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tank 200 or an ice maker.

상기 물탱크(200)와 아이스 메이커에는 외부에서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급수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상기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A water supply devi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00 and the ice maker so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cours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0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상기 디스펜서(100)와 물탱크(200) 또는 아이스 메이커는 배출덕트(21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210)에는 상기 배출덕트(210)를 개폐시키는 밸브(220)가 제공된다. The dispenser 100 and the water tank 200 or the ice maker are connected by the discharge duct 210. In addition, the discharge duct 210 is provided with a valve 2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uct 210.

도 1에는 디스펜서(100)에 물탱크(200)가 연결된 구조를 도시되어 있으나, 물탱크와 아이스 메이커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FIG. 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tank 200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100, the water tank and the ice maker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컵과 같은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 록하는 수용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0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01 to accommodate a container such as a cup. The receiving portion 101 is formed recessed in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20.

상기 수용부(101)의 상측에는 상기 냉장고(1) 및 상기 디스펜서(100)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냉장고(1)의 작동 또는 디스펜서(10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120)는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1, a display unit 110 in which operating states of the refrigerator 1 and the dispenser 100 are displayed, and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refrigerator 1 or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dispenser 100 are input. An input unit 120 is provided. In detail,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상기 다수 개의 버튼에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과,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얼음 종류 선택 버튼과, 물 또는 얼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양 조절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고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ater or ice, an ice typ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type of ice, and an amount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or ice. Of course, a button for input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refrigerato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서 상기 얼음 또는 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조작 레버(125)가 포함된다. 상기 조작 레버(125)는 상기 수용부(101)로 돌출된다. The dispenser 100 includes an operation lever 125 that allows the user to take out the ice or water by manipulation. The manipulation lever 125 protrudes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01.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125)가 가압되면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센서에서 전달된 정보에 의해 상기 밸브(220)를 개방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manipulation lever 125 is pressed, a sensor (not shown) senses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Then,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20 b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또한,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용기가 놓이는 받침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조작 레버(125)의 하방에 위치되어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과정에서 용기를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100 includes a support 130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The support 130 is positioned below the operation lever 125 to support the container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water or ice.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에는 용기를 감지하는 용기 감지부(140)가 구비된 다. 상기 용기 감지부(140)로는 무게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용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밸브(2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량의 물 또는 얼음이 자동으로 취출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for detect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may include a weight sensor or a pressure sensor.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22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or ice is automatically taken out.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레버(125)를 조작하여 원하는 양 만큼의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받침부(130)에 용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설정된 양 만큼의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ion lever 125 so that the desired amount of water or ice is taken out, or the amount of water or ice automatically se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placed on the support 130. This can be taken out.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자동으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동안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 및 용기를 들고 취출되는 양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or ice extraction metho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 hassle of having to carry and the hassle of having to constantly check the amount of the container being taken out can be obtained.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 of FIG.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130)는 구동 장치(150)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3 and 4, the support part 130 is slidably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01 by the driving device 150.

상세히, 상기 받침부(130)는, 내부에 저수 공간(134)을 형성하는 케이싱(131)과, 상기 케이싱(13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그릴부(1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132)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저수 공간(134)에 저장된다. In detail, the support part 130 is provided with a casing 131 for forming a storage space 134 therein and a grill part 132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asing 131 to allow water falling from above to pass therethrough. Included. In addition, water passing through the grill part 132 is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134.

상기 받침부(130)의 하방에는 상기 받침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받침부 구동부(150)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2)와, 상기 모터(152)의 축(154)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156)가 포함된다. Below the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driver 150 for driving the support 130. The support part driving unit 150 includes a motor 152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drive gear 156 coupled to the shaft 154 of the motor 152.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의 하측에는 상기 구동 기어(156)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13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어(156)는 피니언 기어가 사용되고, 상기 종동 기어(136)는 랙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iven gear 136 meshing with the driving gear 156 is formed below the support part 130. In this case, the drive gear 156 may be a pinion gear, and the driven gear 136 may be a rack gear.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156)는 수직 회전 운동하고, 상기 종동 기어(136)는 상기 구동 기어(156)의 수직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In addition, the drive gear 156 rotates vertically, and the driven gear 136 converts the vertical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gear 156 into a translational movement.

따라서, 상기 모터(152) 및 상기 구동 기어(156)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130)는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수용부(101)에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Therefore, the support 130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52 and the driving gear 156.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art 130 moves forward, the support part 130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100 by the receiving part 101.

여기서, 상기 받침부(13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로는 양 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may be used as the motor in order to enable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upport 130.

그리고, 상기 케이싱(131)의 양측면에는 상기 받침부(1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38)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1)를 형성하는 벽(102)에는 상기 가이드부(138)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홈(10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guide parts 138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13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ing 131, and the guide part (132) is formed on the wall 102 forming the receiving part 101. Guide grooves 103 for the insertion of 138 are formed.

상기 가이드부(138)는 상기 케이스(131)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8)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상기 수용부(101)를 형성하는 벽(102)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31)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guide part 138 is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side of the case 131. The guide portion 138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Unlike this, guide parts may be formed on the wall 102 forming the accommodation part 101, and guide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ing 131.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38)가 상기 가이드 홈(10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130)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부(1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38)가 상기 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부(130)에 놓인 용기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130)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the guide part 138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03,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130 may be stably made. In addition, since the guide portion 138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03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portion 130 is drawn out, the supporting portion 130 is formed by the w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on the supporting portion 130. )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사용자가 냉장고(1) 또는 디스펜서(100)의 작동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0)와, 상기 받침부(130)에 놓이는 용기를 감지하는 용기 감지부(140)와, 상기 조작 레버(125)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레버 조작 감지부(190)와, 상기 밸브(220)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170)와, 상기 받침부(130)를 구동시키는 받침부 구동부(150)와, 상기 밸브 구동부(170) 및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작동 또는 취출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8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120 for inputting a condi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or the dispenser 100, and the support unit 130. A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for detecting a container, a lever operation detecting unit 190 for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on lever 125 is operated, a valve driving unit 170 for driving the valve 220, and the support An operation unit input through the support unit driving unit 150 for driving the unit 130, the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driving unit 170 and the support unit driving unit 150, and the input unit 120 Alternatively, the memory unit 180 may store the extraction condition.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얼음 또는 물의 취출 여부와, 취출되는 양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얼음 또는 물이 취출 여부 및 취출되는 양은 상기 메모리부(180)에 저장된다. In detail,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take out ice or water and the amount to be taken out by using the input unit 120. In addition, whether the ice or water selected by the user is extracted and the amount of the extracted liquid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80.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는 상기 받침부(130)에 놓인 용기의 무게 또는 용기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밸브 구동부(170)를 작동시켜 상기 밸브(220)가 개방되도록 한다.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detects the w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on the support 130 or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valve driving unit 170 to open the valve 2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용기에 얼음 또는 물이 일정량 채워졌는지 판단하여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용기에 얼음 또는 물이 일정량 채워졌는지 여부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전후의 감지되는 압력 또는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ice or wat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driver 150. In detail, whether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ice or water is determined using a difference in pressure or weight sensed before and after taking out the water or ice.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기 전에는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는 용기의 무게 또는 용기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는 용기와 물 또는 얼음의 무게 또는 물 또는 얼음이 수용된 용기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된다. Before the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container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weight of the container or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container. Then, after the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weight of the container and the water or ice or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water or ice is sensed.

따라서, 취출 전후의 무게 또는 압력 차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기에 얼음 또는 물이 일정량 채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기준값은 메모리부(180)에 미리 저장되며,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the weight or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aking out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container or a certain amount of ice or water is filled.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180, and the reference value can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0.

이하에서는 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냉장고의 외측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art drawn ou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 덕트(210)에 제공되는 밸브(220)는 폐쇄된 상태에 있다(S1). 그리고, 상기 물 또는 얼음의 취출 여부 및 취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양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다. 6 and 7, the valve 220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210 is in a closed state (S1). Then, whether the water or ice is taken out and the amount of the water or ice taken out is preset by the user.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125)가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된다(S2). 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manipulation lever 125 is pressed (S2).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125)가 가압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 구동부(170)에 의해서 상기 밸브(220)가 개방된다. 그러면, 물 또는 얼음이 상기 배출 덕트(210)를 따라 배출되어 상기 용기로 공급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nipulation lever 125 is pressed, the valve 220 is opened by the valve driving unit 170. Then, water or ice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duct 210 and supplied to the container.

그리고, 물 또는 얼음이 용기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125)의 가압이 해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125)의 가압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 구동부(170)에 의해서 상기 밸브(220)는 폐쇄된다(S5). Then, while water or ice is being supplied to the container,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pressing of the manipulation lever 125 is released (S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ization of the manipulation lever 125 is released, the valve 220 is closed by the valve driving unit 170 (S5).

반면,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조작 레버(125)가 가압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용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6). 본 실시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2 that the operation lever 125 is not pressurized,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140 (S6).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pressure is sens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상세히,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는 용기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압력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 용기가 상기 받침부(130)에 놓였다고 판단된다. In detail,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detec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container is placed on the supporting unit 130 when the pressure increases rapidly in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do.

그리고, 용기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1로 복귀된다. 반면, 용기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 구동부(170)에 의해서 상기 밸브(220)가 개방된다(S7). 그러면, 물 또는 얼음이 상기 배출 덕트(210)를 따라 배출되어 상기 용기로 공급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has not been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detected, the valve 220 is opened by the valve driving unit 170 (S7). Then, water or ice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duct 210 and supplied to the container.

그리고, 물 또는 얼음이 상기 용기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는 압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압력(P2)과 물 또는 얼음의 취출전 감지된 압력(P2)의 차가 기준 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상기 제어부(160)에서 상기 밸브(220)의 개방 전후의 압력차가 기준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8). In addition, while the water or ice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the pressure is continuously sens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60 detects the pressure P2 and water or the water or ice detect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of the pressure P2 sensed before taking out the ice has reached the reference value, that is, whether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opening of the valve 220 has reached the reference value (S8).

그리고, 상기 밸브(220)의 개방 전후 압력차가 기준값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밸브 구동부(170)에 의해서 상기 밸브(220)가 폐쇄된다(S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opening of the valve 220 reaches a reference value, the valve 220 is closed by the valve driving unit 170 (S9).

그리고, 상기 밸브(220)가 폐쇄된 후에는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에 의해서 용기가 놓여진 받침부(130)가 외부로 인출된다(S10). 즉, 상기 제어부(160)에서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130)가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In addition, after the valve 220 is closed, the supporting part 130 on which the container is placed by the supporting part driving part 150 is drawn out (S10). That is,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160 to the support part driver 150, the support part 130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100 by the support part driver 150.

상세히, 상기 모터(152)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 기어(156)가 상기 모터(1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156)와 맞물린 종동 기어(136)에 의해서 회전 운동이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In detail, when the motor 15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rive gear 156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tor 152. In addition,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 translational motion by the driven gear 136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56, and the support 130 is slid out in front of the dispenser 100.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가 상기 디스펜서(100)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받침부(130)에서 용기가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1). 상세히, 상기 받침부(130)에서 용기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에서 상기 받침 부(130)에서 용기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support part 130 while the support part 130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dispenser 100 (S11). In detail, when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support 130, the pressure sensed by the container detector 140 decreases rapidly. As such,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140 decreases rapidly,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unit 130.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에서 용기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 구동부(150)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130)가 상기 디스펜서(100)로 인입된다(S12). 상세히, 상기 모터(152)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130)가 상기 디스펜서(100)로 슬라이딩 인입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supporting part 130, the supporting part 130 is introduced into the dispenser 100 by the supporting part driving part 150 (S12). In detail, the motor 152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130 is slid into the dispenser 100.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동안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고, 용기로 물 또는 얼음이 일정량 공급된 경우 받침부가 자동으로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상기 용기를 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has to remove the hassle to hold the container while the water or ice is removed, and when the water or ice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a certain amount of the support is automatically drawn out as the user is easily reminded Courage has the advantage.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받침부 구동부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drive unit for driving the support part.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 구동부(320)는 받침부(310)의 일 측방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면에는 종동 기어(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12)의 측방에서 모터(321)에 결합된 구동 기어(32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12)로는 랙 기어가 사용되고, 상기 구동 기어(324)로는 피니언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upport driver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310. In detail, a driven gear 3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310. Then, the driving gear 323 coupled to the motor 321 on the side of the driven gear 312 is connected. In addition, a rack gear may be used as the driven gear 312, and a pinion gear may be used as the driving gear 324.

여기서, 상기 받침부 구동부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 구동부는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Here, the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driving unit is an example, the base portion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it is noted th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is not limited.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받침부의 인출입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raw-out method of the support part.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410)는 회전 방식에 의해서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the support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 in and out by the rotation method.

상세히, 상기 받침부(400)의 일 측방에는 상기 받침부(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부 구동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 구동부(430)는, 모터(432)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434)가 포함된다. In detail, one side of the support 4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driver 430 for rotating the support 410. The support driver 430 includes a motor 432 and a drive gear 434 coupled to the motor.

그리고, 상기 받침부(4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 기어(434)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기어(434)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받침부(410)로 전달하는 종동 기어(42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driven gear 4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410 to be engaged with the drive gear 434 an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e gear 434 to the support part 410.

그리고, 수용부(401)를 형성하는 일 측면(402)에는 상기 종동 기어(420)가 수용되는 수용홈(4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20)가 상기 수용홈(404)에 삽입되면, 상기 종동 기어(420)와 상기 구동 기어(434)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20)의 상하면에는 상기 종동 기어(42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돌기(4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404)의 상하측에 상기 돌기(422)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groove 404 in which the driven gear 420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one side 402 of the accommodating part 401. When the driven gear 4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04, the driven gear 420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420 and the driving gear 434. A protrusion 422 is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riven gear 420 to provide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gear 420. And,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404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받침부(410)의 타측은 상기 받침부(410)가 회전 방식에 의해서 인출될 수 있도록 라운드진 면(411)이 형성된다.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410 is formed with a rounded surface 411 such that the support part 410 can be drawn out by a rotation method.

따라서, 상기 모터(432)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 기어(4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32)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종동 기어(420)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종동 기어(4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410)가 회전되어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Therefore, when the motor 4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rive gear 4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driving gear 4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riven gear 4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support part 41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420 so that the front of the dispenser is rotated. Withdrawn.

본 실시예의 사상은 상술한 설명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하기의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먼저, 상기 용기 감지부로서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외에 상기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First, the infrared sensor may be used as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in addition to a sensor for detecting weight or pressure.

그리고, 받침부 구동부로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후 병진 운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n actuator for translating back and forth without using a motor may be used as the support driver.

또한,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의 인출입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가 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부의 정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받침부가 인출되는 것을 원하는 경우 상기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부의 인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lection button for the user to select whether the withdrawal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fore,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he support part to be drawn out, the user can select the stop mode of the support part by using the selection button, and when the support part is desired to be drawn out, select the withdrawal mode of the support part by using the selection button. Can be.

또한, 제안되는 실시예에서는 용기 감지부에서 용기가 감지된 경우 물 또는 얼음이 자동으로 취출되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취출 버튼을 형성하여 취출 버튼 선택시 물 또는 얼음이 설정된 양 만큼 취출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에 용기 감지부를 구비하여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pos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ake out water or ice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otherwise water or ice is formed when the take out button is selected by forming a takeout button for taking out water or ice. It may be withdrawn by a set amount, and provided with a container detecting unit in the support por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ontainer.

이와 같은 경우 설정된 양 만큼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는 용기가 올려진 받침부가 외부로 인출되고, 용기가 제거되었음이 용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 감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인출입을 위한 용도로 용기를 감지한다. In such a case, after the water or ice is extracted by the set amount, the supporting part on which the container is lifted is taken out, and when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container is removed, the supporting part can be retracted. That is,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detects the container for the purpose of drawing out the supporting part.

또한, 제안되는 실시예에서는 받침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용기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받침부가 인입되도록 하나, 이와 달리 상기 받침부의 인출은 받침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에서 자동으로 인출되고, 상기 받침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소정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가 자동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컴퓨터 본체에 형성되는 CD 트레이의 인출입 방식이나, 오디오에 제공되는 CD 트레이의 인출입 방식 등에 적용되는 공지의 구조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oposed embodiment, the support part is drawn out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iner is re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drawn out, whereas the withdrawal of the support part is automatically withdrawn from the dispenser by the support part driv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automatically drawn out. In the drawn out state, the support part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his method is a well-known structure applied to the draw-out method of the CD tray formed in the computer main body, the draw-in method of the CD tray provided to the audio, etc.,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받침부의 인출 및 인입이 인출 버튼 또는 인입 버튼의 선택 여부에 따라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받침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가 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인입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인출된 상기 받침부가 디스펜서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입 버튼 및 인출 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나,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서보터 받침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출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suppor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withdrawal button or withdrawal button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withdrawal button, the support part may be pulled out by the support driver, and when the withdrawal button is selected, the support part may be withdrawn to the dispenser. Here,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pull-in button and the pull-out button is made manual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rawer is automatically withdrawn by the support portion by the support portion driving portion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2;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냉장고의 외측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art drawn ou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A dispenser formed in the door;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enser and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ing unit; 상기 용기로 취출되기 위한 물 또는 얼음의 양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입력부; An input unit having a button for select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to be taken out into the container; 상기 버튼에 의해서 선택된 물 또는 얼음의 양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A memory unit storing an amount of water or ice selected by the button; And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is included,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양 만큼의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외부로 인출되는 냉장고. And after the amount of water or ice selected by the user is taken out, the support part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by the driv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용기가 제거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로 인입되는 냉장고. And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that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part is introduced into the dispenser by the driving part.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A dispenser formed in the door;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enser and on which a container is placed; 상기 용기로 공급되기 위한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 덕트;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water or ice to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상기 배출 덕트를 개폐시키는 밸브;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uct;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레버; An operation lever operated by a user to take out the water or ice; 상기 용기의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weight or pressure of the container;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 및 A driving unit having a motor for driving the bearing unit; And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alve is included, 상기 취출 레버의 가압 여부 또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용기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냉장고. And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draw lever is pressed or the container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도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A dispenser formed in the door;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구비되며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부;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provided with a container; 상기 받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 A driving unit having a motor for driving the bearing unit; 상기 받침부의 인출입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및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he bearing portion is pulled in or out; And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해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selection button.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모드에는, 상기 용기에 물 또는 취출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받침부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 모드와, 상기 용기에 물 또는 취출이 완료되면, 상기 받침부가 상기 디스펜서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모드가 포함되는 냉장고. The mode includes a stop mod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stopped even after water or dispensing is completed in the container, and a withdrawal mod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drawn out of the dispenser when water or dispensing is completed in the container. Refrige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03313A 2007-10-15 2007-10-15 Refrigerator KR100903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13A KR100903923B1 (en) 2007-10-15 2007-10-15 Refrigerator
PCT/KR2008/005355 WO2009051346A2 (en) 2007-10-15 2008-09-10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13A KR100903923B1 (en) 2007-10-15 2007-10-1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52A KR20090038052A (en) 2009-04-20
KR100903923B1 true KR100903923B1 (en) 2009-06-19

Family

ID=4056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13A KR100903923B1 (en) 2007-10-15 2007-10-1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3923B1 (en)
WO (1) WO2009051346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524B1 (en) * 2010-02-03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2770280B1 (en) 2013-02-20 2016-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101080B2 (en) * 2013-08-21 2018-10-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penser with vessel identification
USD788374S1 (en) * 2015-04-17 2017-05-30 West Chester Holdings, Inc. Glove
KR102459149B1 (en) * 2015-12-15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1189298A (en) * 2020-01-19 2020-05-22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Ice wate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efrigerator
KR102375257B1 (en) * 2020-06-11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 2021-03-15 2023-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19B1 (en) * 1994-05-30 1998-04-29 배순훈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40085755A (en)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20070112971A (en)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20A (en) * 2001-03-16 2002-09-27 Fuji Electric Co Ltd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19B1 (en) * 1994-05-30 1998-04-29 배순훈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40085755A (en)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20070112971A (en)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52A (en) 2009-04-20
WO2009051346A2 (en) 2009-04-23
WO2009051346A3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923B1 (en) Refrigerator
KR101441133B1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US802518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459948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38083A (en) drawer and refrigerator with drawer
US2010017541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0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1532796B1 (en) Refrigerator
EP2187151B1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US8701436B2 (en) Pivotable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door
JPH11108550A (en) Dispenser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US8196426B2 (en) Refrigerator dispenser control technology
KR20090020951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138082A (en) drawer and refrigerator with drawer
CN112867902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8596087B2 (en) Refrigerator
CN106595167A (en) Refrigerator
EP2357436B1 (en) The refrige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JP5118698B2 (en) Refrigerator with grain storage device
KR102230228B1 (en) Refrigerator
KR20140072849A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KR102124037B1 (en) Refrigerator
KR102375257B1 (en)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Refrigerator
KR2014010409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