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356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356B1
KR100902356B1 KR1020070034284A KR20070034284A KR100902356B1 KR 100902356 B1 KR100902356 B1 KR 100902356B1 KR 1020070034284 A KR1020070034284 A KR 1020070034284A KR 20070034284 A KR20070034284 A KR 20070034284A KR 100902356 B1 KR100902356 B1 KR 10090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use
earphone
head
wi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878A (ko
Inventor
윤종열
김세인
Original Assignee
윤종열
김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열, 김세인 filed Critical 윤종열
Priority to KR102007003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재생 기기에 접속되고, 신호를 전달하는 잭; 잭과 전선으로 연결되고,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 그리고, 헤드에 구비되고, 헤드의 위치에 따라 음향 신호를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일시 정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하기 때문에 손쉽게 일시 정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EAR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이 재생 기기와 연결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주요부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재생 기기 50 : 이어폰
51 : 잭 52 : 전선
53,54 : 헤드 55 : 일시 정지 수단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에 끼워지는 동시에 음악 재생 기기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적인 일시 정지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을 재생하는 기기들이 많되, 최근 과학 기술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 등과 같은 소리 축척 매체 외에 소리 데이터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수단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기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재생 기기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해주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과 연결되는데, 재생 기기를 손쉽게 휴대하면서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귀에 손쉽게 꽂을 수 있는 이어폰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 외국어 등을 듣는 도중 휴대 전화를 받거나,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으려면, 일시적으로 이어폰을 귀에서 빼 놓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이어폰을 빼 놓은 경우에도 계속하여 음악, 외국어 등이 재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이 이미 지나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이어폰을 빼 놓기 전에 재생기의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 음악, 외국어 등을 정지시킨 다음, 이어폰을 꽂은 상태에서 다시 재생기의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 원하는 부분의 음악, 외국어 등이 재생될 수 있지만, 이어폰을 빼거나, 꽂을 때마다 재생기의 일시 정지 버튼을 수동적으로 눌러줘야 됨에 따라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생 중에 이어폰의 위치에 따라 재생 기기로 일시 정지 신호를 자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악 재생 기기에 접속되고, 신호를 전달하는 잭; 잭과 전선으로 연결되고,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 그리고, 헤드에 구비되고, 헤드의 위치에 따라 음향 신호를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일시 정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일시 정지 수단은 전선과 양단이 연결되고, 일부 구간 단절된 접지부; 그리고, 헤드의 위치에 따라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에 탈착되어 일시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를 제공한다.
또한, 일시 정지 수단은 도체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경로는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 사이에 형성되고, 도체구가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을 연결하도록 도체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경로는 링 형상의 홈이며, 안착홈은 전선과 반대방향의 외경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이 재생 기기와 연결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주요부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재생 기기(10)와 연결되되, 재생 기기(10)와 이어폰(50) 사이에는 이어폰(50)의 위치 즉, 이어폰이 귀에 빠지거나, 꽂힌 상태에 따라 일시 정지 신호를 전달하여 재생 중인 음악, 외국어 등의 음향이 일시 정지 또는 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재생 기기(10)는 MP3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면 하부에 재생 버튼(11), 속도 조절 버튼(12), 정지 버튼(13), 일시 정지 버튼(14) 등과 같은 각종 버튼이 구비되며, 전면 상부에는 각종 상태, 재생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가 구비된다.
이때, 재생 기기(10)의 일측에는 볼륨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버튼(17) 및 각종 버튼 상태를 잠금시키는 홀드 스위치(16)가 구비되며, 이어폰(50)이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물론, 재생 기기(20)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재생 기록 매체로부터 음향 신호를 추출하여 음향 신호의 재생, 정지, 일시 정지, 속도 조절 등을 조절하는 마이콤(20)이 포함된 메인 셋(Main set)을 내장한다.
특히, 이어폰(50)은 재생 기기(10)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직접 연결되는 잭(51), 잭(51)과 일단이 연결되는 동시에 일정 지점에서 분지되어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52), 전선(52)의 분지된 양단에 구비되어 음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헤드들(53,54)을 포함하되, 헤드들(53,54) 중 하나에는 헤드들(53,54)의 위치에 따라 일시 정지 신호를 재생 기기(10)로 발생시키는 일시 정지 수단(55)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일시 정지 수단(55)은 헤드들(53,54)이 귀에서 빠진 상태에서 일시 정지 신호를 전달하지만, 헤드들(53,54)이 귀에 꽂힌 상태에서 일시 정지 해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되, 두 개의 헤드(53,54) 중 하나 또는 모두에 구비되더라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일시 정지 수단(55)은 전선(52)과 연결되더라도 일부 구간 단절된 접지부(55a), 접지부(55a)의 단절된 구간에 탈착되는 도체구(55b), 도체구(55b)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경로(55c)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 경로(55c)는 헤드(53) 내측에 링 형상의 홈으로 도체구(55b)가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도체구(55b)가 이동 경로(55c)를 따라 이동되면서 도체구(55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55d)이 구비된다.
즉, 접지부(55a)는 전선(52)과 연결되어 이동 경로(55c)의 외경을 따라 배치되고, 전선(52)이 연결된 부분과 반대 방향 측에 일부 구간이 단락되게 형성되는 반면, 안착홈(55d)은 접지부(55a)의 일부 단절된 구간에 위치되도록 전선과 반대 방향 측의 이동 경로(55c)의 외경에 구비되되, 도체구(55b)가 안착홈(55d)에 안착되는 동시에 접지부(55a)의 단절된 구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전선(52)은 재생 기기(10)의 메인 셋과 헤드들(53,54) 사이에 각종 신호를 전달하되, 재생 기기(10)의 메인 셋으로부터 헤드들(53,54)로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미도시)을 비롯하여 헤드로부터 재생 기기(10)의 메인 셋으로 일시 정지 신호 또는 일시 정지 해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미도시)도 포함되며, 재생 기기(10)의 마이콤(20)은 일시 정지 신호 또는 일시 정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포트(미도시)가 구비되는 동시에 각 신호를 판별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 기기(10)를 작동시켜 음악, 외국어 등을 청취하되, 이어폰(50)을 귀에서 뺀 상태에서 일시 정지가 이루어지지만, 다시 이어폰(50)을 귀에 꽂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어폰(50)을 귀에서 뺀 경우, 헤드들(53,54)이 전선(52)에 비해 하측에 위치되고, 헤드(53) 내측에서 도체구(55b)는 자중에 의해 이동 경로(55c)를 따라 이동되면서 전선(52)이 연결된 부분과 반대 방향 측의 안착홈(55d)에 안착되면, 도체구(55b)가 접속부(55a)의 단락된 부분을 연결해 주어 일시 정지 신호가 전선(52)을 따라 전달되고, 재생 기기(10)의 마이콤(20)에서 그 시점에서 일시 정지 버튼(14)을 누른 것과 동일하게 일시 정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이어폰(50)을 다시 귀에 꽂은 경우, 헤드들(53,54)이 전선(52)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고, 헤드(53) 내측에서 도체구(55b)는 자중에 의해 안착홈(55d)에서 빠져나와 이동 경로(55c)를 따라 이동되면서 전선(52)이 연결된 부분에 위치되면, 도체구(55b)가 접속부(55a)의 단락된 부분을 연결해 주지 못하여 일시 정지 신호가 해제되고, 달리 말하면 일시 정지 해제 신호가 전선(52)을 따라 전달되고, 재생 기기(10)의 마이콤(20)에서 그 시점에서 다시 한번 일시 정지 버튼(14)을 누른 것과 같이 일시 정지 해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헤드의 움직임에 따라 일시 정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재생 도중 헤드를 귀에서 빼면, 일시 정지 신호가 발생되고, 다시 헤드를 귀에 꽂으면, 일시 정지 해제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재생 중 이어폰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지 정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별도로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주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음악 재생 기기에 접속되고, 신호를 전달하는 잭;
    상기 잭과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위치에 따라 음향 신호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일시 정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정지 수단은 전선과 양단이 연결되고, 일부 구간이 단절된 접지부; 그리고, 상기 헤드의 위치에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을 연결하여 일시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 수단은 상기 도체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도체구가 상기 접지부의 단절된 구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도체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링 형상의 홈이며,
    상기 안착홈은 전선과 반대방향의 외경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70034284A 2007-04-06 2007-04-06 이어폰 KR10090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284A KR100902356B1 (ko) 2007-04-06 2007-04-06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284A KR100902356B1 (ko) 2007-04-06 2007-04-06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78A KR20080090878A (ko) 2008-10-09
KR100902356B1 true KR100902356B1 (ko) 2009-06-12

Family

ID=4015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284A KR100902356B1 (ko) 2007-04-06 2007-04-06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195B (zh) * 2018-08-17 2021-01-19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跑步运动时耳机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77A (ko) 2001-07-26 2003-02-05 이정래 발광 회전 운동구
KR200360976Y1 (ko) * 2004-06-08 2004-09-07 정성길 감광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20050024008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이어폰 장치
KR200409763Y1 (ko) * 2005-12-15 2006-02-24 박정수 다목적 이어폰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77A (ko) 2001-07-26 2003-02-05 이정래 발광 회전 운동구
KR20050024008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이어폰 장치
KR200360976Y1 (ko) * 2004-06-08 2004-09-07 정성길 감광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200409763Y1 (ko) * 2005-12-15 2006-02-24 박정수 다목적 이어폰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195B (zh) * 2018-08-17 2021-01-19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跑步运动时耳机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78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8116B1 (en) Automated audio source control based on audio output device placement detection
US20080157991A1 (en) Remote monitor device with sensor to control multimedia playback
JP2009152666A (ja) 音響出力制御装置、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出力制御方法
KR20110125650A (ko) 헤드폰
WO1994024774A1 (en) A live voice device for cellular phones particularly operable in combination with radio receiver apparatus in motor vehicles
US20100193221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ables
KR100902356B1 (ko) 이어폰
WO2008152539A1 (en) A cable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managing cables of an audio playback apparatus
TW201424411A (zh) 整合耳機與揚聲器的電子裝置
CN208337832U (zh) 一种便于佩戴的耳机
CN209710291U (zh) 入耳式的动圈和动铁混合的耳机
KR200321430Y1 (ko) 카세트용 이어폰
US20060092773A1 (en) Media device with retractable earpiece
CN202497707U (zh) 基于蓝牙传输的游戏手柄
CN204131680U (zh) 可佩戴音乐播放机
JP2015018078A (ja) 一人カラオケ用ユニット
JP7390691B2 (ja) 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器具
KR20070070815A (ko) 전원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전원제어 방법
KR200360976Y1 (ko) 감광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200228445Y1 (ko) 이어플레이어
KR200262161Y1 (ko) 카스테레오 카세트 어뎁터
KR20024638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헬멧용 음향재생장치
CN2860015Y (zh) 一种内置音频接收装置的遥控器
CN101378598A (zh) 笔记本电脑的免携内建式耳机型喇叭装置
KR200415722Y1 (ko) 순간 음 소거기능을 갖는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