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290B1 -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290B1
KR100902290B1 KR1020060056075A KR20060056075A KR100902290B1 KR 100902290 B1 KR100902290 B1 KR 100902290B1 KR 1020060056075 A KR1020060056075 A KR 1020060056075A KR 20060056075 A KR20060056075 A KR 20060056075A KR 100902290 B1 KR100902290 B1 KR 10090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essage
routing path
routing
rr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689A (ko
Inventor
이명종
쥬후이 후
춘후이 주
용 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2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6Backward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지 노드와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소스 노드를 포함한 복수 개의 노드들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 설정을 중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중계한 노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인접 노드들로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경로 설정을 요청한 노드로 전달함으로서 라우팅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라우팅 알고리즘, 홉 카운터, 라우팅 테이블, RREQ, RREP

Description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MENT OF ROUTING PATH IN WPAN}
도 1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다른 도면,
도 3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또 다른 도면,
도 4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또 다른 도면,
도 5는 목적지 노드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개인 통신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개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소스 노드가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단말(mobile element)과 기지국(base station)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다른 노드(node)들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비해 개인통신 무선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은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서 비교적 적은 사용자간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상기 WPAN은 여러 개의 노드(node)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애드 혹(ad-hoc)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는 다른 노드들을 이용하여 수신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른 노드들을 이용한다. 물론 상기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인접하고 있다면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에서 기존의 알고리즘이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도 1의 애드 혹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노드들로 구성된다. 상기 노드들은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와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는 노드로 구분된다. 이하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를 "N+"라 하며,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은 노드를 "N-"라 한다.
이하, "N+"와 "N-"로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노드 A을 소스 노드라 하며, 노드 I를 목적지 노드라 한다. 상기 소스 노드는 라우팅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노드이며,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소스 노드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이다. 따라서, 상기 노드 A은 상기 노드 I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인접하고 있는 노드 B로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Route Request: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0). 상기 노드 B는 "N+"이므로 수신한 RREQ 메시지를 이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B는 인접하고 있는 노드 C와 노드 G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 S108). 상기 노드 C는 "N+"이므로 수신한 RREQ 메시지를 이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C은 인접하고 있는 노드 D와 노드 F으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S106).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G은 R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라우팅 경로 설정 응답(Route Reply: RREP) 메시지를 상기 노드 B로 전송한다(S128). 기존의 알고리즘에 의하면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N-"는 수신한 RREQ 메시지에 대해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N-"는 수신된 RREQ에서 요청하는 목적지 노드가 아니더라도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이유는 클러스터 트리의 특성에 의해서 경로를 찾기 않더라도 목적지 노드방향의 다음 홉 노드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노드 G이 전송한 RREP 메시지는 상기 노드 B를 거쳐 노드 A으로 전달된다(S120). 상기 RREP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노드 G은 인접하고 있는 노드 F으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일반적으로 상기 "N-"는 시스템에 설계될 당시 일정한 거리(1홉) 이내에 있는 노드들에 대한 정보들을 인지하고 있다.
상기 노드 D 역시 상기 노드 G이 수행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노드 D가 생성한 RREP 메시지는 노드 C와 노드 B를 거쳐 노드 A으로 전 달된다(S124, S122, S120). 상기 노드 C 또는 노드 G로부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F은 노드 E와 노드 H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12, S114). 상기 노드 E 역시 상기 노드 G이 수행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노드 H은 수신한 RREQ 메시지를 노드 I로 전달한다(S116).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I는 상기 노드 A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임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드 I는 상기 R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E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RREP 메시지는 상기 RREQ 메시지가 전송된 경로를 통해 상기 노드 A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노드 A과 노드 I간의 라우팅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설명에서 생략하였으나,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는 "N+"들은 수신한 RREQ 메시지를 갱신한 후 인접 노드들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N+"는 홉 카운터를 갱신한 후 인접 노드들로 전송한다. 상기 노드들에서 설정하는 라우팅 경로는 홉 카운터가 작은 경로로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A은 하나의 RREQ 메시지에 대해 4개의 RREP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N-"가 전송한 RREP 메시지는 불필요한 메시지이다.
도 2는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사용항 경우 경로루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노드 A와 노드 E간에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즉, 상기 노드A에 요청에 따라 노드 B, 노드 C, 노드 D를 경유하여 노드 E로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었다. 하지만, 상기 노드 D와 노드 E간의 무선채널이 악화되어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무선채널이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한 다. 이 경우 상기 노드 D는 노드 A로 라우팅 에러(Routing Error: RERR)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RERR 메시지는 상기 노드 D와 노드 E간의 라우팅 경로가 단절되었음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노드 D가 전송한 RERR 메시지는 노드 C, 노드 B를 거쳐 노드 A로 전달된다. 하지만 노드A와 노드 B간, 또는 노드 B와 노드C간의 무선채널이 일시적으로 악화되어 상기 RERR 메시지가 상기 노드 A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만일 노드 D가 노드 E로 보낼 새로운 패킷이 생성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상기 노드 D가 노드 E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노드 D는 노드 C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200). 상기 노드 D는 노드 E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무선채널이 단절되어 있으므로 상기 노드 E는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F는 노드 A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204). 이때 N-인 노드 A는 상기 RREQ를 수신한 즉시 이미 트리 라우트계산에 의해서 노드 B를 거쳐 목적지 노드 E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노드 F로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상기 RRE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F는 노드 C로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212).상기 RRE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C는 노드 D로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214). 이 때 상기 노드 D가 데이터 패킷을 보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경로는 노드 D→노드 C→노드 F→노드 A→노드 B→노드 C→노드D이다. 이렇게 하여 설정한 경로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또한, 불필요한 루프를 형성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도 3은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 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예 역시 기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경로루프가 생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노드 E는 노드 A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한다. 상기 노드 E는 노드 D와 노드 F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S302). 상기 노드 D는 노드 C와 노드 G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S308) . 상기 노드 F 역시 노드 G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상기 노드 G는 상기 노드 F로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상기 노드 F는 수신한 RREP를 소스 노드 E로 전달한다. 이것은 클러스터 트리를 통해 노드 F를 통해 소스노드 A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C는 노드 B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B는 상기 노드 A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12).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A는 상기 노드 E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임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드 A는 상기 R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E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RREP 메시지는 노드 B와 노드 C를 거쳐 노드 D로 전달된다(S320, S322, S324). 상기 노드 D는 전달받은 RREP 메시지를 노드 E로 전달한다(S326). 문제는 소스노드E가 수신 가능한 두 개의 RREP들(노드A, 노드 G로부터) 중 노드 G로부터 먼저 수신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 데이터 패킷은 노드 D→노드 G→노드 F→노드 D로 경로루프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순방향 경로와 역방향 경로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노드 A는 노드 E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한다. 상기 노드 A는 저장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노드 E와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노드 E와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노드 B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0). 상기 R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 B 역시 저장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노드 E와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노드 E와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노드 C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2).
상기 노드 C는 상기 노드 A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노드 A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이 아니므로 상기 노드 C는 클러스터 트리 라우터를 따라 노드 D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4). 상기 노드 D 역시 노드 A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노드 A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드가 자신이 아니므로 상기 노드 D는 노드 E로 R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상기 노드 E는 상기 노드 A가 라운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노드가 자신임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노드 E는 상기 R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E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RREP 메시지는 노드 D로 전달된다(S410). 상기 노드 D는 전달받은 RREP 메시지를 노드 F로 전달한다(S412). 상기 노드 F는 트리를 따라 소스 노드 A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순방향(Forward) 라우팅 경로와 역방향(Backward) 라우팅 경로가 달라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RREQ 메시지에 대해 복수 개의 RREP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스 노드가 설정된 라우팅 경로의 단절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로루프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방향 라우팅 경로와 동일한 역방향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목적지 노드에 대해 최소 홉 카운터를 갖는 하나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목적지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소스 노드를 포함한 복수 개의 노드들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 설정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중계한 노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인접 노드들로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을 요청한 노드로 전달하 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목적지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소스 노드를 포함한 복수 개의 노드들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접 노드로 전달하는 소스 노드;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중계한 노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받은 라우팅 경로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는 중계 노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하나의 RREQ 메시지에 대해 적어도 2개의 RREP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에서 RREP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제한하였다. 즉, 상기 "N-"는 수신한 RREQ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 노드가 자신인 경우에만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도 1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 D, 노드 E, 노드 G는 RREP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며, 노드 I만이 RRE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RREP 메시지는 노드 A으로 전송된다.
상기 도 2에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함에 있어 루프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ERR 메시지 전 송하는 대신 경로 유지(keep-alive)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는 소스 노드의 어드레스와 목적지 노드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노드 A는 소스 노드이며, 노드 E가 목적지 노드이다. 상기 노드 E는 노드 A로 경로 유지 메시지를 제1설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1설정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간의 무선채널이 불량한 경우에는 상기 제1설정시간을 짧게 설정한다. 하지만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간의 무선채널이 양호한 경우에는 상기 제1설정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상기 노드 E는 기존에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노드 E는 노드 D, 노드 C, 노드 B를 거쳐 노드 A로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노드 A는 제2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노드 B로부터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설정시간은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이는 상기 노드 E가 전송한 경로 유지 메시지가 무선채널 등의 영향으로 지연되어 상기 노드 A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노드 A는 제 2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노드 A와 노드 E간의 라우팅 경로가 정상임을 인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 2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노드 A와 노드 E간의 라우팅 경로가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드 A는 상기 노드 E로 라우팅 경로를 재설정한다. 이 경우 라우팅 경로 재설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설정한 라우팅 경로를 이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노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노드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몰론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 노드는 제1설정시간간격으로 경로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S500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목적지 노드에 관한 정보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대응하는 제 2설정시간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소스 노드는 적어도 2개의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하지만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목적지 노드로부터 경로 유지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S502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카운터를 시작한다. S504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제 2설정시간 내에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S508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경로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506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08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카운터를 리셋한 후 S502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06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목적지 노드로 라우팅 경로를 재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 설정하는 라우팅 경로를 기존에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이용한다.
상기 도 3과 도 4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N-"가 최소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원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RREQ 메시지와 RREP 메시지는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한다. 상기 RREQ 메시지는 소스 노드의 어 드레스와 RREQ 식별자(ID), 목적지 노드의 어드레스, 홉 카운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RREP 메시지는 소스 노드의 식별자와 목적지 노드의 어드레스, 홉 카운터, 라우팅 경로 상에 있는 "N+"의 개수 등이 포함된다. 상기 라우팅 경로 상에 있는 "N+"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기 〈표 1〉"N-"에서 저장하는 라우팅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소스 노드의 어드레스
목적지 노드의 어드레스
RREQ ID
Hop count
N+ count
상기 〈표 1〉을 이용하여 상기 도 3의 소스 노드E는 두 개의 RREP를 수신하게 되지만 홉 카운터가 작은 노드인 노드E→노드 D→노드 C→노드 B→노드 A를 선택하게 되어 경로 루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순방향 라우팅 경로와 역방향 라우팅 경로가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노드 A는 노드 E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고자 한다. 상기 노드 A에서 노드 E로 RREQ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 노드 E에서 노드 A로 RRE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노드 E는 상기 R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E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RREP 메시지는 노드 D로 전달된다(S410). 상기 노드 D는 저장되어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RREP에 대응하는 RREQ 메시지가 노드 C로부터 전달되었음을 인지한다. 따라서, 상기 노드 D는 노드 C로 상기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414). 상기 노드 C는 저장되어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RREP에 대응하는 RREQ 메시지가 노드 B로부터 전달되었음을 인지한다. 따라서, 상기 노드 C는 노드 B로 상기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416). 상기 노드 B는 저장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노드 A로 상기 RREP 메시지를 전송한다(S418).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에서 최소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서 순방향 라우팅 경로와 역방향 라우팅 경로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안 이외에 RREP 메시지에 보더(border)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는 방안이 있다. 상기 보더 노드는 서로 다른 트리 루트에 위치하고 있는 노드들을 연결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도 6에 의하면 상기 트리 루트는 상기 노드 F에서 노드 A까지, 노드 F에서 노드 B까지, 노드 F에서 노드 C 또는 E까지의 루트를 의미한다. 순방향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경우 노드 A, 노드 B, 노드 C는 서로 다른 트리 루트에 위치하고 있는 노드들이다. 따라서, 상기 RREP 메시지에 상기 보더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노드 E는 생성된 RREP 메시지를 노드 D로 전송하고(S410), 상기 노드 D는 전달받은 RREP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노드 C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RREP 메시지를 노드 C로 전송한다(S414). 상기 노드 C 역시 전달받은 RREP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노드 B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RREP 메시지를 노드 B로 전송한다(S416). 상기 노드 C는 저장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거나, RREP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RREP 메시지를 노드 A로 전송한다(S418). 상기 설명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RREP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는 수신한 RREP 메시지를 갱신한 후 인접 노드로 전송한다.
상기 RREP 메시지에 라우팅 경로 상의 "N+"의 개수를 포함하는 이유는 하나의 목적지 노드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라우팅 경로가 설정된 경우 "N+"가 큰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이는 "N+"가 "N-"보다 오류 발생 확률이 작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N-"이 최소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함으로서 순방향 라우팅 경로와 동일한 역방향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적지 노드에서만 RREP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복수 개의 RREP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목적지 노드는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통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스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상기 소스 노드는 설정된 라우팅 경로의 단절 여부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RREQ(Route REQuest)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RREQ 메세지의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고 상기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RREP(Route REPly)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고 상기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RREQ 메세지를 다른 다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네트워크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2. 삭제
  3.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RREQ(Route REQuest)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RREQ 메세지의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고 상기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RREQ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네트워크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라우팅 테이블을 미보유하고 있고 상기 목적지가 상기 디바이스 자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바이스는 RREP 메세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RREQ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56075A 2006-06-21 2006-06-21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KR10090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75A KR100902290B1 (ko) 2006-06-21 2006-06-21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75A KR100902290B1 (ko) 2006-06-21 2006-06-21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117A Division KR100645428B1 (ko) 2003-05-05 2004-02-26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689A KR20060089689A (ko) 2006-08-09
KR100902290B1 true KR100902290B1 (ko) 2009-06-10

Family

ID=3717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075A KR100902290B1 (ko) 2006-06-21 2006-06-21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608B1 (ko) 2018-07-18 2019-10-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메쉬 기반 라우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70A (ko) * 2002-07-26 2002-08-22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d-hoc망에서의 전력 구별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로설정 메시지 및 경로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70A (ko) * 2002-07-26 2002-08-22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d-hoc망에서의 전력 구별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로설정 메시지 및 경로 설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동 애드 흑 네트워크에서의 QoS를 지원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27, no.4C, pp.273-281, 2002년 4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689A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428B1 (ko)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3893620B2 (ja) 無線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の通信経路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
US7573858B2 (en) Ad-hoc network for transmitting packets to plural target regions and packet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0621369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4800067B2 (ja) 通信ノード及びルーティング方法
KR100611125B1 (ko)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트리구조를 이용한 최적 라우팅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US7894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oxying error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020145978A1 (en) Mrp-based hybrid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JP2006314147A (ja) 個人通信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経路設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50036486A1 (en) Route discovery in ad-hoc networks with data packets
US20080101244A1 (en) Data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7003271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주문형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을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66025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network addresses in mobile multi-hop network
JP2006211375A (ja) 無線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負荷分散方法
KR20120071953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라우팅 장치
KR1006022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816736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60121118A (ko)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KR100902290B1 (ko) 개인 통신무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방법
JP2005236764A (ja) アドホック無線ネットワークの経路確立方法および無線ノード
JP4772019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49061B1 (ko)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
KR100752929B1 (ko) 이동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탐색 방법
KR101616278B1 (ko)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그리드 기반 혼합형 라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597409B1 (ko)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