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046B1 -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046B1
KR100902046B1 KR1020070062841A KR20070062841A KR100902046B1 KR 100902046 B1 KR100902046 B1 KR 100902046B1 KR 1020070062841 A KR1020070062841 A KR 1020070062841A KR 20070062841 A KR20070062841 A KR 20070062841A KR 100902046 B1 KR100902046 B1 KR 10090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minal
api
subscriber
otf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871A (ko
Inventor
고성택
남강현
양동혁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046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VoIP 가입자가 부재중(통화 대기, 무응답, 서비스 제한)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API에 등록한 메일, 동영상, 정지 화상 등의 정보를 SIP 프로토콜을 통하여 착신 API에 전달 처리 하며, 만일 착신 가입자의 상태가 파워다운이나 타망(이동망,유선망)인 경우 CS(Control Server)에 발신 가입자가 요청한 멀티미디어 요소(메일, 동영상, 정지화상)를 저장하여 해당 이동망과 유선망에 정보를 전달하여 가입자 서비스 제한시 이동망과 유선망에 가입자의 긴급 메일, 영상정보, 정지 화상 정보 전달을 VoIP망에서 처리하게 된다.
VoIP, 부재중 서비스, 화상 정보, SIP, API, SMS 등기

Description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of delivering information for VoIP absent cal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3은 도2의 착신 가입자가 유선망인 경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과정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가 자체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도5,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가 유선망, 이통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도7,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영상 정보 전달 처리가 유선망, 이통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도9는 도8의 무선가입자의 경우에 영상 정보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자 단말 20 : 수신자 단말
30 : 소프트스위치 40 : SMSC
50 : HSS 60 : PF 서버
70 : RAN 80 : GGSN
90 : SGSN 100 :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SIP 서버 120 : 제어서버
130 : HLR(위치등록서버) 140 : 가입자 DB
본 발명은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VoIP를 이용한 호를 연결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연결을 시도할 때 가입자가 통화중, 무응답, 가입자 서비스 제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망과 유선망에 가입자의 긴급 메일, 영상정보, 정지 화상 정보 전달을 VoIP 네트워크에서 처리하는 방법과 VoIP에서 통화연결 대기시간 동안 서비스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영상 통화 연결 콘텐츠를 착신자가 전화를 받을 때까지 발신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통화 연결 서비스와 VoIP 호 처리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은 아날로그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5.3K, 6.3K, 8K로 압축한 다음, H.323,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등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기업의 인트라넷 등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기존의 IP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통화시간동안 계속해서 회선이 독점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회선교환방식의 전화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달리 복수의 통화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VoIP 기술은 데이터 통신망과 음성 통신망을 통합 사용하므로 통신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PSTN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는 인터넷 콜센터, 인터넷 UMS(Unified Messaging System), 기업구내전화망 등 여러가지 분야에 응용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VoIP 네트워크에서 VoIP 가입자가 부재중(통화 대기, 무응답, 전원오프, 가입자 서비스 제한인 경우에 VoIP의 호 처리에 대하여 VoIP 호 연동 처리 서비스가 처리가 미약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취약점이 있다.
특히, VoIP로의 호는 기존 유선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동이 되어야 하는 부분과 인터넷에서 유행하여 성행하는 서비스를 접목하여 호를 연동 처리하는 부분이 미약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연결을 시도할 때 통화중, 무응답, 가입자 서비스 제한시 이동망과 유선망에 가입자의 긴급 메일, 영상정보, 정지 화상 정보 전달을 VoIP망에서 처리하 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에서부터 발신된 VoIP 네트워크를 통한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대기, 무응답, 서비스 제한으로 부재중인 경우상기 발신 단말의 API에 등록한 메일, 동영상 또는 화상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 API에 전달 처리하는 SIP 서버, VoIP 가입자가 유선망 또는 이동망 가입자이거나 착신 단말이 파워오프된 경우에 이동망 또는 유선망에 전달하기 위하여 발신 가입자가 요청한 메일, 동영상 또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서버, 상기 VoIP 가입자가 이동망 가입자인 경우 착신 단말의 위치 검색을 위한 위치 등록 서버, 및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처리에 따른 정보 전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D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 정보가 전달되었음을 SMS 등기로 처리하는 SMS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MSC에는 PF 서버 또는 HSS가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F 서버에는 GGSN이 연결되고, 상기 GGSN에는 SGSN이 연결되며, 상기 SGSN에는 RAN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의 API에서 착신 단말로 호 신호를 시도하고 SIP 서버에서 착신 단말의 API로 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IP 서버는 착신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여 호신호 연결 서비스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인증이 확인된 경우 발신 단말에서 미리 지정한 API의 메일, 동영상, 화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발신 단말 API의 메일, 동영상, 화상 정보 데이터를 착신 단말의 API로 전송하는 단계, 및 SMS 등기 처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 전송 사실을 SMS 등기 메시지로 SMS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의 API에서 착신 단말로 OTFI가 세팅된 호 신호를 시도하고 SIP 서버에서 착신 단말의 API로 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유선망의 SSW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고 SIP 서버로 응답하는 단계, SIP 서버는 HSS에 FeatureNotificationrequest를 OTFI와 함께 전송하고 HSS는 OTFI-C 파라미터로 전달 처리하는 단계, 상기 SIP 서버는 발신 단말의 API에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등기 처리 요청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발신 단말의 API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동영상, 화상, 메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OTFI-C 파라미터로 정보 저장 내용을 확인하여, 유선망 가입자는 AS에 전달하고 무선 가입자는 PF에 전달하는 단계, 및 SMS 등기 처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 전송 사실을 SMS 등기 메시지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S에서 HSS로 ServiceReq를 전달하는 단계, HSS에서 SCP로 OTFI가 포함된 ServiceReq를 전송하는 단계, SCP에서 SSW로 SendFacility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SW에서 SendFacilityInformation를 확인하고 SCP에서 HSS로 ServiceReq를 ACK하고, 다시 SCP에서 AS로 ServiceReq를 ACK하는 단계, 및 가입자 발신 인증하여 정보 파일을 SSW에서 AS로 내용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F 서버로 OTFI, FormalData 콜이 들어오면 FormalData의 IP 어드레스에서 정형화된 파일을 저장하고 AAA 인증서버로 AnalizeInformatio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AAA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과 ResultParameter를 받은 PF 서버는 착신 단말이 EVDO급 이상 또는 이하를 판단하는 단계, 착신 단말이 EVEO급 이상인 경우 PF 서버는 HSS로 PDPcontextRequest를 전송하고 HSS는 PF 서버로 PDPcontextAck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EVDO급 이하인 경우 PF 서버는 SMSC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고 SMSC는 PF 서버로 SMSC 메시지 ACK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F 서버에서 GGSN으로 PDPcontextSetup을 전송하는 단계, GGSN은 HLR로 LOCATIONreq를 전송하고, HLR은 LOCATIONconfirm을 G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GGSN에서 SGSN으로, SGSN에서 RAN으로 Setup 신호를 전송하고 Ack를 수신하는 단계, GGSN에서 PF 서버 로 PDPcontext Ack를 전송하는 단계, 및 PF 서버에서 망관리센터 또는 AAA 인증서버로 호완료결과를 통보하고 Ack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SIP 서버(110), 제어서버(CS, 120), 위치등록서버(HLR, 130), VoIP 가입자 DB(14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는 발신 가입자 단말(10)과 착신 가입자 단말(20)이 연동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발신 가입자 단말(10)은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고, 상기 발신 가입자 단말(20)에서부터 발신된 VoIP 네트워크를 통한 호는 착신 가입자 단말(20)에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착신 가입자 단말(20)이 통화대기, 무응답, 서비스 제한(subscriber lock out)으로 부재중인 경우, 상기 SIP 서버(110)는 상기 발신 가입자 단말(10)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등록한 메일,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 정보를 상기 착신 가입자 단말(20)의 API에 전달 처리한다. 상기 발신 가입자 단말(10)의 API는 VoIP 가입자 단말 PC에 제공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가 메일,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등을 파일로서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착신 가입자 단말(20)의 API는 착신자의 PC 또는 휴대폰에 제공된 SI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서버(CS, 120)는 VoIP 가입자 착신 단말이 파워오프된 경우에 이동망 또는 유선망에 전달하기 위하여 발신 가입자가 요청한 메일,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 정보를 저장하여 둔다.
상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위치등록서버(130)는 상기 VoIP 가입자가 이동망 가입자인 경우 착신 단말의 위치 검색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서버(120)와 위치등록서버(130)는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처리에 따른 정보 전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DB와 연동되어 있다.
또한, 상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는 상기 착신 가입자 단말(20)이 부재중에 착신 단말 가입자의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정보가 전달되었음을 SMS 등기로 처리하는 SMSC(40)가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SMSC(40)에는 PF(Push Function)서버(60) 또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50)가 결합되어 연동된다.
또한, 상기 PF 서버(60)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80)이 연결되고, 상기 GGSN(80)에는 SGSN(90)이 연결되며, 상기 SGSN(90)에는 RAN(Radio Access Network)가 연결되어 연동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 가입자(5-1234)가 착신 가입자(5-3456)에 호 신호를 발신한다(S20).
다음으로, 착신 가입자(5-3456)의 가입자 상태가 부재중(Busy, No answer, subscriber lock out)인지를 판단한다(S21).
이때, 착신 가입자(5-3456)의 가입자 상태가 부재중(Busy, No answer, subscriber lock out)이면 메일 정보, 영상 정보, 정지화상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S22).
여기에서, 착신 가입자의 가입자 상태가 정상이면 일반호로 처리하여 정상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25).
다음으로,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실을 SMS 등기 처리하도록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서 기능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귀하에게 전달된 정보가 단말로 전달되었습니다"라는 SMS 등기 메시지가 SMSC를 거쳐서 착신 가입자에게 전달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전달 결과를 통보하게 된다(S24).
여기에서, 상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서 SMS 등기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호종료된다(S26).
도3은 도2의 착신 가입자가 유선망인 경우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과정이다.
전체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되지만, 도2의 S22단계 대신에 HSS(Home Subscriber Srerver)를 통하여 가입자가 원했던 영상, 메일, 정지화상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정보가 전달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가 자체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 API(Calling API, Cg API)에서 착신 단말로 호 신호를 시도 하고 SIP 서버에서 착신 단말 API(Called API, Cd API)로 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Invite(5-3456)를 전송한다.
Cg API는 Mail/정지화상/동영상 정보를 자신의 API에 저장하여 놓은 상태에서 "5-3456"으로 통화를 시도하고 있다.
SIP 서버를 거쳐 Cd API에 Invite Method를 전달하였는데, "406,486,500" 상태라는 응답이 오면 SIP 서버에서는 서비스 인증을 한다.
앞서 착신 단말 API(Cd API)은 "406: Not Acceptable, 486: Busy, 500: Internet Server Error"를 상태 판단하여 SIP 서버에 응답를 전달하게 된다. SIP 서버는 발신 단말이 메일, 정지화상, 동영상 정보 전송 처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도4에서는 착신 단말(5-3456)의 상태가 406: Not Acceptable으로 SIP 서버로 전송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인증이 확인된 경우 발신 단말에서 미리 지정한 API의 메일, 동영상, 화상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401).
착신에 대한 서비스 가입에 대한 인증이 올바르지 않으면 200 OK 신호가 발신 단말 API(Cg API)로 전송되어 호 종료 처리되고, 서비스 가입 인증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SIP 서버에서 발신 단말 API(Cg API)로 SMS 등기처리 메시지를 포함하는 Info를 전송하여 등기처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 API(Cg API)은 SIP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SIP 서버는 착신 단말 API(Cd API)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ack가 1인 경우에는 등기 처리를 하게 되고, 0인 경우 등기처리 과정 은 생략된다.
SMS 등기 처리 여부를 판단하여 ack가 1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 데이터 전송 사실을 SMS 등기 메시지로 SIP 서버에서 SMSC로 전송하고, 상기 SMSC에서는 이를 Ack하게 된다.
SMS등기 처리시 착신 가입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번호에 따라 유선이면 KT로 무선이면 이통사 SMSC로 SMS 메시지를 보낸다.
도5,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가 유선망, 이통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발신 API에서 KT로 착신 시키는 경우, Cd API에 Invite Method를 전달 하였는데 "406,486,500" 상태였다면 HSS로 FNr(Feature Notification Request)를 보내서 해당 가입자가 가지고 있는 가입자의 능력을 OTFI-C(One Time Feature Indicator-Confirm) 파라메터를 수신 받는다. Info Method로 Data 수집 및 등기요청 하며 그에 대한 응답을 받고, 이후 해당 가입자의 능력에 따라서 처리를 하여 준다. 능력이 모두 안되는 가입자의 경우는 처리 불가 메시지를 Cg API에 전달 후 호 종료 처리한다.
상세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발신 단말 API(Cg API)에서 착신 단말로 호 신호를 시도하고 SIP 서버에서 착신 단말 API(Cd API)로 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Invite(5-1234, 7701-3456)를 전송한다(S501).
여기서, Feature Notification Operation을 이용하여 OTFI(One Time Feature Indicator)를 셋팅처리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 API(Cg API)에서 Invite(5-1234, 7701-3456, OTFI)를 SIP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OTFI bit가 셋팅된 상황을 알 수 있게 된다.
SIP 서버는 유선망(예를들면, KT SSW)으로 Invite(7701-3456)을 전송하면, SSW(Soft Switch)에서 SIP 서버로 406(7701-3456)을 응답한다.
다음에, SIP 서버는 HSS로 Feature Notification Request(7701-3456)를 Service Feature Indicator(OTFI)와 함께 전송한다(S502).
HSS는 SIP 서버로 Feature Notification Confirm(SFIC(OTFI-C), AS ID, SN(Service Number, 7701-7777, 016-262-3412)를 전송한다.
여기서, HSS는 착신 단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여 OTFI-C 파라미터로 전달처리하며 상기 파라미터로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알고 처리할 수 있다.
SIP 서버는 데이터 수집/등기처리 요청에 대한 정보를 발신 단말 API(Cg API)로 전송하여 발신 단말 API에서 Ack 되면, 발신 단말에서 SIP 서버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OTFI bit에 따라 2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동영상 처리를, 1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정지 화상 처리를, 0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메일 처리를 하게 된다.
SIP 서비는 모든 자리의 bit가 0인 경우에는 처리불가 메시지를 발신 단말 API(Cg API)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OTFI-C 받은 내용에 따라서 현재 저장된 내용을 확인하며(S601), OTFI로 유선 가입자인 경우는 AS(Application Server)에 makecall(OTFI, Formal Data)를 전달하며(S602), 무선 가입자의 경우는 PF(Push Function) 서버로 makecall(OTFI, Formal Data)을 전달하게 된다(S603).
이후 서비스 시스템은 SMS 전달 루틴을 점검하여 유선망(예를들면 KT) 또는 이동통신망의 해당 단말로 SMS 등기 메시지를 처리하게 된다.
도7,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부재중 영상 정보 전달 처리가 유선망, 이통망에서 수행되는 과정도이다.
도7에서, AS로 온 유선 가입자의 경우는 HSS로 ServiceReq를 보내주고, 이를 수신한 HSS는 SCP로 ServiceReq에 해당가입자에 OTFi 값을 실어 보내 준다. SCP는 해당 가입자의 정보를 판단하여 해당 SSW에 SendFacilityInformation을 보내고 이후 발신 가입자가 통화시도시 해당 발신 가입자에 OTFI가 Setting되었음을 알고 InitDP를 통해 Triggering된 가입자 정보를 AS로부터 받아 온다.
상세한 과정을 보면, 도7의 유선 가입자의 경우에 7701-7777 OTFI(#/#/#)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AS에서 HSS로 ServiceReq를 처리한다.
다음에, 상기 HSS는 SCP(Service Control Point)로 ServiceReq(7701-7777, OTFI)를 처리한다.
상기 SCP는 SSW로 SendFacultyInformation(7701-7777, OTFI)를 전송하고, OTFI값이 SSW에 전달되고 상기 SSW는 SCP로 SendFacultyInformation-confirm을 주고 가입자 발신 인증이 처리된다(S701).
다시, SCP는 HSS로 HSS는 AS로 ServiceReqAck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SSW는 SCP로 Init DP를 전송하고, SCP와 HSS는 데이터 fileReq와 fileConfirm을 교환한다.
SCP는 SSW로 Ack를 전달하고 AS에서 SSW로 데이터 file 내용을 전달한다.
도8에서, PF로 온 무선 가입자의 경우는 AAA 인증을 통하여 단말이 EVDO 급인지 아니면 EVDO급 이상인지 판단하여 PF Server에 전달 하여 주며 EVDO급 이하이면 SMS Message만 전달 처리하며(Mail 정보로), EVDO급 이상이면 PDPcontext 처리를 위한 Action을 HSS와 연동하여 ID 정보들을 확인한다.
상세과정을 살펴보면, 도8은 무선 가입자의 경우 PF로 makeCall(OTFI, FormalData)을 수신한 후에 OTFI 값을 받은 PF는 AnalizeInformation(OTFI, 016-262-3412)를 전송하여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인증 서버에 단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EVDO급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801).
상기 AAA 인증서버는 PF로 AnalizeInformation Confirm을 전송하여 결과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상기 결과 파라미터가 0인 경우는 EVDO급 이하를 나타내고, 파라미터가 1인 경우는 EVDO급 이상을 나타낸다.
상기 PF에서 상기 결과 파라미터에 따라서 메시지만 처리할지 아니면 화상정보까지 처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파라미터가 0인 경우에는 PF에서 SMSC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여 Ack를 받게 되며, 파라미터가 1인 경우에는 PDPcontextRequest(011-262-3412)를 HSS로 전송하고, 상기 HSS에서 PF로 PDPcontextAck를 받는다.
도9는 도8의 무선가입자의 경우에 영상 정보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9에서는, PF를 거쳐서 처리되는 정지화상 및 영상정보 처리 전달 과정이 다. 전달 이후 최종적으로 과금 처리할 수 있도록 호 결과 정보를 처리한다.
PF에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로 PDPcontextSetup(016-262-3412)를 전송하면, GGSN은 HLR로 LOCreq를 전송하여 LOCconfirm하여 SGSN_id, RAN id)를 받게 된다.
SGSN에서 RAN으로 Set-up이 전송되고, RAN은 SGSN으로 Set-Up Ack를 전송한다.
이어서, SGSN에서 GGSN으로 Set-up Ack를 전송하고 GGSN은 PF로 PDPcontext Ack를 전송한다.
이때, 정지화상, 영상 정보는 PF에서 RAN으로 전달하게 된다.
정보전달이 끝나면 호의 수행 결과 Report를 OTFI bit에 따라서 망관리센터 또는 AAA 인증서버로 통보하게 된다(S90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VoIP로의 호는 기존 유선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동이 되어야 하는 부분과 인터넷에서 유행하여 성행하는 서비스를 접목하여 호를 연동 처리하게 된다.
또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연결을 시도할 때 통화중, 무응답, 가입자 서비스 제한 시 이동망과 유선망에 가입자의 긴급 메일, 영상정보, 정지 화상 정보 전달을 VoIP망에서 처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 단말이 통화대기, 무응답, 서비스 제한으로 부재중인 경우 미리 긴급 메일, 정지 화상, 동영상 데이터를 등록하고 저장한 후, 상기 메일,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API를 포함하는 발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에서부터 발신된 VoIP 네트워크를 통한 호를 수신하여, 호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발신 단말의 API에 등록된 메일, 정지 화상,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API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대기, 무응답, 서비스 제한으로 부재중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API에 등록한 메일, 동영상 또는 화상 데이터 전송 서비스 가입 인증을 확인한 후 상기 메일,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한 OTFI 파라미터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 API에 메일,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달 처리하는 SIP 서버;
    착신 단말이 파워오프된 경우 이동망 또는 유선망에 전달하기 위하여 발신 가입자가 요청한 메일, 동영상 또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서버;
    상기 VoIP 가입자가 이동망 가입자인 경우 착신 단말의 위치 검색을 위한 위치 등록 서버;
    Vo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 처리에 따른 메일,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전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DB;
    상기 착신 단말이 부재중에 착신 단말 가입자의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메일,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전달되었음을 발신 단말로 SMS 등기 처리하는 SMSC; 및
    상기 SIP 서버로부터 OTFI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OTFI 파라미터 응답을 전송하는 HSS(Home Subscribef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신 단말의 API에서 착신 단말로 OTFI가 세팅된 호 신호를 시도하고 SIP 서버에서 착신 단말의 API로 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IP 서버는 착신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SIP 서버는 HSS에 FeatureNotificationrequest를 OTFI와 함께 전송하고 HSS는 OTFI-C 파라미터로 SIP 서버로 전달 처리하는 단계;
    SIP 서버는 발신 단말이 메일, 정지화상, 동영상 데이터 전송 처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SIP 서버는 발신 단말의 API에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등기 처리 요청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IP 서버는 발신 단말의 API에 저장된 메일, 정지화상, 동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한 OTFI 파라미터로 셋팅된 결과에 따라서,
    OTFI 파라미터에서 OTFI bit 중에서 2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SIP 서버는 발신 단말 API의 동영상을 착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거나, OTFI 파라미터에서 OTFI bit 중에서 1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SIP 서버는 발신 단말 API의 정지영상을 착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거나, OTFI 파라미터에서 OTFI bit 중에서 0번bit에 세팅된 경우에는 SIP 서버는 발신 단말 API의 메일을 착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 가입자의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메일,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전달되었음을 발신 단말로 SMS 등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AS에서 HSS로 ServiceReg를 전달하는 단계;
    HSS에서 SCP로 OTFI가 포함된 ServiceReq를 전송하는 단계;
    SCP에서 SSW로 SendFacility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SW에서 SendFacilityInformation를 확인하고 SCP에서 HSS로 ServiceReg를 ACK하고, 다시 SCP에서 AS로 ServiceReq를 ACK하는 단계; 및
    가입자 발신 인증하여 정보 파일을 SSW에서 AS로 내용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PF 서버로 OTFI, FormalData 콜이 들어오면 FormalData의 IP 어드레스에서 정형화된 파일을 저장하고 AAA 인증서버로 AnalizeInformatio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AAA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과 ResultParameter를 받은 PF 서버는 착신 단말이 EVDO급 이상 또는 이하를 판단하는 단계;
    착신 단말이 EVDO급 이상인 경우 PF 서버는 HSS로 PDPcontextRequest를 전송하고 HSS는 PF 서버로 PDPcontextAck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EVDO급 이하인 경우 PF 서버는 SMSC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고 SMSC는 PF 서버로 SMSC 메시지 ACK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PF 서버에서 GGSN으로 PDPcontextSetup을 전송하는 단계;
    GGSN은 HLR로 LOCATIONreq를 전송하고, HLR은 LOCATIONconfirm을 G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GGSN에서 SGSN으로, SGSN에서 RAN으로 Setup 신호를 전송하고 Ack를 수신하는 단계;
    GGSN에서 PF 서버로 PDPcontext Ack를 전송하는 단계; 및
    PF 서버에서 망관리센터 또는 AAA 인증서버로 호완료결과를 통보하고 Ack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방법.
KR1020070062841A 2007-06-26 2007-06-26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841A KR100902046B1 (ko) 2007-06-26 2007-06-26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841A KR100902046B1 (ko) 2007-06-26 2007-06-26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871A KR20080113871A (ko) 2008-12-31
KR100902046B1 true KR100902046B1 (ko) 2009-06-15

Family

ID=4037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841A KR100902046B1 (ko) 2007-06-26 2007-06-26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96B1 (ko) 2010-04-01 2011-12-3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ms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59B1 (ko) * 2010-10-28 2014-04-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95599B1 (ko) * 2010-11-02 2014-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가능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244899B1 (ko) * 2011-01-20 2013-03-18 (주)티아이스퀘어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31A (ko) * 2003-10-28 2005-05-0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31A (ko) * 2003-10-28 2005-05-0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96B1 (ko) 2010-04-01 2011-12-3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ms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871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229B2 (en) Cellular-to-VoIP call establishment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oftware
US20070036127A1 (en) Ip-based call establishment
US200501231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US8730947B2 (en) Reverse call set up via an interconnection between different networks
US768455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6209908B (zh) 因特网通信环境和移动通信环境之间呼叫建立方法和装置
WO2002013567A1 (en) Roaming support method and systems in umts
EP1997338B1 (en) A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device to make a network connection without using a network operator&#39;s home location register
KR100902046B1 (ko)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9046B1 (ko)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539625A (ja) ボイスメールに付随する映像コンテンツへのウェブベースのアクセス
US7366183B1 (en) Detecting multimedia capability of a caller
US20040203432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58203A (ko) 복수의 수신 단말에 대한 멀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07250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KR100926494B1 (ko) 브이오아이피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5581B1 (ko) SIP를 이용한 VoIP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MCID등록 장치 및 방법
KR1006576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파일 송수신 서비스 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EP203193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ms initiated bypass call setup from a packet based communication system to other networks
KR100867168B1 (ko) 통신망에서 실시간 메시지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7362B1 (ko) 착신전환 자동해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90574A1 (en) Method for Handling Unanswered Calls
KR20030046762A (ko)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