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617B1 -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617B1
KR100901617B1 KR1020070070331A KR20070070331A KR100901617B1 KR 100901617 B1 KR100901617 B1 KR 100901617B1 KR 1020070070331 A KR1020070070331 A KR 1020070070331A KR 20070070331 A KR20070070331 A KR 20070070331A KR 100901617 B1 KR100901617 B1 KR 10090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switch
separato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902A (en
Inventor
강운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617B1/en
Publication of KR2009000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04B2001/485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inhibiting unwanted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로 분리하는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선로, 상기 제 1 선로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선로, 상기 제 1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 상기 제 1 선로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선로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70331

단말기, 스위치

Embodiments relate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In one embodiment, a sign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diplexer for separating a first signal, a second signal, and a third signal, a first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plexer and separa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A first line connected to the diplexer to pass the second signal, a second line connected to the first line in parallel to pass the third signal,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A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a signal, a third signal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to separate a received signal of the third signal, and a first signal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Figure R1020070070331

Terminal, switch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갖는 단말기{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 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omponent of a terminal is implemented as an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단말기 100 : 신호 처리 장치10 terminal 100 signal processing device

101 : 안테나 103 : 다이플렉서101: antenna 103: diplexer

110 : 제 1 신호 분리부 111 : 제 1 필터110: first signal separator 111: first filter

112 : 제 2 필터 120 : 제 2 신호 분리부112: second filter 120: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121 : 제 3 필터 122 : 제 4 필터121: third filter 122: fourth filter

130 : 제 3 신호 분리부 131 : 밴드 패스 필터130: third signal separation unit 131: band pass filter

140 : 수신 신호 처리부 150 : 송신 신호 처리부140: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1 : 제 1 전력 증폭부 152 : 제 2 전력 증폭부151: first power amplifier 152: second power amplifier

161 : 제 1 선로 162 : 제 2 선로161: first track 162: second track

165 : 제 1 스위치 166 : 제 2 스위치165: first switch 166: second switch

171 : 제 1 저잡음 증폭부 172 : 제 2 저잡음 증폭부171: First low noise amplifier 172: Second low noise amplifier

173 : 제 3 저잡음 증폭부 180 : 디지털 신호 처리부173: third low noise amplifier 180: digital signal processor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현재, 통신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 Service)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가령 FCC의 E911에서는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무선 측위, 즉 GPS 위성을 통한 위치추적 기능을 탑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At present,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GPS (Global Position Service) function by default. For example, the FCC's E911 recommends that the mobile terminal be equipped with a wireless location, that is, a location tracking function through a GPS satellite, to enable the location tracking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

이에 따라, 세 개의 주파수 대역(PCS: 1850 ~ 1990㎒, GPS: 1574.42 ~ 1576.42㎒, DCN: 824 ~ 894㎒)을 처리할 수 있는 트리플 밴드(Triple-band)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a triple-band scheme capable of processing three frequency bands (PCS: 1850 to 1990 MHz, GPS: 1574.42 to 1576.42 MHz, and DCN: 824 to 894 MHz) is used.

이와 같이, 모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드간의 주파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고, 여러 가지 신호를 동시에 필터링하기 위한 단품 필터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GPS 모드와 PCS 모드의 경우 주파수 간격이 300MHz 정도로 가까워 신호 분리를 위한 트라이플렉서(Tri-plexer)의 제작이 까다로우며, 이러한 이유로 많은 수의 집중 소자를 사용하거나, 대역별 격리 특성이 우수한 직렬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한다.As such, as the number of modes increases, frequency intervals between modes become clos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 single component filter for filtering various signals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in the GPS mode and the PCS mode, the frequency spacing is about 300 MHz,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tri-plexer for signal separation. Implemented using excellent series switching elements.

그리고, 종래의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여 트라이플렉서를 구현하는 경우, 신 호 전송 경로에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므로, 스위치 자체의 직접적인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삽입 손실은 수신 경로 측면에서 보면, 잡음 지수를 높여 수신감도를 열화시키며, 송신 경로 측면에서 보면, 송신 전력을 낮춰 결국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triplexer using a conventional switch element, since a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to a signal transmission path, direct insertion loss of the switch itself occurs. In terms of the reception path, the additional insertion loss deteriorates reception sensitivity by increasing the noise figure, and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path,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ransmission power and eventually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실시예는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insertion loss.

실시예는 통화 품질이 향상된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terminal with improved call quality.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로 분리하는 다이플렉서,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diplexer separating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 A first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plexer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선로, A first line connected to the diplexer and configured to pass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선로,A second lin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ine to pass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A secon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first line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2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A thir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to separate the received signal of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 및,A firs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상기 제 2 선로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로 분리하는 다이플렉서,A diplexer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separated into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a third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A first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plexer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선로,A first line connected to the diplexer and configured to pass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선로,A second lin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ine to pass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A secon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first line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2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A thir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to separate the received signal of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A firs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상기 제 2 선로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된 제 2 스위치,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및 제 3 신호 분리부로부터 각각 수신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시키는 제 1 신호 저잡음 증폭부, 제 2 저잡음 증폭부 및 제 3 저잡음 증폭부,A first signal low noise amplifier, a second low noise amplifier, and a third low noise amplifier to minimize and amplify the noise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separator, the second signal separator,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respectively;

상기 제 1 내지 제 3 저잡음 증폭부들로부터 수신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 신호 처리부,A reception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 reception signal from the first to third low noise amplifiers;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에 각각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제 1 전력 증폭부 및 제 2 전력 증폭부,A first power amplifier and a second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first signal separator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respectively;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부들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및,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amplifiers to transmit a transmission signal;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에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and the transmit signal processor to process digital signals and to supply control voltages to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및 단말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 요소가 소자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compon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implemented as element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는 안테나(101), 상기 안테나(101)로 수신되거나 상기 안테나(10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100),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와 각각 연결된 제 1 저잡음 증폭부(171)(Low Noise Amplifier, LNA) 및 제 2 저잡음 증폭부(172),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와 각각 연결된 제 1 전력 증폭부(151)(Power Amplifier, PA) 및 제 2 전력 증폭부(152), 상기 제 1 및 제 2 저잡음 증폭부들(171, 172)과 연결된 수신 신호 처리부(14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부들(151, 152)과 연결된 송신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n antenna 101,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or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101, and A first low noise amplifier 171 (LNA) and a second low noise amplifier 172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and a first power amplifier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respectively. 151 (Power Amplifier, PA) and the second power amplifier 152,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amplifie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ow noise amplifiers (171, 172) And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151 and 152.

상기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안테나(101)와 연결된 다이플렉서(103), 상기 다이플렉서(103)와 연결된 제 1 신호 분리부(110), 상기 다이플렉서(103)와 연결된 제 1 선로(161) 및 제 2 선로(162), 상기 제 1 선로(161)와 연결된 제 2 신호 분리부(120), 상기 제 2 선로(162)와 연결된 제 3 신호 분리부(130) 및 상기 제 1 선로(161)와 상기 제 2 신호분리부(120)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165), 상기 제 2 선로(162)와 상기 제 3 신호분리부(130)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2 스위치(166)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iplexer 103 connected to the antenna 101, a first signal separa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diplexer 103, and a second coupling device connected to the diplexer 103.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the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first line 161, the third signal separation unit 130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162 and the A first switch 165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and a seco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162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Switch 166.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 사이에 제 1 전력 증폭부(151)가 배치되어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수신된 제 1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로 전달한다.A first power amplifier 15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gnal separation unit 11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to amplify the power of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Transfer to the first signal separation unit 110.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제 1 신호 필터부일 수도 있다.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be a first signal filter.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 사이에 제 2 전력 증폭부(152)가 배치되어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수신된 제 2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로 전달한다.A second power amplifier 15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12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to amplify the power of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so as to amplify the power. Transfer to the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120.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제 2 신호 필터부일 수도 있다.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be a second signal filter.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와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 사이에 제 1 저 잡음 증폭부(171)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로부터 수신된 제 1 수신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한다.A first low noise amplifier 17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and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to remove noise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inimize and amplify and transfer the amplified first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와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 사이에 제 2 저잡음 증폭부(172)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제 2 수신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제 2 수신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한다.A second low noise amplifier 17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and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to minimize noise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By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econd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와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 사이에 제 3 저잡음 증폭부(173)가 배치되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제 3 수신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제 3 수신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한다.A third low noise amplifier 173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and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to minimize noise of the third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By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third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40)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150)에 연결되어 기저 대역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고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를 담당하며,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The terminal 10 includes 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40, the transmit signal processor 150,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180.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50 to perform input / output of a baseband signal and is responsible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s the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상기 제 1 신호는 DCN(Digital Cellular Network) 대역의 주파수 신호(DCN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신호는 824 ~ 894㎒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The first signal may be a frequency signal (DCN signal) of a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band.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frequency band 824-894 MHz.

상기 제 2 신호는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대역의 주파수 신호(PCS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신호는 1850 ~ 1990㎒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The second signal may be a frequency signal (PCS signal) in a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 band. 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1850 to 1990 MHz.

상기 제 3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의 주파수 신호(GPS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 3 신호는 1574.42 ~ 1576.4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The third signal may be a frequency signal (GPS signal)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and. The third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frequency band 1574.42 to 1576.42 MHz.

상기 다이플렉서(103)는 저대역 통과 필터(low band pass filter)(103a)와 고대역 통과 필터(high band pass filter)(103b)를 포함한다.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103a)는 비교적 저대역인 상기 제 1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대역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차단한다. 상기 고대역 통과 필터(103b)는 비교적 고대역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대역인 상기 제 1 신호를 차단한다.The diplexer 103 includes a low band pass filter 103a and a high band pass filter 103b. The low pass filter 103a passes the first signal in a relatively low band and block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in a high band. The high pass filter 103b passes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which are relatively high band and blocks the first signal which is low band.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두 개의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포함하는 듀플렉서(Duplexer)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전달된 제 1 신호를 제 1 수신 신호 및 제 1 송신 신호로 분리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상기 제 1 신호에서 상기 제 1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1 필터(111) 및 상기 제 1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2 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be a duplexer including two band pass filters (BPFs).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separate and transmit the transmitted first signal into a first received signal and a first transmitted signal.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include a first filter 111 for filter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and a second filter 112 for filtering the first transmitted signal. have.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0)는 상기 다이플렉서로(103)부터 제 1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17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분 리부(110)는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151)로부터 제 1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다이플렉서(103)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receive a first received signal from the diplexer 103 and transmit the first received signal to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171. The first signal separator 110 may receive a first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first power amplifier 151 and transmit the first signal to the diplexer 103.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두 개의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듀플렉서일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전달된 제 2 신호를 제 2 수신 신호 및 제 2 송신 신호로 분리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상기 제 2 신호에서 상기 제 2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3 필터(121) 및 상기 제 2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4 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be a duplexer including two band pass filters.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separate the transmitted second signal into a second received signal and a second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 the divided signal.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include a third filter 121 for filtering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and a fourth filter 122 for filtering the second transmitted signal. have.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상기 다이플렉서(103)로부터 제 2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17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152)로부터 제 2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다이플렉서(103)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diplexer 103 and transmit the second received signal to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172.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may receive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econd power amplifier 152 and transmit the second signal to the diplexer 103.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는 밴드 패스 필터(131)이며, 일례로 쏘(SAW)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쏘 필터는 상기 다이플렉서(103)로부터 전달된 제 3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부(173)로 전송한다.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may be a band pass filter 131, and may be, for example, a SAW filter. The saw filter filters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plexer 103 and transmits the filtered third signal to the third low noise amplifier 173.

상기 다이플렉서(103)는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 1 신호의 신호 대역과,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의 신호 대역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11)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는 다른 경로로 전송한다.The diplexer 103 filter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into a signal band of a first signal and a signal band of a second signal and a third signal, so that the first signal is the first signal. The separation unit 11 transmits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to another path.

상기 다른 경로로 전송된 상기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는 A 노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제 2 스위치(166)의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선로(161) 또는 상기 제 2 선로(162)로 전송된다. 상기 제 1 선로(161)와 상기 제 2 선로(162)는 상기 A 노드에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 1 선로(161)의 종단인 B 노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165)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는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 2 선로(162)의 종단인 C 노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166)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는 병렬 연결된다.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path are controlled by the first line 161 or the second line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at the node A. 162).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A node.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ion unit 120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a node B which is an end of the first line 161. The second switch 166 and the third signal separation unit 130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a node C which is an end of the second line 162.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로부터 인가된 제어 전압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단락된다.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may be opened or shorted by a control voltage appli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80.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를 '1'이라고 하고,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를 '0'이라고 한다. 상기 제 1 스위치(165)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을 V1이라고,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을 V2라고 한다.A case where the control voltage is applied is called '1' and a case where the control voltage is not applied is called '0'. The control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is referred to as V1 and the control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166 is referred to as V2.

상기 제 1 스위치(165)와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V1, V2)은 (1, 0), (0, 1)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Control voltages V1 and V2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may use a combination of (1, 0) and (0, 1).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1, 0)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스위치(165)는 단락되고, 상기 제 2 스위치(166)는 개방된다. 상기 제 1 스위치(165)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A 노드에서 상기 제 2 신호에 대해서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166)는 개방되어 제 3 신호는 상기 제 2 전송 선로(162)를 통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1, 0)을 인가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control voltages 1 and 0 ar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the first switch 165 is shorted and the second switch 166 is open. do. Since the first switch 165 is connected to ground, the first switch 165 is open to the second signal at the A node.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166 is opened so that a thir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162. Therefore, in order to sel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the third signal, the control voltages 1 and 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0, 1)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스위치(165)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스위치(166)는 단락된다. 상기 제 1 스위치(165)는 개방되어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선로(162)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166)는 단락되어 접지되므로, 상기 A 노드에서 상기 제 3 신호에 대해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0, 1)을 인가한다.For example, when control voltages (0, 1) ar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the first switch 165 is opened, and the second switch 166 is short-circuited. do. The first switch 165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through the first line 162. Since the second switch 166 is short-circuited and grounded, the second switch 166 is open to the third signal at the node A. Therefore, in order to sel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control voltages 0 and 1 ar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A 노드에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신호에 대해 단락 및 개방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고주파 프론트 엔드 단의 실제 신호 전송 경로에 스위칭 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지 않고 상기 신호 전송 경로에 병렬로 스위치 소자를 연결하므로 스위치 자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삽입 손실분이 없게 되어 신호 처리 장치(100)의 삽입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 전체 시스템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호 송신시에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hort-circuits and openings may be adjusted for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at the node A using control voltages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Therefore, in the embodiment, since the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without connecting the switching elements in series to the actual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high frequency front end, there is no insertion loss occurr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switch itself. The insertion loss of 100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entire system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even during signal transmiss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는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80 adjusts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제 2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0, 1)을 인가하여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신호가 손실 없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1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the control voltages 0 and 1 ar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to be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The seco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ignal separator 120 without loss.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제 3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에 제어 전압(1, 0)을 인가하여 상기 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3 신호가 손실 없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1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thir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the control voltages 1 and 0 ar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to be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The thir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signal separator 130 without loss.

상기 제 1 선로(161) 및 상기 제 2 선로(162)는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분리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serve to separate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161)는 상기 제 1 스위치(165)가 단락되면 상기 제 2 선로(162)의 종단인 C노드로부터 제 3 신호의 1/4 파장 길이에 해당되는 지점은 개방되고, 상기 제 1 스위치(165)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선로(161)의 종단인 B노드로부터 제 2 신호의 1/4 파장 길이에 해당되는 지점은 단락된다.When the first switch 165 is short-circuited, the first line 161 opens a point corresponding to a quarter wavelength of the third signal from the node C, which is the end of the second line 162, and the first line 161 is open. When the first switch 165 is opened, a point corresponding to a quarter wavelength of the second signal is shorted from the B node which is the end of the first line 161.

삭제delete

상기 제 2 선로(162)는 상기 제 2 스위치(166)가 단락되면 상기 제 1 선로(161)의 종단인 B노드로부터 제 2 신호의 1/4 파장 길이에 해당되는 지점은 개방되고, 상기 제 2 스위치(166)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선로(162)의 종단인 C노드로부터 제 3 신호의 1/4 파장 길이에 해당되는 지점은 단락된다.When the second switch 166 is short-circuited, the second line 162 is open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quarter wavelength of the second signal from the node B which is the end of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is opened. When the second switch 166 is open, a point corresponding to a quarter wavelength of the third signal is shorted from the node C, which is the end of the second line 162.

상기 1 선로(161) 및 상기 제 2 선로(162)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may be obtained as follows.

Figure 112007050998293-pat00001
----- 식
Figure 112007050998293-pat00001
----- expression

상기 유전율은 사용되는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기판의 유전율을 5.6이라고 가정하자.The dielectric constan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rate used, but assume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ubstrate is 5.6.

상기 제 2 신호의 경우 주파수가 1900MHz 이면, In case of the second signal, if the frequency is 1900 MHz,

파장(λ) = 3 × 108 / (1900 × 106×√(5.6)) Wavelength (λ) = 3 × 10 8 / (1900 × 10 6 × √ (5.6))

= 66.7mm = 66.7 mm

이므로, 상기 제 1 선로(161)의 길이는 1900MHz에 대해 1/4 파장 길이에 해당하는 약 16.7mm 로 설계한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first line 161 is designed to about 16.7mm corresponding to 1/4 wavelength length for 1900MHz.

상기 제 3 신호의 경우 주파수가 1575MHz일 경우 상기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상기 제 2 선로(162)의 길이는 약 20mm 가 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signal, when the frequency is 1575 MHz, the length of the second line 162 is about 20 mm when calculated using the above equation.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직렬 스위치 소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스위치(165) 및 상기 제 2 스위치(166)와 같이 상기 제 1 선로(161) 및 상기 제 2 선로(162)의 특성을 이용한 병렬 스위치를 사용하여 입력 임피던스를 조절함으로써 직접적인 신호 라인의 삽입 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first line 161 and the second line 162, such as the first switch 165 and the second switch 166 without using the series switch elements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By using an input parallel switch, the input impedance can be adjusted to improve the insertion loss of direct signal lin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00)는 저손실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기판을 사용하여 다이플렉서(103) 뿐만 아니라 비교적 길이가 긴 제 1 전송 선로 및 제 2 전송 선로를 기판 내층에 집적화가 가능하므로, 소형의 소자들, 최소 개수의 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어 단말기(10)의 저가격화 및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use a low loss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substrate to substrate not only the diplexer 103 but als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Since it can be integrated in the inner laye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small components and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realizing low cost and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10.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체적인 경로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송신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수신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transmission by reducing the overall path loss, and can improve the sensitivity during reception.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소형의 소자들, 최소 개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저가격화 및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using small elements and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realizing low cost and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Claims (10)

제 1 신호와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로 분리하는 다이플렉서;A d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A first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plexer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선로;A first line connected to the diplexer and configured to pass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선로;A second lin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ine to pass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A secon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first line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2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A thir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to separate the received signal of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개방되는 제 1 스위치; 및A firs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and open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And 상기 제 2 선로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3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개방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the second switch being open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hird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1제어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접지로 단락되며,Receiving a first control voltag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the first switch is opened by the received first control voltage, and the second switch is shorted to ground, 상기 제3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2제어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접지로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And receiving a second control voltag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hird signal, wherein the second switch is opened by the received second control voltage, and the first switch is shorted to grou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제 2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신호는 상기 제 1 선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제1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제 2 선로를 통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When the first switch is opened and the second switch is shorted,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ignal separator through the first line, the second switch is opened, and the first switch is shorted. And the third signal is received by the third signal separator through the second lin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제 2 선로가 상기 제 1 선로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And the second line is longer than the first line.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제 1 선로 및 상기 제 2 선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구현되며,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is implemented as a microstrip line, 상기 제 2 선로는 상기 제1선로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And the second line is longer than the first line.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제 1신호 대역 주파수는 DCN 대역 주파수이고, 상기 제 2신호 대역 주파수는 PCS 대역 주파수이고, 상기 제 3신호 대역 주파수는 GPS 대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Wherein the first signal band frequency is a DCN band frequency, the second signal band frequency is a PCS band frequency, and the third signal band frequency is a GPS band frequency.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다이플렉서는,The diplexer, 상기 제 1 신호를 분리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 및 A low pass filter separating the first signal; And 상기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분리하는 고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고,A high pass filter separating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상기 제1내지 제3신호분리부는 밴드패스필터 및 쏘(SAW)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And the first to third signal separators include at least one of a band pass filter and a saw filter.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rst signal, a second signal, and a third signal;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로 분리하는 다이플렉서;A diplexer connected to the antenna to separate the firs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and a third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1 신호 분리부;A first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diplexer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상기 다이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선로;A first line connected to the diplexer and configured to pass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선로;A second lin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ine to pass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의 송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신호 분리부;A secon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first line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2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신호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3 신호 분리부;A third signal separator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to separate the received signal of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선로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개방되는 제 1 스위치; A firs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and open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상기 제 2 선로와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 사이에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3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개방되는 제 2 스위치;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and open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hird signal;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 및 제 3 신호 분리부로부터 각각 수신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시키는 제 1 신호 저잡음 증폭부, 제 2 저잡음 증폭부 및 제 3 저잡음 증폭부;A first signal low noise amplifier, a second low noise amplifier, and a third low noise amplifier for minimizing and amplifying noise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separator, the second signal separator, and the third signal separator; 상기 제 1 내지 제 3 저잡음 증폭부들로부터 수신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 신호 처리부;A reception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reception signals from the first to third low noise amplifiers; 상기 제 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에 각각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제 1 전력 증폭부 및 제 2 전력 증폭부;A first power amplifier and a second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first signal separator and the second signal separator, respectively;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부들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및A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amplifiers to transmit a transmission signal; And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 또는 상기 제3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에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to process a digital signal and supply a control voltage to the first switch or the second switch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or the third signal.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2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의 개방 및 상기 제2스위치의 단락을 제어하며, 상기 제3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제1스위치의 단락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digital signal processor controls the open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hort circuit of the second switch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and the short circuit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hort circuit of the second switch to transmit and receive the third signal.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신호는 상기 제 1 선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 분리부로 수신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제1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제 2 선로를 통해 상기 제 3 신호 분리부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When the first switch is open and the second switch is shorted,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by the second signal separator through the first line, the second switch is opened, and the first switch is shorted. And the third signal is received by the third signal separator through the second line.
KR1020070070331A 2007-07-13 2007-07-13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KR100901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31A KR100901617B1 (en) 2007-07-13 2007-07-13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31A KR100901617B1 (en) 2007-07-13 2007-07-13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02A KR20090006902A (en) 2009-01-16
KR100901617B1 true KR100901617B1 (en) 2009-06-08

Family

ID=4048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331A KR100901617B1 (en) 2007-07-13 2007-07-13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6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682A (en) * 2003-02-26 2004-09-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iple band front end module
KR100455144B1 (en) 2002-03-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0974A (en)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of transmitting/receiving radio freqency signal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44B1 (en) 2002-03-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76682A (en) * 2003-02-26 2004-09-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iple band front end module
KR20060070974A (en)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of transmitting/receiving radio freqency signal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02A (en)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940B1 (en) Electromagnetic coupler arrangements for multi-frequency power detection and devices comprising same
KR101016120B1 (en)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WI645685B (en) Bypass path loss reduction
TWI683479B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band radio frequency signal routing
US7142884B2 (en) Combined front-end circuit fo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US8768267B2 (en) Switchless band separation for transceivers
EP1775847B1 (en) High frequency composite component
US20170063425A1 (en) Radio frequency coupler circuitry
KR101161579B1 (en) RF front end module including Tx/Rx diplex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6298224B1 (en) Multiple frequency band receiver
US6510310B1 (en) Dual mode phone architecture utilizing a single transmit-receive switch
JP2005312000A (en) Directional coupler and dual-band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JP2007525857A (en) Frequency selective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in wireless multiband device thereof
US8838045B2 (en) Sub-band duplexer with active frequency tuning
US10382006B2 (en) Variable frequency filt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13169749B (en) Front end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400739B1 (en) Co-site cancellation apparatus of push-to-talk terminal
TWI326526B (en) Dual band transmitter having filtering coupler
KR100901617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nit having the same
KR100726593B1 (en) Quintplexer
JP2004040322A (en) Radio communication circuit
CN109755701B (en) Three-branch open-circuit step impedance line loaded three-band filter
KR101094496B1 (en) Integrated Radio Repeater
KR101010814B1 (en) Integrated Radio Repeater
KR20150089763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