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11B1 -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11B1
KR100900711B1 KR1020080008083A KR20080008083A KR100900711B1 KR 100900711 B1 KR100900711 B1 KR 100900711B1 KR 1020080008083 A KR1020080008083 A KR 1020080008083A KR 20080008083 A KR20080008083 A KR 20080008083A KR 100900711 B1 KR100900711 B1 KR 10090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building
ocher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홍
Original Assignee
(주)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 filed Critical (주)한스
Priority to KR102008000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와 불연성 도어에 관한 것으로, 황토 50∼60중량%, 질석 5∼30중량%, 고령토 5∼20중량%, 카오링 5∼20중량% 및 섬유제 2∼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층간 흡음판용 성형틀에 넣어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되되, 상면에는 난방용 배관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홈 라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요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등의 황토의 기능 외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물, 황토, 질석, 고령토, 카오링, 소음, 층간 흡음판, 도어

Description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FLOOR STRUCTURE OF CONSTRUCTION USING LOESS AND MINERAL}
본 발명은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와 불연성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를 비롯한 각종 기능성 광물들을 적정량 혼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등의 황토의 기능 외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와 불연성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바닥은 여러 형태로 시공되고 있다. 그 중 단독주택 및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바닥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난방용 파이프를 배설하고 시멘트 몰탈로 마감처리 한 후 일정한 두께의 합성수지재 바닥마감재를 도포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바닥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면에 도포된 기포 콘크리트가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으나 그 소음 감쇄작용 효과는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관계로 각종 충격음에 따른 소음을 제대로 흡수,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포 콘크리트의 특성이 사람의 음성 및 각종 음향기기 등에서 발생하는 기체전달 소음에 대한 감쇄작용은 뛰어나지만, 상층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 등의 낙하로 발생하는 고체전달 소음을 감쇄시키고 차단하는 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가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차단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하층에 거주하는 거주인들 간의 분쟁이 발생하는 등 층간소음으로 인한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어 최근에는 공동주택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줄여주는 저감재의 사용이 의무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재가 등장하고 있는 데, 그 중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층과 기포 콘크리트층 사이에 부설되는 스티로폼(발포 폴리스티렌)은 단열성능은 뛰어나지만, 차음 및 흡음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에틸렌 무가교 수지층 또는 폴리에틸렌 화학가교 수지층은 차음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폐고무와 폐우레탄을 사용한 바닥재 및 벽체의 단열 및 층간저감재가 개발되었으나, 폐고무와 폐우레탄을 미세하게 분쇄한 혼합물은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므로 이들의 혼합을 위해 천연 및 합성 라텍스계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폐고무와 폐우레탄을 사용한 바닥재는 우레탄이 경화되면서 많은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접착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이 휘발하면서 발산하는 유해물질로 인해 입주자들의 건강을 해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를 비롯한 각종 기능성 광물들을 적정량 혼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등의 황토의 기능 외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를 비롯한 각종 기능성 광물들을 적정량 혼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등의 황토의 기능 외에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불연 성능을 갖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황토 50∼60중량%, 질석 5∼30중량%, 고령토 5∼20중량%, 카오링 5∼20중량% 및 섬유제 2∼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층간 흡음판용 성형틀에 넣어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되되, 상면에는 난방용 배관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홈 라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 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요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말의 크기는 200∼300mesh임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제는 팜(Palm), 대마줄기 또는 당나무 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건축물의 상/하층을 분리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상면에 도포되는 황토접착제; 상기 황토접착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난방용 배관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홈 라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요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불연성 층간 흡음판; 상기 홈 라인에 삽입 안착되는 난방용 배관; 상기 난방용 배관을 포함한 불연성 층간 흡음판의 전체 상면에 타설되는 마감 몰탈층; 및 상기 마감 몰탈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를 포함하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황토접착제는, 황토 25∼30중량%, 일라이트 10∼15중량%, 소나무 10∼25중량%, 고령토 또는 납석 5∼20중량%, 슬래그 7∼30중량% 및 무수석고 5∼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20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참숯, 게르마늄, 옥, 또는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물질을 분 말화하여 2∼5중량%의 비율로 더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말의 크기는 200∼300mesh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연성 층간 흡음판은, 황토 50∼60중량%, 질석 5∼30중량%, 고령토 5∼20중량%, 카오링 5∼20중량% 및 섬유제 2∼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층간 흡음판용 성형틀에 넣어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말의 크기는 200∼300mesh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제는 팜(Palm), 대마줄기 또는 당나무 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황토 50∼60중량%, 질석 5∼30중량%, 고령토 5∼20중량%, 카오링 5∼20중량% 및 섬유제 2∼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불연성 도어용 성형틀에 넣어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되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말의 크기는 200∼300mesh임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제는 팜(Palm), 대마줄기 또는 당나무 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와 불연성 도어에 따르면, 황토를 비롯한 각종 기능성 광물들을 적정량 혼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등의 황토의 기능 외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불연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난방비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된 재료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황토(黃土, Loess)
황토는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다. 이 탄산칼슘에 의해 쉽게 부서지지 않은 점력을 지니고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는 석영, 장석, 운모 및 방해석 등이 들어 있어서 이들 물 질이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을 받아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및 미녹색 등의 색깔을 나타낸다.
이러한 황토의 다양한 효능을 살펴보면, 황토는 열 또는 자연광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조절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수행한다. 또한, 복사난방에 의한 열 전달로 저온에서도 체감온도가 높고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공진공명 작용 및 자기발열 현상을 일으켜 약 30% 정도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질석(蛭石, vermiculite)
질석은 "버미큘라이트고"라고도 한다.
화학 성분은 CMg, Fe3+, Al3(Al,Si)4O10(OH)2·4H2O로 알루미늄·마그네슘·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이다. 굳기는 1∼2이며, 비중은 2.76이다. 쪼개짐은 [001]면에 완전하다.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진주광택이 난다. 산(酸)에 쉽게 분해되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크며, 가열하면 팽창한다. 사문암 지대에서 산출되고, 다공질(多孔質)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防音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명칭은 가열했을 때 지렁이와 비슷하여 지렁이를 뜻하는 라틴어 'vermiculare'에서 유래하였다.
(3) 고령토(高嶺土, kaolin)
고령토는 "카올린 차이나 크래이(kaolin china clay)"라고도 하고, 사기와 자기를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성분이며, 종이·고무·도료를 비롯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드는 데 널리 쓰이는 부드러운 하얀 점토이다.
고령토는 중국에 있는 산(카올린 산)의 이름을 딴 것으로, 이 산에서는 수백 년 동안 고령토를 캐왔다. 고령토는 프랑스 예수회의 한 선교사가 중국인들이 자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의 예로서 1700년경 처음 유럽에 소개했다.
천연상태에서는 하얗고 부드러운 가루이고, 이는 고령석 광물의 주요성분이다.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약 0.1∼10㎛ 정도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진 6각판상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벌레먹은 것처럼 꾸불꾸불하거나 책 같은 모양을 가진 것도 있다. 크기가 1㎜에 가까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도 종종 발견된다. 천연상태의 고령토는 대개 백운모·석영·장석·아나타제 같은 광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양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천연상태의 고령토는 수산화철의 색소 때문에 노란색을 띠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고령토를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점토를 화학적으로 표백하여 철분색소를 제거하고, 물로 씻어 다른 광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령토에 물을 약 20~35% 섞으면 가소성(可塑性)을 갖게 되어 압력을 가하면 모양을 마음대로 만들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압력이 없어져도 그 형태가 유지된다. 물을 더 많이 섞으면, 걸쭉하고 묽은 현탁액이 된다. 가소성과 점성도(粘性度)를 갖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고령석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고령토 안에 존재할 수 있 는 화학물질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이러한 고령토는 프랑스, 영국 및 독일의 작센 지방, 체크, 슬로바키아 및 미국에서 채취되었는데, 미국 남동부지방에는 유명한 고령토 광상(鑛床)이 있다.
또한, 고령토 생산량의 약 40%는 종이의 틈새를 메우고 표면에 광택을 내는 데 쓰인다. 종이의 틈새를 메울 때는 고령토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섞는데, 이렇게 가공한 고령토는 종이에 점성·색깔·불투명도(不透明度)를 주는 필수성분이며, 종이에 인쇄를 할 수 있는 것도 고령토 때문이다. 고령토를 접착제와 함께 종이 표면에 얇게 펴 바르면, 종이가 광택, 색깔, 높은 불투명도를 갖게 되고 인쇄도 더욱 선명하게 할 수 있다. 고령토를 종이 표면에 바를 때는 고령석 입자의 지름이 대부분 2㎛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고령토는 도자기산업에 널리 쓰이고 있는데, 용융(鎔融)온도가 매우 높고 구우면 하얀색을 띠는 특성을 갖고 있어 특히, 하얀 사기, 자기 및 내열성 물질을 만드는 데 적합하다. 고령석의 분자구조 내에 철분이나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금속이 전혀 없으면, 훌륭한 도자기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하얀 도자기를 만들 때는 대개 고령토에 거의 같은 양의 무수규산과 장석을 섞고, 그보다 약간 적은 양의 볼 클레이를 섞는다.
볼 클레이는 점토를 살짝 구운 것으로서, 유연한 가소성을 갖고 있다. 도자기의 모양을 만들어 불에 굽는 데 적합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가소성, 수축성 및 유리 같은 성질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내열성 물질을 만들 때는 대개 고령토만 이용한다. 고령토의 상당량은 고무의 틈새를 메워 고무의 물리적 강도와 마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 쓰인다. 여기에 쓰이는 점토는 순수한 고령석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며, 입자는 상당히 미세해야 한다.
또한, 고령토는 도료의 양을 늘리고 희석하여 도료가 부드럽게 펴지게 하는 물질로도 쓰인다. 고령토는 종이의 침투성을 억제하기 위해 종이에 바르는 접착제에도 자주 이용된다. 고령토는 미세한 입자 크기, 하얀 색깔,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성질 및 흡수성 등 고령토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잉크, 유기 플라스틱 및 화장품을 비롯하여, 독특한 가치를 지닌 수많은 제품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 쓰인다. 이러한 고령토(또는 카올린)는 천연광물로 천연접착제의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각종 광물들(예컨대, 질석, 고령토, 카오링 등)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은 소정두께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상면에는 통상의 난방용 배관(30, 도 4 참조)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홈 라인(110)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저면에는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요홈(120)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120)은 콘크리트층의 상면과 접하지 않게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상/하 각층간에 시공된 바닥면상에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요홈(120)내의 공기층에서 충격 및 진동이 굴절되면서 완전히 흡수됨과 동시에 상/하부간에 이루어지는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공기층은 전달되는 충격음을 차단 및 흡수함과 동시에 단열층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요홈(120)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은 설치할 건축물의 바닥면 전체 면적에 대응되도록 퍼즐 형태와 같이 다수개로 조각 블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하나의 일체화된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일체화된 몸체로 이루어질 경우,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 라인(110)은 난방용 배관(30)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벤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황토(黃土, Loess), 질석(蛭石, vermiculite), 고령토(高嶺土, kaolin), 카오링(또는 카오린) 및 섬유제(예컨대, 팜(Palm), 대마줄기 또는 당나무 껍질 등)를 각각 소정의 크기로 분말화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분말의 크기는 작을수록 응용성이 좋지만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때 약 200∼300mesh(바람직하게는, 약 325mesh 정도) 정도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말의 크기가 325mesh 이상으로 되면 황토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막층에 크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의 방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mesh 이하로 되면 피막층의 표면상태가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에, 상기 분말화 공정에서 선별된 황토, 질석, 고령토, 카오링 및 섬유제 분말을 각각 50∼60중량%, 5∼30중량%, 5∼20중량%, 5∼20중량% 및 2∼1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상기 황토 분말은 주로 원적외선의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촉진, 습도 조절 및 공기정화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고령토 분말은 주로 점력을 증진하고, 색상을 나타내며,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령토 분말의 함량은 점력 증진을 위해 많을수록 좋지만,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약 5∼30중량% 정도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령토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즉, 30중량% 이상) 금방 굳어 버림과 아울러 색상이 너무 짙게 나타나며, 너무 적을 경우(즉, 5중량% 이하) 너무 늦게 굳어버림과 아울러 색상이 너무 옅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넣고 믹서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층간 흡음판용 성형틀에 넣어 약 1000톤의 유압식 핫 프레스(Hot Press)로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제조된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은 건축물에 이용될 경우,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다수의 공기층에 의해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불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고령토는 천연광물로 천연접착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납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각 공정을 수행한 후 소정의 건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과,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면에 소정두께로 접착되도록 점착성을 갖는 황토접착제(20)와, 황토접착제(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저면에 요홈(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과,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 라인(110)에 삽입 안착되는 난방용 배관(30)과, 난방용 배관(30)을 포함한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전체 상면에 타설되며, 몰탈 혹은 자갈과 몰탈의 혼합물 또는 쇄석과 몰탈의 혼합물로 구성된 마감 몰탈층(40)과, 마감 몰탈층(4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5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의 시공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상/하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을 설계에 맞추어 타설 및 양생한 후,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에 소정 두 께의 황토접착제(20)를 도포한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에 도포된 황토접착제(20)의 상면에 본 발명의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요홈(120)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후, 난방용 배관(30)을 불연성 층간 흡음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 라인(110)에 삽입 안착시킨다.
이후에, 몰탈 혹은 자갈과 몰탈의 혼합물 또는 쇄석과 몰탈의 혼합물로 구성된 마감 몰탈층(40)이 타설되고, 마감 몰탈층(40)의 상면에 최종 마감재료인 바닥 마감재(50)(예컨대, 장판지, 룸 카페트 등)를 덮어서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황토접착제(2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황토(黃土, Loess), 일라이트(illite), 소나무(Pinus densiflora), 고령토(高嶺土, kaolin), 슬래그(slag) 및 무수석고(Calciun sulfate anhydrate)를 각각 소정의 크기로 분말화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분말의 크기는 작을수록 응용성이 좋지만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때 약 200∼300mesh(바람직하게는, 약 325mesh 정도) 정도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말의 크기가 325mesh 이상으로 되면 황토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막층에 크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의 방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mesh 이하로 되면 피막층의 표면상태가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에, 상기 분말화 공정에서 선별된 황토, 일라이트, 소나무, 고령토, 슬 래그 및 무수석고 분말을 각각 25∼30중량%, 10∼15중량%, 10∼25중량%, 5∼20중량%, 7∼30중량% 및 5∼1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추가적으로, 참숯, 게르마늄, 옥, 또는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물질을 분말화하여 약 2∼5중량%의 비율로 더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0∼20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넣고 믹서기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황토접착제(2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제조된 불연성 황토접착제(20)는 건축물 재료 접착 시에 이용될 경우,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소나무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로 인해 사용자에게 미적감 및 청량감을 더해줄 수 있으며, 각종 해로운 균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고령토는 천연광물로 천연접착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납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각 공정을 수행한 후 소정의 용기에 담는다.
(제2 실시예)
이하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도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황토(黃土, Loess), 질석(蛭石, vermiculite), 고령토(高嶺土, kaolin), 카오링(또는 카오린) 및 섬유제(예컨대, 팜, 대마줄기 또는 당나무 껍질 등)를 각각 소정의 크기로 분말화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분말의 크기는 작을수록 응용성이 좋지만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때 약 200∼300mesh(바람직하게는, 약 325mesh 정도) 정도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말의 크기가 325mesh 이상으로 되면 황토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막층에 크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의 방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mesh 이하로 되면 피막층의 표면상태가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에, 상기 분말화 공정에서 선별된 황토, 질석, 고령토, 카오링 및 섬유제 분말을 각각 50∼60중량%, 5∼30중량%, 5∼20중량%, 5∼20중량% 및 2∼15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상기 황토 분말은 주로 원적외선의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촉진, 습도 조절 및 공기정화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고령토 분말은 주로 점력을 증진하고, 색상을 나타내며,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령토 분말의 함량은 점력 증진을 위해 많을수록 좋지만,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약 5∼30중량% 정도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령토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즉, 30중량% 이상) 금방 굳어 버림과 아울러 색상이 너무 짙게 나타나며, 너무 적을 경우(즉, 5중량% 이하) 너무 늦게 굳어버림과 아울러 색상이 너무 옅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5∼15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넣고 믹서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불연성 도어용 성형틀에 넣 어 약 1000톤의 유압식 핫 프레스(Hot Press)로 성형, 압착시켜 규격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도어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제조된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도어는 건축물에 이용될 경우,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불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된 고령토는 천연광물로 천연접착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납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각 공정을 수행한 후 소정의 건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 및 그 바닥구조와 불연성 도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층간 흡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건축물의 상/하층을 분리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난방용 배관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홈 라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건축물의 층간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요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불연성 층간 흡음판;
    상기 홈 라인에 삽입 안착되는 난방용 배관;
    상기 난방용 배관을 포함한 불연성 층간 흡음판의 전체 상면에 타설되는 마감 몰탈층;
    상기 마감 몰탈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로 이루어진 건축용 바닥구조에 있어서,
    황토 25∼30중량%, 일라이트 10∼15중량%, 소나무 10∼25중량%, 고령토 또는 납석 5∼20중량%, 슬래그 7∼30중량% 및 무수석고 5∼15중량%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분말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20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황토접착제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과 불연성 층간 흡음판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접착제는,
    참숯, 게르마늄, 옥, 또는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분말화하여 황토접착제의 총 중량에 대해 2∼5중량%의 비율로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의 크기는 20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08083A 2008-01-25 2008-01-25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KR10090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83A KR100900711B1 (ko) 2008-01-25 2008-01-25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83A KR100900711B1 (ko) 2008-01-25 2008-01-25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711B1 true KR100900711B1 (ko) 2009-06-16

Family

ID=409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083A KR100900711B1 (ko) 2008-01-25 2008-01-25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982A (zh) * 2019-01-21 2019-05-28 苏州大乘环保新材有限公司 一种水性半预制高环保运动地板及其施工方法
KR20190063764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포이엠 질석을 이용한 바닥 판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319A (ko) * 1998-11-23 2000-06-15 김옥수 황토접착제
KR100473535B1 (ko) 2005-01-26 2005-03-1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황토층을 구비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건축 바닥재용 판넬
KR20050087761A (ko) * 2005-08-10 2005-08-31 백정실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층간 방음재
KR100530015B1 (ko) 2003-09-16 2005-11-22 정해철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의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70008983A (ko) * 2005-07-14 2007-01-1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난방배관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319A (ko) * 1998-11-23 2000-06-15 김옥수 황토접착제
KR100530015B1 (ko) 2003-09-16 2005-11-22 정해철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의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473535B1 (ko) 2005-01-26 2005-03-1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황토층을 구비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건축 바닥재용 판넬
KR20070008983A (ko) * 2005-07-14 2007-01-1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난방배관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KR20050087761A (ko) * 2005-08-10 2005-08-31 백정실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층간 방음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64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포이엠 질석을 이용한 바닥 판넬
CN109811982A (zh) * 2019-01-21 2019-05-28 苏州大乘环保新材有限公司 一种水性半预制高环保运动地板及其施工方法
CN109811982B (zh) * 2019-01-21 2020-12-04 苏州大乘环保新材有限公司 一种水性半预制高环保运动地板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469B1 (ko) 광물화식물섬유의 표면피막층 형성 방법 및 그에따른건축자재
KR101535465B1 (ko)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무기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ES2254351T3 (es) Panel decorativ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su utilizacion.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KR20060091214A (ko) 단열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단열 패널과 그제조방법 및 건축물의 층간구조
KR101853710B1 (ko) 폐연마재를 활용한 건축용 칼라 석재 도장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H708688B1 (de) Stabiler Formkörper als Brandschutz und/oder Wärmedämmung und Leichtbauplatte mit einem solchen, Herstellverfahren und Verwendung davon sowie Bauwerk enthaltend einen stabilen Formkörper oder eine Leichtbauplatte.
KR101747877B1 (ko)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황토보드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0900711B1 (ko) 황토와 광물을 이용한 건축용 바닥구조
CN103195223B (zh) 一种仿石材保温装饰复合板及其制造方法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1403B1 (ko) 황토, 일라이트 및 소나무를 이용한 건축 마감재용 불연성 천장 텍스, 보드, 패널, 접착제 및 퍼티
KR100969308B1 (ko) 숯이 함유된 석고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석고보드
KR100976295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석재 제조방법
KR20060092175A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20060000125U (ko) 건축용 경량단열패널
KR100361555B1 (ko) 토르마린 함유층을 갖는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건물 시공방법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101083743B1 (ko) 천연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미장재 및 이를 이용한 미장 공법
KR100795837B1 (ko) 친환경 다공질 원석을 이용한 건물의 음이온 방출벽체
KR101224531B1 (ko) 벽돌층 및 펠렛층으로 이루어진 온돌바닥층을 갖는 온돌바닥 시공구조
KR100798096B1 (ko)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317996B1 (ko) 사문옥석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KR100463377B1 (ko) 사문옥석을 이용한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