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459B1 -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 Google Patents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459B1
KR100900459B1 KR1020070094604A KR20070094604A KR100900459B1 KR 100900459 B1 KR100900459 B1 KR 100900459B1 KR 1020070094604 A KR1020070094604 A KR 1020070094604A KR 20070094604 A KR20070094604 A KR 20070094604A KR 100900459 B1 KR100900459 B1 KR 10090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side plates
box
hollow frame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06A (ko
Inventor
석정기
Original Assignee
(주) 인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목 filed Critical (주) 인목
Priority to KR102007009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4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입체 굴곡 형상이 형성된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일정한 곡면(7a, 7b)을 형성한 2개의 아우트라인 측판(9a, 9b)과,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지 않은 2개의 보조 측판(9c, 9d)을 이용하여, 아우트라인 측판(9a, 9b) 끼리 서로 마주보게 조립한 중공(中空) 프레임(11)과, 상기 4개의 측판(9a, 9b, 9c, 9d) 상면에 상면 형상과 부합되는 곡면이 형성되도록 부착된 얇은 표면재(3a, 3b, 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매우 볼륨있고 아름다운 벽 판넬을 만들 수 있고, 벽에의 탈부착이 쉬워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측판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형광등, LED 조명등을 설치하면 빛과 형상이 조화된 새로운 미감을 갖는 벽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 곡면판 표면에 흡음용 구멍을 천공하면 흡음 벽 판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벽 판넬

Description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MANUFACTURING METHOD OF BOX TYPE WALL PANEL AND BOX TYPE WALL PANEL THEREBY}
본 발명은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면에 입체 굴곡 형상이 형성된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 판넬은 표면이 매끄러운 평면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벽 판넬에 볼륨감을 주기 위하여 두꺼운 목판을 음각 또는 양각하여 표면에 입체 형상의 굴곡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벽 판넬을 삭각하여 그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형상을 성형하는 것은 작업이 난해하고 판넬이 뚜꺼워질 수 밖에 없어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대량 생산이 어려우므로, 인테리어 설계자나 시공자가 소량의 갯수를 필요할 때마다 단품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을 뿐 제품으로 양산되어 유통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 입체 굴곡 표면 벽 판넬의 제작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설비와 방법으로 소형, 중형, 대형의 규격화된 입체 굴곡 표면을 갖는 벽 판넬을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는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륨감이 있으면서도 재료가 적게 소요되어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 장식 기능과 흡음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은 상면에 일정한 곡면을 형성한 2개의 아우트라인 측판과,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지 않은 2개의 보조 측판을 이용하여, 아우트라인 측판 끼리 서로 마주보게 조립한 중공(中空) 프레임과, 상기 4개의 측판 상면에 상면 형상과 부합되는 곡면이 형성되도록 부착된 얇은 표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은 상면에 일정한 곡면을 형성한 2개의 아우트라인 측판과,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지 않은 2개의 보조 측판을 아우트라인 측판 끼리 서로 마주보게 조립하여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중공 프레임을 성형하는 중공 프레임 성형 단계; 상기 중공 프레임의 측판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얇은 표면재를 적층하는 표면재 적층 단계; 및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의 상면 곡면과 정합되는 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지그를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의 상면 직상부에 배치하고 눌러 상기 표면재를 상기 중공 프레임에 부착하는 표면재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매우 볼륨있고 아름다운 벽 판넬을 만들 수 있고, 벽에의 탈부착이 쉬워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측판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형광등, LED 조명등을 설치하면 빛과 형상이 조화된 새로운 미감을 갖는 벽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 곡면판 표면에 흡음용 구멍을 천공하면 흡음 벽 판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륨감이 있으면서도 재료가 적게 소요되어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박스형 벽 판넬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의 구성요소인 중공 프레임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중공 프레임의 조립 사시도를,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중공 프레임에 표면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를 미리 굴곡 성형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를,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를 미리 굴곡 성형함과 동시에 표면재에 흡음 구멍을 천공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를, 도 5a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를, 도 6는 도 1b에 흡음 구멍이 천공한 표면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를, 도 7은 흡음 구멍을 천공한 박스형 벽 판넬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판넬은 그 무게를 줄이고 볼륨감을 갖게 하기 위하여, 4개의 측판(9a, 9b, 9c, 9d)을 이용하여 바닥이 없는 박스형 중공(中空) 프레임(11)을 만들고, 이 때 2개의 측판(9a, 9b)은 상면에 일정한 곡면(7a, 7b)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부착될 표면재(3a, 3b, 3c)의 모서리 형상에 대한 아우트라인을 형성하게 하고, 나머지 2개의 측판(9c, 9d)은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과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을 만드는 보조 측판(9c, 9d)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중공 프레 임(11)의 측판 중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은 아우트라인 측판(9a, 9b) 끼리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조립하고, 보조 측판(9c, 9d)은 보조 측판(9c, 9d) 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조립한다. 상기 2개의 아우트라인 측판(9a, 9b) 상면에 형성된 곡면(7a, 7b)은 서로 일치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곡면(7a, 7b) 형상에 변화를 주게 되면 표면재(3a, 3b, 3c)의 표면 입체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공 프레임(11)의 4개의 측판(9a, 9b, 9c, 9d) 상면에 상면 형상과 부합되는 곡면이 형성되도록 부착된 얇은 표면재(3a)를 부착하고 필요시 도장 등의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이 완성된다. 상기 표면재(3a)는 굴곡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표면재(3a)로는 무늬목 시트, 화장지 시트, 합성수지 시트, 천 또는 얇은 금속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늬목 시트로는 천연무늬목, 염색무늬목 또는 적층무늬목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필요한 규격(폭 및 길이)으로 재단된 무늬목 여러장을 서로 횡접합(splicing)한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러한 무늬목을 2상 이상 상하로 접착한 것을 사용하거나 무늬목에 페놀함침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 등을 배접하여 고압으로 압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화장지 시트로는 멜라민 함침 화장지 또는 무함침 화장지 배면에 페놀함침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 등을 배접하여 고압으로 압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 시트로는 얇게 평판형으로 성형한 피브이씨 시트(Polyvinylchrolide sheet), 아크릴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으로는 알루미늄판, 황동 판, 동판, 주석판, 아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들 표면재(3a)는 필요에 따라 도장, 오일 처리, 도색 등의 표면처리를 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미적 아름다움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프레임(11)의 측판(9a, 9b, 9c, 9d)에 표면재를 부착함에 있어서는 우선, 측판(9a, 9b, 9c, 9d)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접착 필름,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하고, 위에 얇은 표면재(3a, 3b, 3c)를 적층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의 상면 곡면(7a, 7b)과 정합되는 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지그(1a, 1b)를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의 상면 직상부에 배치하고 눌러 부착한다. 상기 압착지그(1a, 1b)는 직사각 평판형의 판재로 부터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을 따내고 남은 자투리 조각을 그대로 사용하면 매우 경제적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면재(3c)의 두께나 소재의 성질로 인하여 굴곡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 측판(9a, 9b, 9c, 9d)의 상면 형상과 그 가장자리가 일치하는 금형(5a, 5b)을 이용하여 미리 표면재(3c)를 굴곡 성형한 후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재(3a)를 굴곡 성형할 수 있는 금형(5c, 5d)에 펀처(17) 및 펀칭구멍(19)을 형성하고, 이 것을 이용하여 표면재(3a)를 관통하 는 흡음 구멍(13)을 천공함으로써 박스형 흡음 벽 판넬을 성형할 수도 있다. 흡음 구멍(13)은 이와 대체되는 다른 방법으로 천공하여도 무방하다. 도 6 및 도 7은 흡음 구멍(13)이 천공되고 동시에 굴곡 성형된 표면재(3b)를 상기 중공 프레임(11)에 부착하여 박스형 흡음 벽 판넬을 완성한 것을 보여 준다. 이 때 표면재(3b) 부착 공정은 위에서 설명한 공정이 그대로 적용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15a, 15b)은 평면적의 크기를 600×600mm, 600×1200mm, 600×2400mm, 1000×1000mm, 1000×2000mm, 1200×1200mm, 1200×2400mm 등 다양한 규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벽 판넬(15a, 15b)의 아우트라인 양측 측판 단면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시공시 측 단면이 일치하는 면끼리 서로 부착시키면, 굴곡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설비와 방법으로 소형, 중형, 대형의 규격화된 입체 굴곡 표면을 갖는 벽 판넬을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고, 볼륨감이 있으면서도 재료가 적게 소요되어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 판넬이 벽 장식 기능과 흡음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의 구성요소인 중공 프레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중공 프레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중공 프레임에 표면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벽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를 미리 굴곡 성형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를 미리 굴곡 성형함과 동시에 표면재에 흡음 구멍을 천공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5a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1b에 흡음 구멍이 천공한 표면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7은 흡음 구멍을 천공한 박스형 벽 판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압착 지그 3a, 3b, 3c : 표면재
5a, 5b, 5c, 5d : 금형 7a, 7b, 7c, 7d : 곡면
9a, 9b, 9c, 9d : 측판 11 : 중공 프레임
13 : 흡음 구멍 15a, 15b : 박스형 벽 판넬
17 : 펀처 19 : 펀칭 구멍

Claims (4)

  1. 상면에 일정한 곡면(7a, 7b)을 형성한 2개의 아우트라인 측판(9a, 9b)과, 상면에 곡면을 형성하지 않은 2개의 보조 측판(9c, 9d)을 아우트라인 측판(9a, 9b) 끼리 서로 마주보게 조립하여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중공 프레임(11)을 성형하는 중공 프레임 성형 단계; 상기 중공 프레임(11)의 측판(9a, 9b, 9c, 9d)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얇은 표면재(3a, 3b, 3c)를 적층하는 표면재 적층 단계; 및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의 상면 곡면(7a, 7b)과 정합되는 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지그(1a, 1b)를 상기 아우트라인 측판(9a, 9b)의 상면 직상부에 배치하고 눌러 상기 표면재(3a, 3b, 3c)를 상기 중공 프레임(11)에 부착하는 표면재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3a, 3b, 3c)는 무늬목 시트, 화장지 시트, 합성수지 시트, 천 또는 얇은 금속판 가운데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3a, 3b, 3c)에는 흡음 구멍(13)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KR1020070094604A 2007-09-18 2007-09-18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KR10090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04A KR100900459B1 (ko) 2007-09-18 2007-09-18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04A KR100900459B1 (ko) 2007-09-18 2007-09-18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06A KR20090029406A (ko) 2009-03-23
KR100900459B1 true KR100900459B1 (ko) 2009-06-02

Family

ID=4069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604A KR100900459B1 (ko) 2007-09-18 2007-09-18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45A (ja) 1996-12-25 1998-07-14 Misawa Ceramics Corp タイル貼りコンクリート系パネルの折り曲げ方法及び折り曲げ治具
US6308490B1 (en) * 1998-09-18 2001-10-30 Nasser Saebi Method of constructing curved structures as part of a habitable building
KR20070054194A (ko) * 2004-07-23 2007-05-28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만곡된 천장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45A (ja) 1996-12-25 1998-07-14 Misawa Ceramics Corp タイル貼りコンクリート系パネルの折り曲げ方法及び折り曲げ治具
US6308490B1 (en) * 1998-09-18 2001-10-30 Nasser Saebi Method of constructing curved structures as part of a habitable building
KR20070054194A (ko) * 2004-07-23 2007-05-28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만곡된 천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06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48511A (ru) Ламинирован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DE50313201D1 (de)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trukturierten Dekors in einer Holzwerkstoffplatte
SE0303018D0 (sv)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tt dekorativt laminat med matchad ytstruktur
KR100900459B1 (ko) 박스형 벽 판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스형 벽 판넬
RU50917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панно
KR20110103770A (ko) 타공으로 이미지를 연출한 고밀도 목재패널
KR200465688Y1 (ko) 음각 입체무늬 내면에 색채가 형성된 엠디에프 패널
KR200291679Y1 (ko) 다층 합성수지 패널
KR200359553Y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
CN2779018Y (zh) 一种水晶门板结构
KR100462582B1 (ko) 방수지가 부착된 종이 패널의 제조방법 및 구조
JP2008195440A (ja) 重箱
KR200330111Y1 (ko) 장식용 판재
KR20050014529A (ko) 장식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18700Y1 (ko) 복합 무늬를 가지는 화장판
SE0303146D0 (sv) A process for achieving a surface structure on a decorative laminate
KR200302571Y1 (ko) 종이패널
KR101532167B1 (ko) 모자이크 판넬 제조 방법
JP5324823B2 (ja) 建具用框組パネル
RU67586U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декоративный материал
KR101101895B1 (ko) 도자기 도판이 삽입된 한지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9255Y1 (ko) 크리스탈유리로 되는 패(牌)
KR20110103772A (ko) 조각에 의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다층 복합패널
KR101390477B1 (ko) 종이관 제조방법
JP2013166253A (ja) 湾曲状段ボール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