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734B1 -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734B1
KR100898734B1 KR1020070043986A KR20070043986A KR100898734B1 KR 100898734 B1 KR100898734 B1 KR 100898734B1 KR 1020070043986 A KR1020070043986 A KR 1020070043986A KR 20070043986 A KR20070043986 A KR 20070043986A KR 100898734 B1 KR100898734 B1 KR 10089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media server
application serv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743A (ko
Inventor
임성호
김태정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04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7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ard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호 정리하는 단계, 상기 호 정리 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간에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조정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조정된 서비스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 미디어 서버, 연동 규격, 호 정리, 호 처리,

Description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INITIAL CONNECTING BETWEEN MEDIA SERVER AND APPLICATION SERVER FOR CALL PROCESS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의 연결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메시지를 통해 초기 접속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트비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간에 연결이 유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에 있는 서비스별 음원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절차 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의 관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조를 구체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관계에서 미디어 서버의 구조를 구체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TCP/IP 접속 요청
202: 인증 토큰 전송
204: 호 정보 요청
205: 호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211: 신규 호 연결 보고
212: 신규 호 생성 요청
본 발명은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과 호 정리, 서비스 등록, 서비스 조정의 과정을 통해 호 처리 서비스 수행 전에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초기 접속 절차를 규격화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미디어 서버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호 처리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경우,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초기에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는 절차에 대해 규격화되지 않아서, 양 서버가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 간 서비스 수행하기 전에 양 서버간 연동규격을 통해 접속 절차를 규격화하고 통일화하는 것은 많은 양의 호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였다.
특히, 초기 접속 절차에 대해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여러 가지 호 처리 유형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지 못하고, 서비스 별로 다른 접속 방법을 따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모하게 되고, 호환성이 떨어져 서비스 수행에 있어서 많은 혼란이 발생하게 되었다.
만약 초기 접속 절차가 규격화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서버에 인입되는 호의 양이 많으면 호 처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양 서버간 초기 접속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대용량 처리가 요구되는 최근 차세대 이동통신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급속히 발전되는 호 처리 서비스의 다양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인입되는 호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호 처리 서비스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간 초기 접속 절차를 규격화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호 처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전에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서버 연동 규격에 따른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고, 관리함으로써, 서비스를 조정하여 좀더 효율적인 호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절차를 규격화함으로써 여러 가지 유형의 호 처리 서비스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많은 양의 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호 정리하는 단계, 상기 호 정리 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간에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조정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조정된 서비스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TCP/IP 접속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TCP/IP 접속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인증 토큰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TCP/IP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TCP/IP 접속이 이루어진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 상호 간에 일정 시간간격으로 하트비 트(heartbea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TCP/IP 접속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에 대해 로직 수행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에 접속 인증 요청을 하는 접속부, 콜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 정리하는 호 정리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상기 미디어 서버와의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서비스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서비스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을 인증하는 접속 인증부,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콜 아이디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 관리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 아이디가 포함된 서비스 등록 요청을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별 음원 파일을 관리 요청에 따라 로직 수행하는 음원 파일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초기 접속 절차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호 처리 서비스를 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 간에 준비 과정을 통칭한 뜻으로 의미할 수 있고, 인증 과정에서 프로토콜에 의한 접속은 단순한 물리적인 온라인에 의한 연결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중 일부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방법은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의 연결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2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하나의 미디어 서버를 도시하였지만,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과 제2 어플리케이션 서버(102)는 각각 AS1(Application server 1), AS2(Application server 2)로 나타냈고, 그 안에 포함된 SA, SB 및 SC는 각각 Service A, Service B, Service C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제2 어플리케이션 서버(102)에 각각 호 처리 를 위한 서비스가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중에 초기 접속 절차를 통해 미디어 서버(103)는 연결된 신규 호별로 각각의 서비스가 등록될 수 있다.
각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자체적으로 Act/Sby 이중화 구조로 운용될 수 있으며, 부하 분산을 위해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대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올라 갈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103)는 해당 서비스의 호가 인입되면, 여러 대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차례대로 호를 분배할 수 있다.
도 1에서 동일한 SA가 각각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제2 어플리케이션 서버(102)에 올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제2 어플리케이션 서버(102)에 서비스 SA 가 올라가 있는 경우, 미디어 서버(103)에 해당 서비스의 호가 인입되면 첫번째 호는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101) 로 두번째 호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서버 (102) 로 올리며, 세번째 호는 다시 제1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올려 각 어플리케이션 서버마다 해당 호에 대해서 SA 를 실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있는 서비스 각각은 다른 벤더(vendor)들에 의해 미디어 서버(103)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각각의 서비스와 미디어 서버간에 연결된 선이 각각의 벤더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메시지를 통해 초기 접속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MS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를 의미하고, AS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의미한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가 프로토콜를 통해 연결하고 인증하는 과정인 도면부호(203), 그에 따라 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호 정리하는 과정인 도면부호(207), 서비스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 등록하는 과정인 도면부호(210) 및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과정인 참조 부호(214)를 거쳐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과정에 대해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부호(201)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TCP/IP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복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시지 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TCP/IP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로 유사한 기능의 다른 프로토콜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TCP/IP 접속 요청은 엑세스 아이디와 엔티티(entity)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엔티티 아이디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에 부여된 고유한 값이며, 각각의 서비스에 따른 벤더 아이디, 상기 서비스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서버 아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202)는 TCP/IP 접속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인증 토큰(Auth Token: Authentication Token)을 의미한다. 여기서 TCP/IP 접속 요청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인증 토큰을 전송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 내에 미디어 서버가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미 디어 서버는 접속 요청에 대해 인증할 수 없어 TCP/IP 접속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가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면 인증 토큰에 포함된 내용을 판단하여 접속 요청을 인증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TCP/IP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204)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 서버에 요청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면부호(205)는 도면부호(204)에 대한 응답 메세지로 이 때 상기 응답 메시지는 미디어 서버가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call ID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디어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는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현재 연결된 모든 호의 콜 아이디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디어 서버의 콜 아이디 리스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호를 정리함으로써 보다 빠른 호 처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콜 아이디 리스트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고,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상이한 호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콜 아이디 리스트 각각에 미디어 서버에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도면부호(206)는 미디어 서버에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호 해제 요청을 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면부호(208)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 리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미디어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함이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 리스트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면부호(209)는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도면부호(208)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서비스가 등록될 때까지 인입되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호를 실패 처리할 수 있다. 즉, 호가 인입되더라도 서비스가 등록되지 않아 상기 호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호를 실패 처리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결국은 좀더 빠르게 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211)는 미디어 서버에 신규 호가 연결되었음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보고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들어오는 메시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인바운드(inbound)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인바운드 메시지에는 리소스 형태별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포함하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에 접속 프로토콜별 총 채널 수에 따른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UP(ISDN USER PART) 메시지콜 서비스의 경우 총 채널 수는 ISUP 리소스의 총 수(total count)를 의미하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ISUP와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의 자원에 대해 사용 가능한 총 수 중 작은 쪽에 해당하는 것이다.
삭제
도면부호(212)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신규 호에 대한생성 요청 메세지이며, 도면부호(213)는 도면부호(212)에 대한 응답 메시지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미디어 서버로 나가는 메시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웃바운드(outbound)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인바운드 메시지처럼 아웃바운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도면부호(213)는 리소스 형태별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포함하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에 접속 프로토콜별 총 채널 수에 따른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트비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간에 연결이 유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트비트 메시지(heartbeat)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중화 특성과 연관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각각이 미디어 서버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인증이 이루어진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미디어 서버는 계속해서 하트비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어느 한쪽이 일정 시간 내에 하트비트 메시지를 받지 못 하면, 현재의 TCP/IP 연결이나, 다른 한쪽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일방적으로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현재의 TCP/IP 접속이 차단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새로운 TCP/IP 접속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미디어 서버에 TCP/IP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가 정상적으로 복구 되면 자동으로 연결되어 즉시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301)와 도면부호(302)는 도 2에서 언급한 도면부호(201)와 도면부호(202)의 기능과 같으며,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참조 부호(303)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하트비트 메시지에 해당하고, 도면부호(304)는 미디어 서버가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하트비트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의 서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대방이 전송한 하트비트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 현재의 TCP/IP 상태에 이상이 있거나 상대방이 고장난 것으로 간주하고, 일방적으로 TCP/IP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현재의 TCP/IP 접속이 차단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새로운 TCP/IP 접속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미디어 서버에TCP/IP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에 있는 서비스별 음원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401)와 도면부호(402)는 도 2의 도면부호(201)와 도면부호(202)의 기능과 같으며,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별 음원 파일은 벤더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중복되지 않도록 아이디가 부여되고, 해당 서비스 수행 중 해당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생성되어 미디어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링 서비스의 경우, 컬러링 음원 파일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각각은 고유한 아이디를 보유할 수 있고, 상기 고유 아이디는 벤더 아이디와 음원 아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405)는 미디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고, 도면부호(408)는 미디어 서버의 임의 디렉토리에 있는 음원 파일을 추가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부호(405)가 의미하는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 요청 과정은 도면부호(403)와 도면부호(404)로 이루어지고, 도면부호(408)가 의미하는 음원 파일 추가 과정은 도면부호(406)와 도면부호(407)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403)는 미디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요청하는 메세지이고, 도면부호(404)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특정 음원 파일 정보를 수집하는 로직 수행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면부호(406)는 미디어 서버의 임의 디렉토리에 있는 음원 파일을 추가하 는 요청 메시지이고, 도면부호(407)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음원 파일을 추가하는 로직 수행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메세지이다.
음원 파일을 관리하는 것은 상기 언급한 종류 이외에도 음원 파일의 위치 이동(PutAnnInfo), 음원 파일 삭제(DelAnnInfo) 또는 음원 파일 복사(CopyAnnInfo) 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음원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다른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절차 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계(S501)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인증 토큰을 전송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이다.
단계(S502)는 단계(S501)에서 TCP/IP 접속이 이루어지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콜 아이디 리스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콜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여 호를 정리하는 단계이다.
이 때, 콜 아이디 리스트 각각에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있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콜 아이디가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 아이디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 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호 해제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S503)는 서비스 아이디를 미디어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서비스가 등록될 때까지 미디어 서버는 상기 서비스에 해당하는 호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호를 실패 처리할 수 있다.
단계(S504)는 미디어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들어오는 인바운드 메시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나가는 아웃바운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에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채널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단계(S505)는 조정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별로 호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로부터 조정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규 호가 연결된 사실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별 안내 방송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통해 상기 연결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별 안내 방송은 서비스 시작 전에 미리 설치되고, 벤더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별로 중복되지 않는 안내 방송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6)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있는 서비스별 음원 파일에 대해 관리 요청을 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라 로직 수행 후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되돌려 준다. 이 때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은 상기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임의 디렉토리에 있는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한 추가 요청, 음원 파일의 위치 이동 요청, 음원 파일 삭제 요청 또 는 음원 파일 복사 요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계(S506)은 TCP/IP접속과 인증이 끝난 후, 단계(S502) 내지 단계(S505) 중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7)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중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트비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버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TCP/IP 접속이 이루어진 후,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주고 받고, 이 때 어느 한 쪽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하트비트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 현재의 TCP/IP 접속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다른 한 쪽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서비스가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다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 연결되어 있는 미디어 서버와의 접속이 해제되면서 나머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만 호를 분배함으로써, 서비스 수행이 끊기는 문제없이 호 처리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6)와 마찬가지로 TCP/IP접속과 인증이 끝난 후, 단계(S502) 내지 단계(S505) 중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의 관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조를 구체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은 크게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6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하기로 하겠다.
어플리케이션 서버(602)는 접속부(603), 호 정리부(604), 서비스 제공부(605), 서비스 조정부(606) 및 서비스 처리부(60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603)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601)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접속 요청을 인증받기 위해 미디어 서버(601)에 인증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속부(603)는 미디어 서버(601)와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진 후, 미디어 서버(601)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602)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TCP/IP 접속이 해제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602)는 새로운 TCP/IP 접속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미디어 서버(601)에 TCP/IP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호 정리부(604)는 미디어 서버(601)에 연결된 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미디어 서버(601)가 유지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가 포함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미디어 서버(601)에 유지중인 상기 콜 아이디 리스트와 어플리케이션 서버(602) 내부의 상기 콜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여 콜 아이디 리스트에 일치하지 않는 호를 정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콜 아이디 리스트 각각에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있는 경우,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602) 내부의 상기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연결된 호의 콜 아이디가 미디어 서버(601)에 유지중인 상기 콜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601)에 호 해제 요청을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605)는 서비스 아이디 리스트를 미디어 서버(601)에 제공하여 서비스를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아이디 리스트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서비스 조정부(606)는 미디어 서버로(601)부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가 포함된 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콜 메시지는 미디어 서버(601)로부터 전송된 신규 호 연결 사실에 대한 보고를 포함하는 인바운드 콜 메시지 및 미디어 서버로부터(601) 신규 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아웃바운드 콜 메시지일 수 있다.
서비스 처리부(607)는 미디어 서버(601)로부터 조정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규 호가 연결된 사실에 대한 보고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별 안내 방송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관계에서 미디어 서버의 구조를 구체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미디어 서버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하기로 하겠다. 미디어 서버(702)는 접속 인증부(703), 호 정리부(704), 서비스 제공부(705), 서비스 조정부(706) 및 서비스 처리부(70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증부(703)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을 인 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TCP/IP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요청 수신 후에 인증 토큰이 도착하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접속 요청 수신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인증 토큰이 도착하지 않으면, 접속 인증부(703)는 상기 접속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접속 인증부(703)는 어플리케이션 서버(602)의 접속부(603)와 동일하게 하트비트 메시지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접속 인증부(703)가 어플리케이션 서버(602)의 접속 요청을 인증한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602)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602)가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 간격과 미리 정해진 시간은 아주 짧은 시간에 해당하고, 이는 시스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콜 아이디 리스트 관리부(704)는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콜 아이디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정보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상기 요청에 대해 유지하고 있는 콜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 리턴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부(705)는 서비스 아이디가 포함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아이디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데, 상기 서비스가 등록되기까지 인입되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호를 실패 처리할 수 있 다.
채널 관리부(706)는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콜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701)와 연결된 접속 프로토콜별 총 채널 수에 따른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콜 메시지는 전송된 신규 호 연결 사실에 대한 보고를 어플리케이션 서버(701)가 수신하는 인바운드 콜 메시지 및 신규 호 생성 요청인 아웃바운드 콜 메시지의 응답에 포함될 수 있다.
음원 파일 관리부(707)는 어플리케이션 서버(70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별 음원 파일을 관리 요청에 따라 로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은 음원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음원 파일 추가 요청, 음원 파일 위치 이동 요청, 음원 파일 삭제 요청, 음원 파일 복사 요청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파일 관리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 처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전에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서버 연동 규격에 따른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 고, 관리함으로써, 서비스를 조정하여 좀더 효율적인 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절차를 규격화함으로써 여러 가지 유형의 호 처리 서비스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많은 양의 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5)

  1.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 각각의 호 아이디 리스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 각각이 유지하고 있는 호를 서로 일치시켜 호 정리하는 단계;
    상기 호 정리 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접속프로토콜 별 총 채널 수 중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호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호 생성 요청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호 생성 요청에 따라 호가 연결된 사실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상기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서비스가 부하 분산을 위해 여러 대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각각 다른 벤더(vendor)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TCP/IP 접속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TCP/IP 접속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인증 토큰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TCP/IP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TCP/IP 접속 요청을 한 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TCP/IP 접속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TCP/IP 접속 요청은,
    엑세스 아이디와 엔티티(entity)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의 접속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 아이디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CP/IP 접속이 이루어진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미디어 서버 상호 간에 일정 시간간격으로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TCP/IP 접속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유지중인 호 아이디 리스트(call ID list)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리턴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 각각에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있는 경우,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session)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유지중인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호 해제 요청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리 후, 상기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 리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른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리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호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인입된 호를 실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호 메시지에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리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호 생성 요청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접속 프로토콜(protocol)별 총 채널 수에 따른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인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메시지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신규 호 연결 사실에 대한 보고(notification)메시지를 포함하는 인바운드 호(inbound call) 메시지;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신규 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아웃바운드 호(outbound call)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신규 호가 연결된 사실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별 안내 방송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안내 방송은,
    상기 서비스 시작 전에 미리 설치되고, 벤더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별로 중복되지 않는 안내 방송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에 대해 로직 수행 후,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은,
    벤더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마다 벤더 아이디와 음원 아이디로 구성된 고유 아이디가 부여되고, 해당 서비스 수행 중 해당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 관리 요청은,
    음원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임의 디렉토리에 있는 음원 파일 추가 요청, 음원 파일의 위치 이동 요청, 음원 파일의 삭제 요청 또는 음원 파일의 복사 요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1. 미디어 서버에 접속 인증 요청을 하는 접속부;
    호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정리하는 호 정리부;
    상기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상기 미디어 서버와 연결된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서비스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서비스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미디어 서버에 TCP/IP 접속 요청을 하고, 상기 접속 요청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미디어 서버에 인증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와 TCP/IP 접속이 이루어진 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TCP/IP 접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리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호 아이디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와 상기 호 정리부 내부의 호 아이디 리스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리부는,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 각각에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상기 호 정리부 내부의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해당 호의 서비스 세션을 종료하며,
    상기 현재 연결된 호의 호 아이디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에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에 호 해제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조정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가 포함된 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수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호 메시지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신규 호 연결 사실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바운드 호 메시지;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신규 호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아웃바운드 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조정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규 호가 연결된 사실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별 안내 방송에 따라 상기 조정된 서비스를 통해 상기 미디어 서버에 연결된 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29.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을 인증하는 접속 인증부;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호 아이디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는 호 아이디 리스트 관리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 아이디가 포함된 서비스 등록 요청을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별 음원 파일을 관리 요청에 따라 로직 수행하는 음원 파일 관리부
    를 포함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TCP/IP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요청 수신 후에 인증 토큰이 도착하는 경우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요청 수신 후에 일정 시간 내 상기 인증 토큰이 도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접속 요청을 인증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접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호 아이디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현재 연결된 호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유지하고 있는 호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아이디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가 등록되기까지 인입되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호를 실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결된 접속 프로토콜별 총 채널 수에 따른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 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별 음원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음원 파일 추가 요청, 음원 파일의 위치 이동 요청, 음원 파일의 삭제 요청, 음원 파일의 복사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로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초기 접속 시스템.
KR1020070043986A 2007-05-07 2007-05-07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089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86A KR100898734B1 (ko) 2007-05-07 2007-05-07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86A KR100898734B1 (ko) 2007-05-07 2007-05-07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43A KR20080098743A (ko) 2008-11-12
KR100898734B1 true KR100898734B1 (ko) 2009-05-20

Family

ID=4028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986A KR100898734B1 (ko) 2007-05-07 2007-05-07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62B1 (ko) * 2010-02-03 2011-11-07 (주)송도텔레콤 Rest 스타일 제삼자호 api시스템 및 운영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663A (ja) 2003-05-12 2004-11-25 Nec Corp Ip電話付加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70023378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전화에서 오디오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8722A (ko) * 2005-09-07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 세션 개시 프로토콜이 적용된 화상전화단말에 영상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42723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전화번호 개별화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663A (ja) 2003-05-12 2004-11-25 Nec Corp Ip電話付加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70023378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전화에서 오디오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8722A (ko) * 2005-09-07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 세션 개시 프로토콜이 적용된 화상전화단말에 영상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42723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전화번호 개별화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62B1 (ko) * 2010-02-03 2011-11-07 (주)송도텔레콤 Rest 스타일 제삼자호 api시스템 및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43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6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mmunic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platform
US108340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registering endpoints in a network
WO2022033121A1 (zh) 一种kubernetes中资源暴露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WO2021037175A1 (zh) 一种网络切片的管理方法及相关装置
US20080133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omain policy for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s
CN101543014B (zh) 通信系统
US8666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computer devices
JPH0657007B2 (ja) ローカルエリア網
US20060221838A1 (en) SIP maintenance unit
CN11008671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服务器
JP6305786B2 (ja) 着信制御装置、着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98734B1 (ko)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간 초기 접속 방법 및 시스템
JP201509112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ーフェイスを将来のアプリケーション用に拡張するための方法
JP2010273015A (ja) WebシステムとVoIPシステムとを連携する連携方法、VoIPシステム、および連携プログラム
US7886344B2 (en) Secure fallback network device
CN108055262A (zh) 视频会议终端注册方法、终端及网守
AU2019369205B9 (en)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067041A (ko) 부하 분산을 위한 m2m 시스템에서의 등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9494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media resource for IMS SCIM/service brokering
US11050798B2 (en) Methods for establishing peer-to-peer communications using distributed call ledgers
Cisco Release Notes for the BTS 10200 Release 2.0
CN114222290A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24588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装置
WO2018126483A1 (zh) 一种网络服务的控制方法及装置
US20090172173A1 (en)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Flows Between Appliances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