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499B1 -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499B1
KR100898499B1 KR1020070055711A KR20070055711A KR100898499B1 KR 100898499 B1 KR100898499 B1 KR 100898499B1 KR 1020070055711 A KR1020070055711 A KR 1020070055711A KR 20070055711 A KR20070055711 A KR 20070055711A KR 100898499 B1 KR100898499 B1 KR 100898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ving
main belt
unit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7666A (en
Inventor
김택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07005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499B1/en
Publication of KR2008010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투입구를 통해 지로용지의 투입과 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용지 투입부와, 용지 투입부와 연통되게 구비된 용지 반납부와, 상기 용지 투입부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된 용지를 판독하면서 이동시키고 판독 데이터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판독 이동수단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 이동을 감지하면서 상기 판독 이동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로용지를 용지 저장수단이나 상기 용지 반납부로 이동시키는 선별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독 이동수단은, 상기 용지 투입부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를 수평으로 이송시킨 후 상부로 절곡시켜 상기 선별 이동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용지 이송 방향에 순서적으로 구비되어 이동되는 용지를 판독하는 2매 감지부 및 이미지 스케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지 투입부와 이송부의 사이에는,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로용지를 후방으로 정렬하는 용지 정렬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용지 정렬수단은, 후방 밀착판이 구비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용지 누름대와, 상기 용지 누름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구동 출력신호를 통해 용지 누름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는, 용지 누름대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랙과,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55711

지로용지, 처리장치, 정렬, 임시저장, 적층저장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enable the input and return of the paper through a single input port, the paper input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the paper return uni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per input unit And a reading moving means for moving while reading the paper inserted into the case through the paper feeding part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control part, and being discharged from the reading moving means while detecting the paper movement according to the output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part. A sorting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aper into the paper storing means or the paper returning part; The reading movement means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input part, and is transported to move the paper horizontally after bending the paper horizontally to the sorting movement means, and is provided and moved in the paper conveying direction in order in the conveying part A two-sheet detector and an image scanning unit for reading paper; Between the paper input portion and the transfer por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aper alignment means for aligning the paper to be fed back conveyed; The paper aligning means may include a moving plate provided with a rear contact plate, a paper pressing table provided to be movable in front of the moving plate, and a paper pressing table provided below the paper pressing table and driven by a driv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It consists of drive means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drive means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rive motor including a rack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paper presser, and a pinion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Figure R1020070055711

Paper, processing equipment, sorting, temporary storage, stacked storage

Description

지로용지 처리장치{Giro paper treating apparatus}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paper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도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tate provided with a paper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per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임시저장수단를 나타낸 것으로, 6 shows a paper temporary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사시도이고,        6a is a perspective view,

도 6b는 요부 확대 내부도시 사시도이며,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enlarged inside,

도 6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고,        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6A,

도 6d는 스톱퍼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6D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lease state of the stopp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안내수단을 나타낸 내부 도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showing the selection guid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은 도 2의 D부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2;

도 9는 도 2에서 용지 저장수단을 확대한 단면도.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per storage means in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저장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1: case

11 : 힌지축    11: hinge shaft

2 : 용지 투입부2: paper feeder

3 : 용지 반납부3: return paper

4 : 판독 이동수단4: read moving means

41 : 이송부    41: transfer unit

42 : 2매 감지부    42: two-sheet detector

43 : 이미지 스케닝부    43: image scanning unit

44 : 용지 정렬수단    44: paper alignment means

441 : 이동판, 442 : 후방 밀착판, 443 : 용지 누름대,          441: moving plate, 442: rear contact plate, 443: paper presser,

444 : 구동수단, 445 : 랙, 446 : 구동모터, 447 : 피니언         444: drive means, 445: rack, 446: drive motor, 447: pinion

5 : 선별 이동수단5: sorting vehicle

51 : 주 밸트    51: main belt

52 : 밀착밸트    52: close contact belt

53 : 선택 이동부    53: selection moving unit

531 : 하부 밸트, 532 : 방향 전환수단,          531: lower belt, 532: direction switching means,

533 : 각도변경 안내판, 534 : 구동 작동부,          533: angle change guide plate, 534: drive operation unit,

535 : 회전축, 536 : 솔레노이드 밸브, 537 : 링크         535: shaft of rotation, 536: solenoid valve, 537: link

54 : 센서부    54: sensor

55 : 용지 임시저장수단    55: temporary storage means

551 : 가이드판, 551a : 스프링판, 552 : 스톱퍼,          551: guide plate, 551a: spring plate, 552: stopper,

553 : 주 밸트 누름롤러, 553a : 링크, 554 : 구동수단,          553: main belt push roller, 553a: link, 554: drive means,

555 : 브라켓, 556 : 타측 회전축, 557 : 일측 회전축,          555: bracket, 556: other axis of rotation, 557: one axis of rotation,

558 : 솔레노이드밸브, 559 : 2절링크, 559a : 직선링크,          558: solenoid valve, 559: 2 link, 559a: straight link,

559b : 절곡링크         559b: bending link

56 : 선택 안내수단    56: selection guide means

561 : 각도 변경안내판, 562 : 구동 작동부,          561: angle change guide plate, 562: drive operation unit,

563 : 회전축, 564 : 솔레노이드밸브, 565 : 링크         563: rotating shaft, 564: solenoid valve, 565: link

6 : 용지 저장수단6: paper storage means

61 : 용지함    61: paper tray

611 : 개방부         611: opening

62 : 용지 밀착판    62: paper contact plate

621 : 탄성수단         621: elastic means

63 : 용지 누름수단    63: paper pressing means

631 : 누름판, 632 : 구동모터, 633 : 캠,          631: pressing plate, 632: driving motor, 633: cam,

634 : 링크 조합체         634 link assembly

7 : 마킹부7: marking part

8 : 제어부8: control unit

10 : 지로용지 10: Giro Paper

본 발명은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투입구를 통해 지로용지의 투입과 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based paper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based paper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enable the input and return of the paper through a single inlet.

일반적으로 각종 공과금, 세금, 등록금 등을 납부할 경우에는 지로용지를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when paying various utilities, taxes, tuition, etc., Giro paper is used.

그리고 최근 은행에서는 지로용지의 수납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지로용지를 자동으로 수납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bank paper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oring the paper is used widely to reduce the waste of manpower and time due to the storage of the paper.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g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and first look at the conventional g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as follows.

먼저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등록번호 20-287620호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이하,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라 칭함)가 알려져 있다. First,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aper paper processing apparatus, a "jiro sheet automatic process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paper paper process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87620 is known.

즉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는, 투입부와 배지부를 거쳐 유입된 지로장표(이하, "지로용지"라 칭함)가 승강되는 트레이를 통해 투입부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부(이하, "반납부"라 칭함) 또는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부로 배출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g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has a dischar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turn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through a tray in which the giro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jiro paper")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lifted. Or discharged to an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따라서, 종래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투입부와 반납부가 각 기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서, 지로용지의 인식오류가 발생되어 지로용지가 반납부로 배출되는 순간에 투입부로 지로용지를 강제적으로 투입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paper processing apparatus is used, since the input section and the return sec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recognition error occurs and the paper is forced into the input section at the moment the paper is discharged to the return section. It was frequently done.

그러므로 지로용지가 반납되는 과정에서 투입부로 지로용지를 강제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지로용지가 쉽게 손상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refore, by forcing the Giro paper into the input unit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Giro pap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iro paper is easily damaged and give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지로용지가 반납되는 순간에 투입부로 지로용지를 억지로 투입함에 따라서 투입부를 구성하는 셔터 등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hutter constituting the input unit is easily damaged by inserting the paper into the input unit at the moment when the paper is returned.

또 사용자가 반납부의 지로용지를 회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지로용지를 쉽게 분실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frequently does not collect the paper of the return part, the paper has a problem of easily losing the pap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단일의 용지 투입부에서 지로용지를 투입함은 물론 오류가 발생된 지로용지가 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general, and a paper processing apparatus which allows not only paper input at a single paper input unit but also paper which has an error occurring. It aims to provide.

또한 투입된 다수의 지로용지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동시에 반납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It also has the purpose of temporarily storing a number of papers that have been injected and returning them at the same time.

또 투입된 지로용지를 후방으로 정렬시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독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reading errors in advance by allowing the inserted paper to be rearranged and moved.

또 장치내에서 회수되는 지로용지를 순서대로 적층되게 보관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allow storage and storage of giro paper recovered in the apparatus in order.

또 이동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지로용지를 정렬하면서 임시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urpose to be able to temporarily store the paper land flowing through the means of transport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용지 투입부와, 용지 투입부와 연통되게 구비된 용지 반납부와, 상기 용지 투입부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된 용지를 판독하면서 이동시키고 판독 데이터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판독 이동수단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 이동을 감지하면서 상기 판독 이동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로용지를 용지 저장수단이나 상기 용지 반납부로 이동시키는 선별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독 이동수단은, 상기 용지 투입부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를 수평으로 이송시킨 후 상부로 절곡시켜 상기 선별 이동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용지 이송 방향에 순서적으로 구비되어 이동되는 용지를 판독하는 2매 감지부 및 이미지 스케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지 투입부와 이송부의 사이에는,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로용지를 후방으로 정렬하는 용지 정렬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용지 정렬수단은, 후방 밀착판이 구비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용지 누름대와, 상기 용지 누름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구동 출력신호를 통해 용지 누름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는, 용지 누름대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랙과,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이동수단은, 상기 판독 이동수단의 상부에 상,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외측 둘레에 다수의 밀착밸트가 구비되며 용지의 배출측에는 상기 용지 저장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주 밸트와, 상기 판독 이동수단과 주 밸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지를 용지 반납부나 주 밸트로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부와, 상기 주 밸트와 선택 이동부에 다수로 구비되어 용지의 이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선택 이동부는, 상기 주 밸트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판독 이동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용지 반납부나 상기 주 밸트로 이동시키는 하부 밸트와, 상기 주 밸트와 하부 밸트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를 통해 용지를 주 밸트나 하부 밸트로 이동시키는 방향 전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방향 전환수단은, 상기 주 밸트와 하부 밸트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구동 작동부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변경 안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각도변경 안내판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링크의 연결을 통해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le the paper input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the paper return uni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per input unit, while reading the paper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paper input unit Reading moving means for moving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control part; and sorting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aper from the read moving means to the paper storage means or the paper returning part while sensing the paper movement according to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part. Consisting of; The reading movement means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input part, and is transported to move the paper horizontally after bending the paper horizontally to the sorting movement means, and is provided and moved in the paper conveying direction in order in the conveying part A two-sheet detector and an image scanning unit for reading paper; Between the paper input portion and the transfer por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aper alignment means for aligning the paper to be fed back conveyed; The paper aligning means may include a moving plate provided with a rear contact plate, a paper pressing table provided to be movable in front of the moving plate, and a paper pressing table provided below the paper pressing table and driven by a driv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It consists of drive means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drive means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rive motor including a rack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paper presser, and a pinion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In addition, the sorting movement means, which is provided to be moved i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d movement means, a plurality of contact belt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main belt provided with the paper storage means; A selection mov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read moving means and the main belt to move the paper to the paper returning part or the main belt, and a plurality of sensor parts provided in the main belt and the selection moving part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aper. It is characterized by.
In addition, the selection moving unit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elt is provided on the lower belt for moving the paper discharged from the reading moving means to the paper return portion or the main belt, and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and the lower bel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rection switching means for moving the paper to the main belt or the lower belt through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may include one or more angle changing guide plates which are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and the lower bel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through a driving operation unit; The drive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shaft which is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case to rotatably fix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and a solenoid valve fixed to the case to rotate the rotary shaft through a link.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이에 본 발명의 지로용지 처리장치는, 케이스(1)의 일측에 구비된 용지 투입부(2)와, 용지 투입부(2)와 연통되게 구비된 용지 반납부(3)와, 상기 용지 투입부(2)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투입된 용지를 판독하면서 이동시키고 판독 데이터를 제어부(도시안됨)에 출력하는 판독 이동수단(4)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 이동을 감지하면서 상기 판독 이동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로용지(10)를 용지 저장수단(6)이나 상기 용지 반납부(3)로 이동시키는 선별 이동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paper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per input unit 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 a paper return unit 3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per input unit 2, and the paper input unit. (2) a reading moving means (4) for moving while reading the paper inserted into the case (1)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detecting the paper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ile the paper 10 discharged from the read moving means (4) to the paper storage means (6) or the paper returning section (3) is composed of a moving unit (5).

그리고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은, 상기 용지 투입부(2)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를 수평으로 이송시킨 후 상부로 절곡시켜 상기 선별 이동수단(5)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41)와, 상기 이송부(41)에 용지 이송 방향에 순서적으로 구비되어 이동되는 용지를 판독하는 2매 감지부(42) 및 이미지 스케닝부(43)를 포함하는 것이다. And the reading movement means 4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feed section 2, the conveying portion 41 for moving the paper horizontally and then bent upwards to the sorting movement means (5), The conveying unit 41 includes a two-sheet detecting unit 42 and an image scanning unit 43 for reading a sheet to be moved in order in the paper conveying direction.

즉 상기 2매 감지부(42)는 지로용지(10)의 두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two sheets 42 are preferably configured with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the paper.

또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은, 상기 이미지 스케닝부(43)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의 하부를 인쇄하는 마킹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The reading movement means 4 further includes a marking part 7 provided on the sheet discharge side of the image scanning part 43 to print a lower part of the sheet.

또한, 상기 선별 이동수단(5)은,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의 상부에 상,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외측 둘레에 다수의 밀착밸트(52)가 구비되며 용지의 배출측에는 상기 용지 저장수단(6)이 구비되어 있는 주 밸트(51)와, 상기 판독 이동수단(4)과 주 밸트(51)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지를 용지 반납부(3)나 주 밸트(51)로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부(53)와, 상기 주 밸트(51)와 선택 이동부(53)에 다수로 구비되어 용지의 이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54)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orting movement means 5 is provided to be moved i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d movement means 4 and a plurality of contact belts 52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paper It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elt 51 having the storage means 6 and the read movement means 4 and the main belt 51 to move the paper to the paper return part 3 or the main belt 51.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lection moving unit 53, the main belt 51 and the selection moving unit 53, a plurality of sensor unit 54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특히 상기 주 밸트(51)와 밀착밸트(52)는 다수의 구동롤러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주 밸트(51)와 밀착밸트(52)의 사이에서 용지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main belt 51 and the contact belt 52 is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a plurality of drive rollers, the paper can be moved between the main belt 51 and the contact belt 52.

즉 상기 밸트를 회전시키는 각각의 구동롤러들은 밸트, 기어, 체인 등의 동력전달요소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That is, each of the driving rollers for rotating the bel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at least one motor through power transmission elements such as belts, gears, and chains.

그리고 상기 주 밸트(51)와 각각의 밀착밸트(52)는 용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방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And the main belt 51 and each contact belt 52 is composed of a pair of front and rear to move the paper.

또, 상기 선택 이동부(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주 밸트(51)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판독 이동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로용지(10)를 상기 용지 반납부(3)나 상기 주 밸트(51)로 이동시키는 하부 밸트(531)와, 상기 주 밸트(51)와 하부 밸트(53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를 통 해 지로용지를 주 밸트(51)나 하부 밸트(531)로 이동시키는 방향 전환수단(5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elective moving part 53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elt 51, and the paper returning part of the branch paper 10 discharged from the read moving means 4 is discharged. (3) or a lower belt 531 for moving to the main belt 51, and a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and the lower belt 531, and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via an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t is composed of a direction switching means 532 to move to the main belt 51 or the lower belt (531).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수단(532)은, 상기 주 밸트(51)와 하부 밸트(53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구동 작동부(534)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변경 안내판(5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And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532, at least one angle change guide plate which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and the lower belt 531 to be able to change the angle through the drive operation unit 534 ( 533).

또한 상기 구동 작동부(534)는, 상기 케이스(1)의 관통 구비되어 각도변경 안내판(533)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535)과,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회전축(535)을 링크(537)의 연결을 통해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536)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riving operation part 534 is provided with a through shaft of the rotating shaft 535 for rotatably fixing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33, and the rotating shaft 535 is fixed to the case (1) It consists of a solenoid valve 536 to rotat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link (537).

따라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46)으로 인가되면, 로드의 이동을 통해 링크(547)가 회전축(545)을 회전시켜 각도변경 안내판(533)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applied to the solenoid valve 546, the link 547 is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of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33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545 through the movement of the rod. will be.

한편, 상기 케이스(1)는, 타측 상부에 구비된 힌지축(11)을 통해 주 밸트(51)를 포함하는 상부가 회전 개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1,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main belt 51 through the hinge shaft 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op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도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정렬장치의 요부를 나나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 투입부(2)와 이송부(41)의 사이에는,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로용지(10)를 후방으로 정렬하는 용지 정렬수단(44)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aper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per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5. Similarly, between the paper feeder 2 and the feeder 41, a paper aligning means 44 for rearranging the paper 10 to be fed and conveyed is further provided.

즉 상기 용지 정렬수단(44)은, 후방 밀착판(442)이 구비된 이동판(441)과, 상기 이동판(441)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용지 누름대(443)와, 상기 용지 누름대(443)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구동 출력신호를 통해 용지 누름대(44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44)로 구성된다. That is, the sheet aligning means 44 includes a moving plate 441 provided with a rear contact plate 442, a paper presser 443 provided to be movable in front of the moving plate 441, and the paper.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er 443, the driving means 444 for moving the paper presser 444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driv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444)는, 용지 누름대(443)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랙(445)과, 랙(445)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447)을 포함하는 구동모터(4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drive means 444 is a drive motor 446 that includes a rack 445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aper presser 4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nion 447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445.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특히, 상기 이동판(441)은 용지 투입부(2)의 배출측에 밀착되게 구비됨으로써, 지로용지(10)를 이송부(41)로 안내함에 따라 지로용지(10)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moving plate 441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input unit 2, thereby guiding the paper 10 to the transfer unit 41 to enable reading of the paper 1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임시저장수단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요부 확대 내부도시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d는 스톱퍼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안내수단을 나타낸 내부 도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D부 확대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per temporary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larged inner portion, 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ure 6a, Figure 6d shows a release state of the stopper It is a cross sec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lection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 2.

따라서, 도 1,2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주 밸트(51)의 상부 수평 배출측에는,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의 선단을 걸리게 하여 용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1,2 and 6 to 8, the upper horizontal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the pap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paper by hanging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emporary storage means 55 is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주 밸트(51)의 용지 배출측에는,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를 용지 저장수단(6)이나 주 밸트(51)를 따라 선택 이동부(53)로 안내하는 선택 안내수단(56)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for guiding the paper to the selection moving unit 53 along the paper storage means 6 or the main belt 51 according to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ler. This is further provided.

즉, 상기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은, 주 밸트(51)와 주 밸트(51)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밀착밸트(52)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551)과, 상기 가이드판(551)의 용지 인입측과 배출측에 구동수단(554)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553a)를 포함하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와 용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톱퍼(552)로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paper temporary storage means 55, the guide plate 551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ct belt 52 for pressing the main belt 51 and the main belt 51 from the top, and the guide plate A main belt press roller 553 including a link 553a provided on the paper inlet sid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551 through a driving means 554 to enable an angle change, and a stopper 552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It is composed of.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54)는, 상기 하부 가이드판(551)의 하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브라켓(555)과, 상기 브라켓(555)의 타측에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55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측 회전축(556)과, 상기 브라켓(555)의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장착된 링크(553a)가 고정되고 솔레노이드밸브(558)의 구동을 통해 각도가 변경되게 연결되어 있는 일측 회전축(557)과, 상기 일,타측 회전축(557,556)을 상호 연결하여 일측 회전축(557)의 회전력을 상기 타측 회전축(556)으로 전달하여 스톱퍼(55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2절 링크(559)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driving means 554 penetrates the bracket 555 provided at the front, rear, and bottom of the lower guide plate 551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555 to rotate the stopper 552. The other side rotation shaft 556 to be fixed and the link 553a on which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is mount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bracket 555 are fixed and the angle is changed by driving the solenoid valve 558. Two sections for connecting the one side rotation shaft 557 and the one, the other rotation shaft (557, 556)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ne rotation shaft (557) to the other rotation shaft (556) to change the angle of the stopper (552) It consists of a link 559.

즉 상기 주 밸트(51)는, 전,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링크(553a)를 포함하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도 전,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main belt 51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including the link 553a is also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ear.

또한 상기 2절 링크(559)는, 상기 타측 회전축(556)에 고정되는 직선링크(559a)와, 상기 일측 회전축(557)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직선링크(559a)에 힌지축으로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절곡링크(559b)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wo-section link 559 is a straight link 559a fixed to the other side rotation shaft 556, one side is fixed to the one side rotation shaft 557, the other side is a hinge axis to the linear link 559a. It is composed of a bending link 559b connected through.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58)와 일측 회전축(557)은 2개의 링크를 통해 연 결되어 솔레노리드밸브(558)를 구성하는 로드의 신장 또는 신축 작동을 통해 일측 회전축(557)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solenoid valve 558 and one side rotation shaft 557 may be connected through two links to change the angle of one side rotation shaft 557 through extension or expansion operation of the rod constituting the solenoid valve 558. It can be.

따라서, 상기 일측 회전축(557)이 솔레노이드밸브(558)의 작동을 통해 회전되게 되면, 일측 회전축(557)의 회전과 더불어 스톱퍼(552)와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구비된 링크(553a)의 각도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스톱퍼(552)가 수직을 세워질 경우에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주 밸트(51)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스톱퍼(552)가 눕혀질 경우에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주 밸트(51)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one side rotation shaft 557 is rot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558, the link 553a provided with the stopper 552 and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one rotation shaft 557.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stopper 552, when the stopper 552 is upright, the main belt push roller 553 is separated from the main belt 51, and when the stopper 552 is lying down, the main belt push roller 553 is It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elt (51).

즉 상기 스톱퍼(552)가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에는, 일측 전,후방에 구비되어 주 밸트(51)의 하부를 눌러주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주 밸트(51)로부터 떨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스톱퍼(552)를 통해 용지의 이동을 단속할 경우에는, 주 밸트(51)와 밀착밸트(52)가 상호 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topper 552 is erected vertically,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to press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elt 5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elt 51. Therefore, when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paper through the stopper 552, the movement of the paper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main belt 51 and the contact belt 52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반대로 상기 스톱퍼(552)가 눕혀질 경우에는, 일측 전,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의 각도가 변경되어 주 밸트(51)의 하부를 눌러주면서 공회전된다. 그러므로 스톱퍼(552)을 해제하여 용지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주 밸트(51)와 밀착밸트(52)가 상호 밀착되게 함으로써 저장되었던 용지가 주 밸트(51)와 밀착밸트(52)를 따라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topper 552 is laid down, the angle of the main belt pressing roller 55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is changed and is idling while press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elt 51. Therefore, when the paper is moved by releasing the stopper 552, the main belt 51 and the contact belt 5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ored paper is moved along the main belt 51 and the contact belt 52. Will be.

한편, 상기 선택 안내수단(56)은, 상기 주 밸트(5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구동 작동부(562)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 변 경안내판(56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is composed of one or more angle change guide plate 561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to be able to change the angle through the drive operation unit 562. Will be.

그리고 상기 구동 작동부(562)는, 상기 케이스(1)의 관통 구비되어 각도 변경안내판(561)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563)과,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회전축(563)을 링크(565)의 연결을 통해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564)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operation unit 562 includes a rotation shaft 563 provided through the case 1 to rotatably fix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61, and the rotation shaft 563 fixed to the case 1. It consists of a solenoid valve 564 to rotat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link 565.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의 용지 유입측의 전,후방에는, 지로용지(10)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스프링판(551a)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front and rear of the paper inlet 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means 55, a pair of narrower width of the front and rear mutually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per 10 The spring plate 551a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판(6)의 유입측의 전,후방 폭 보다 배출측의 전,후방 폭이 좁음에 따라서, 한 쌍의 스프링판(557)으로 유입되는 지로용지(10)가 중앙으로 정렬되어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s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discharge side are narrow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inlet side of the pair of spring plates 6, the branch paper 10 introduced into the pair of spring plates 557 is centered. It will be aligned and moved.

그러므로 주 밸트(51)를 통해 유입되는 지로용지(10)를 정렬하면서 임시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지로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반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arranging the giro paper 10 introduced through the main belt 51 can be temporarily stored, it is possible to return a large amount of giro paper in an aligned state.

도 9는 도 2에서 용지 저장수단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저장수단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 저장수단(6)은, 상기 케이스(1)의 타측에 일측이 전후폭이 좁은 개방부(611)가 구비된 용지함(61)과, 상기 용지함(61)의 내부에 탄성수단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 항상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611)의 전,후폭 보다 넓은 전,후폭을 가지는 용지 밀착판(62)과, 상기 용지 밀착판(62)의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 의 출력 구동신호를 통해 용지가 개방부(611)의 일측에 투입되면 투입된 지로용지(10)와 용지 밀착판(62)을 타측으로 눌러주어 용지를 적층하는 용지 누름수단(6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per storage means in FIG. 2,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per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8 and 9, the paper storage means 6 is shown. Is, the other side of the case 1 is provided with a tray 61 is provided with a narrow opening portion 611 is narrow in front and rear, and the inside of the tray 61 is always provided to be mov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elastic means The paper contact plate 62 having a width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portion 611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611, 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paper adhesion plate 62, and the sheet is opened through the output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When the paper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unit 611, the paper press means 63 for pressing the injected paper 10 and the paper contact plate 62 to the other side to stack the paper.

그리고 상기 용지 누름수단(63)은, 수평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누름판(631)과,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모터(632)와, 상기 회전축과 누름판(631)의 타측에 구비되어 누름판(631)을 일,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캠(633) 및 링크 조합체(634)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aper pressing means 63 includes a pressing plate 631 provided to be moved horizontally, a driving motor 632. including a rotating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pressing plate 631 to press the pressing plate 631. One, it is composed of a cam 633 and the link combination 634 to move to the other side.

이하, 본 발명의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aper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지로용지(10)를 용지 투입부(2)에 투입하게 되면, 지로용지(10)의 투입된 상태를 센싱을 통해 제어부에서 인식한다. As shown in FIGS. 1 to 10, first, when the user inserts the paper 10 into the paper input unit 2,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nput state of the paper 10 by sensing.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용지 정렬수단(44)을 구성하는 구동모터(444)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모터(444)의 작동을 통해 용지 누름대(443)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지로용지(10)를 용지 누름대(443)와 후방 밀착판(442)의 사이에 정렬한다. Then, the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motor 444 constituting the sheet aligning means 44, and the paper pressing bar 443 is moved backw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44 so that the paper 10 is moved. The paper presser 443 is aligned with the rear contact plate 442.

그리고, 정렬된 지로용지(10)는 이송부(41)를 구성하는 다수의 롤러들의 회전을 통해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과정에서 2매 감지부(42)를 통해 지로용지(10)가 1매 이상으로 투입되었는가를 판독하고 이미지 스케닝부(43)를 통해 접수가 가능한 지로용지(10)인지를 판독한다. In addition, the aligned paper 10 is moved through the rotation of a plurality of rollers constituting the transfer part 41,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aper 10 is one or more sheets through the two sheets 42. It is read whether the paper is inserted into the paper and whether the paper 10 can be accepted through the image scanning unit 43.

아울러 상기와 같이 2매 감지 및 이미지 스케닝을 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입력된다.In addition, the data obtained in the process of sensing two images and image scanning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다음, 상기와 같이 판독 과정을 마친 지로용지(10)는, 이송부(41)를 따라 이송된 다음 선별 이송수단(5)으로 투입된다. Next, after the read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giro paper 10 i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ortion 41 and then fed to the sorting conveying means (5).

그리고 상기 선별 이송수단(5)으로 투입된 지로용지(10)는 제어부의 판독 결과에 따라 용지 반납부(3) 또는 주 밸트(51)로 공급되게 된다. Then, the ground paper 10 introduced into the sorting conveying means 5 is supplied to the paper returning part 3 or the main belt 51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즉 제어부의 판독 결과 지로용지(10)가 1매이고 접수가 가능한 지로용지일 경우에는, 하부 밸트(531)와 주 밸트(51) 사이에 구비된 방향 전환수단(532)의 동작을 통해 지로용지(10)가 주 밸트(51)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read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is one paper and the paper can be accepted, the paper is grou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532 provided between the lower belt 531 and the main belt 51. 10 is to be moved to the main belt (51).

또한 반대로 제어부의 판독 결과 지로용지(10)가 1매를 초과하거나 접수가 불가능한 지로용지일 경우에는, 방향 전환수단(532)의 동작을 통해 지로용지(10)를 바로 용지 반납부(3)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reading result of the control paper is more than one paper or paper which cannot be accepted, the paper paper 10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aper returning part 3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532. To discharge.

다음, 상기 접수가 가능하여 주 밸트(51)로 투입된 지로용지(10)는, 주 밸트(51)의 배출측에 구비된 임시 저장수단(55)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Next, the ground paper 10 which is accepted and input into the main belt 5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ans 55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그리고 상기 임시 저장수단(55)에 저장된 지로용지(10)는, 사용자의 반납 조작이 있을 경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 안내수단(56)과 방향 전환수단(532)이 동작되어 주 밸트(51)와 하부 밸트(531)를 통해 용지 투입부(2)로 배출되거나,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 안내수단(56)이 동작되어 용지 저장수단(6)으로 투입되어 접수되는 것이다. And the giro paper 10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ans 55, when there is a user's return operation,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and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532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main belt 51 And discharged to the paper input unit 2 through the lower belt 531 or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is operated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be input to the paper storage means 6 and receiv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수받을 수 없는 지로용지(10)가 용지 투입구(2)에서 반납되도록 함으로써, 지로용지(10)의 반납 순간에 지로용지(10)를 투입할 수 없도록 함에 따라서 지로용지(10)와 용지 투입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allowing the paper 10 to be accepted as returned above from the paper inlet 2, the paper 10 can not be inserted at the moment of return of the paper 10 so that the paper 10 is not available. ) And paper input can be damaged.

또한 지로용지(10)를 투입하는 곳에서 지로용지(10)를 반납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로용지(10)를 정확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로용지(10)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ground paper 10 to be returned from the place where the ground paper 10 is put, the user can recover the ground paper 10 accurately,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ground paper 10 in advance. There is also an advantage.

한편, 지로용지(10)가 한 장씩 다량으로 투입될 경우에는, 상기 주 밸트(51)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용지 임시 저장수단(55)과 선택 안내수단(56)의 동작을 통해 다량의 지로용지(10)를 임시적으로 모았다가 용지 저장수단(6)에 접수하거나 용지 투입부(2)로 반납하는 작동이 진행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giro paper 10 is input one by one, a large amount of pap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means 55 and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The operation of temporarily collecting the paper 10 and accepting it into the paper storage means 6 or returning it to the paper input unit 2 is in progress.

따라서 사용자의 반납조작시 다량으로 투입된 지로용지(1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반납시킴으로써, 지로용지(10)들의 반납시간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by temporarily storing and returning the giro paper 10 put in a large amount during the user's return oper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he user's time by reducing the return time of the giro paper 10 to a minimum.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 저장수단(6)으로 투입되는 지로용지(10)는 수직으로 투입되고, 수직으로 투입된 지로용지(10)는 용지 누름수단(63)의 타측 이동을 통해 용지함(61)의 내부에 구비된 용지 밀착판(62)의 일측에 적층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8 and 9, the paper land paper 10 to be inserted into the paper storage means 6 is vertically inserted, the paper land paper 10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paper pressing means (63) of The other side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paper contact plate 62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tray 61.

즉 주 밸트(51)에서 배출된 지로용지(10)는 용지 누름수단(63)을 구성하는 누름판(631)의 일측에 수직으로 투입되고, 수직으로 투입되는 지로용지(10)는 누름판(631)의 타측 이동을 통해 용지함(61)의 일측에 구비된 개방부(611)을 통과하여 용지 밀착판(62)의 일측에 적층되게 된다. That is, the giro paper 10 discharged from the main belt 51 is vertically f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plate 631 constituting the paper pressing means 63, and the giro paper 10 vertically fed is the pressing plate 631.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pass through the opening portion 6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y 61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aper contact plate 62.

그리고 용지 밀착판(62)의 일측에 용지들이 적층되는 과정에서는 용지 밀착판(62)이 탄성수단(621)을 통해 항상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용지 밀착판(62)과 개방부(611)의 둘레 사이에 용지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paper on one side of the paper contact plate 62, the paper contact plate 62 is always moved to one side through the elastic means 621,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paper contact plate 62 and the opening 611 is fix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cked state of the paper in between.

따라서 용지함(61)으로 회수되는 지로용지(10)를 순서대로 적층되게 보관 저장함으로써 지로용지(10)의 정리 작업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storing and storing the giro paper 10 collected in the tray 61 in order to store th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acilitate the cleanup of the giro paper 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로용지를 투입하는 용지 투입구에서 지로용지가 반납되도록 함으로써, 지로용지의 반납 순간에 지로용지를 투입할 수 없도록 함에 따라서 지로용지와 용지 투입부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지로용지를 정확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로용지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per to be returned at the paper inlet for inserting the paper, thereby preventing the paper from being inserted at the moment of returning the pap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aper and the paper input. As a result, the user can correctly collect the paper,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paper.

또한 투입된 다수의 지로용지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동시에 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납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a number of input papers and return them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return time to a minimum.

또 투입된 지로용지를 후방으로 정렬시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로용지의 걸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lign the injected paper into the rear to mov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jam of paper in advance to prevent.

또 장치내에서 회수되는 지로용지를 순서대로 적층되게 보관 저장함으로써 지로용지의 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storing and storing the giro paper recovered in the apparatus in order,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arrangement of the giro paper.

또 이동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지로용지를 정렬하면서 임시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지로용지가 정렬된 상태로 반납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giro paper flowing through the moving means to be temporarily store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a large amount of giro paper is returned in an aligned state.

Claims (16)

케이스(1)의 일측에 구비된 용지 투입부(2)와, 용지 투입부(2)와 연통되게 구비된 용지 반납부(3)와, 상기 용지 투입부(2)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투입된 용지를 판독하면서 이동시키고 판독 데이터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판독 이동수단(4)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 이동을 감지하면서 상기 판독 이동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지로용지(10)를 용지 저장수단(6)이나 상기 용지 반납부(3)로 이동시키는 선별 이동수단(5)으로 구성되며; The paper input part 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 the paper return part 3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per input part 2, and the paper input part 2 of the case 1 through the paper input part 2. A reading moving means 4 for moving while reading the paper loaded into the inside and outputting the read data to the control section, and a paper paper discharged from the reading moving means 4 while detecting the paper movement according to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section. A sorting moving means (5) for moving 10 to the paper storing means (6) or the paper returning part (3);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은, 상기 용지 투입부(2)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를 수평으로 이송시킨 후 상부로 절곡시켜 상기 선별 이동수단(5)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41)와, 상기 이송부(41)에 용지 이송 방향에 순서적으로 구비되어 이동되는 용지를 판독하는 2매 감지부(42) 및 이미지 스케닝부(43)를 포함하되; The reading movement means 4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feeding portion 2, the conveying portion 41 for moving the paper horizontally and then bent upwards to the sorting movement means 5, and the It includes a two-sheet detection unit 42 and the image scanning unit 43 for reading the paper to be moved in the paper feed direction in order in the conveying section 41; 상기 용지 투입부(2)와 이송부(41)의 사이에는,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로용지(10)를 후방으로 정렬하는 용지 정렬수단(44)이 더 구비되어 있고; Between the paper input unit 2 and the transfer unit 41,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aper alignment means 44 for aligning the paper paper 10 to be fed and conveyed backward; 상기 용지 정렬수단(44)은, 후방 밀착판(442)이 구비된 이동판(441)과, 상기 이동판(441)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용지 누름대(443)와, 상기 용지 누름대(443)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구동 출력신호를 통해 용지 누름대(44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44)로 구성되며; The sheet aligning means 44 includes a moving plate 441 provided with a rear contact plate 442, a paper pressing table 443 provided to be movable in front of the moving plate 441, and the paper pressing unit.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443 is composed of a drive means 444 for moving the paper presser 444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driv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구동수단(444)는, 용지 누름대(443)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랙(445)과, 랙(445)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447)을 포함하는 구동모터(4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drive means 444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446 including a rack 445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per presser 4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nion 447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445.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이동수단(5)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orting means (5),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의 상부에 상,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외측 둘레에 다수의 밀착밸트(52)가 구비되며 용지의 배출측에는 상기 용지 저장수단(6)이 구비되어 있는 주 밸트(51)와,The main bel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d movement means 4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tact belts 52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paper storage means 6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aper. With 51, 상기 판독 이동수단(4)과 주 밸트(51)의 사이에 구비되어 용지를 용지 반납부(3)나 주 밸트(51)로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부(53)와, A selection moving part 53 provided between the reading moving means 4 and the main belt 51 to move the paper to the paper returning part 3 or the main belt 51; 상기 주 밸트(51)와 선택 이동부(53)에 다수로 구비되어 용지의 이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The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elt 51 and the selection moving unit 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5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이동부(53)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lection moving unit 53, 상기 주 밸트(51)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판독 이동수단(4)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용지 반납부(3)나 상기 주 밸트(51)로 이동시키는 하부 밸트(531)와,A lower belt 531 which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elt 51 to move the paper discharged from the read moving means 4 to the paper returning part 3 or the main belt 51; 상기 주 밸트(51)와 하부 밸트(53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를 통해 용지를 주 밸트(51)나 하부 밸트(531)로 이동시키는 방향 전환수단(5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It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and the lower belt 531 is composed of a direction switching means 532 for moving the paper to the main belt 51 or the lower belt 531 through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수단(532)은, 상기 주 밸트(51)와 하부 밸트(53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구동 작동부(534)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변경 안내판(533)으로 구성되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532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and the lower belt 531 is provided with a changeable angle through the drive operating portion 534 It consists of the above-mentioned angle change guide plate 533; 상기 구동 작동부(534)는, 상기 케이스(1)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각도변경 안내판(533)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535)과,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회전축(535)을 링크(537)의 연결을 통해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5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driving operation part 534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case 1 to rotate the shaft 535 for rotatably fixing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33 and the case 1 to b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535.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olenoid valve (536) to rotat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link (53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밸트(51)의 상부 수평 배출측에는,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의 선단을 걸리게 하여 용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이 더 구비되어 있고; 3. The upper horizontal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is further provided with temporary storage means (55) for temporarily storing the paper by catching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according to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주 밸트(51)의 용지 배출측에는,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용지를 용지 저장수단(6)이나 주 밸트(51)를 따라 선택 이동부(53)로 안내하는 선택 안내수단(5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selection guide means 56 for guiding the paper to the selection moving unit 53 along the paper storage means 6 or the main belt 51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per temporary storage means 55, 주 밸트(51)와 주 밸트(51)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밀착밸트(52)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551)과,A guide plate 551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ct belt 52 for pressing the main belt 51 and the main belt 51 from the upper side, 상기 가이드판(551)의 용지 인입측과 배출측에 구동수단(554)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553a)를 포함하는 주 밸트 누름롤러(553)와 용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톱퍼(5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including a link 553a provided on the paper inlet sid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guide plate 551 to enable the angle change through the driving means 554, and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55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54)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ive means 554, 상기 하부 가이드판(551)의 하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브라켓(555)과, Brackets 555 provided in the front, rear, respectively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guide plate 551, 상기 브라켓(555)의 타측에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55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측 회전축(556)과, The other side rotation shaft 556 penetrates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555 to rotatably fix the stopper 552, 상기 브라켓(555)의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주 밸트 누름롤러(553)가 장착된 링크(553a)가 고정되고 솔레노이드밸브(558)의 구동을 통해 각도가 변경되게 연결되어 있는 일측 회전축(557)과, Th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55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555 and the link 553a on which the main belt press roller 553 is mounted is fixed, and the angle is changed by driving the solenoid valve 558. , 상기 일,타측 회전축(557,556)을 상호 연결하여 일측 회전축(557)의 회전력을 상기 타측 회전축(556)으로 전달하여 스톱퍼(55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2절 링크(55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second and second rotation shafts 557 and 55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of the one rotation shaft 557 to the other rotation shaft 556,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wo-section link 559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stopper 552. Jiro paper processing device.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임시저장수단(55)의 용지 유입측의 전,후방에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eet inlet side of the sheet temporary storage means (55), 지로용지(10)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스프링판(551a)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pring plate (551a) tha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narrow toward each other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ap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안내수단(56)은, 상기 주 밸트(51)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구동 작동부(562)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 변경안내판(561)으로 구성되고;The one or more angle change guide plates 561 of claim 5, wherein the selection guide means 56 is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elt 51, and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61 is provided to enable the angle change through the driving operation unit 562. ); 상기 구동 작동부(562)는, 상기 케이스(1)의 관통 구비되어 각도 변경안내판(561)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563)과,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어 회전축(563)을 링크(565)의 연결을 통해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5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The driving operation part 562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shaft of the case 1 and rotatably secures the angle change guide plate 561, and is fixed to the case 1 to link the rotating shaft 563.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olenoid valve 564 to rotat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56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se (1), 타측 상부에 구비된 힌지축(11)을 통해 주 밸트(51)를 포함하는 상부가 회전 개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J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main belt 51 is rotatably open through the hinge shaft (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저장수단(6)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per storage means (6) 상기 케이스(1)의 타측에 일측이 전후폭이 좁은 개방부(611)가 구비된 용지함(61)과, A tray 61 having an opening portion 611 having a narrow front and rear width at one side at the other side of the case 1, 상기 용지함(61)의 내부에 탄성수단을 통해 일측 방향으로 항상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611)의 전,후폭 보다 넓은 전,후폭을 가지는 용지 밀착판(62)과, The paper contact plate 62 is provided to be always mov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elastic means in the inside of the tray 61 and having a front width and a rear width wid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opening portion 611; 상기 용지 밀착판(62)의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의 출력 구동신호를 통해 용지가 개방부(611)의 일측에 투입되면 투입된 지로용지(10)와 용지 밀착판(62)을 타측으로 눌러주어 용지를 적층하는 용지 누름수단(6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If the pap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paper contact plate 62 and the paper is input to one side of the open unit 611 through the output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pressed paper 10 and the paper contact plate 62 are pressed to the other side. Giro paper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paper pressing means (63) for stacking a given paper. 제 11항에 있어서, 용지 누름수단(63)은, The paper pressing means 63 according to claim 11, 수평으로 이동되게 구비된 누름판(631)과, Press plate 631 is provided to be moved horizontally,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모터(632)와, A drive motor 632 including a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축과 누름판(631)의 타측에 구비되어 누름판(631)을 일,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캠(633) 및 링크 조합체(6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And a cam (633) and a link assembly (634)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shaft and the pressing plate (631) to move the pressing plate (631)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이동수단(4)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d movement means 4 상기 이미지 스케닝부(43)의 용지 배출측에 구비되어 용지의 하부를 인쇄하는 마킹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And a marking unit (7) provided on the paper discharge side of the image scanning unit (43) to print a lower portion of the p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55711A 2007-06-07 2007-06-07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KR100898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11A KR100898499B1 (en) 2007-06-07 2007-06-07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11A KR100898499B1 (en) 2007-06-07 2007-06-07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66A KR20080107666A (en) 2008-12-11
KR100898499B1 true KR100898499B1 (en) 2009-05-20

Family

ID=4036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711A KR100898499B1 (en) 2007-06-07 2007-06-07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4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686B1 (en) * 2009-04-13 2011-03-04 주식회사시스테크놀로지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of card wri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254A (en) * 2002-05-02 2002-06-20 함현철 Mechanism for package processing of multiple giro
KR100344931B1 (en) * 1999-10-05 2002-07-19 권혁한 A device for counting of the votes
KR200287620Y1 (en) 2002-06-05 2002-08-30 (주)스켄웍스 Apparatus for processing automatedpayment machine of GIR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931B1 (en) * 1999-10-05 2002-07-19 권혁한 A device for counting of the votes
KR20020046254A (en) * 2002-05-02 2002-06-20 함현철 Mechanism for package processing of multiple giro
KR200287620Y1 (en) 2002-06-05 2002-08-30 (주)스켄웍스 Apparatus for processing automatedpayment machine of GI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66A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008B2 (en) Accumulating device and circulating type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1343679B1 (en) Separating apparatus of paper money and the method thereof, the method of receipt and drawing of money
KR100898499B1 (en) Giro paper treating apparatus
EP2053567B1 (en) Paper sheet processsing apparatus
JP4770505B2 (en) Paper sheet take-out mechanism
JP520997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JP2597752Y2 (en) Paper sorting machine
JP3479798B2 (en) Sheet post-processing equipment
JP2002080012A (en) Band applying device for paper sheets or the like
JP2009067557A (en)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898498B1 (en) Paper storing apparatus for paper treating apparatus
JP4305886B2 (en) Recording paper post-processing device
JP6893165B2 (en) Paper leaf strap mechanism and paper leaf processing equipment
KR101070589B1 (en) Fitness Sorting Machine
JP4760605B2 (en) Paper transport device and bookbinding device
KR101252683B1 (en) Cassette system of check receiving machine
JP2009073527A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3128526B2 (en) Sheet post-processing equipment
KR20070081248A (en) Bill press apparatus of an auto bills treatment machine
KR20090104355A (en) Transferring Apparatus of a giro paper receiving machine
JP3137679B2 (en) Image forming processing device
JP2658320B2 (en) Rotary sheet feeder
JP3822036B2 (en) Medium transport device
JP3848662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KR101472067B1 (en) Bundle pickup device for media paper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