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237B1 -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237B1
KR100898237B1 KR1020070039539A KR20070039539A KR100898237B1 KR 100898237 B1 KR100898237 B1 KR 100898237B1 KR 1020070039539 A KR1020070039539 A KR 1020070039539A KR 20070039539 A KR20070039539 A KR 20070039539A KR 100898237 B1 KR100898237 B1 KR 10089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crrm
access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135A (ko
Inventor
김재훈
김정철
최형인
손정교
황진호
임종태
최형아
진 판춘
초우 유
롱 얀씨아
에스. 곰스 조셉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23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CRRM(common Radio Resource Manager)에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 및 그 시점이 설정되는 단계와; b) 상기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와; c) 상기 CRRM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상기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d) 상기 CRRM에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망, CRRM, 무선 자원, 네트워크 선택

Description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CCESS SELECTION FOR MANAGING CRRM IN MULTI-RADIO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RM을 포함하는 다중 무선망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2는 도 1의 CRRM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RM 운용을 위하여 소정 네트워크로 액세스 선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MA 1x, CDMA 1x EV-DO, WCDMA, HSDPA, 802.16e와 같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Wireless access networks)를 포함하는 다중 망(Multi-Radio networks)에서 CRRM의 운용하에서 이동 단말기가 어느 네트워크로 진입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무선망 환경은 기존의 CDMA 1x, WCDMA, GSM 등의 단일망들이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에서, CDMA 1x EV-DO, HSDPA, 802.16e, WLAN 등의 이 기종망(heterogeneous networks)이 공존 또는 통합되는 다중 무선(Multi-Radio) 환경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는 이러한 이기종망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s)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끈김없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seamless connectivity)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요구가 구체화 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종 네트워크 간 신호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이종 네트워크들 간에 무선 망 자원을 관리하는 모델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체 정보(global information)가 부족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들의 최적성(optimality)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협상 과정에서 소요되는 많은 오버헤드 트래픽(overhead traffic)으로 인해 망의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 올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망 관리모델은 계속되는 시스템의 도입 및 업 그레이드에 따라 시스템의 수정이 어려워 확장(scalability)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우선 이기종의 통합 망에서도 Call Admission Control (CAC), Load Control (LC), Handover Control (HC), Power Control (PC)과 같이 전통적인 의미의 무선 리소스 관리(RRM)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이 당연히 1차적인 관심사가 될 것이다. 하지만, 단일 망이 아닌 이기종의 통합 망 환경에서는 위 문제 하나하나가 매우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된다.
다중망(Multi-radio networks) 환경에서 CAC와 유사한 접속 선택(access selection) 방법은 어떤 망으로 진입하느냐의 문제이며, 이는 단순하지 않은 문제 로 취급되어지고 있다. 현재 통합망 CRRM(Common Radio Resource Manager)에서 제시되는 접속 선택의 개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해본 결과 각 네트워크의 비교 파라메터로서 제시되고 있는 값들은 로드(load)와 용량(capacity) 만을 이용하여 단순히 계산하여 이웃하는 셀들과 비교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QoS 카테고리(category), 트래픽(traffic), user priority 등 제반 여건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중 무선(multi-radio) 환경에서 최적화 기법과 Policy/Rule/Profile 등의 적용으로 인한 접속 선택의 어려움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실과는 다르게 모든 변수들과 파라메터들이 시간에 따라 변화가 없다고(static)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무선망에서 이동 단말기가 최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기종의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가 최초로 접속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들을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주체에 따라 상이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가 현재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시점 및 핸드오버의 주체를 설정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은,
a) CRRM(common Radio Resource Manager)에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 및 그 시점이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CRRM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상기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CRRM에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은,
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면(Power ON), 상기 이동 단말기에 근접한 네트워크로부터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ⅱ) 상기 소정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ⅲ)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은,
ㄱ) 전원이 켜진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대기 모드(Idle mode)로 전환되는 단계; ㄴ) CRRM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변경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ㄷ) 상기 CRRM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변경 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ㄹ)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의 리스트 중 최우선 네트워크 중 신호의 전파 품질이 가장 좋은 셀을 선택하고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 및 ㅁ) 상기 이동 단말기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순차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차의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다중 무선망에서 공통 무선 리소스 운용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개별 네트워크 정보 관리 모듈;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의사 결정 주체 및 그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 의사 결정 주체가 CRRM(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무선자원 관리부(100; Common Radio Resource Manager; 이하 'CRRM'라 한다)는 CDMA 1x, CDMA 1x EV-DO, WCDMA, HSDPA, 및 802.16e와 같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Wireless access networks) 중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중 무선망과 연결된다.
즉, 상기 CRRM(100)은 CDMA 1x, CDMA 1x EV-DO, WCDMA, HSDPA, 및 802.16e의 각 CN (Core Network)에 연결되어, CRRM 내부의 인터페이스/인터프리 터(interpreter)를 통해서 CRRM과 각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CRRM(100)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도이다.
상기 CRRM(100)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개별 네트워크 정보 관리 모듈(130);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의사 결정 주체 및 그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160); 및 의사 결정 주체가 CRRM(100)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100)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사 결정 모듈(170)은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100)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상기 의사 결정 모듈(170)은 상기 의사 결정 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기준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제어 모듈(16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 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진입한 시점 또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의 진입을 요청한 시점을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시점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CRRM(100)에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 및 그 시점이 설정된다(S210).
부언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진 하드웨어의 능력에 따라서 여러 이기종의 네트워크의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을 감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동 단말기가 최초에 어떤 네트워크로 접속하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기에 정해진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로 접속시도하거나, 이동 단말기가 스스로 신호 품질을 판단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좋은 곳으로 접속시도하거나, 이동 단말기가 특정 네트워크로 접속 요청한 것에 대하여 CRRM(100)가 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접속 불가능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를 이동 단말기로 제안한다.
먼저, 제1 응용 예에서 이동 단말기에 정해진 디폴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의 신호를 검색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셀 중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셀을 선택하고 채널을 할당받는다. 만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가 순차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차의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부언하면, 이동 단말기에 미리 최초 진입할 네트워크가 정해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power-on)하여 신호 검색할 때,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의 파일롯 신호를 검색한다. 그 네트워크의 셀(cell) 중에 가장 신호가 좋은 셀과 동기(synchronization)를 맞춘 후, 등록(registration)을 시도하고,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정해진 디폴트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며,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어 제1 네트워크에 현재 range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음 제2 네트워크로 시도를 하게 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동기를 시도하게 되고, 만약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파일롯 채널을 검출하고 동기를 맞추게 되었다면, 그 네트워크로 등록 과정을 수행하여 페이징 채널을 할당받게 된다. 이때부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들어간다.
제2 응용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스스로 신호 품질을 판단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좋은 곳으로 접속시도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기능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그 후 상기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제1 네트워크를 검색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중 가장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셀을 선택하고 상기 셀로부터 채널을 할당받는다.
제3 응용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특정 네트워크로 접속 요청한 것에 대하여 CRRM(100)가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접속 불가능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를 이동 단말기로 제안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CRRM으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요청한다. 그 후, 상기 CRRM(100)은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접속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 불가능한 경우, 상기 CRRM(100)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접속 가능한 타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로부터 채널을 할당받도록 상기 CRRM이 지시한다.
부언하면, 제3 응용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선택한 네트워크(preferred network)이 주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동 단말기와 사용자(subscriber) 간에 또는 이동 단말기와 CRRM(100) 간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 한 question & response 과정을 통해서 주위의 적절한 네트워크(alternative network)를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10가 수행된 상태에서, 상술한 상기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S220).
한편, 상기 CRRM(100)은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230).
상기 CRRM(100)은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한다(S240).
상기 기준 값과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한다(S250, S260).
이하, 상기 단계 S250, 및 S2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 망 진입에 성공한 후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할당받아 각 네트워크 및 CRRM(100)과 관련된 정보를 받는 상태, 즉 아이들(idle) 상태가 되면 이동 단말기은 액세스 선택(access selection)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할 준비가 된 것이다.
액세스 선택은 CRRM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이기종 망에서 어떤 객체(entity)가 네트워크 선택 결정(decision-making)을 하느냐에 따라서 동작 절차가 상이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CRRM(100)이 결정을 내려서 이동 단말기의 접속 선택을 결정하는 방법, 이동 단말기가 직접 어떤 정보(local information or globa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액세스 선택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 및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협력 하에 액세스 선택을 내리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가 상기 CRRM(100)인 경우, 상기 CRRM은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로 액세스하게 된다. 네트워크 액세스에 대한 결정권은 CRRM(100)에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특별한 하드웨어적인 문제 또는 환경적인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CRRM(100)의 결정에 따라 액세스한다
이때, 상기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가 현재 이동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타 네트워크로 진입할 이유가 없으므로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이동 단말기가 현재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와 상기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로 액세스한다.
두번째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CRRM(100)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기준 값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준 값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세번째로,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협력 하에 액세스 선택을 내리는 방법의 경우, 상기 CRRM(100)이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한 네트워크 리스트 및 상기 기준 값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 값을 기반으로 자체 결정한 네트워크로 액세스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의 액세스 선택이 발생하는 시점을 최초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로 진입하고 나서 바로 액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액세스 선택은 하기에 설명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먼저, 최초에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원 인가 상태에서 어떤 네트워크로 진입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이 액세스 선택 과정이 된다. 즉, 처 음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가진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주변에 어떤 네트워크의 셀의 신호가 자신에게 전달되는지를 검색하여 진입할 셀의 지원 리스트(candidate list)를 얻게 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아무런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직 이동 단말기가 독자적으로 결정(decision-making)을 내려 접속 선택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전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서 진입할 망이 결정되기 때문에, 망에서는 아무런 결정권도 없다.
그 다음으로, 최초에 이동 단말기가 전원 인가 상태에서 어떤 디폴트 네트워크 또는 신호 세기가 좋은 네트워크로 진입하고 난 후, 상기 네트워크로 등록 및 페이징 채널을 할당받은 후, 아이들(idle) 상태에서 타 네트워크로 액세스 선택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때 CRRM(100)이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알고 있으며, 이 진입 시점은 위에서 기술한 CRRM 주도, 이동 단말기 주도, 및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협력 하에 액세스 선택을 내리는 방식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페이징 채널을 통해서 정보를 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자원(channel 혹은 time slot 등)을 요구하기 위해서,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등과 같은 연결 요청 메시지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망을 통해서 보내게 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 또는 CRRM(100)이 주도가 되어 접속할 네트워크에 대한 결정을 하거나,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가 서로 협력 하에 액세스 선택을 내리는 방식에 의해서 접속 선택할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 말기가 망에 진입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원이 켜진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대기 모드(Idle mode)로 전환되면, CRRM(100)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변경 유무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CRRM(100)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로부터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 각각에 해당하는 로드(Load) 값을 수신하고, 상기 로드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변경을 결정한다.
상기 소정 네트워크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로드값을 퍼센트(%)로 환산 후 비교하여, 상기 퍼센트가 높은 로드값을 상기 CRRM(100)으로 전송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로드값을 각각 상기 CRRM으로 전송하여 상기 CRRM(100)에서 판단 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망마다 다른 용량의 개념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해당하는 로드의 리스트를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하여 로드의 양적인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각 네트워크와 셀의 배치를 정의하고, CRRM 정책의 하나로 각 네트워크에 대한 preference를 정의하였다. 이때, CRRM에서 정해진 이러한 정책은 로드와 관련하여 virtual price(radio resource status)와는 별도로 CRRM에서 전체 망의 로드를 어떻게 이동 혹은 유도할지에 대한 조건을 따로 정의하여 망의 dynamic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CRRM의 기본 개념에 고정 정보를 가미함으로써 유동적인 망 관리 방안을 제공한다.
CDMA 1x CDMA 1x EV-DO Rev. A WCDMA HSDPA 802.16e (Wibro)
Uplink Max. Capacity (diverse formats) 1.0 dB (interference) 1.0 dB (interference) 1.0 dB (interference) 50 (num of users) 70 (num of users)
Downlink Max. Capacity (total throughput) 256 Kbps 3.1 Mbps 384 Kbps 14.4 Mbps 46 Mbps
다중 망환경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의 셀은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형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다수의 네트워크(5개의 네트워크라고 가정한다)는 각각 1개의 cell 만을 포함하고 있고 지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즉, 이동 단말기가 능력만 된다면, 어떤 망으로든 액세스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응용 예에서 각각의 셀은 다음 표2와 같이 구성된다.
Cell # 1 2 3 4 5
Network CDMA 1x CDMA 1x EV-DO WCDMA HSDPA 802.16e (Wibro)
Current status of uplink/downlink load 0.4 dB / 128 Kbps 0.2 dB / 0.93 Mbps 0.4 dB / 172.8 Kbps 20 / 7.2 Mbps 42 / 32.2 Mbps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의 우선도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도(Preference): HSDPA > 802.16e > CDMA 1x EV-DO > WCDMA > CDMA 1x
또한, 음성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의 우선도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이때, CDMA 1x EV-DO, HSDPA, 802.16e는 VoIP를 사용한다.
우선도(Preference): CDMA 1x > WCDMA > HSDPA > 802.16e > CDMA 1x EV-DO
상기 CRRM(100)이 상술한 바와 같은 우선도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변경 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의 리스트 중 최우선 네트워크 중 신호의 전파 품질이 가장 좋은 셀을 선택하고 채널을 할당받으며,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순차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차의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에 의하면, 기존에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망들을 하나의 통합망과 같이 관리하는 개념을 바탕으로, 다중망(multi-radio networks)환경에서 CRRM을 통한 접속 선택에 관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CRRM을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와 CRRM의 협의 하에 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 이동 단말기와 사용자 간 또는 이동 단말기와 CRRM 간에 인터랙티브한 question & response 과정을 통해서 주위의 적절한 네트워크(alternative network)를 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욱 많은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22)

  1. a) CRRM(common Radio Resource Manager)에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 및 그 시점이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CRRM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상기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CRRM에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d-1a) 상기 이동 단말기가 최초로 진입할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의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d-1b) 상기 네트워크의 셀 중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셀을 선택하고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d-1c) 상기 이동 단말기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순차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차의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d-2a)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기능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
    d-2b) 상기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제1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 및
    d-2c) 상기 제1 네트워크 중 가장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셀을 선택하고 상기 셀로부터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d-3a)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CRRM으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d-3b)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접속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3c)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3d) 상기 단계 d-3b)의 판단결과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접속 가능한 타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d-3e)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기재된 접속 가능한 타 네트워크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로부터 채널을 할당받도록 상기 CRRM이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가 상기 CRRM인 경우, 상기 단계 e)에서,
    e-1) 상기 CRRM은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2)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2)에서,
    e-21) 상기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가 현재 이동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22)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이동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제1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계 e)에서,
    e-a) 상기 CRRM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기준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e-b)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준 값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CRRM이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한 네트워크 리스트 및 상기 기준 값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 값을 기반으로 자체 결정한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진입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CRRM으로 다른 네트워크로의 진입을 요청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3. 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면(Power ON), 상기 이동 단말기에 근접한 네트워크로부터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ⅱ) 상기 소정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ⅲ)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된 네트워크들의 상기 소정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으로 상기 신호의 전파 품질이 좋은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5. ㄱ) 전원이 켜진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대기 모드(Idle mode)로 전환되는 단계;
    ㄴ) CRRM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변경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ㄷ) 상기 CRRM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네트워크 변경 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ㄹ)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의 리스트 중 최우선 네트워크 중 신호의 전파 품질이 가장 좋은 셀을 선택하고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 및
    ㅁ) 상기 이동 단말기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순차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차의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ㄴ)에서,
    ㄴ-1) 상기 CRRM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로부터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 각각에 해당하는 로드(Load)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ㄴ-2) 상기 로드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ㄴ-1)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로드값을 퍼센트(%)로 환산 후 비교하여, 상기 퍼센트가 높은 로드값을 상기 CRRM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ㄴ-1)에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로드값을 각각 상기 CRRM 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
  19.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다중 무선망에서 각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개별 네트워크 정보 관리 모듈;
    이동 단말기가 다중 무선망 중 최초로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 네트워크 설정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의사 결정 주체 및 그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값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
    의사 결정 주체가 CRRM(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할 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한 그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결정 모듈은,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CRRM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결정 모듈은,
    상기 의사 결정 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기준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를 결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진입한 시점 또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의 진입을 요청한 시점을 상기 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여부 결정을 수행할 시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망에서 공통 무선 리소스 운영 장치.
KR1020070039539A 2007-04-23 2007-04-23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KR10089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39A KR100898237B1 (ko) 2007-04-23 2007-04-23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39A KR100898237B1 (ko) 2007-04-23 2007-04-23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35A KR20080095135A (ko) 2008-10-28
KR100898237B1 true KR100898237B1 (ko) 2009-05-18

Family

ID=4015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539A KR100898237B1 (ko) 2007-04-23 2007-04-23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67B1 (ko) 2011-12-28 2013-05-31 한국정보화진흥원 다중 무선망 환경에서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한 단말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05B1 (ko) * 2012-09-28 2014-05-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접속 네트워크 가상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0294A1 (en) 2003-12-17 2005-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34214A (ko) * 2003-11-13 2006-04-21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060142032A1 (en) 2004-12-23 2006-06-29 Lucent Technologies, Inc. Cell selection and inter-frequency handover
US7072663B2 (en) 2000-10-09 2006-07-04 Nokia Corpor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663B2 (en) 2000-10-09 2006-07-04 Nokia Corpor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KR20060034214A (ko) * 2003-11-13 2006-04-21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네트워크 신호 복구 또는 파워-온 이후의 홈 네트워크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05060294A1 (en) 2003-12-17 2005-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42032A1 (en) 2004-12-23 2006-06-29 Lucent Technologies, Inc. Cell selection and inter-frequency hand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67B1 (ko) 2011-12-28 2013-05-31 한국정보화진흥원 다중 무선망 환경에서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한 단말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35A (ko)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2348B2 (ja) マルチ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プライオリティ
CN100438683C (zh) 移动通信网络系统、移动终端、以及寻呼方法
US84522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US7787881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neighbor cell list filtering method
US931370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access point in wireless network system
JP5104769B2 (ja) 通信システム
US20060146731A1 (en) Distributed network discovery
EP2055114B1 (en) Intelligent network acquisition for wireless clients
EP1685729B1 (en)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30908B2 (en) Method of selecting target network for hand-over and method thereof
US20100034149A1 (en) Radio communication in a multi-radio link communications system
US7876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network service providers
Khaturia et al. Connecting the unconnected: Toward frugal 5G network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JP2012253810A (ja) 無線通信のためのセル再選択プロセス
KR20140130489A (ko)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연관된 셀의 선택법
CN103249097A (zh) 通信系统
US110261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lice access failures
KR100907998B1 (ko)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기준값 연산 방법및 장치
US6584315B1 (en) Method of allocating frame offset and link in base station
KR100898237B1 (ko) 다중 무선망에서 crrm 운용을 위한 액세스 선택 방법및 장치
US82609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wireless channel resources
CN104053185A (zh) 基站分流方法、装置和设备
KR100891858B1 (ko) 다중 무선망에서 트래픽 재분배를 위한 공통 무선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KR100922477B1 (ko) 다중 무선망에서 이동 단말기 주도의 네트워크 선택 방법및 장치
KR101697206B1 (ko) 이기종 망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