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44B1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8144B1 KR100898144B1 KR1020070046725A KR20070046725A KR100898144B1 KR 100898144 B1 KR100898144 B1 KR 100898144B1 KR 1020070046725 A KR1020070046725 A KR 1020070046725A KR 20070046725 A KR20070046725 A KR 20070046725A KR 100898144 B1 KR100898144 B1 KR 100898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rified water
- valve
- pipe
- water
- wat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 내에는 상기 유닛 체어의 각 부분으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많은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닛 체어를 상단 시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배관들 내에 정수는 흐르지 않고 장시간 정체되어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이 발생하여 배관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결국 환자를 2차 감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general, a number of pipes are provided in the dental unit chair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each part of the unit chair. In this case, when the unit chair is not used for the upper end time, the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in the pipes, and the water is stagnated for a long time, thereby causing a biofilm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 thereby contaminating the inside of the pipe. Such contamination may eventually cause secondary infection of the patient.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 체어 내의 배관에 정수가 오랫동안 정체되지 않도록 상기 정체된 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dispensing water of a dental unit chair tha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the stagnant purified water so that the purified water does not stagnate for a long time in the pipe in the dental unit chair.
치과용 유닛 체어, 바이오 필름, 3-웨이 밸브 Dental Unit Chair, Biofilm, 3-Way Valv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의 간단한 구성 및 정수 배출 방법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고 있는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닛 체어에 구비되는 핸드 피스 홀더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piece holder provided in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정수 배관 110 : 물배관100: water purification pipe 110: water piping
120 : 마스터 블록 130 : 제1밸브120: master block 130: first valve
140 : 에어 배관 150 : 보조 블록140: air piping 150: auxiliary block
160 : 배수관 170 : 제2밸브160: drain pipe 170: second valve
180 : 제3밸브 190 : 제어부180: third valve 190: control unit
192 : 타이머 194 : 장치 제어부192: timer 194: device control unit
210 : 제1배관 220 : 핸드 피스210: first pipe 220: hand piece
230 : 디비젼 블록 240 : 제2배관230: division block 240: second piping
250 : 입력부 260 : 표시부250: input unit 260: display unit
300 : 핸더 피스 홀더 310 : 몸체부300: handpiece holder 310: body portion
320 : 홀더부 330 : 열림 수단320: holder portion 330: opening means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치과용 유닛 체어 내의 배관에 정체되어 있는 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of a dental unit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of a dental unit chair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purified water stagnant in a pipe in the dental unit chair.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 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거나 구강의 양치 시에 이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 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구강의 상처 부위 및 치료 부위에 직접 닿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위생과 청결이 중요하다.In general, the water supplied to the dental unit chair is used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a dental medical device such as a hand piece and the like, to remove powder and debris generated when polishing a tooth, or to brush teeth. Since the water supplied to the dental unit chai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ound site and the treatment site of the oral cavity, hygiene and cleanliness are important above all.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에 공급하는 물은 수돗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등을 제거한 정수를 사용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water supplied to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purified from using tap water but using purified water from which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removed using a water purifier.
그러나, 치과의 진료 시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점심 시간이나 진료 시간 후의 밤 시간 또는 주말 등과 같이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가 유닛 체어의 물배관에 정체되고, 이로 인해 유닛 체어의 핸드 피스 등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Biofilm)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such as a lunch break, a night time after the consultation time, or a weekend when the dental office is temporarily stopped, the purified water is stagnated in the water pipe of the unit chair, which causes the unit chair to Biofilm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pipe connected to the hand piece.
상기 바이오 필름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이오 필 름이 형성된 곳에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 유해한 미생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물배관을 통해 정수가 배출되어 환자의 구강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2차 감염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The biofilm is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and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or mold may occur in the biofilm formed thereon. Therefore,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ipe in which the biofilm is formed and enters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t may cause a problem such as causing a secondary infection to the pati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물배관 내의 정수를 배출시키고, 압축 공기를 채워둠으로써 유닛 체어의 핸드 피스 등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정수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pipe while not using the dental unit chair, fill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handpiece of the unit chair,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unit chair purified water discharging device to prevent the biofilm is formed in the water pipe to be connect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정수 배관에 연결된 물배관; 상기 물배관의 끝단에 연결된 마스터 블록; 상기 물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하되 에어 배관과 연결된 제1밸브; 상기 물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제1밸브와 상기 마스터 블록 사이에 위치한 보조 블록; 상기 보조 블록에서 분기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제2밸브; 상기 보조 블록과 마스터 블록 사이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제3밸브;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 배관에서 압축 공기를 상기 물배관 내로 유입하여 상기 물배관 내의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 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A master blo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water pipe; A first valv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ter pipe and connected to an air pipe; An auxiliary block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ter pipe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valve and the master block; A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auxiliary block; A second valv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ain pipe; A third valv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auxiliary block and the master bloc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water pipe. It is also achieved by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into and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pipe to the drain pip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은 상기 제1밸브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밸브는 열린 상태이고, 상기 제3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urified water of the unit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alve is turned off, the second valve is open, the third valve is in a closed state It is also achieved by a discharg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은 상기 제1밸브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밸브는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3밸브는 열린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of the unit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alve is turned off, the second valve is closed and the third valve is made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of the unit chair It is also achieved by the devic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s of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etc.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의 간단한 구성 및 정수 배출 방법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고 있는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method.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원 발명의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는 원수(즉, 수돗물)를 정수하는 정수기에 연결된 정수 배관(100), 상기 정수 배관(100)에 연결된 물배관(110), 상기 물배관(100)의 끝단(즉, 상기 정수 배관(100)과 연결된 물배관(100) 시작단의 반대쪽)에 연결된 마스터 블록(120), 상기 물배관(100)의 일정 위치(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배관(100)의 시작단과 가깝게 위치한다.)한 제1밸브(1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밸브(130)에는 에어 배관(1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밸브(130)과 마스터 블록(120) 사이의 물배관(110)의 일정 위치에는 보조 블록(15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블록(150)에는 상기 물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수관(16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160)의 일정 위치에는 제2밸브(17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블록(150)과 마스터 블록(120) 사이의 물배관의 일정 위치에는 제3밸브(18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190)가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rified
이때,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는 상기 마스터 블록(120)에 연결된 물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된 제1배관(210)에 연결된 핸드 피스(22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of the dental unit chair may include a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 피스(220)를 거치할 수 있는 핸드 피스 홀더(3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핸드 피스 홀더(300)는 몸체부(300), 상기 몸체부(310) 상에 형성된 홀더부(320) 및 상기 홀더부(320)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핸드 피스(2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열림 수단(330)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
이때, 상기 핸드 피스(220) 자체에는 상기 핸드 피스(220)를 여는 수단 예를 들면,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핸드 피스 홀더(300)의 열림 수단(330)이 작동하여 상기 핸드 피스(22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핸드 피스(220)가 열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는 상기 제1밸브(130)와 보 조 블록(150) 사이의 물배관(110)의 일정 위치에 디비젼 블록(23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비젼 블록(230)에는 상기 물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되고, 3-웨이 시린지(미도시), 타구대(미도시) 및 오토컵(미도시)으로 정수를 공급하는 제2배관(24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는 입력부(250) 및 표시부(2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250)는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과 정수 채움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상태 표시등을 구비하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may be provided with an
이때, 상기 정수 배출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은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설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치과 의원의 점심 시간, 퇴근 후 및 휴일 동안에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가 사용되지 않음으로 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채움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은 상기 배출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이 완료된 후 그리고 상기 물배관(110) 내부에 정수가 완전히 채워질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can be set at a time when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for a long time, generally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during the lunch break, after work and holidays of the dental clinic Can be set to this time.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period may be set to a time such that the purified water is completely filled in the
상기 정수 배출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과 정수 채움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은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제조하는 제조 업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정수 배출 작동 시간에 정수 배출 동작을 시작 및 종료와 정수 채움 동작을 시작 및 종료하는 경우, 정수 배출 동작 및 정수 채움 동작의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정수 배출 상태 표시등(즉, 상기 정수 배출 상태 표시등은 정수 배출 동작 중, 정수 배출 완료, 정수 채움 동작 중 및 정수 채움 동작 완료 등을 표시할 수 있음)이 상기 표시부(260)에 구비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period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period may be set in advance by a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the dental unit chair, or may be set to a time desired by a user who uses the dental unit chair. In addition, when the start and end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operation and the start and end of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at the inputted purified water discharging operation time,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status indicator that can display the progress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operation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that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state indicator may display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operation,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completion,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completion, etc.) on the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에는 상기 유닛 체어의 주전원과 분리된 보조 전원(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정수 배출을 위해 주전원을 켜놓지 않아도 상기 보조 전원의 전원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전원이 공급되지않는 경우에도 자유롭게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of the dental unit chai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ource (not shown) separat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unit chair. This is to operate the water discharge of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for a long time, even if the main power is not turned on for the water purification by usi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e as well as supplying the main power supply If not, it may be necessary to operate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freely.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92)와 각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194)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타이머(192)는 상기 입력부(250)에서 입력된 정수 배출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과 정수 채움 작동 시간 및 작동 기간을 기록하는 타이머(192)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타이머(192)는 현재 시간과 상기 정수 배출 작동 시간 및 정수 채움 작동 시간을 비교하여 각각 정수 배출 시작 신호 및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장치 제어부(194)로 송신하는 기능, 상기 정수 배출 시작 신호 및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송신한 후의 경과 시간과 상기 정수 배출 작동 기간 및 정수 채움 작동 기간을 비교하여 그 경과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정수 배출 끝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상기 장치 제어부(194)에 송신하는 기능 및 상기 각각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260)의 정수 배출 상태 표시등에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등으로 현재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등의 상기 표시부(260)를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타이머(192)의 정수 배출 시작 신호, 정수 배출 끝 신호, 정수 채움 시작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밸브(130), 제2밸브(170) 및 제3밸브(180)의 상태를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제1밸브(130)는 3-웨이(way) 밸브로써 온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 배관(140)에서 유입되는 압축 공기는 차단하고, 상기 정수 배관(100) 쪽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보조 블록(150) 쪽에 연결되어 있는 물배관(110)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 배관(100) 쪽에서의 정수의 유입은 차단하고, 상기 에어 배관(140)의 압축 공기를 상기 보조 블록(150) 쪽에 연결되어 있는 물배관(110)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밸브(130)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가 정상 작동(이때는 핸드 피스 등을 사용하여 물배관(110) 내의 정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여 정수의 정체가 발생하지 않음)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시간에 의한 정수 배출 동작을 시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서 송신된 정수 배출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의 제어에 의해 오프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정수 채움 동작 시작에 의한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의해 온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2밸브(170)는 상기 배수관(160)의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 고, 상기 배수관(160)을 통해 상기 유닛 체어 내의 일정 구간의 물배관(110)(상기 제1밸브(13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상기 보조 블록(150)이 위치한 곳까지의 물배관)의 정수를 배출할 때 이용되는 밸브이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2밸브(170)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190)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시간 또는 정수 채움 동작 시간의 도래에 의해 정수 배출 동작 또는 정수 채움 동작을 시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서 송신된 정수 배출 시작 신호 또는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의 제어에 의해 열린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정수 배출 동작 기간의 종료 및 정수 채움 동작 기간의 종료에 의해 정수 배출 끝 신호 또는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의해 닫힌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3밸브(180)는 상기 보조 블록(150)과 마스터 블록(120) 사이의 물배관(110)의 일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체어 내의 거의 모든 물배관(110)(상기 정수 배관(100)이 연결된 곳으로부터 상기 제1밸브(130)가 연결된 곳까지의 구간을 제외한 물배관 전체)의 정수를 배출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터 블록(120)에서 분기되어 상기 핸드 피스(220)에 연결된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배출할 때, 이용되는 밸브이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3밸브(180)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및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시간 및 정수 채움 동작 시간의 도래에 의한 정수 배출 동작 및 정수 채움 동작을 시작할 경우에는 열린 상 태를 유지 또는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기간의 종료 및 정수 채움 동작 기간의 종료에 의해 정수 배출 끝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의해 닫힌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그러나 상기 정수 배출 끝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수시한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제3밸브(180)를 닫지 않고 열어 둘 수도 있는데 상기 제1배관(210)의 끝단에 위치한 핸드 피스(220)에 의해 제1배관(210)이 닫힌 상태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핸드 피스(220)를 거치하는 핸드 피스 홀더(300)에 구비된 열림 수단(330)은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시간 및 정수 채움 동작 시간의 도래에 의한 정수 배출 동작 및 정수 채움 동작을 시작할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핸드 피스(220)를 열린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 기간의 종료 및 정수 채움 동작 기간의 종료에 의해 정수 배출 끝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의해 상기 핸드 피스를 닫힌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means 330 provided in th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동작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dental unit ch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제1실시 예로서, 상기 제1밸브(130) 및 제2밸브(170)를 이용하여 상기 물배관(110)의 일정 구간, 즉, 상기 제1밸브(13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상기 보조 블록(150)이 위치한 곳(또는 상기 제3밸브가 위치한 곳)까지의 구간의 정수를 배출하 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block may be formed from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우선,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상기 입력부(250)를 통해 정수 배출 동작의 동작 시간 및 기간과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시간 및 기간을 입력한다.First, a user or a manufacturer inputs an operating time and a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and an operating time and a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through the
상기 입력된 시간 및 기간들은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되고, 상기 정수 배출 동작 시간 또는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배출 동작 시간과 일치하면,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일치하면,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The input time and periods are recorded in the
그리고, 상기 신호들을 송신한 후,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 송신 후의 경과 시간과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의 동작 기간과 일치하는 경우, 정수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작 신호 송신 후의 경과 시간과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기간과 일치하는 경우, 정수 채움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서 정수 배출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260)에 배관 청소중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부(260)의 정수 배출 상태 표시등의 램프를 작동시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물배관(110) 내의 정수가 배출되어 있음을 표시하여 정수가 없는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물배관(110) 내의 정수가 배출된 상태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핸드 피스(220) 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After transmitting the signals, when the elaps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discharge operation start signal coincides with the operation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recorded in the
이와 같은 상기 신호들은 정수 배출 동작 시작 신호, 배출 동작 끝 신호, 정수 채움 시작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 순으로 송신되는데, 이는 상기 치과용 유 닛 체어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배관(110) 내의 정수를 제거하였다가 다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배관(110) 내의 정수를 채워 넣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These signals are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water discharge operation start signal, the discharge operation end signal, the water purification start signal and the water purification end signal, which is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제1밸브(130)를 오프 상태(정상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온 상태임)로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제2밸브(170)는 열고(정상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닫혀 있음), 상기 제3밸브(180)는 닫아(정상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열여 있음) 물배관(110) 내의 정수를 상기 배수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동작을 실행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이 일정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배출 동작의 동작 기간과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 후의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그 시간이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는 상기 장치 제어부(194)에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After the discharging operation proceed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ischarging operation recorded in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제2밸브(170)를 닫아 정수 배출 동작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제1밸브(13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만일 온 상태로 변화게 되면, 상기 정수 배관(100)으로부터 정수가 상기 물배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190)는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이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채움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채움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제1밸브(130)를 온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밸브(170)를 열어 물배관(110) 내에 정수를 흐르게 하여 정수 채움 동작을 실행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이 일정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채움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한 다음에 상기 제2밸브(160)를 닫고, 상기 제3밸브(180)는 열어 정수 채움 동작을 완료한다.After the constant f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정수 배출 동작과 정수 채움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물배관(110) 내의 정수를 제거함으로써 정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물배관(110) 내벽의 바이오필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urified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stagnated by remov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밸브(130) 및 제3밸브(180)를 이용하여 거의 모든 구간의 물배관(110)(상기 정수 배관(100)으로부터 제1밸브(130)가 위치한 곳까지의 물배관(110)을 제외함)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터 블록(120)에서 분기되어 상기 핸드 피스(220)을 연결하는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embodiment, using the
우선,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상기 입력부(250)를 통해 정수 배출 동작의 동작 시간 및 기간과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시간 및 기간을 입력한다.First, a user or a manufacturer inputs an operating time and a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and an operating time and a period of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through the
상기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입력한 시간 및 기간들은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저장되며, 상기 시간 및 기간들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타이머(192)에서는 상기 정수 배출 동작 시간 또는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배출 동작 시간과 일치하면,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일치하면, 정수 채움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Times and periods input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are stored in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한 후,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 송신 후의 경과 시간과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배출 동작의 동작 기간과 일치하는 경우, 정수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작 신호 송신 후의 경과 시간과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기간과 일치하는 경우, 정수 채움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서 정수 배출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260)에 배관 청소중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부(260)의 정수 배출 알림 표시등의 램프를 작동시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가 배출되어 있음을 표시하여 정수가 없는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가 배출된 상태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핸드 피스(22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After the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신호들은 정수 배출 동작 시작 신호, 배출 동작 끝 신호, 정수 채움 시작 신호 및 정수 채움 끝 신호 순으로 송신되는데, 이는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제거하였다가 다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는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채워 넣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generally, the signals are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water discharge operation start signal, the discharge operation end signal, the integer filling start signal, and the integer filling end signal in order, which means that the water pipe (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fill the purified water in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제1밸브(130)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3밸브(180)는 열고, 상기 핸드 피스(220)는 상기 핸드 피스 홀더(300)의 열림 수단(330)으로 열어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상기 핸드 피스(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동작을 실행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이 일정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에 기록된 배출 동작의 동작 기간과 상기 배출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 후의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그 시간이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는 상기 장치 제어부(194)에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After the discharging operation proceed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ischarging operation recorded in the
그리고, 상기 배출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핸드 피스(220)를 닫아 정수 배출 동작을 완료한다.(이때, 상기 제3밸브(180)를 닫아도 무방하고, 닫지 않아도 무방하나 밸브의 동작을 최소화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닫지 않고 그대로 열어 놓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밸브(13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만일 온 상태로 변화게 되면, 상기 정수 배관(100)으로부터 정수가 상기 물배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는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에 정수가 채워져야 상기 핸드 피스(220)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may use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는 상기 제어부(190)의 타이머(192) 에 기록된 정수 채움 동작의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채움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이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에 채움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채움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90)의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제1밸브(130)를 온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핸드 피스(220)를 열어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에 정수를 흐르게 하여 정수 채움 동작을 실행한다.(이때, 상기 제3밸브(180)는 정수 배출 동작 완료시 닫은 경우에는 열어 주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장치 제어부(194)는 상기 정수 채움 동작이 일정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채움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열림수단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핸드 피스(220)를 닫히도록 제어하여 정수 채움 동작을 완료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정수 배출 동작과 정수 채움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제거함으로써 정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벽의 바이오필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ntal unit chair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performing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를 혼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수 배출 동작 및 정수 채움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 배출 동작은 제1밸브(140)을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밸브(170) 및 제3밸브(180)를 열고, 상기 핸드 피스(220)도 열어 상기 배수관(160) 및 핸드 피스(220)를 통해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를 배출하고, 상기 제2밸브(170) 및 핸드 피스(220)를 닫아 정수 배출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and the purified water filling operation by using the method of mixing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changes the
그리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은 상기 제1밸브(130)을 온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밸브(170) 및 핸드 피스(220)를 열어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에 정수가 흐르게 한 후, 상기 핸드 피스(220) 및 제2밸브(170)를 닫아 상기 물배관(110) 및 제1배관(210) 내에 정수 채움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filling operation changes the
이때, 상기 실시 예들의 경우 마스터 블록(120)에 연결되는 물배관(120) 및 제1배관(210) 내의 정수 배출 및 채움에 관한 것만 기술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조금 변형하는 경우, 상기 디비젼 블록(230)의 연결된 제2배관(240) 내의 정수 배출하거나 채울 수 있다. 즉, 상기 디비젼 블록(230)에는 3-웨이 시린지, 타구대 수도 및 오토컵 수도 등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3-웨이 시린지, 타구대 수도 및 오토컵 수도 등에 연결되는 제2배관(240) 중간에는 배관의 열고 닫음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배관(240) 내의 정수를 배출하거나 채울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only about the water discharge and filling in the
즉, 상기 정수배출동작은 제1밸브(130)를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배관(240) 중간의 밸브를 열어 제2배관(240) 내의 정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2배관(240) 중간의 밸브가 닫혀지므로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채움 동작은 상기 제1밸브(130)를 온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배관(240) 중간의 밸브를 열어 상기 제2배관(240) 내부에 정수를 채운 후, 상기 제2배관(240) 중간의 밸브를 닫음으로써 상기 정수 채움 동작을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와 유사한 동작을 실시할 수 있어 상기 제2배관(240)도 상기 물배관(110)과 같이 바이오필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operation changes th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는 치과용 유닛 체어를 사용하지 않아 물배관 내에 정수가 정체되는 경우, 3-웨이 밸브, 밸브 및 핸드피스 열림 수단 등을 이용하여 특정시간에 특정시간 동안 정수를 배출시키고, 내부에 압축 공기를 채워둠으로써, 상기 유닛 체어의 핸드 피스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of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dental unit chair when the purified water is stagnated in the water pipe, using a three-way valve, valves and handpiece opening means, etc. By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for a time and by filling the compressed air therei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iofilm is not formed in the water pipe connected to the hand piece of the unit chai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725A KR100898144B1 (en) | 2007-05-14 | 2007-05-14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725A KR100898144B1 (en) | 2007-05-14 | 2007-05-14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1262U Division KR200432185Y1 (en) | 2006-08-08 | 2006-08-08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3698A KR20080013698A (en) | 2008-02-13 |
KR100898144B1 true KR100898144B1 (en) | 2009-05-25 |
Family
ID=3934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6725A KR100898144B1 (en) | 2007-05-14 | 2007-05-14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81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600128185A1 (en) * | 2016-12-19 | 2018-06-19 | Vittorio Checchi | DECONTAMINATION SYSTEM OF WATER CIRCUI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5523A (en) | 1997-08-15 | 1998-07-28 | Overmyer; Thad J. | Dental water line flushing and disinfecting system |
US5800171A (en) | 1995-12-18 | 1998-09-01 | Barney; Everett A. | Exhaust control system for pneumatic devices and method |
US6019117A (en) | 1993-08-20 | 2000-02-01 | Detsch; Steven G. | Water line decontamination system |
US6464868B1 (en) | 1999-09-14 | 2002-10-15 | Amos Kori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iofilm |
-
2007
- 2007-05-14 KR KR1020070046725A patent/KR10089814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19117A (en) | 1993-08-20 | 2000-02-01 | Detsch; Steven G. | Water line decontamination system |
US5800171A (en) | 1995-12-18 | 1998-09-01 | Barney; Everett A. | Exhaust control system for pneumatic devices and method |
US5785523A (en) | 1997-08-15 | 1998-07-28 | Overmyer; Thad J. | Dental water line flushing and disinfecting system |
US6464868B1 (en) | 1999-09-14 | 2002-10-15 | Amos Kori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iofil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3698A (en) | 2008-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50843B2 (en) | Medical equipment | |
KR100898144B1 (en)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
KR200432185Y1 (en)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drain apparatus | |
KR200432182Y1 (en) | A dental hand pieces holder | |
JP2000005200A (en) | Medical equipment having disinfecting and cleaning function for water feeding conduit | |
KR100874509B1 (en) | A dental clean water drain apparatus | |
KR100874511B1 (en)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process apparatus | |
KR200432186Y1 (en)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process apparatus | |
KR100834533B1 (en) | A dental clean water process apparatus | |
KR200432184Y1 (en) | A dental clean water drain apparatus | |
KR100959672B1 (en) | A dental cleaning water process apparatus | |
KR100907340B1 (en) | A dental clean water drain apparatus | |
KR200435234Y1 (en) | A dental clean water drain apparatus | |
KR100874510B1 (en) | A dental clea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 |
KR101580505B1 (en) | Water supply for dental unit Chair | |
KR200433988Y1 (en) | A dental cleaning water process apparatus | |
KR200433990Y1 (en) | A dental clean water process apparatus | |
KR100835695B1 (en) | A dental clea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 |
WO2008018667A1 (en) | A dental unit chair's cleaning water process system | |
KR20080015135A (en) | A dental clea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 |
JP7107906B2 (en) | Medical device, its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JPH0723904A (en) | Endoscope washing and disinfecting device | |
JP7088890B2 (en) | Medical equipment, control equipment, and control methods | |
EP1344499B1 (en) | A method for cleaning / disinfecting / sterilising the water circuits of dental units and a dental unit implementing the method | |
KR200432183Y1 (en) | A dental clea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