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228B1 -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 Google Patents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228B1
KR100897228B1 KR1020070054239A KR20070054239A KR100897228B1 KR 100897228 B1 KR100897228 B1 KR 100897228B1 KR 1020070054239 A KR1020070054239 A KR 1020070054239A KR 20070054239 A KR20070054239 A KR 20070054239A KR 100897228 B1 KR100897228 B1 KR 10089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geolli
main body
cover
mixing device
rice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6620A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102007005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228B1/en
Publication of KR2008010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6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 혼합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막걸리 혼합장치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 하나의 중앙 관통홀 및 캡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을 각각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막걸리통과; 상기 커버의 인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과 연통되는 제1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아웃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와 연통되는 제2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기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 교반부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박스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호프냉각기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막걸리 공급용 주출부가 구비되며, 운영자는 상기 막걸리통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호프냉각기를 거쳐 그 주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akgeolli mixing device. The makgeolli mixing device ha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receiv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a detachabl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 opening hol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entral through hole and a cap, respectively. Makgeolli passed through the cover; A first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A second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hopper cool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Equipped with a motor that is water-tight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through electricity, the output shaf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central through-hole of the cove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It includes a stirrer consisting of a stirring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box to electrically control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and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is provided with a pouring unit for makgeolli supply, The op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makgeolli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through a dispenser through a hop cooler.

삭제delete

Description

막걸리 혼합장치{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Rice wine mixing device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1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ce wine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가 탄산가스통과 호프냉각기의 각 대응부분에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도면.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arts of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and the hop cool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의 교반기를 구성하는 교반부의 하단의 편심운동을 일정범위 내로 한정시키는 편심방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ccentric prevention structure to limit the eccentric mo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unit constituting the stirrer of the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certain range.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의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rice wine mix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a: 막걸리 혼합장치 10: 막걸리통1, 1a: Makgeolli mixing device 10: Makgeolli barrel

11: 본체 12: 커버11: body 12: cover

20,20a: 교반기 25: 구동부20, 20a: stirrer 25: drive unit

28: 기어박스 29: 가동핸들28: gearbox 29: movable handle

30: 교반부 31: 블레이드부30: stirring unit 31: blade unit

40: 제어박스 50: 제1 파이프부재40: control box 50: first pipe member

51,61: 안내호스 60: 제2 파이프부재51,61: Guide hose 60: Second pipe member

70: 탄산가스통 71: 호프냉각기70: Carbon dioxide gas cylinder 71: Hope cooler

본 발명은 막걸리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형 또는 대형의 막걸리통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성분을 언제든지 간편하게 적절한 상태로 혼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kgeolli m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kgeolli mixing device that allows the ingredients settled at the bottom of a medium or large sized makgeolli container to be easily mixed in an appropriate state at any time.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쌀이나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소주나 양주 등과 같은 증류주, 또는 포도주 등과 같은 과실주와는 달리 막걸리 액을 걸쭉하게 하는 곡물성분을 포함하는 상태로 통용되고 소비된다.In general, makgeolli is produced by fermenting grains such as rice or barley, and is commonly used and consumed in a state containing a grain component that thickens makgeolli liquor unlike distilled liquor such as soju or liquor, or wine. .

막걸리는 크게 가정용과 상업용으로 유통되어 소비되고 있는데, 가정용의 경우 주로 500, 1000, 1250cc 등의 소형 페트병 등에 담겨져 소비되고, 상업용의 경우에는 가정용 보다 큰 중형 또는 대형의 막걸리통에 담겨져 소비된다.Makgeolli is largely distributed and consumed for home and commercial use. In the case of home use, it is mainly consumed in small plastic bottles such as 500, 1000, and 1250cc, and in the case of commercial use, it is consumed in a large or medium-sized makgeolli container.

가정용의 경우, 소형 페트병은 비교적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가정용 냉장고 안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언제든지 필요할 때 상기 냉장고로부터 페트병을 꺼내어 흔들어 주어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을 적절히 혼합시켜 마실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home use, the small plastic bottle can be easily stored in a home refrigerator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size. In addition, the consumer can take out the PET bottle from the refrigerator and shake it at any time when necessary to properly mix and drink the grain components settled on the floor.

상업용의 경우,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은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상업용 냉장고 안에 저장 가능하다. 또한, 운영자는 고객의 요구가 있을 때 상기 냉장고 안의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의 뚜껑을 개방한 후, 바가지 등을 이용해서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을 적절히 혼합시켜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commercial, medium or large makgeolli can be stored in a commercial refrigerator because of its relatively large size.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open the lid of the medium or large rice wine container in the refrigerator when the customer demands, and then use a gourd or the like to properly mix the grain ingredients that have settled on the floor to service the customer.

그러나, 막걸리를 적절히 혼합시켜 주고자 할 때, 상업용의 경우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은 사이즈가 커 직접 흔들어 주기 곤란한 데다, 적절한 혼합을 위해 별도로 바가지 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자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However, when it is desired to mix makgeolli properly, in the case of a commercial medium or large makgeolli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shake it directly due to its large size and it is difficult to shake it directly. I had no choice but to suffer discomfort.

또한, 상업용의 경우, 운영자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상업용 냉장고의 문을 반복적으로 개폐하는 불편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철의 경우 냉장고의 문을 자주 열고 닫게 될 때 문의 개폐회수에 비례하여 전력소비도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mercial, the operator not only has the inconvenience of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commercial refrigerator every time a service is provided, but especially in the summe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frequently opened and closed, power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nsumption was also increased.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대형 막걸리통을 흔들어 주거나 또는 별도의 바가지 등을 이용함이 없이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을 적절히 혼합시킬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막걸리를 시원한 상태로 고객에게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hake the large makgeolli barrels or use a separate gourd or the like to properly mix the grain components that have settled on the floor,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kgeolli mixing device to conveniently service makgeolli to custom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걸리통 안의 막걸리에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막걸리통으로부터 외부로 막걸리를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막걸리의 산패 내지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kgeolli mixing device that injects carbonic acid gas into a makgeolli barrel and allows makgeolli to be smoothly supplied from the makgeolli barrel to the outside, and also to prevent acid or spoilage of makgeolli.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취급, 설치 등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kgeolli mixing device that facilitates assembly, handling, and installation, and ensures sufficient safety in u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 하나의 중앙 관통홀 및 캡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을 각각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막걸리통과; 상기 커버의 인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과 연통되는 제1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아웃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와 연통되는 제2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기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 교반부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박스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호프냉각기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막걸리 공급용 주출부가 구비되며, 운영자는 상기 막걸리통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호프냉각기를 거쳐 그 주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혼합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upper opening, an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opened and closed through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one central through hole and cap Makgeolli passing through each of the cover having a respective opening hole; A first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A second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hopper cool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Equipped with a motor that is water-tight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through electricity, the output shaf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center through-hole of the cove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It includes a stirrer consisting of a stirring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box to electrically control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and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is provided with a pouring unit for makgeolli supply, The operator provides a makgeolli m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kgeolli, which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ensing portion through a hopper cooler.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부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이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링과, 이 장착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은 다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ir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lade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is a mounting ring fixed detachably via at least one faste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mounting ring.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박스는 모터의 회전수 및 가동시간을 제어 가능하게 하는 작동프로그램이 기억된 마이콤과, 이 마이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에 대한 회전정보를 알리는 액정표시부와, 상기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전원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모터의 회전수와 가동시간을 재설정 가능하게 하는 키입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x includes a microcomputer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an operating time of the motor is stor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o inform rot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to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om, and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key input unit capable of resetting the rotational speed and operating time of the mo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이프부재의 하단부는 다수 개의 배출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member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파이프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wardly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부부분에 오목부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의 오목부에는 상기 교반부의 하단의 편심운동을 일정범위 내로 한정시키도록 수지링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concave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resin ring to limit the eccentric mo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한편, 이실시예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 하나의 중앙 관통홀 및 캡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을 각각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막걸리통과; 상기 커버의 인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과 연통되는 제1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아웃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와 연통되는 제2 파이프부재와; 상기 커버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력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 교반부와,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가동핸들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호프냉각기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막걸리 공급용 주출부가 구비되며, 운영자는 상기 막걸리통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호프냉각기를 거쳐 그 주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of a certain depth, an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one central through-hole and cap Makgeolli pass made of a cover each having an opening hole; A first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A second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hopper cool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It is mounted watertight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and enables rotational power to be provided through a manpower, and the output shaft of the gearbox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gearbox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center through-hole of the cover. It includes a stirrer consisting of a stirr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main body and a movable handle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of the gearbox, and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is provided with a dispensing unit for makgeolli, and the operato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makgeolli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 a makgeolli barrel through a hopper cooler through the dispensing p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의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가 탄산가스통과 호프냉각기의 각 대응부분에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s and the hopper cooler. It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possible stat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막걸리통(10), 제1 파이프부재(50) 및 제2 파이프부재(60)로 이루어진다.The makgeolli mix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made of a makgeolli barrel 10, a first pipe member 50 and a second pipe member 60,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상기 막걸리통(10)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11a)를 갖는 본체(11)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1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는 각각 인렛 포트(12a)와 아웃렛 포트(12b), 하나의 중앙 관통홀(도시되지 않음) 및 캡(13)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12c)을 구비한다.Here, the makgeolli barrel 10 is composed of a body 11 having a receiving portion 11a of a predetermined depth with an open top, and a cover 12 detachably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In addition, the cover 12 has an inlet port 12a and an outlet port 12b, a central through hole (not shown), and an opening hole 12c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ap 13, respectively.

상기 제1 파이프부재(50)는 커버(12)의 인렛 포트(12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51)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10)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70)과 연통된다.The first pipe member 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12a of the cover 12, and the lower end extends below the main body 11, and through the guide hose 51, the rice wine container (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arbon dioxide gas tank (70)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상기 제2 파이프부재(60)는 커버(12)의 아웃렛 포트(12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61)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10)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71)와 연통된다. 상기 호 프냉각기(71)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상기 막걸리통(10) 안에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진 막걸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주출부(71a)가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pipe member 6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12b of the cover 12, and the lower end extends below the main body 11, and through the guide hose 61, the rice wine container ( It communicates with the hop cooler 71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10).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71 is provided with a dispensing unit 71a so as to be supplied with makgeolli filled with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10.

그에 따라, 상기 탄산가스는 막걸리가 막걸리통(10)으로부터 호프냉각기(71)로, 이어서 그 호프냉각기로부터 주출부(71a)로 원활히 흘러갈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막걸리의 산패 내지는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ccordingly, the carbon dioxide gas not only enables the makgeolli to flow smoothly from the makgeolli barrel 10 to the hopper cooler 71, and then from the hopper cooler to the pouring section 71a, as well as to prevent the makgeolli from spoiling or decaying. Plays a role.

한편, 상기 막걸리 혼합장치(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기(20)는 구동부(25), 교반부(30) 및 제어박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25)는 상기 커버(12)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기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12)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도시되지 않음)이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교반부(30)는 구동부(25)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11)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다. 상기 제어박스(40)는 구동부(25)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the makgeolli mix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stirrer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stirrer 20 is composed of a driving unit 25, a stirring unit 30 and a control box 40. The driving unit 25 is provided with a motor (not shown) that is watertight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2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through electricity, and an output shaft through a central through hole of the cover 12 (Not shown) protrudes downward. The stirring unit 3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25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main body 11. The control box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25.

나아가, 상기 교반기(20)의 구동부(25), 교반부(30) 및 제어박스(40)는 다음과 같이 더 구체화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iving unit 25, the stirring unit 30 and the control box 40 of the stirrer 20 may be further embodied as follows.

상기 구동부(25)는 다음과 같은 수밀수단을 통해 커버(12)의 대응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밀수단은 구동부(25)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25a)와, 이 플랜지와 커버(12)의 대응부분 사이에 끼워지는 개스킷(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구동부(25)의 플랜지(25a)와 커버(12)의 대응부분을 고정하는 나사 등과 같은 다수 개의 패스너(26)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unit 25 may be moun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ver 12 through the following watertight means. The watertight means includes a flange 25a formed under the drive unit 25, a gasket (not shown)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 an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ver 12, and a flange 25a of the drive unit 25 And it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fasteners 26, such as screws for fix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ver 12.

상기 교반부(30)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부(31)를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부(31)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32)를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링(33)과, 이 장착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은 다수 개의 블레이드(34)로 이루어질 수 있다.A blade part 31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tirring part 30. The blade portion 31 may be formed of a mounting ring 33 that is detachably fixed via at least one fastener 32 and a plurality of blades 34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mounting ring.

상기 제어박스(40)는 모터의 회전수 및 가동시간을 제어 가능하게 하는 작동프로그램이 기억된 마이콤(도시되지 않음)과, 이 마이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에 대한 회전정보를 알리는 액정표시부(41)와, 상기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전원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모터의 회전수와 가동시간을 재설정 가능하게 하는 키입력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box 40 is a microcomputer (not shown)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motor is stor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o inform rot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tor.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om, and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be formed of a key input unit 42 capable of resetting the rotational speed and operating time of the motor.

다른 한편, 상기 제1 파이프부재(50)의 하단부는 자체적으로 다수 개의 배출공을 갖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배출공(52a)을 갖는 분리 가능한 형태의 배출공부재(5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부재(60)의 하단부는 곡물성분이 고르게 혼합된 막걸리액을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member 50 is provided in its own form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or as shown in FIG. 1, a discharge hole in a detachable form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2a Ash 52.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60 is bent inwardly of the main body 11 so as to suck the makgeolli solution in which grain components are evenly mixed.

상기 본체(11)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교반부(30)의 하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운동하는 것을 일정범위 내로 한정할 수 있도록 편심방지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방지수단은 상부부분에 오목부(15a)를 갖는 돌출부(15)와, 이 돌출부의 오목부(15a)에 고정되는 수지링(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n eccentric preventive means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art 30 is eccentrically mov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eccentric preventing means may be formed of a projection 15 having a recess 15a in the upper portion, and a resin ring 16 fixed to the recess 15a of the projection.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막걸리통(10), 교반기(20a), 제1 파이프부재(50) 및 제2 파이프부 재(60)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akgeolli mixing device (1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as shown in Figure 4 makgeolli barrel 10, agitator 20a, the first pipe member 50 and the second pipe material (60).

여기에서, 상기 막걸리통(10)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11a)를 갖는 본체(11)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1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는 각각 인렛 포트(12a)와 아웃렛 포트(12b), 하나의 중앙 관통홀(도시되지 않음) 및 캡(13)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12c)을 구비한다.Here, the makgeolli barrel 10 is composed of a body 11 having a receiving portion 11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upper opening, and a cover 12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addition, the cover 12 has an inlet port 12a and an outlet port 12b, a central through hole (not shown), and an opening hole 12c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ap 13, respectively.

상기 교반기(20a)는 기어박스(28), 교반부(30) 및 가동핸들(29)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28)는 커버(12)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력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버(12)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도시되지 않음)이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교반부(30)는 기어박스(28)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11)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다. 상기 가동핸들(29)은 기어박스(28)의 입력축(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The stirrer 20a is composed of a gear box 28, a stirring portion 30 and a movable handle 29. The gear box 28 is watertight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2 and capable of providing rotational power through a manpower, and an output shaft (not shown) is provided through the center through hole of the cover 12. Is extruded. The stirring unit 3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gear box 28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body 11. The movable handle 29 is connected to an input shaft (not shown) of the gearbox 28.

상기 기어박스(28)는 다음과 같은 수밀수단을 통해 커버(12)의 대응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밀수단은 기어박스(28)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28a)와, 이 플랜지와 커버(12)의 대응부분 사이에 끼워지는 개스킷(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기어박스(28)의 플랜지(28a)와 커버(12)의 대응부분을 고정하는 나사 등과 같은 다수 개의 패스너(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28)는 다수 개의 단열 또는 복열 형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어모듈(도시되지 않음), 또는 링기어, 유성기어 및 선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ear box 28 may be moun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ver 12 through the following watertight means. The watertight means includes a flange 28a formed under the gearbox 28, a gasket (not shown)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 an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ver 12, and a flange of the gearbox 28 ( 28a)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26 such as screws for fixing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cover 12. The gear box 28 may be made of a gear module (not shown) made of a plurality of heat-insulating or double-row gears, or a gear module (not shown) made of ring gears, planetary gears, and sun gears. have.

상기 제1 파이프부재(50)는 커버(12)의 인렛 포트(12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51)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10)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70)과 연통된다.The first pipe member 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12a of the cover 12, and the lower end extends below the main body 11, and through the guide hose 51, the rice wine container (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arbon dioxide gas tank (70)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상기 제2 파이프부재(60)는 커버(12)의 아웃렛 포트(12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61)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10)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71)와 연통된다. 상기 호프냉각기(71)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상기 막걸리통(10) 안에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진 막걸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주출부(71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산가스는 막걸리가 막걸리통(10)으로부터 호프냉각기(71)로, 이어서 그 호프냉각기로부터 주출부(71a)로 원활히 흘러갈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막걸리의 산패 내지는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pipe member 6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12b of the cover 12, and the lower end extends below the main body 11, and through the guide hose 61, the rice wine container ( It communicates with the hop cooler 71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10).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71 is provided with a dispensing portion 71a to receive a makgeolli filled with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10. The carbon dioxide gas not only allows the makgeolli to flow smoothly from the makgeolli barrel 10 to the hopper cooler 71, and then from the hopper cooler to the pouring portion 71a, but also serves to prevent the rancidity or corruption of makgeolli. .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먼저, 막걸리통(10)의 제1 파이프부재(50)와 연결된 안내호스(51)를 탄산가스통(70)의 대응부분에, 그리고 제2 파이프부재(60)와 연결된 안내호스(61)를 호프냉각기(71)의 대응부분에 각각 연결한다.First, the guide hose 51 connected to the first pipe member 50 of the rice wine container 1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 gas tank 70, and the guide hose 61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member 60 is hopped. Each of the cooler 71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그런 다음, 상기 호프냉각기(71)의 전원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외부전원의 해당 콘센트에, 그리고 제어박스(40)의 전원플러그(43)를 외부전원의 해당 콘센트에 각각 연결한 후, 상기 각 호프냉각기(71)와 제어박스(4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Then, connect the power plug (not shown) of the hopper cooler 71 to a corresponding outlet of external power, and connect the power plug 43 of the control box 40 to a corresponding outlet of external power, respectively. Power is applied to each hop cooler 71 and the control box 40.

그런 다음, 탄산가스통(70)의 개폐밸브(70a)를 이용하여 상기 막걸리통(10)에 일정량의 탄산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박스(40)의 키입력부(42)를 통해 교반기(20)의 구동부(25)를 마이콤에 미리 기억시킨 작동프로그램의 소정 작동모드로 실행시킨다.Then,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into the rice wine container 10 using the opening/closing valve 70a of the carbon dioxide gas container 70, the stirrer (through the key input part 42 of the control box 40) The driving unit 25 of 20) is executed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of the operation program stored in advance in the micom.

그러면, 상기 구동부(25) 내의 모터를 통해 교반부(30)가 소정 회전수로 일정 가동시간 동안 회전하여, 상기 막걸리통(10) 안의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이 그 교반부(30)의 블레이드부(31)를 통해 전체적인 막걸리액에 적절한 상태로 혼합될 수 있게 된다.Then, through the motor in the driving unit 25, the stirring unit 30 rotates for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so that the grain components settled on the floor in the rice wine container 10 are blades of the stirring unit 30. Through the unit 31, it is possible to mix the whole rice wine liquid in an appropriate state.

그런 다음, 운영자는 상기 호프냉각기(71)의 주출부(71a)에 막걸리잔(도시되지 않음)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주출부(71a)의 공급유로를 개방시켜 적당량의 막걸리를 막걸리잔에 채워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operator opens the supply channel of the dispensing portion 71a in the state where the makgeolli glass (not shown) is placed in the dispensing portion 71a of the hop cooler 71, and the proper amount of makgeolli is filled in the makgeolli cup. It will be able to serve customers.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막걸리 혼합장치의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makgeolli mix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먼저, 막걸리통(10)의 제1 파이프부재(50)와 연결된 안내호스(51)를 탄산가스통(70)의 대응부분에, 그리고 제2 파이프부재(60)와 연결된 안내호스(61)를 호프냉각기(71)의 대응부분에 각각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호프냉각기(71)의 전원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외부전원의 해당 콘센트에 연결한 후, 상기 호프냉각기(71)에 전원을 인가시킨다.First, the guide hose 51 connected to the first pipe member 50 of the rice wine container 1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 gas tank 70, and the guide hose 61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member 60 is hopped. Each of the cooler 71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Then, after connecting the power plug (not shown) of the hop cooler 71 to a corresponding outlet of external power, power is applied to the hop cooler 71.

그런 다음, 탄산가스통(70)의 개폐밸브(70a)를 이용하여 상기 막걸리통(10)에 일정량의 탄산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교반기(20a)의 가동핸들(29)을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킨다.Then, using the opening/closing valve 70a of the carbon dioxide gas cylinder 70, while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into the rice wine container 10, the movable handle 29 of the stirrer 20a is rot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그러면, 상기 교반기(20a)의 기어박스(28)를 통해 교반부(30)가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여, 상기 막걸리통(10) 안의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이 그 교반부(30)의 블레이드부(31)를 통해 전체적인 막걸리액에 적절한 상태로 혼합될 수 있게 된다.Then, through the gear box 28 of the stirrer 20a, the stirring unit 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so that the grain components settled on the bottom in the rice wine container 10 are blades of the stirring unit 30. Through the unit 31, it is possible to mix the whole rice wine liquid in an appropriate state.

그런 다음, 운영자는 상기 호프냉각기(71)의 주출부(71a)에 막걸리잔(도시되지 않음)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주출부(71a)의 공급유로를 개방시켜 적당량의 막걸리를 막걸리잔에 채워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operator opens the supply channel of the dispensing portion 71a in the state where the makgeolli glass (not shown) is placed in the dispensing portion 71a of the hop cooler 71, and the proper amount of makgeolli is filled in the makgeolli cup. It will be able to serve custome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simple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산가스통과 호프냉각기가 각각 연결된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을 매개로 하여 그 막걸리통 안의 막걸리에 탄산가스를 주입함으로써 막걸리통으로부터 호프냉각기로, 이어서 그 호프냉각기로부터 주출부로 막걸리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막걸리의 산패 내지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jects carbon dioxide gas into the makgeolli in the makgeolli vat via a medium or large makgeolli vat, each connected to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and a hopper cooler, respectively, and then from the hopper cooler to the pouring part It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supply makgeolli smoothly, but also prevents makgeolli from spoiling or decaying.

또한, 본 발명은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을 흔들어 주거나 또는 별도의 바가지 등을 이용함이 없이, 막걸리통 안에 탄산가스를 주입함과 함께 교반기를 이용하여, 바닥에 가라앉은 곡물성분을 적절히 혼합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곡물성분이 적절히 혼합된 막걸리를 시원한 상태로 고객에게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shaking the medium or large rice wine container or using a separate gourd,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into the rice wine container and using a stirrer, it is possible to properly mix the grain components settled on the floor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onveniently service the makgeolli, which is properly mixed with grain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to the customer.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뿐만 아니라, 조립, 취급, 설치 등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also facilitates assembly, handling, and installation, and ensures sufficient safety in use.

또한, 본 발명은 호프냉각기의 주출부를 통해, 막걸리잔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소형 페트병에 막걸리를 담아 고객에게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venient service to customers by placing makgeolli in a plurality of small plastic bottles as well as makgeolli glasses through 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hop cooler.

Claims (8)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 하나의 중앙 관통홀 및 캡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을 각각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막걸리통과;Makgeolli consisting of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receiv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a cover provided detachably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 opening hol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entral through hole and a cap, respectively. Pass; 상기 커버의 인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과 연통되는 제1 파이프부재와;A first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상기 커버의 아웃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와 연통되는 제2 파이프부재와;A second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hopper cool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상기 커버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기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 교반부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박스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포함하며,Equipped with a motor that is water-tight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through electricity, the output shaf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central through-hole of the cove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It includes a stirrer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drive unit and a stirring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axis of the main body, 상기 호프냉각기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막걸리 공급용 주출부가 구비되며, 운영자는 상기 막걸리통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호프냉각기를 거쳐 그 주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is provided with a dispensing unit for supplying makgeolli, and an operator can receive makgeolli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through the hopper cooler, and the makgeolli mix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이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링과, 이 장착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은 다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lade portion, the blade portion consisting of a mounting ring fixed detachably via at least one faste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mounting ring Makgeolli mix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모터의 회전수 및 가동시간을 제어 가능하게 하는 작동프로그램이 기억된 마이콤과, 이 마이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에 대한 회전정보를 알리는 액정표시부와, 상기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전원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모터의 회전수와 가동시간을 재설정 가능하게 하는 키입력부로 이루어진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The control box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box includes a microcomputer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motor is store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o inform rot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tor, and the microcomputer Makgeolli mixing device that is made of a key input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at can reset the rotational speed and operating time of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부재의 하단부는 다수 개의 배출공을 갖는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The makgeolli m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member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The makgeolli m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is bent inwardly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부부분에 오목부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의 오목부에는 상기 교반부의 하단의 편심운동을 일정 범위 내로 한정시키도록 수지링이 고정된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having a recess in the upper portion, the recess is fixed to the resin ring to limit the eccentric mo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ortion within a certain range Phosphorous rice wine mixing device.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깊이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 하나의 중앙 관통홀 및 캡을 통해 개폐되는 개구홀을 각각 구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막걸리통과;Makgeolli consisting of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receiv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a cover provided detachably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 opening hol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entral through hole and a cap, respectively. Pass; 상기 커버의 인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탄산가스통과 연통되는 제1 파이프부재와;A first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carbon dioxide gas cylind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상기 커버의 아웃렛 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뻗고 안내호스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막걸리통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한 호프냉각기와 연통되는 제2 파이프부재와;A second pipe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let port of the cov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hopper cooler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ice wine barrel via a guide hose; 상기 커버의 중앙부분에 수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력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 관통홀을 통해 출력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의 출력축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하방으로 뻗는 교반부와,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가동핸들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포함하며,It is mounted watertight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and enables rotational power to be provided through a manpower, and the output shaft of the gearbox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gearbox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center through-hole of the cover. And a stirrer consisting of a stirring part extending downward along an axis of the main body and a movable handle connected to an input shaft of the gearbox, 상기 호프냉각기의 외부의 일부분에는 막걸리 공급용 주출부가 구비되며, 운영자는 상기 막걸리통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호프냉각기를 거쳐 그 주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인 막걸리 혼합장치.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hopper cooler is provided with a dispensing unit for supplying makgeolli, and an operator can receive makgeolli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in the makgeolli barrel through the hopper cooler, and the makgeolli mixing device.
KR1020070054239A 2007-06-04 2007-06-04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KR100897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239A KR100897228B1 (en) 2007-06-04 2007-06-04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239A KR100897228B1 (en) 2007-06-04 2007-06-04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620A KR20080106620A (en) 2008-12-09
KR100897228B1 true KR100897228B1 (en) 2009-05-14

Family

ID=4036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239A KR100897228B1 (en) 2007-06-04 2007-06-04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2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56B1 (en) 2010-05-13 2012-07-27 정화숙 A Deposit Mix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16B1 (en) * 2016-09-06 2017-09-11 이상철 The keg for Takju coo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699U (en) * 1992-04-17 1993-11-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Beverage service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699U (en) * 1992-04-17 1993-11-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Beverage service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56B1 (en) 2010-05-13 2012-07-27 정화숙 A Deposit M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620A (en)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739B2 (en) Portable baby bottle blender
US5853034A (e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concentrated product and container for use therewith
TWI444470B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eeding, solubilizing, growing and discharging a biological material
US8206973B2 (en) Automated biological growth and dispensing system
CA2829427A1 (en) Automated biological growth and dispensing system
KR100897228B1 (en) Mixing apparatus for unrefined rice wine
KR200450662Y1 (en) Sediment Mixing and Feeding Equipment of Rice Wine
CN111733033A (en) Fermentation equipment for wine making in wine workshop and operation method
KR101167856B1 (en) A Deposit Mixing Device
CN208906035U (en) A kind of medication chemistry apparatus for combining liquids
KR100755781B1 (en) movable supply apparatus of coarse liquor
CN201119803Y (en) Foodstuff mixing container
KR100908488B1 (en) Storage case for coarse liquor and movable supply apparatus of coarse liquor
KR101776198B1 (en) Circulating agitator for Takju cooling device
US20060140050A1 (en) Beverage mixing apparatus
KR101885894B1 (en) Agitation system for Takju cooling device
CN213046553U (en) Milk lid machine
US20070028653A1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1777316B1 (en) The keg for Takju cooling device
CN217708865U (en) A jar material mechanism for cold drink production line
KR200280956Y1 (en) Portable agitating apparatus
US20230008764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l stirrer
CN114947529B (en) Beverage brewing equipment
CN210699720U (en) Can prevent agitator tank that liquid splashes
CN214438759U (en) Compound equipment of germicide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