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061B1 - 전기 침구용 전선 - Google Patents

전기 침구용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061B1
KR100897061B1 KR1020080125408A KR20080125408A KR100897061B1 KR 100897061 B1 KR100897061 B1 KR 100897061B1 KR 1020080125408 A KR1020080125408 A KR 1020080125408A KR 20080125408 A KR20080125408 A KR 20080125408A KR 100897061 B1 KR100897061 B1 KR 10089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heating
bedding
electric 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침구용 전선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될 수 있는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열선; 상기 열선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싸는 열선 피복; 상기 열선 피복의 주변에 배치되는 검지선; 및 상기 열선 피복과 상기 검지선을 감싸는 절연 피복; 으로 이루어진 전기 침구용 전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여 뒤늦게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의 체중이나 압력 변화에도 단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의 내부에 굴곡을 이루어 배치하는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전기 컨트롤러와 같은 부위에 일정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유지하도록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기 침구, 전선, 니켈, 트위스트, 검지선

Description

전기 침구용 전선{CABLE FOR BEDCLOTHES}
본 발명의 전기 침구용 전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침구에 실장되어 발열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에 관한 것이다.
전기 담요, 전기 장판, 전기 카페트와 같은 전기 침구는 내부에 열선이 장착되어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체온을 보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선은 전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컨트롤러에 연결된 가변 저항에 의해 상승되는 온도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조절된다.
이러한 열선은 주로 구리를 이용하며, 구리를 코일 스프링 형태로 꼬아서 사용자의 하중이나 압력등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열선은 사용자의 하중이나 압력등에 의해 단선을 일으켜 단선 부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또는 고열등에 의해 전기 침구이 타버려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열선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사용하여 발열 면적을 최대한 늘려 전기 침구에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열선은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전기 컨트롤러에 설정된 가변 저항치에 대응하는 온도의 상승시간이 늦어지는 문제를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의 불편을 느끼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열선은 온도 상승시간이 늦어지는 문제로 인해, 화재 발생 위함이 있는 온도 부근에서 사용자가 전기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전기 끊음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화상을 일으키거나 화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열선은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의 전체 면적에서 발열이 이루어 지도록 전기 침구 내부에 많은 굴곡을 이루며 배치된다.이 경우, 열선은 유연하여야 배치를 위한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열선은 피복의 일부가 절개되어 전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열선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피복 절개가 쉬어야 정확한 전기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열선의 전기적인 접속 부위가 작게 되면, 접촉 부위가 작은 부근에서 고열을 발생하여 화재를 유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열선은 사용자의 하중이나 압력등에 의해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는 특성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열선은 전기 침구의 내부에 굴곡을 이루어 배치되는 실장성이 용이한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열선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촉 부위가 어느 일정 면적 이상 유지되어야 특정 부위의 이상 발열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될 수 있는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체중이나 압력 변화에도 단선이 일어나지 않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의 내부에 굴곡을 이루어 배치하는 작업성이 용이한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접촉 부위가 일정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유지하도록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침구용 전선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열선; 상기 열선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싸는 열선 피복; 상기 열선 피복의 주변에 배치되는 검지선; 및 상기 열선 피복과 상기 검지선을 감싸는 절연 피복;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전기 침구용 전선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싸는 열선 피복;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서로 간에 꼬아져서 엉키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갯수가 4개 내지 9개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이 합쳐진 최외각 최대 직경은 0.2mm 내지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니켈의 함량은 상기 열선의 전체 함량의 2% 내지 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 피복은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이 합쳐진 외주부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선 피복은 나일론을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열선 피복의 최외각 직경은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의 최외각 직경의 120% 내지 25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선은 상기 열선 피복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피복은 염화 비닐(PVC)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여 뒤늦게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이나 압력 변화에도 단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의 내부에 굴곡을 이루어 배치하는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컨트롤러와 같은 부위에 일정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유지하도록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하지 않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I-I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열선의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과 도 1c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의 피로 시험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1e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과 도 1c에 도시된 전 기 침구용 전선의 온도 대비 온도 상승 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열선(10) 및, 열선 피복(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검지선(30) 및, 절연 피복(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열선(10)과, 열선 피복(20), 검지선(30) 및, 절연 피복(40) 각각이 돌출되도록 절개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열선(10)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열선(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열선(11), 제 2 열선(12), 제 3 열선(13), 제 4 열선(14), 제 5 열선(15) 및, 제 6 열선(16)으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각각의 열선들(11, 12, 13, 14, 15, 16)은 대략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열선(10)은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열선(11)의 외주면의 일부는 제 2 열선(12)과 제 6 열선(16)의 외주면의 일부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3 열선(13)의 외주면의 일부는 제 2 열선(12)과 제 4 열선(14)의 외주면의 일부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5 열선(15)의 외주면의 일부는 제 4 열선(14)과 제 6 열선(16)의 외주면의 일부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 열선(10)이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열선(10)은 인입단과 출력단이 외부의 전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120Ω 정도의 저항을 형성하고, 저항을 형상한 열선(10)은 전기 컨트롤러에서는 흘리는 전류에 의해 발열된다. 즉, 열선(10)은 전기 담요, 전기 장판 및, 전기 카페트등과 같은 전기 침구의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열선(10)은 상기 전기 침구를 이용하는 사용 자가 전기 컨트롤러에 부착된 온도 조절기를 조작하여 전기 침구의 온도를 10도 내지 70도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기 침구의 내부에서 발열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열선(10)은 사용자의 전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전기 침구의 내측에서 10도 내지 100도까지 발열되어 전기 침구의 온도를 10도 내지 80도로 사이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열선(10)은 서로 간에 꼬아져서 엉키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형의 통형으로 형성되는 제 1 열선(11), 제 2 열선(12), 제 3 열선(13), 제 4 열선(14), 제 5 열선(15) 및, 제 6 열선(16)은 각각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외주면이 순차적으로 맞닿아 각각의 열선(11, 12, 13, 14, 15, 16)의 중심축을 연결한 모양이 육각형을 형성하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열선(10)은 서로 간에 맞닿은 상태에서 중심축을 연결한 육각형 모양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복수 개의 열선(10)이 꼬아진 상태인 트위스트(twist)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열선(10)은 서로 간에 맞닿는 면적이 많아 지게 되어 서로 간의 전도성이 향상되며, 꼬아져 형성되므로 단위 길이당 표면 면적이 넓어져 발열 면적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열선(10)은 서로 간에 꼬아져 형성되므로, 구부림과 펴짐등에 의한 소성 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즉, 복수 개의 열선(10)은 피로 시험을 하면, 하나로 형성되는 비교예의 전기 침구용 전선(200)에 비해 동일한 휫수로 구부림과 펴짐 시험의 반복 할 경우, 휠씬 더 많은 횟수에서 피로가 일어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비교예에 따른 도 1c의 전기 침구용 전선(200)과 본 발명의 열선 의 구부림과 펴짐의 피로 시험의 횟수를 비교한 도 1d를 보면, 하나의 열선(10a)으로 구성된 전기침구용 전선(200)과 복수 개의 열선(10)을 비교한 실험 데이타에서는 하나의 전기침구용 전선(200)을 이용한 비교예인 전기 침구용 전선(200)이 구부러짐과 펴짐의 반복횟수가 12000번 정도의 근처에서 피로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선은 23000번 정도에서 피로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간에 꼬아진 복수 개의 열선(10)은 전기 담요와 같이 사람들이 발로 밝거나 눕는 경우에 인가되는 반복적인 무게의 변화에도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가 비교예보다 현저히 줄어들어 전기 담요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c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200)은 코일 스프링 형태의 열선(10a)과, 코일 스프링 형태의 열선을 감싸는 외부 피복(20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열선(10)은 6개의 가닥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복수 개의 열선(10)은 꼬아지는 열선(10)의 갯수가 4개 내지 9개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열선(10)은 갯수가 4개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구부러짐과 펴짐의 반복을 통한 피로의 정도가 높아져 열선(10)의 안전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열선(10)은 갯수가 9개를 넘는 경우, 열선(10)간의 접촉 면적이 너무 넓어져 접촉된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변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고열로 인해 상기 접촉된 부위 부근만이 녹게 되는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선(10)은 부분 단선이 되어 입입단에서 출력단까지의 전체 저항이 변화되므로,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 조절 범위를 벗어나 버리는 문제를 유발하여 전기 담요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화상을 입히거나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선(10)이 합쳐진 복수 개의 열선(10)의 최외각 최대 직경은 0.2mm 내지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외각 최대 직경은 0.2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구부러짐과 퍼짐의 반복에 의한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일찍 올 수 있어 안전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외각 최대 직경은 0.7mm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발열성은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열선(10)은 전기 담요 내부에 굴곡을 형성하는 전기 배선 작업을 하는 경우, 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 배선 작업이 쉽지 않다. 참고로, 현재 시중에서 보편화 되어 있는 사이즈의 전기 담요에는 대략 34m의 열선이 굴곡을 이루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선(10)은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열선(10)은 구리로 형성되는 열선(미도시)과 동일한 저항값을 형성한 상태의 단위시간당 발열성능이 구리로 형성되는 열선보다 뛰어나다. 따라서, 니켈의 성분이 들어간 열선(10)은 구리로 형성되는 열선 보다 더욱 빠른 시간안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발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10)은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니켈의 함량은 열선(10)의 전체 함량의 2% 내지 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켈의 함량이 2% 미만인 경우, 구리만으로 형성되는 열선(미도시)의 발열 성능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열선의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상기 니켈의 함량이 24%를 넘는 경우, 열선의 제조 단가가 증가되어 이를 이용하는 제조자나 사용 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
상기 열선 피복(20)은 열선(10)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싼다. 이러한 열선 피복(20)은 열선(10)들의 외주면을 감싸 열선(10)을 다른 전도체와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열선 피복(20)은 상기 외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선 피복(20)은 코팅에 의해 열선(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열선(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열선(10)과 열선 피복(2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팅 공정 이후에 검지선(30)이나 절연 피복(40)을 덧 씌우기 위한 작업이 간편해져 작업의 편의성이 증가하고, 전기 컨트롤러와 같은 전기 부속에 접촉되는 면적이 일정 면적 이상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면적이 작아지는 부근에서 고온의 발열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 줄어들어 화재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열선 피복(20)은 나일론을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은 녹는점이 178도 내지 190도의 범위를 가지는 수지로서, 열선(10)의 순간 온도가 상기 나일론의 온도 범위를 넘게 되는 경우, 녹아 내리게 된다. 이 경우, 열선(10)은 검지선(30)과 전기적으로 통전되고, 전기 컨트롤러는 열선(10)과 검지선(30)의 쇼트를 감지하여 열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나일론의 녹는점보다 낮은 녹는점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열선 피복(20)은 쇼트 현상이 빨리 일어나 온도 조절 범위가 작아지게 되므로, 온도 가변의 폭의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나일론의 녹는점보다 큰 녹는점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열선 피복(20)은 열 선(10)과 검지선(30)의 쇼트가 어려워지므로, 화재의 가능성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나일론의 재질로 형성되는 열선 피복(20)의 최외각 직경(20d)은 복수 개의 열선(10)의 최외각 직경(10d)의 120% 내지 2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일론의 재질로 형성되는 열선 피복(20)의 최외각 직경(20d)은 열선(10)의 최외각 직경(10d)의 12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열선 피복(20)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므로, 나일론의 녹는점을 열선(10)의 발열 온도가 넘을시에 열선(10)과 검지선(30)이 너무 빨리 쑈트되어 전기 컨트롤러의 온도 조절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온도 가변의 폭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유발 된다. 또한, 나일론의 재질로 형성되는 열선 피복(20)의 최외각 직경(20d)은 열선(10)의 최외각 직경(10d) 250%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열선 피복(2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므로, 열선(10)과 검지선(30)의 쇼트가 어려워져 화재의 가능성이 증가된다.
상기 검지선(30)은 열선 피복(20)의 주변에 배치된다. 이러한 검지선(30)은 열선(10)의 고온 발열로 인해 열선 피복(20)이 녹아 내리는 경우, 열선(10)과 쇼트를 유발하여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춘다.
이 경우, 상기 검지선(30)은 열선(10) 피복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온 발열로 인해 열선 피복(20)이 녹아 내리는 경우, 검지선(30)은 열선 피복(20)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형성되므로, 열선(10)과 닿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마련되어 열선과 검지선(30)의 접촉 범위를 넓히게 된다. 따라서, 열선(10)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검지선(30)을 이용한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상기 절연 피복(40)은 열선 피복(20)과 검지선(30)을 감싼다. 이 경우, 절연 피복(40)은 연선 피복과 검지선(30)의 외주부를 두르며 코팅된다. 절연 피복(40)은 열선 피복(20)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검지선(30)을 절연하여 쇼트를 감지하기 위한 검지선(30)의 전기적인 동작이 이상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절연 피복(40)은 염화 비닐(PVC)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염화 비닐로 형성되는 절연 피복(40)은 열선 피복(20)과 검지선(30)의 외주부에 코팅되어 감싸지게 되는 경우, 검지선(30)에 잘 들러 붙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염화비닐 재질의 절연 피복(40)이 감싸진 전기 침구용 전선을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에 배선시에, 니퍼나 피복 컷터로 절연 피복(40)의 외측에 칼집을 낸 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 배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1e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과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을 비교한 시간 대비 온도 상승시간이 도시 되어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30도 까지 상승되는 시간이 5분 걸렸다. 이에 반해,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200)은 30도까지 상승되는 시간이 28분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전기 컨트롤러에 설치된 각각의 가변 저항을 변화시켰을 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200)보다 적정온도까지 상승되는 시간이 적게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열선(10)이 비교예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200)에 비해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체감하는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체감 온도를 빠르게 느낄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전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하여 뒤늦게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을 이용하는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는 뒤늦게 온도가 상승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거나 전기 침구을 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은 사용자의 체중이나 압력 변화에도 단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비교예에 따른 전선보다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므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전기 담요와 같은 전기 침구의 내부에 굴곡을 이루어 배치하는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전기 침구용 전선(100)을 배치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100)은 전기 컨트롤러와 같은 부위에 일정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유지하도록 피복 절개가 용이하므로, 접촉 부위가 적어 고온이 발생하는 현상이 줄어들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의 부분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I-I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열선의 비교예에 따른 전기 침구용 전선의 사시도.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과 도 1c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의 피로 시험결과를 도시한 표.
도 1e는 도 1a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과 도 1c에 도시된 전기 침구용 전선의 온도 대비 온도 상승 시간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 침구용 전선
10 ; 열선 20 ; 열선 피복
30 ; 검지선 40 ; 절연 피복

Claims (17)

  1. 복수 개가 서로 간에 꼬아져서 엉키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열선;
    상기 열선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싸는 열선 피복;
    상기 열선 피복의 주변에 배치되는 검지선; 및
    상기 열선 피복과 상기 검지선을 감싸는 절연 피복;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갯수가 4개 내지 9개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이 합쳐진 최외각 최대 직경은
    0.2mm 내지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니켈의 함량은 상기 열선의 전체 함량의 2% 내지 2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피복은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이 합쳐진 외주부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피복은 나일론을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피복의 최외각 직경은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의 최외각 직경의 120% 내지 2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선은 상기 열선 피복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은 염화 비닐(PVC)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2. 복수 개가 서로 간에 꼬아져서 엉키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들이 합쳐진 외주면을 감싸는 열선 피복;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갯수가 4개 내지 9개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이 합쳐진 최외각 최대 직경은
    0.2mm 내지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선은
    니켈과 동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니켈의 함량은 상기 열선의 전체 함량의 2% 내지 2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구용 전선.
KR1020080125408A 2008-06-11 2008-12-10 전기 침구용 전선 KR100897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89 2008-06-11
KR20080054589 2008-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061B1 true KR100897061B1 (ko) 2009-05-14

Family

ID=4086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408A KR100897061B1 (ko) 2008-06-11 2008-12-10 전기 침구용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15B1 (ko) * 2012-08-07 2014-05-14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내굴곡성이 우수한 열선 케이블
KR20220166999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아이에스전자 전기침구용 케이블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12B1 (ko) * 2000-03-24 2002-04-03 유한성 전열침구용 발열선
KR20050022247A (ko) * 2004-03-09 2005-03-07 길종진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12B1 (ko) * 2000-03-24 2002-04-03 유한성 전열침구용 발열선
KR20050022247A (ko) * 2004-03-09 2005-03-07 길종진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15B1 (ko) * 2012-08-07 2014-05-14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내굴곡성이 우수한 열선 케이블
KR20220166999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아이에스전자 전기침구용 케이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4460B2 (ja) 平形加熱要素
US6403935B2 (en) Soft heating element and method of its electrical termination
JP4669779B2 (ja) 電気毛布/パッド
JP2001525104A (ja) 発熱体とその製造方法
US6737610B1 (en) Stranded heater wire with sensor
JP2008311111A (ja) コード状ヒータ
KR100897061B1 (ko) 전기 침구용 전선
US4910391A (en) Electrical heating element for use in a personal comfort device
US8698045B2 (en) Heating blanket
JP2010015691A (ja) コード状ヒータ
EP0160100B1 (en) Ptc heating wire
JP5054438B2 (ja) コード状ヒータ
JP4898504B2 (ja) 発熱コード
KR102567542B1 (ko) 전기침구용 케이블 구조
JP5562677B2 (ja) 温度検知機能付きコード状ヒータ及び面状ヒータ
KR101545699B1 (ko) 발열사를 이용한 방한용 패드
JP2013020951A (ja) コード状ヒータと面状ヒータ
KR200186614Y1 (ko) 보온 전기요의 전자파 제거장치
KR100964134B1 (ko) 전열매트
CN213280134U (zh) 一种ptc加热线
JP2010267624A (ja) 糸状カーボン発熱体及びこれを配設した面状発熱体
KR101070985B1 (ko) 구겨짐 피로가 적은 전기 히터
JP3142908U (ja) 糸状カーボン発熱体及びこれを配設した面状発熱体
KR101377396B1 (ko) 전자파 차단 ptc 발열체선
JP2009162454A (ja) 電気採暖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