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056B1 -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 Google Patents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56B1
KR100896056B1 KR1020080098283A KR20080098283A KR100896056B1 KR 100896056 B1 KR100896056 B1 KR 100896056B1 KR 1020080098283 A KR1020080098283 A KR 1020080098283A KR 20080098283 A KR20080098283 A KR 20080098283A KR 100896056 B1 KR100896056 B1 KR 10089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unit
screen
tank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호
정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08009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0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내의 비점오염원 오염물을 처리하는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며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우수가 선회 유동하며 1차 여과되는 제1여과부와; 상기 1차 여과된 우수를 선회 유동시켜, 상기 1차 여과된 우수 내의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회전침전부와; 상기 우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공극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침전부를 거친 우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우천시 발생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방류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9828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contaminants in rain water, comprising an inlet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asses and is filtered, A first filtration unit to be primarily filtered; A spinning up pre-swirling section for swirling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to settle the contaminants in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for forming a plurality of void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passes and secondly filtering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otation settling unit. Thus, the pollutants of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cluded in the initial rainfall occurring during rainfall are remov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water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an be easily maintained.

Figure R1020080098283

Description

우수 처리장치{RAINWATER TREATMENT EQUIPMENT}[0001]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수질오염 방지기술인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발생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s a water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ducing a non-point source included in an initial waterfall occurring during rain.

근래, 효율적인 공공수역의 환경보전을 위해서는 점오염원의 관리와 함께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that the management of point pollution sources and th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indispensable for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of efficient public waters.

점오염원은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의 오염원을 말하며, 비점오염원이란 산림, 초지, 건설지, 농경지, 하상 퇴적물, 도로 및 산업현장 등에 침적된 오염물이 빗물과 함께 수계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말한다.Point pollution sources are pollution sources such as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which have clear discharge point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pollution sources such as forests, grasslands, construction sites, agricultural lands, river sediments, roads and industrial sites, The source of pollutants.

비점오염원은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 강우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간 배출량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 지질,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Since non-point pollutants are not only widely discharged, but also run out along with rainfall runoffs in rainfall, daily and inter-seasonal emissions vary widely, are difficult to predict and quantify, and are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geology and topography.

특히, 지표면에 잔존해 있던 비점오염원이 우천시 빗물에 쓸려 하천, 강, 내만, 호수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며,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Especially,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at have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re washed away by rainwater in a rainy season, which flows into public water bodies such as rivers, rivers, inner lakes, and lakes and pollutes the water quality and acts as a main factor for destroying the ecosystem.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수계 전체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고 있는 오염부하가 22∼37%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총 배출부하량 중 비점오염원이 44.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measures for water management in the Four Rivers, it is estimated that the pollution load occupied by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total water pollution source reaches 22 ~ 37%, and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accounts for 44.5% of the total discharge load. Which is a significant influence.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서는 식생정화수로, 식생여과대, 인공습지, 장치형 시설, 저류지, 장치형 + 저류지, 침투 도랑, 침투형 저류지 등이 있다. 그러나, 설치 부지에 제한을 많이 받는 도시지역의 경우 장치형 시설이외의 비점오염원 제거 시설은 현실적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장치형 시설 중에서도 고효율 처리가 가능하며 소요부지가 작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시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facilities for removing these non-point sources, there are vegetation purification waters, vegetation filtration basins, artificial wetlands, device-type facilities, reservoirs, apparatus type + reservoirs, infiltration ditches, and infiltration reservoi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stall non-point pollution source removal facilities other than the device-type facilities in a city area where the installation site is limited. Also, among the apparatus-type facilities, there is a demand for a facility capable of high-efficiency processing, requiring a small area and easy maintenance.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우천시 발생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방류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pollution by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cluded in an initial rainfall occurring in a rainfall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water, And to provide an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우수 내의 비점오염원 오염물을 처리하는 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 된 우수가 통과하며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우수가 선회 유동하며 1차 여과되는 제1여과부와; 상기 1차 여과된 우수를 선회 유동시켜, 상기 1차 여과된 우수 내의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회전침전부와; 상기 우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공극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침전부를 거친 우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contaminants in stormwater, comprising: an inlet through which stormwater is introduced;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asses and is filtered A first filtration part in which the storm surge flows and is primarily filtered; A spinning up pre-swirling section for swirling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to settle the contaminants in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for forming a plurality of void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passes and secondly filtering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otation settl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여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여과부에 의해 여과된 오염물을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조와; 상기 제1여과부와 상기 회전침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여과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체류하는 체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taminant storage tank provid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storing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a retention tank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for retaining the primary filtered out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ration unit.

상기 체류조는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상기 체류조로 유입되는 체류조 유입구와, 상기 체류조 내의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상기 회전침전부로 배출되는 체류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류조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체류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체류조 배출구를 통과하는 1차 여과된 우수의 통과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회전침전부에서 1차 여과된 우수의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고 침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rein the retention tank is formed with a retention tank inlet through which the primary filtrated stormwater flows into the retention tank and a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imary filtered stormwater in the retention tank is discharged to the rotary sedimentation sec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tention tank inlet, the passing speed of the primary filtrate through the retention tank outlet is increased, and the swirling flow of the primary filtrate, which is firstly filtered at the rotating needle, .

상기 체류조 유입구는 상기 체류조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수두의 차이를 이용하여 우수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 retention tank inflow por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so that the flow of stormwater can be induced using the difference of the head.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며 상기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이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우수가 선회 유동하는 스크린과; 상기 여과공을 통과하는 우수 를 상기 스크린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ltr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stormwater flows,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storm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asses, and contamin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stormwater are formed, ; And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discharge of the storm that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여기서,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스크린의 내주면에 상기 우수의 선회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스크린의 외주면에 상기 우수의 선회 유동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각 여과공을 통과한 우수는 배출 가이드로 인해 우수의 선회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출되어, 유입된 우수 내의 오염물이 유속이 빠른 스크린 내부의 선회 유동에 휘말려 스크린의 내주면에 달라붙지 않아 여과공이 막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린을 별도로 청소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The discharge guide protrudes obliquely in the direction of the swirling flo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and protrudes oblique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wirling flow of the screen, So that contaminants in the inflowing storm are not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due to the swirling flow inside the screen with a high flow velocity, so that the filtration func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clogging the filtration ball, Maintenance is also very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lean the screen separately.

상기 유입구는 상기 우수가 상기 스크린의 내주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스크린의 중심에 대해 편향 배치됨으로써, 스크린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우수 내의 오염물의 침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inlet is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creen so that the rain flows in the tangent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creen so that the swirling flow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smoothly improves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외부의 우수를 상기 제1여과부로 안내하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속도를 증가시켜, 제1여과부에서 우수의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침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rein the inflow pipe has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ort so that the inflow rate of the inflow into the first filtration unit So that the swirling flow of the swirling flow is smooth in the first filtration part, and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회전침전부는, 사각단면형상의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는 우수를 선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settling unit includes a settling tank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rotation induction unit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guiding the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o swirl.

여기서, 상기 체류조 배출구는 상기 침전조의 일측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 됨으로써, 침전조로 유입되는 우수는 침전조의 내벽면을 따라 원활하게 선회 유동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n one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whereby the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can smoothly circulat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dimentation tank.

상기 제2여과부는 쇄석 100중량부에 대해 시멘트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질의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ltration part is preferably a porous plate composed of 10 to 20 parts by weight of cem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rushed stones and having a plurality of voids formed therein.

상기 제2여과부는 산화제2철, 수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팽창점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함으로써, 우수 내의 용존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filtration part contains at least one of ferric oxide, hydroxide, zeolite, limestone, and expanded clay, so that dissolved contaminants in the storm can be adsorbed.

상기 제2여과부의 공극율은 평균 25%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osity of the second filtration part is preferably 25% on average.

상기 제2여과부는 상기 회전침전부를 향할수록 공극이 증가함으로써, 오염물이 제2여과부의 표면에서만 흡착 및 여과되지 않고, 제2여과부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흡착 및 여과되므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filtration part increases the porosity toward the rotation settling part so that the contaminant is not adsorbed and filter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tration part but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part and is adsorbed and filtered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

상기 오염물 저장조와 상기 체류조와 상기 회전침전부는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염물 저장조와 상기 체류조와 상기 회전침전부는 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오염물 저장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여과부는 상기 회전침전부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설치공간의 제한을 줄일 수 있게 된다.Wherein the pollut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are formed of one block, the pollut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the first filtration unit is disposed on the contaminant storage tank, By arranging the second filtration part above the spin settlement part, the size of the device can be minimized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상기 회전침전부의 우수를 상기 제2여과부의 외측으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함으로써, 유입유량이 증가하거나 제2여과부가 막혔을 경우 회전침전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And the bypass pipe for bypassing the rainwater of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Thus, when the inflow flow rate is increased or the second filtration unit is clogged, the load of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can be reduced.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우천시 발생하는 초기 우수에 포 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방류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ollutants of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contained in the initial pollution occurring in rainy weather are remov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water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an be easily manag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to 6 show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는 우수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부(11)와, 1차 여과된 우수 내의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회전침전부(41)와, 회전침전부(41)를 거친 우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51)와, 제1여과부(11)에 의해 여과된 오염물을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조(31)와, 제1여과부(11)와 회전침전부(41) 사이에 마련되는 체류조(35)를 가진다.The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iltration section 11 for firstly filtering rainwater, a spinning-up and sinking section 41 for sinking the contaminants in the firstly filtered rainwater, A contaminant storage tank 31 for storing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11, a first filtration unit 11 and a rotation settling unit 41, And a retention tank 35 provided between them.

제1여과부(11)는 우수가 선회 유동함과 동시에 우수를 여과하는 스크린(13)과, 스크린(13)에 의해 여과된 우수를 스크린(13)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복수의 배출 가이드(23)를 가진다.The first filtration section 11 is provided with a screen 13 for swirling the rain and filtering the rainwate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guides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creen 13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13 23).

스크린(1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오염물 저장조(31)의 상부에 기립 배치되어 있다. 스크린(13)은 스크린(13)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선회 유동 및 통과시켜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 즉 부유물 및 협잡물을 1차 여과하여 스크린(13)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린 본체(15)와, 스크린 본체(15)의 상부에 마련되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와 1차 여과된 우수를 분리하는 분리부(19)를 가진다.The screen 13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both open sides as shown in Fig. 4A, and is dispos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top of the pollutant storage tank 31. As shown in Fig. The screen 13 includes a screen main body 15 which swirls and flows through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creen 13 to primarily filter the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stormwater, that is, floating matters and contaminants,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13 And a separating portion 19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main body 15 for separating the outflow from the inflow opening and the first filtered out storm.

스크린 본체(15)에는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며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 오염물이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크린 본체(15)로 유입된 우수는 스크린 본체(15)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 유동한다. 이에, 스크린 본체(15)로 유입된 우수는 선회 유동에 의해 비중이 큰 오염물은 스크린 본체(15)의 하방으로 침강하게 되고, 동시에 비중이 작고 미세한 오염물은 우수와 함께 각 여과공(17)을 통과하여 스크린 본체(15)의 외측으로 배출, 즉 1차 여과된다.The screen main body 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7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1 passes and a solid contaminan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filtered. On the other hand, the rain that has flowed into the screen main body 15 swirls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en main body 15. The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screen main body 15 are swirled by the swirling flow so that the contaminant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are settled downwardly of the screen main body 15 and at the same time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 and the fine contaminants are supplied to the respective filtration holes 17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body 15, i.e., primary filtered.

분리부(19)에는 외부의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21)는 우수가 스크린(13)의 내주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스크린(13)의 중심에 대해 편향 배치되어 있다. 이에, 스크린(13)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우수 내의 오염물의 침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parating portion 19 is formed with an inlet 21 through which external rainwater flows. The inlet 21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creen 13 so that the bleed flows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creen 13. Thus, the swirling flow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13 is smooth, and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can be improved.

또한, 유입구(21)는 외부의 우수를 제1여과부(11)의 스크린(13)으로 안내하는 유입관(25)과 연결되어 있다. 유입관(25)의 단면적은 유입구(2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스크린(13)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속도를 증가시켜, 스크린(13)에서의 우수의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침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inlet 21 is connected to an inlet pipe 25 for guiding the external storm to the screen 13 of the first filtration part 11.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ipe 25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ort 21, thereby increasing the inflow speed of the inflow into the screen 13,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배출 가이드(23)는 각 여과공(17)의 둘레에 마련되어, 여과공(17)을 통과하는 우수를 스크린(13)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한다. 배출 가이드(2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3)의 내주면에 우수의 선회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스크린(13)의 외주면에 우수의 선회 유동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크린(13)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존재하는 오염 물은 스크린 본체(15)의 여과공(17)과 직접 마주치지 않으며, 스크린(13)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 유동하면서 스크린(13)의 하부로 침강하고, 각 여과공(17)을 통과한 우수는 배출 가이드(23)로 인해 우수의 선회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스크린(13)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스크린(13)의 여과공(17)을 통과하면서 그 유동방향이 반대로 되어, 스크린(13) 외부의 유속이 스크린(13) 내부의 유속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유입되는 우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은 유속이 빠른 스크린(13) 내부의 선회 유동에 휘말려 스크린(13) 내주면에 달라붙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스크린(13)의 여과공(17)이 막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스크린(13)을 별도로 청소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The discharge guide 23 is provided around each of the filtration holes 17 and guides the discharge through the filtration holes 17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13. 4B, the discharge guide 2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13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direction of the swirling flow,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13 so as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wirling flow have. Th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13 do not directly contact with the filtration holes 17 of the screen body 15 and are collected by the screen 13 while swir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13, And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each of the filtration holes 17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wirling flow direction due to the discharge guide 23. As a result,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13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17 of the screen 13, and the flow direction thereof is reversed, so that the flow velocity outside the screen 13 becomes smaller than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screen 13 . Accordingly, contaminants present in the incoming storm are trapped in the swirling flow inside the screen 13 with a high flow velocity, and do not stick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13. This operation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the filtering function continuously without clogging the filtration holes 17 of the screen 13,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lean the screen 13, which makes maintenance very convenient.

한편, 스크린(13)에 의해 침강 및 여과된 오염물은 스크린(13)의 하부에 위치한 오염물 저장조(31)에 수집되고, 스크린(13)에 의해 1차 여과된 우수는 스크린(13)의 외측 상단에 위치한 체류조 유입구(37)를 통해 체류조(35)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nts settled and filtered by the screen 13 are collected in the contaminant storage tank 3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13, and the rainwater primarily filtered by the screen 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upper end And is introduced into the retention tank 35 through the retention tank inlet 37 located in the retention tank 35.

체류조(35)로 유입된 1차 여과된 우수는 체류조 배출구(39)를 통해 회전침전부(41)로 유입된다. 체류조 배출구(39)는 체류조 유입구(37)와 높이차를 갖도록 체류조 유입구(37)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이는 수두의 차이를 이용하여 우수의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체류조 배출구(39)는 체류조(35)의 바닥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mary filtered outflow that has flowed into the retention tank 35 flows into the rotation settling portion 41 through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tention tank inflow port 37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retention tank inflow port 37. This is to induce the flow of stormwater using the difference of the hea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tention tank 35.

또한, 체류조 배출구(39)의 단면적은 체류조 유입구(37)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체류조 배출구(39)를 통과하는 1차 여과된 우수의 통과속도 가 빨라지게 되어, 1차 여과된 우수는 회전침전부(41)에서 선회 유동이 원활하게 되고 침강효율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tention tank inflow port 37, so that the passing speed of the primaryly filtered storm passing through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increased, The filtration storm smoothes the swirling flow in the rotation settling portion (41) and improves sedimentation efficiency.

회전침전부(41)는 1차 여과된 우수를 선회 유동시켜, 1차 여과된 우수에 존재하는 비중이 큰 오염물, 일 예로서 비중 2.6이상의 부유물 및 협잡물을 침강시킨다. The rotary settling portion 41 swirls the primary filtrated stormwater to sediment the contaminant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present in the primary filtered storm, for example, suspended impurities and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2.6 or more.

회전침전부(41)는 사각단면형상의 침전조(43)와, 침전조(43)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침전조(43)로 유입되는 우수를 선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회전 유도부(45)를 가진다.The rotary settling portion 41 has a rectangular settling tank 43 and a rotation inducing portion 45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settling tank 43 to guide swirls flowing into the settling tank 43 to swirl.

본 실시예에서의 침전조(43)는 사각단면형상을 갖지만, 침전조(43)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settling tank 43 in this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settling tank 43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한편, 체류조 배출구(39)는, 침전조(43)로 유입되는 우수가 침전조(43)의 내벽면을 따라 원활하게 선회 유동하도록, 침전조(43)의 일측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n one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43 so that the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43 flows smoothly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dimentation tank 43.

이로써, 체류조 배출구(39)를 통해 침전조(43)로 유입된 1차 여과된 우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43)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선회 유동하게 되고, 이에 1차 여과된 우수 내의 비중이 큰 오염물은 선회 유동에 의해 침전조(43)의 하부로 침강하고, 침강되지 않은 비중이 작은 오염물은 우수와 함께 침전조(43)의 상부에 위치한 제2여과부(51)를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rimary filtered outflow that has flowed into the settling tank 43 through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is swirl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ttling tank 43, as shown in FIG. 5, The contaminant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in the storm are sett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ttling tank 43 by the swirling flow and the contaminants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not settled are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section 51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ttling tank 43 together with the storm do.

제2여과부(51)는 회전침전부(41)를 거친 우수 내의 오염물, 즉 제1여과부(11)를 통과한 미세 오염물을 2차 여과한다. 제2여과부(51)는 쇄석 100중량부에 대해 시멘트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공극(C)이 형성된 다공질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2여과부(51)는 침전조(43)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침전조(43)의 바닥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복수의 서포트(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2여과부(51)의 평균 공극율은 25%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쇄석의 크기는 0.25∼0.4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여과부(51)는 우수 내의 용존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산화제2철, 수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팽창점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ltration unit 51 secondly filters contaminants in the stormwater through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41, that is, fine contamin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unit 11. The second filtration part 51 is made of 10 to 20 parts by weight of cem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rushed stone, and has a porous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C are formed. The second filtration part 5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43 and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s 53 standing up from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43. Here,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average porosity of the second filter portion 51 is 25%. The size of the crushed stone is preferably 0.25 to 0.4 mm. The second filtration unit 51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of ferric oxide, hydroxide, zeolite, limestone, and expanded clay so as to adsorb dissolved pollutants in the storm.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여과부(51)는 회전침전부(41)를 향할수록 공극(C)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제2여과부(51)를 통과하는 우수 내의 오염물이 제2여과부(51)의 표면에서만 흡착 및 여과되지 않고, 제2여과부(51)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흡착 및 여과되므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6, the second filtration portion 51 has a shape in which the gap C increases toward the rotation settling portion 41. In this case, Therefore, the contaminants in the storm tha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are not adsorbed and filter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but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and are adsorbed and filtered. Can be improved.

제2여과부(51)의 상부에는 2차 여과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조(55)가 배치되어 있으며, 방류조(55)에는 2차 여과된 우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방류관(57)이 연결되어 있다.An outlet tank 55 for discharging the secondarily filtered storm to the outsid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51. A discharge pipe 55 for guiding the stormwater, 57) are connec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제2여과부(51)에는 회전침전부(41)의 우수를 제2여과부(51)의 외측, 즉 방류조(55)로 바이패스하는 복수의 바이패스관(61)이 관통 결합되어 있다. 바이패스관(61)은 침전조(43)와 방류조(55)를 연통하며, 이에 바이패스관(61)은 유입 유량이 증가하거나 제2여과부(51)가 막혔을 경우 회전침전부(41)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이패스관(61)은 방류관(57)에 연결되어, 회전침전부(41)의 우수를 방류관(57)으로 바이패스시킬 수도 있다.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ins for bypassing the rainwater of the rotary sedimentation section 41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And the pass pipe 61 is coupled through. The bypass pipe 61 communicates the settling tank 43 and the outlet tank 55 so that the bypass pipe 6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ettling unit 41 when the inflow flow rate is increased or when the second filter unit 51 is clogged. Of the load. Here, the bypass pipe (6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57)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 port (41) can be bypassed to the discharge pipe (57).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물 저장조(31)와 체류조(35)와 회전침전부(41)가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염물 저장조(31)와 체류조(35)와 회전침전부(41)는 격벽(65)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다. 제1여과부(11)는 오염물 저장조(3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여과부(51)는 회전침전부(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우수 처리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소요 부지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부지가 적은 도심지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pollutant storage tank 31, the retention tank 35, and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41 are formed as one block. The contaminant storage tank 31, the retention tank 35, and the rotary settling portion 41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65, respectively. The first filtration part 11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llutant storage tank 31 and the second filtration part 51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on settling part 4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to minimize the required site,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also enabling installation in a downtown area having few available sites.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71a,71b는 제1여과부(11) 및 제2여과부(51)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유지 관리공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오염물 저장조(31)와 침전조(43)에는 각각 오염물 저장조(31)와 침전조(43)로 침강된 오염물을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맨홀이 마련될 수 있다.Here, reference numerals 71a and 71b, which are not illustrated, are maintenance bores for maintaining the first filter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filtering portion 5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ollutant storage tank 31 and the settling tank 43 may be provided with manholes for removing pollutants settled in the pollutant storage tank 31 and the settling tank 43, respectively,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우수 처리장치에서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이 혼합된 우수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of processing the storm mixed with contaminants of a non-point source in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이 혼합된 우수가 유입관(25)으로부터 스크린(13)의 유입구(21)를 통해 스크린(13) 내부로 유입되면, 유입구(21)로 유입된 우수는 스크린(13)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유동하며,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은 스크린(13)의 하방으로 침강하고, 스크린(13)의 하방으로 침강하지 않은 미세 오염물은 우수와 함께 각 여과공(17)을 거쳐 스크린(13)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체류조 유입구(37)를 통해 체류조(35)로 유입된다.When the rainwater mixed with pollutants of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flows into the screen 13 through the inlet 21 of the screen 13 from the inlet pipe 25,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21 flows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13 And the fine contaminants that have not settled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13 are passed through the respective filtration holes 17 through the screen 13 And is introduced into the retention tank 35 through the retention tank inlet 37. [

체류조(35)로 유입된 1차 여과된 우수는 체류조 배출구(39)를 통해 회전침전부(41)의 침전조(43)로 유입된다.The primary filtered outflow that has flowed into the retention tank 35 flows into the settling tank 43 of the rotary settling portion 41 through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39.

침전조(43)로 유입되는 1차 여과된 우수는 침전조(43)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 유동하며, 우수 내의 미세한 오염물질 중 일부는 침전조(43)의 하부로 침강하고, 침강되지 않은 비중이 작은 오염물은 우수와 함께 상부에 위치한 제2여과부(51)로 유입된다.The primary filtrate that flows into the settling tank 43 flows orbit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ttling tank 43. Some of the fine contaminants in the storm settl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ttling tank 43, The contaminants flow into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located at the top together with the storm.

회전침전부(41)를 거쳐 제2여과부(51)로 유입된 우수는 제2여과부(51)의 각 공극(C)을 통과하며, 우수 내의 미세 오염물이 여과되면서 2차 여과된다.The rainwater which has flowed into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through the rotation settling section 41 passes through the clearances C of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51 and the fine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are filtered to be second filtered.

2차 여과된 우수는 제2여과부(51)의 상부에 위치한 방류조(55)를 거쳐 방류관(57)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The secondary filtered outflow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7 via the discharge tank 55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51.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선회 유동하며 여과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제1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는 선회 유동하지 않고 스크린 본체의 여과공을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utflow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ration unit is circulated and filtered. However, the outflow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ration unit can be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hole of the screen body without swirling.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염물 저장조와 체류조와 회전침전부가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오염물 저장조와 체류조와 회전침전부는 각각 별도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ollut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are described as one block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amin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ry sedimentation unit may each be a separate structur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스크린의 정면도,4A is a front view of a screen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스크린에서의 우수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4B is a view showing the flow state of the storm in the screen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회전침전부에서의 우수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state of storm in the rotatably settling portion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의 제2여과부에서의 우수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ainwater in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of th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 : 제1여과부 13 : 스크린11: first filtering section 13: screen

17 : 여과공 21 : 유입구17: filtration hole 21: inlet

23 : 배출 가이드 25 : 유입관23: exhaust guide 25: inlet pipe

31 : 오염물 저장조 35 : 체류조31: Contaminant storage tank 35:

41 : 회전침전부 43 : 침전조41: spinning sedimentation part 43: sedimentation tank

45 : 회전 유도부 51 : 제2여과부45: rotation induction unit 51: second filtration unit

57 : 방류관 61 : 바이패스관57: discharge pipe 61: bypass pipe

65 : 격벽65: partition wall

Claims (16)

우수 내의 비점오염원 오염물을 처리하는 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An excellent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orms,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며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우수가 선회 유동하며 1차 여과되는 제1여과부와;A first filtration part form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port passes and which is swirled and flowed first; 상기 1차 여과된 우수를 선회 유동시켜, 상기 1차 여과된 우수 내의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회전침전부와;A spinning up pre-swirling section for swirling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to settle the contaminants in the primary filtered out stream; 상기 우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공극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침전부를 거친 우수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와;A second filtration unit forming a plurality of void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passes and secondly filtering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otation settling unit; 상기 회전침전부의 우수를 상기 제2여과부의 외측으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And a bypass pipe for bypassing the rainwater of the spin settlement uni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여과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여과부에 의해 여과된 오염물을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조와;A contaminant reservoi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storing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상기 제1여과부와 상기 회전침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여과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체류하는 체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Further comprising a retention tank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for retaining the primary filtered out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r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류조는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상기 체류조로 유입되는 체류조 유입구와, 상기 체류조 내의 상기 1차 여과된 우수가 상기 회전침전부로 배출되는 체류 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류조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체류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retention tank is formed with a retention tank inlet through which the primary filtrated stormwater flows into the retention tank and a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imary filtered stormwater in the retention tank is discharged to the rotary sedimentation section,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tention tank inle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체류조 유입구는 상기 체류조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retention tank inle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여과부는,Wherein the first filtering unit comprises: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며 상기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염물이 여과되는 복수의 여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우수가 선회 유동하는 스크린과;A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asses,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which contamin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are filtered, the screen having swirling flow; 상기 여과공을 통과하는 우수를 상기 스크린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And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discharge of the storm that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스크린의 내주면에 상기 우수의 선회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스크린의 외주면에 상기 우수의 선회 유동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discharge guide protrudes oblique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in the swirling flow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es oblique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wirling flow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유입구는 상기 우수가 상기 스크린의 내주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스크린의 중심에 대해 편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inlet is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creen so that the storm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외부의 우수를 상기 제1여과부로 안내하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며,And an inflow pipe connected to the inflow port and guiding an outer storm to the first filtration unit,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ip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or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회전침전부는,The rotation settling unit includes: 사각단면형상의 침전조와;A settling tank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침전조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는 우수를 선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And a rotation inducing unit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guiding the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o swirl.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체류조 배출구는 상기 침전조의 일측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retention tank discharge port is disposed adjacent to an inner wall surface on one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여과부는 쇄석 100중량부에 대해 시멘트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질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is a porous plate composed of 10 to 20 parts by weight of cem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rushed stones and having a plurality of voids formed therein.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여과부는 산화제2철, 수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팽창점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contains at least one of ferric oxide, hydroxide, zeolite, limestone, and expanded clay.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여과부의 공극율은 평균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And the porosity of the second filtration portion is 25% on average.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여과부는 상기 회전침전부를 향할수록 공극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increases the gap toward the spin settlement uni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염물 저장조와 상기 체류조와 상기 회전침전부는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염물 저장조와 상기 체류조와 상기 회전침전부는 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오염물 저장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여과부는 상기 회전침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장치.Wherein the pollut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are formed of one block, the pollutant storage tank, the retention tank and the rotation settling unit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the first filtration unit is disposed on the contaminan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is disposed above the spin settlement unit. 삭제delete
KR1020080098283A 2008-10-07 2008-10-07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896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83A KR100896056B1 (en) 2008-10-07 2008-10-07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83A KR100896056B1 (en) 2008-10-07 2008-10-07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056B1 true KR100896056B1 (en) 2009-05-07

Family

ID=4086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83A KR100896056B1 (en) 2008-10-07 2008-10-07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05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14B1 (en) 2009-05-14 2011-06-22 김재영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KR101261597B1 (en) * 2010-12-15 2013-05-06 김남순 Apparatus for pollution abatement in fluid
GB2525257A (en) * 2014-04-17 2015-10-21 Hydro Int Plc Drainage system/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78B1 (en) * 2007-08-30 2008-02-18 신강하이텍(주)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screening and centrifugal force
KR100849017B1 (en) * 2008-05-06 2008-07-30 구석본 Filtering device
KR100862740B1 (en) 2008-06-19 2008-10-1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78B1 (en) * 2007-08-30 2008-02-18 신강하이텍(주)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screening and centrifugal force
KR100849017B1 (en) * 2008-05-06 2008-07-30 구석본 Filtering device
KR100862740B1 (en) 2008-06-19 2008-10-1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14B1 (en) 2009-05-14 2011-06-22 김재영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KR101261597B1 (en) * 2010-12-15 2013-05-06 김남순 Apparatus for pollution abatement in fluid
GB2525257A (en) * 2014-04-17 2015-10-21 Hydro Int Plc Drainage system/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US9739064B2 (en) 2014-04-17 2017-08-22 Hydro International Ltd Drainage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US10227781B2 (en) 2014-04-17 2019-03-12 Hydro International Plc Drainage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GB2525257B (en) * 2014-04-17 2020-06-17 Hydro Int Ltd Drainage system/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GB2580236A (en) * 2014-04-17 2020-07-15 Hydro Int Ltd 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GB2580236B (en) * 2014-04-17 2020-10-28 Hydro Int Ltd 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40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KR100911819B1 (en)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KR100834352B1 (en)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Pipe
KR1009041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KR100605267B1 (en)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KR10174144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KR101020864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apparatus of precipitation induction type for downtown area
KR10113638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rainwater
KR101181863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101736743B1 (en)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KR101746524B1 (en)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KR101334884B1 (en)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0912708B1 (en) Water pollution permeation style purification system
KR100799251B1 (en)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ditch
KR10067353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0807192B1 (en) Vortex type treatment apparatus for early rainwater
KR101453163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early rain contaminant and combined system of sewer cso
KR100896056B1 (en)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1137443B1 (en)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torm sewer
KR101231458B1 (en) Street inlet
KR101143866B1 (en) Nonpoint pollution purify apparatus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101036944B1 (en) 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KR101291606B1 (en) Reducing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of early rainwater on the road containing whirlpool cha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