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49B1 -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 Google Patents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49B1
KR100894949B1 KR1020070104851A KR20070104851A KR100894949B1 KR 100894949 B1 KR100894949 B1 KR 100894949B1 KR 1020070104851 A KR1020070104851 A KR 1020070104851A KR 20070104851 A KR20070104851 A KR 20070104851A KR 100894949 B1 KR100894949 B1 KR 10089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upper cover
button
vehicle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9297A (en
Inventor
김동일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7010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49B1/en
Publication of KR2009003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나 AV 시스템 등에 구비되는 조명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오디오나 AV 시스템의 프론트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커버는 문자인쇄부와 문자인쇄부 일측에 확장부를 형성하고, 베이스플레이트는 상부 일측이 문자인쇄부의 하측면과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커버의 확장부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한 엘이디(LED)의 조명차단이 최소화되게 함으로써, 상부커버의 조명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시인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button provided in a car audio or AV system, etc., comprising a base plate slidably installed on a front panel of a car audio or AV system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he upper cover is formed on an extension portion on one side of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and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the base plate is bent outward so that the upp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upper cover, By minimizing the light blocking of the LED by the LED, the illumination area of the upper cover can be maximized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user, and also the base plate can stably support the upper cover to increase durability. A lighting button of a vehicular AV system.

조명버튼, 엘이디,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커버 Illumination button, LED, base plate, top cover

Description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나 AV 시스템 등에 구비되는 조명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AV 시스템 등의 프론트패널에 설치되는 조명버튼을 상부커버와 프론트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스위치보드에 설치되는 엘이디에 의해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조명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문자 인쇄영역을 크게 확보하여 사용자의 시인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조명버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button provided in a vehicle audio system or an AV system. The lighting button provided on a front panel of a vehicle AV system, etc. comprises a top cover and a base plate slid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By installing the LED to maximize the lighting area formed on the upper cover, to secure a large text printing area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user, and also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ighting button to the lighting button of the vehicle AV system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방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쎈터 페이시아) 상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디오나 AV 시스템 등이 장착될 뿐 아니라,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AV 시스템 관련 정보를 표시해 주는 모니터가 장착되게 된다.In general, an audio system or an AV system is installed on a crash pad installed in front of a vehicle to secure driver's convenience, and the AV system enables the driver to visually easily recognize necessary information. The monitor will display the relevant information.

차량에 장착되는 이러한 모니터는 최근에는 이동 중에도 공중파 또는 위성 등을 통해 TV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현재 증가 추세에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도입으로 지도정보 등 정보제공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사용자의 시인성을 위해 화면 의 크기가 보다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These monitors, which are mounted on vehicles, have recently been used to watch TV broadcasts through airwaves or satellites while on the move, or the size of the screen for the user's visibility as the scope of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map information is expand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aviga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increasing. Is on the rise.

또한 이러한 오디오나 AV 시스템은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버튼 상부에 기능 문자를 인쇄하고 내측에는 엘이디(LED:Light Emitting Diode)를 설치하여 엘이디의 빛에 의한 조명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증대시키고 있다.In addition, such audio or AV system prints a function letter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to facilitate the driver's operation during night driving, and install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on the inside to provide an illumination button by LED light.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작버튼은 모니터의 대형화와 차량 실내의 공간의 제약 등에 의해 그 크기가 제한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문자가 인쇄되는 조명영역 또한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However, the operation buttons as described above are limited in size due to the size of the monitor and the constraints of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and are provid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so that the illumination area for printing the characters is also formed small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user is significantly reduced. .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명버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lighting butt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조명버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ighting button.

도시된 바와 같이, AV 시스템의 모니터(LCD:Liquid Crystal Display)(100)의 일측에는 프론트패널(110)이 구비되어 있고, 프론트패널(110) 내측에는 모니터(1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보드(회로기판)(120)가 구비된다.As shown, a front panel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100 of the AV system, and a switch board (circuit) for operating the monitor 100 inside the front panel 110. Substrate) 120 is provided.

이때 스위치보드(120)에는 조명용 엘이디(LED)(125)와 스위치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 board 120 is equipped with a lighting LED (LED) 125 and a switch terminal (not shown).

조명버튼은 프론트패널(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0)와 베이스플레이트(14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130)로 구성된다.The illumination button is composed of a base plate 140 slid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10 and an upper cover 130 coupled to the base plate 140.

베이스플레이트(140)는 상측면이 상부커버(13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서 후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게 된다.The base plate 140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130, and is coupled using a hook or the like.

이때 상부커버(130)는 엘이디(125)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 되고, 베이스플레이트(140)는 불투명 소재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130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the light of the LED 125, the base plate 140 is composed of an opaque material.

따라서 스위치보드(120)의 엘이디(125)는 상부커버(130)를 조명하여 상부커버(130)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기능 문자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LED 125 of the switchboard 120 illuminates the upper cover 130 so that the function character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30 can be easily recogniz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조명버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ghting butt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엘이디의 빛이 베이스플레이트를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부커버는 제한된 크기의 조명영역(A)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조명영역(A)에 비례하여 문자 인쇄영역 또한 작게 형성되어 차량의 야간 운행시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커버의 하측부에 후크 등에 의해 결합될 뿐 아니라, 상부커버의 하측면 전체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장기간 사용시 분리되거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LED light does not penetrate the base plate, the upper cover forms a limited sized lighting area A, so that the text printing area is also small in proportion to the lighting area A, so that the vehicle is driven at nigh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isibility of the user was reduced, and secondly, the base plate is not on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by a hook or the like, but also does not support the entir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resulting in poor assemblability and being separated or combined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osening is reduced dur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용 AV시스템 등의 프론트패널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한 엘이디의 빛의 진행 방해가 최소화되게 하여 상부커버의 조명영역을 최대화시킴으로써, 문자 인쇄영역 확대에 의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d with a base plat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such as a vehicle AV system and the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base plate, the progress of the LED light by the base plate In-vehicle AV which can improve durability by maximizing the illumination area of the top cover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user by expanding the character printing area, and also allowing the base plate to stably support the top cover. The illumination button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AV 시스템의 스위치보드에 구비된 스위치단자를 가압할 수 있게 프론트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문자인쇄부와 문자인쇄부의 일측면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조명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과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확장부 하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button of a vehicle AV system including a base plate slid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so as to pressurize the switch terminal provided on the switchboard of the vehicle AV system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the upper cover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to the outside, the base plate is the upper one side so that the illumination area formed on the top cover is maximized It is formed to be bent outward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upper cover protruding.

본 발명의 상기 상부커버의 문자인쇄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게 외주를 따라 가이드리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확장 부는 하측부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외주가 상기 가이드리브에 대응되게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확장부의 공간부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게 순차적으로 절곡 형성된다.Guide ribs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to allow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be inserted, and the outer portion is formed on the guide ribs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Correspondingly downwardly ben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is sequentially bent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스위치보드에 구비되는 조명용 엘이디가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스위치보드의 스위치단자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eccentric to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board so that the lighting LED provided in the switch board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또 본 발명의 상기 상부커버와 베이스플레이트는 이중사출로 형성되어 조립성과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and the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double injection can be increased assembly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가 스위치보드에 설치되는 조명용 엘이디의 빛을 차단하는 영역이 최소화되게 하여 조명버튼의 조명영역이 최대화 되게 함으로써, 문자 인쇄영역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야간 운행시 사용자의 조작버튼의 시인성을 향상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커버의 하측면 전체를 지지할 뿐 아니라, 상부커버와 베이스플레이트를 이중사출로 형성함으로써, 조명버튼의 제조공정 단순화와 내구성 증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area to block the light of the LED for the base plate is installed on the switchboard to maximize the illumination area of the illumination butt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relatively large text printing area, the user's operation during night operatio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utton, the base plate not only supports the entir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but also doubles the upper cover and the base plate,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lighting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버튼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버튼이 프론트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llumination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버튼은 상부커버(30)와 베이스플레이트(40)로 구성된 다.As shown, the illumination button is composed of a top cover 30 and the base plate 40.

상부커버(30)는 차량에 설치된 AV 시스템의 프론트패널(10)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상부커버(30)를 가압하여 AV 시스템이나 모니터(100)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upper cover 30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10 of the AV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user presses the upper cover 30 to operate the AV system or the monitor 100.

상부커버(30)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문자인쇄부(32)와 확장부(36)로 구성된다.The upper cover 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nd is composed of a character printing unit 32 and an expansion unit 36.

문자인쇄부(32)는 외주를 따라 하향 절곡 형성된 가이드리브(33)가 구비됨으로써 내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The letter printing unit 32 is provided with a guide rib 33 formed bent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0 can be inserted.

한편 문자인쇄부(32)의 상부면에는 버튼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문자가 인쇄되는 문자 인쇄영역을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acter printing unit 32 forms a character printing area in which a character that can indicate the function of the button is printed.

또한 상부커버(30)의 확장부(36)는 상부커버(30)의 크기를 확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문자인쇄부(32)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외주는 문자인쇄부(32)의 가이드리브(33)에 대응되게 하향 절곡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ortion 36 of the upper cover 30 i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upper cover 30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user, and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32,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guide rib 33 of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32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s formed.

이때 상부커버(3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스위치보드(20)에 구비된 엘이디(LED)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과 조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over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ED (LED) provided on the switchboard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user.

한편 베이스플레이트(40)는 엘이디(25)의 빛이 상부커버(30)의 문자인쇄부(32)로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안내할 뿐 아니라, 프론트패널(10) 내의 스 위치보드(20)에 설치되는 스위치단자(26)를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부는 상부커버(30) 하측부에 삽입 결합되고, 하부는 프론트패널(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40 not only guides the light of the LED 25 to be effectively irradiated to the character printing part 32 of the upper cover 30, but also to the switchboard 20 in the front panel 10. As to press the switch terminal 26 is installed,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30, the lower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coupled to the front panel (10).

베이스플레이트(40)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이며, 상부면은 상부커버(30)의 문자인쇄부(32)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된다.The base plate 40 has a columnar shape of which the inside is empty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the upper surface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32 of the upper cover 30.

또한 베이스플레이트(40)는 엘이디(25)의 빛이 상부커버(30)의 문자인쇄부(32)에 집중될 수 있도록 불투명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4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LED 25 can be concentrated on the letter printing portion 32 of the upper cover 30.

이때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 일측면은 문자인쇄부(32)의 하측면과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후, 상부커버(30)의 확장부(36)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부(45)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upper one side of the base plate 40 is bent outward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32, and then sequentially form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xpansion portion 36 of the upper cover 30 Coupling portion 45 is provided.

결합부(45)의 상측면은 상부커버(30)의 확장부(36)의 하측 공간부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밀착 결합되게 된다.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4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pace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36 of the upper cover 30 is to be closely coupled.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40)는 상측부가 상부커버(30)의 하측면 전체에 밀착됨으로써, 상부커버(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base plate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30,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upper cover 30.

한편 베이스플레이트(40)의 하부 외주면에는 프론트패널(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리브(41)가 수직 형성되며, 일측에는 프론트패널(4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40 is vertically formed with a slide rib 41 slidably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front panel 10, one side from the front panel 40 Hooks (not shown) are formed to prevent them from slipping off.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커버(30)를 가압하게 되면 베이스플레이트(40)는 슬라이드리브(41)의 안내에 따라 하향 이동한 후, 스위치단자(26)를 가압하여 ON/OFF 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cover 30, the base plate 40 moves downward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lide rib 41, and then presses the switch terminal 26 to turn on / off.

이때 베이스플레이트(40)는 스위치단자(2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4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witch terminal 26.

한편 엘이디(25)는 상부커버(30)의 문자인쇄부(32)가 효과적으로 발광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게 스위치보드(20)에 설치되며, 스위치단자(26)는 베이스플레이트(40)의 일측의 내측 벽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42)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D 25 is installed on the switch board 20 to be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0 so that the letter printing portion 32 of the upper cover 30 can effectively emit light, the switch terminal 26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eccentrically to the one sid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40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ortion 42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plate 40.

가압부(42)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부에는 스위치단자(26)가 위치할 수 있게 회피 홈(도3에 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b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voiding groove (shown in FIG. 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switch terminal 26 can be located.

한편 상부커버(30)와 베이스플레이트(40)는 제조 공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이중사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upper cover 30 and the base plate 40 are preferably manufactured by double injection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예를 들면, 먼저 사출 형성된 상부커버(30)를 금형에 다시 세팅시킨 후, 베이스플레이트(40)를 사출 형성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다.For example, first, the injection molded upper cover 30 is set again in a mold, and then the base plate 40 is injection molded to manufacture in an integrated state.

이하 본 발명의 조명영역이 형성되는 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0)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한 엘이디(25)에서 조사된 빛은 상부커버(30)의 문자인쇄부(32)에 조사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25 positioned at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0 is irradiated to the character printing unit 32 of the upper cover 30.

이때 엘이디(25)의 빛은 점선과 같이 진행하여 상부커버(30)에 조명영역(B)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LED 25 proceeds as a dotted line to form the lighting area (B) in the upper cover (30).

이때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 일측의 결합부(45)가 상부커버(30)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조명영역(B)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명영역(A)보다 확장부(36) 쪽으로 확대된 부가영역(C)이 확보되어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45 of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40 is formed to be bent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30, the lighting area (B) is a conventional lighting area (A) shown in FIG. The additional area (C) enlarged toward the expansion portion 36 is secured to ensure a larger area.

따라서 본 발명은 조명버튼의 조명영역을 확대하여 보다 넓은 문자 인쇄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커버(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조명버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illumination area of the illumination button to secure a wider text printing area, thereby improving the user's visibility, and the base plate can stably support the upper cover 30,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ing button can be simplified.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described as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button of a conventional vehicle AV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AV 시스템의 조명버튼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button of the AV system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버튼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ing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0 : 프론트패널 20,120 : 스위치보드10,110 Front panel 20,120 Switchboard

25,125 : 엘이디 26 : 스위치단자25,125 LED 26: Switch terminal

30,130 : 상부커버 32 : 문자인쇄부30,130: upper cover 32: character printing unit

33 : 가이드리브 36 : 확장부33: guide rib 36: expansion portion

40,140 : 베이스플레이트 41 : 슬라이드리브40,140: Base plate 41: Slide rib

42 : 가압부 45 : 결합부42: pressure portion 45: coupling portion

100 : 모니터 A,B : 조명영역100: monitor A, B: lighting area

C : 부가영역C: additional area

Claims (4)

차량용 AV 시스템 내의 스위치보드에 구비된 스위치단자를 가압할 수 있게 프론트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에 있어서,In the illumination button of the vehicle AV system comprising a base plate slid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so as to pressurize the switch terminal provided in the switchboard in the vehicle AV system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상기 상부커버는 문자인쇄부와 문자인쇄부의 일측면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부로 구성되고,The upper cover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character printing portion to the outsid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조명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면과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확장부 하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The base plate is formed to be bent outwardly so that the upp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so that the illumination area formed on the upper cover is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of the upper cover The illumination button of the vehicle AV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커버의 문자인쇄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리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하측부에 일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외주가 하향 절곡 형성되며,Guide ribs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etter print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can be inserted, and the outer portion is bent downwar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확장부의 공간부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게 순차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The coupling button of the base plate is a button of the vehicle AV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ent sequentiall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스위치보드에 구비되는 조명용 엘이디가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스위치보드의 스위치단자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The base plate is a lighting button of the vehicle AV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board to be eccentric to one side so that the lighting LED provided on the switch board is located in the cent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조명버튼과 베이스플레이트는 이중사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조명버튼.The illumination button and the base plate is an illumination button of a vehicle AV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double injection.
KR1020070104851A 2007-10-18 2007-10-18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KR100894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51A KR100894949B1 (en) 2007-10-18 2007-10-18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51A KR100894949B1 (en) 2007-10-18 2007-10-18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297A KR20090039297A (en) 2009-04-22
KR100894949B1 true KR100894949B1 (en) 2009-04-27

Family

ID=4076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851A KR100894949B1 (en) 2007-10-18 2007-10-18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838A (en) 1997-08-28 1999-03-16 Kouha:Kk Light irradiating type push button
KR20050059569A (en) * 2003-12-15 2005-06-21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Button structure for use of control panel and thereof method
JP2006049004A (en) 2004-08-02 2006-02-16 Honda Motor Co Ltd Illumination-type switching structure
KR20070107924A (en) * 2006-05-04 2007-11-08 박재우 Ip switch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838A (en) 1997-08-28 1999-03-16 Kouha:Kk Light irradiating type push button
KR20050059569A (en) * 2003-12-15 2005-06-21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Button structure for use of control panel and thereof method
JP2006049004A (en) 2004-08-02 2006-02-16 Honda Motor Co Ltd Illumination-type switching structure
KR20070107924A (en) * 2006-05-04 2007-11-08 박재우 Ip switch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297A (en)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4390B2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KR100894949B1 (en) A lighting button for AV system of car
JP2000260249A (en) Illuminated switch device
CN208698627U (en) A kind of vehicle-carrying display screen and automobile convenient for handling
KR100474092B1 (en) Control knob switch for automobile aircon panel
JPH11154437A (en) Switching device for steering wheel
CN210429610U (en) Operation panel based on metal dome and provided with backlight display keys
JP2000173379A (en) Lighting push button switch device
KR101619415B1 (en) Mask assembly having spacer for cluster
KR101088370B1 (en) start button for car
JP2003059365A (en) Operation button mounting device
JP4299574B2 (en) Seesaw switch
JP4213304B2 (en) Switch device
CN218463715U (en) Steering wheel and vehicle
CN214276958U (en) Vehicle-mounted navigation equipment
JP2009267977A (en) Antenna mounting structure and on-board unit
CN217137741U (en) Food preparation machine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4898180U (en) Key assembly
JP2004235037A (en) Switch module
KR102361114B1 (en) Call buzzer
CN209374304U (en) Dashboard switch assembly and vehicle
KR100901307B1 (en) Inpannel Switch United Cluster
JP5209448B2 (en) Overhead console device for vehicles
JP4143220B2 (en) Operation switch structure
KR100451873B1 (en) Structure for mounting TV on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