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029B1 -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029B1
KR100894029B1 KR1020080084605A KR20080084605A KR100894029B1 KR 100894029 B1 KR100894029 B1 KR 100894029B1 KR 1020080084605 A KR1020080084605 A KR 1020080084605A KR 20080084605 A KR20080084605 A KR 20080084605A KR 100894029 B1 KR100894029 B1 KR 10089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lower
ginseng flower
diabet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을
박상언
한용환
Original Assignee
한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7579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40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환 filed Critical 한용환
Priority to KR102008008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성분인 인삼 꽃을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의 과정을 거친 후 분쇄된 가루, 환, 차, 즙의 형태로 가공처리하거나 주사액의 형태로 가공처리하여 당뇨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인삼 꽃 조성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는 인삼 근을 원료로 하는 경우보다 약 23배 이상의 현격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러한 인삼 꽃은 약재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식품으로서도 사용된 바 없고 모두 버려지던 것이어서 인삼 꽃 조성물을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경우 인삼재배 농가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인삼꽃, 당뇨, 예방, 치료, 조성물, 약재

Description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THE GINSENG FIOWER COMPOSITION, THAT PREVENTION AND REMEDY CURE TO SGAR DIABTES}
본 발명은 당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성인병 중에서도 당뇨병은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고 치료가 어려운 병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5%, 일본 국민의 14% 정도가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당뇨병은 성인들에게 주로 발병해왔으나 식생활의 변화 및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병하고 있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당뇨병에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s mellitus)과 비의존성 당뇨병이 있으며,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 젊은 층에서 주로 발병하고 있다.
당뇨병에 걸리면 인슐린과 당의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혈관이나 신경에 장애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인체의 장기를 해치게 된다.
현재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슐린 요법과 술포닐 요소제, 비구아나이드제 등의 경구 투여용 약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혈당치를 순간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일 뿐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물론 당뇨병에 걸리면 약을 먹는 것 외에도 철저한 식생활 관리가 요구된다.
당뇨병의 발병인자에 대해서는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인 원인(바이러스 감염 및 화학물질 등)을 추정하고 있을 뿐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고 있어 그 예방 및 치료약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성분인 인삼 꽃을 채취하여 항 당뇨를 위한 목적으로 섭취할 수 있게 가공처리함으로써 당뇨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인삼 꽃 조성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인삼 근을 원료로 하는 경우보다 약 23배 이상의 현격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러한 인삼 꽃은 약재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식품으로서도 사용된 바 없고 모두 버려지던 것이어서 인삼 꽃 조성물을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경우 인삼재배 농가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랫동안 인삼의 약학적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일반적으로 인삼이라 함은 인삼의 뿌리부분인 '인삼 근'을 말하는 것으로서 약재로 사용되거나 음식 등으로 조리되어 섭취되어 온 부분도 뿌리부분인 '인삼 근'뿐이었다.
인삼의 잎이나 줄기 및 꽃은 약재로써 사용되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로도 섭취되어 오지 않고 있었다.
인삼 꽃이나 꽃대는 씨를 심어 4년째 되는 5월 ~ 6월경 나오는데 인삼 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 만개하기 전인 6월경에 제거되어 버려져 왔다.
(본 발명에서 "인삼꽃"이라 함은 꽃받침부터 그 위쪽의 꽃잎 등을 의미함)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인삼의 약학적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인삼 꽃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다수의 새로운 사포닌 성분을 최초로 발견하고 인삼 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삼 꽃 추출물을 대상으로 일반 영양성분 함량, 무기질 함량,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적인 간과 신장 세포의 생존율에는 negative effect를 나타내지 않았고, 미토콘드리와와 라이소좀 수준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삼 꽃에 대한 광범위한 식물 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hydroperoxide group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새로운 dammagane typetrierpene diglycoside를 분리하여 새로운 사포닌 성분을 발견하였는데 전혀 알려지지 않은 화학구조를 갖는 것들이어 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floralg ginsenosdides A, floralg ginsenosdides B 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floral ginsenosdides A, floral ginsenosdides B 의 화학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1495209-pat00001
〈floral ginsenoside A〉
Figure 112008061495209-pat00002
〈floral ginsenoside B〉
상기와 같은 인삼 꽃의 약학적 효능(용도)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인삼 꽃 추출물이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삼 근 추출물과 비교할 때 약 23배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와 실험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 예1 : 건조 후 분말처리된 인삼의 각 부위별 경구투여에 대한 실험〉
구 분 혈 당 농 도 변 화
투여 직전 24시간 경과
인삼 근 175 173 -2
인삼 꽃대 175 174 -1
인삼 꽃 175 128 -47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61 -14
인삼 근 +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65 -10
비 고 5명(남자 3명, 여자 2명)의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혈당농도는 5명의 환자에 대한 평균값임. 실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혈당 농도의 측정은 매일 아침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음. 인삼 근은 6년근 삼을 사용하였으며, 인삼 꽃과 꽃대는 5년근 삼의 것을 6월에 채취하여 세척, 건조 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건조 후 분말처리된 인삼 꽃이 인삼 근보다 당뇨병 치료에 약 23배 이상 우수하며, 인삼 꽃이 인삼 근이나 인삼 꽃대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실험 예2 : 건조 후 환으로 만들어진 인삼의 각 부위별 경구투여 실험〉
구 분 혈당농도 변 화
투여 직전 24시간 경과
인삼 근 175 173 -2
인삼 꽃대 175 174 -1
인삼 꽃 175 124 -51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58 -17
인삼 근 +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61 -14
비 고 5명(남자 3명, 여자 2명)의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혈당농도는 5명의 환자에 대한 평균값임. 실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혈당 농도의 측정은 매일 아침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음. 인삼 근은 6년근 삼을 사용하였으며, 인삼 꽃과 꽃대는 5년근 삼의 것을 6월에 채취하여 세척, 건조 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건조 후 환으로 만들어진 인삼 꽃이 인삼 근보다 당뇨병 치료에 약 25배 정도 우수하며, 인삼 꽃이 인삼 근이나 인삼 꽃대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위 실험 예2에서 100% 인삼 꽃으로만 만들어진 인삼꽃환의 성분을 검사한 결과 열량은 336.56㎉/100g, 탄수화물은 52.77g/100g, 단백질은 28.85g/100g, 지방은 1.12g/100g, 나트륨은 32.72㎎/100g, 조사포닌은 94.1㎎/g 검출되었다.
〈실험 예3 : 즙으로 만들어진 인삼의 각 부위별 경구투여에 대한 실험〉
구 분 혈당농도 변 화
투여직전 24시간 경과
인삼 근 175 173 -2
인삼 꽃대 175 174 -1
인삼 꽃 175 135 -40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66 -9
인삼 근 + 인삼 꽃대 + 인삼 꽃 175 167 -8
비 고 5명(남자 3명, 여자 2명)의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혈당농도는 5명의 환자에 대한 평균값임. 실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혈당 농도의 측정은 매일 아침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음. 인삼 근은 6년근 삼을 사용하였으며, 인삼 꽃과 꽃대는 5년근 삼의 것을 6월에 채취하여 세척, 건조 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즙으로 만들어진 인삼 꽃이 인삼 근보다 당뇨병 치료에 약 20배 정도 우수하며, 인삼 꽃이 인삼 근이나 인삼 꽃대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험 예1, 2, 3을 통하여 당뇨병 치료에 대한 약학적 효능 면에서 인삼 꽃이 인삼 근보다 약 23배 이상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즙으로 만들어서 경구하여 하는 것보다는 건조 후 분말처리된 것을 경구투여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건조 후 분말처리된 것 보다는 건조 후 환으로 처리된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인삼 꽃이 당뇨병의 예방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 실험 예4와 같은 실험도 실시하였다.
〈실험 예4 :인삼의 각 부위별 당뇨병 예방효과를 위한 실험〉
구 분 혈당농도 변화
복용 전 30일 경과 (복용) 60일 경과 (복용) 90일 경과 (복용) 혈당농도 감소 인원 수 120 초과 당뇨환자발생 인원 수
복용하지 않음 118 120 128 140 없음 3명
인삼 근 118 118 125 132 1명 2명
인삼 꽃대 119 119 120 125 1명 1명
인삼 꽃 119 117 114 113 4명 없음
인삼꽃대+인삼꽃 119 119 118 118 3명 1명
인삼 근 + 인삼 꽃대 + 인삼 꽃 118 119 122 126 1명 2명
비 고 혈당농도 117 ~ 120 사이의 내당능 장애를 가진 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위 혈당농도는 5명의 환자에 대한 평균값임. 실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혈당 농도의 측정은 아침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음. 환으로 만들어진 인삼근, 인삼줄기, 인삼잎, 인삼줄기+인삼잎, 인삼근+인삼 줄기+인삼 꽃을 각각의 실험군에 속해있는 실험대상자가 1일 1회 중식 30분 후에 복용하도록 하였음. 인삼 근은 6년근 삼을 사용하였으며, 인삼 꽃과 줄기는 5년근 삼의 것을 6월에 채취하여 세척, 건조 후 환으로 만들었음. 참고 - 혈당농도가 100 이하이면 정상 혈당농도가 101~120 이면 내당능장애 혈당농도가 120 초과이면 당뇨환자
상기와 같이 수치가 높은 내당능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서 인삼 근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혈당농도 120을 초과하여 당뇨병 환자로 분류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는 반면, 인삼 꽃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4명의 실험자에게서 혈당농도의 감소가 발생되었으며, 혈당농도 120을 초과하는 당뇨병 환자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해 인삼 꽃이 당뇨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꽃을 즙이나 환 및 분말로 만들어 경구투여함으로써 섭취하는 실험만을 하였으나, 인삼 꽃을 채취하여 주사액 등으로 가공 처리함으로써 당뇨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인체에 투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인삼 꽃을 차(茶)의 형태로 가공처리하여 섭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 공지된 주사액 제조방법을 통해서 인삼 꽃으로부터 주사액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주사액의 제조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인삼 꽃 조성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인삼 꽃을 채취하여 항 당뇨를 위한 목적으로 경구투여할 수 있게 가공처리한,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2. 인삼 꽃을 채취하여 항 당뇨를 위한 목적으로 인체에 주사할 수 있게 가공처리한,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3. 인삼 꽃을 채취하여 항 당뇨를 위한 목적으로 경구투여할 수 있게 가공처리한,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4. 인삼 꽃을 채취하여 항 당뇨를 위한 목적으로 인체에 주사할 수 있게 가공처리한,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꽃은 세척 및 건조의 과정을 거친 후 분쇄된 가루, 환, 차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꽃은 세척 및 건조의 과정을 거친 후 분쇄된 가루, 환, 차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KR1020080084605A 2008-08-28 2008-08-28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10089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605A KR100894029B1 (ko) 2008-08-28 2008-08-28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605A KR100894029B1 (ko) 2008-08-28 2008-08-28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029B1 true KR100894029B1 (ko) 2009-04-22

Family

ID=4075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605A KR100894029B1 (ko) 2008-08-28 2008-08-28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195A (ko) * 2003-08-21 2005-03-04 안병옥 인삼발향조성물 및 인삼발향찜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195A (ko) * 2003-08-21 2005-03-04 안병옥 인삼발향조성물 및 인삼발향찜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1977, 9(1), 2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id et al. Maintaining a physiological blood glucose level with ‘glucolevel’, a combination of four anti-diabetes plants used in the traditional Arab herbal medicine
KR100750988B1 (ko) 천연물유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혈당조절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umar et al. Traditional medicinal uses and therapeutic benefits of Momordica charantia Linn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EP2057994A1 (de) Feigenkakteen-Extraktzubereitung
SHARANGİ et al. Stevia: Medicinal Miracles and therapeutic magic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831621B1 (ko)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WO2006030426A1 (en)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iabetes
KR100688252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AU654365B2 (en) Stevia extract-containing liquid internal medici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CN101254263A (zh) 复方瓜子金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100419185B1 (ko) 비만조절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42809B1 (ko)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Basharat et al. Beneficial effects of okra in diabetes mellitus
JP2014208620A (ja) 抗肥満剤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KR100894029B1 (ko) 인삼 꽃을 원료로 하는 당뇨의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KR2010011108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