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55B1 -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55B1
KR100892655B1 KR1020077018202A KR20077018202A KR100892655B1 KR 100892655 B1 KR100892655 B1 KR 100892655B1 KR 1020077018202 A KR1020077018202 A KR 1020077018202A KR 20077018202 A KR20077018202 A KR 20077018202A KR 100892655 B1 KR100892655 B1 KR 10089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iotic
acid
factor
ppm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903A (ko
Inventor
아메리가 라자리니
루시아노 가스탈도
기안파올로 캔디아니
이스마엘라 시실리아토
다니엘 로시
플라비아 마리넬리
엔리코 셀바
프랑코 파렌티
Original Assignee
비큐론 파마세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035,296 external-priority patent/US7319088B2/en
Application filed by 비큐론 파마세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큐론 파마세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크로비스포라 (Microbispora) 종 ATCC PTA-5024의 발효에 의해 생산되는 미생물 기원의 항생 물질 (임의로 항생제 107891로 명명함),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감수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 항균제로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팩터 (팩터 A1 및 A2로 명명함)를 포함하는 복합체인 항생제 107891은 란티바이오틱 군의 항생제의 전형적인 특징인, 구성성분으로서 란티오닌 및 메틸란티오닌을 함유하는 펩티드 구조를 갖는다.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는 메티실린 내성 및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를 포함하는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일부 그람-음성 세균, 예를 들어 엠. 카타랄리스 (M. catharralis), 나이세리아 (Neisseria) 종 및 에이치. 인플루엔자에 (H. influenzae) 및 마이코박테리아 (Mycobacteria)에 대해서도 활성을 갖는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 펩티드, 미크로비스포라, 메티실린, 반코마이신

Description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A1 AND A2,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본원은 EP 특허 출원 03016306.7 (2003년 7월 18일자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PCT/EP2004/007658 (2004년 7월 12일자 출원)의 § 371 국내 출원인 미국 특허 출원 [대리인 문서 번호 892,280-499] (2005년 1월 11일자 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인 미국 특허 출원 [대리인 문서 번호 892,280-195] (2005년 1월 12일자 출원)에 기초하여 국제 출원된 것이며, 상기 출원 모두는 언급에 의해 온전히 본원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발명은 팩터 (Factor) A1 및 A2를 포함하는 복합체인 미생물 기원의 항생 물질 (임의로 항생제 107891로 명명함), 제약학상 허용되는 그의 염, 그의 제약 조성물, 및 항균제로서 그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크로비스포라 (Microbispora) 종 107891 (이하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로서 언급됨), 또는 상기 항생제를 생산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를 배양하고, 본 발명의 항생제를 균사체 (mycelium) 및(또는) 발효 브로쓰로부터 회수하고, 크로마토그래피 수단에 의해 순 수한 물질을 단리하고, 팩터 A1 및 A2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생제 107891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항생제 107891은 구성성분으로서 란티오닌 및 메틸란티오닌을 함유하는 펩티드 구조를 갖는 신규한 항미생물제이다. 이들은 란티바이오틱 (lantibiotic), 및 특히 세포벽 생합성에 주로 작용하는 아족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란티바이오틱은 티오에테르 아미노산인 란티오닌 및 몇몇 다른 변형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티드이다 (H.G. Sahl and G. Bierbaum (1998) "Lantibiotics: bio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uniquely modified peptides from gram-positive bacteria", Ann. Rev. Microbiol. 52: 41-79). 대다수의 공지된 란티바이오틱은 항균 활성을 갖지만, 일부는 상이한 약물학적 표적에 활성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항균 란티바이오틱은 넓게는 그들의 구조를 기초로 2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A형 란티바이오틱은 대개 길쭉한 친양쪽성 (amphiphilic) 펩티드인 반면, B형 란티바이오틱은 치밀하고 구형이다 (0. McAuliffe, R.P. Ross and C. Hill (2001): "Lantibiotics: structure, biosynthesis and mode of action", FEMS Microb. Rev. 25: 285-308). 니신 (nisin)이 A형 란티바이오틱의 대표인 반면, 액타가르딘 (actagardine) (가르디마이신 (gardimycin)) 및 메르사시딘 (mersacidin)은 B형 란티바이오틱 서브클래스에 속한다. 니신-형 및 메르사시딘-형 란티바이오틱은 모두 막-결합 펩티도글리칸 전구체 지질 II와 상호작용하지만, 이들 두 클래스는 세균 증식 과정에서 발휘하는 효과에 있어서 상이하다. 니신-형 란티바이오틱은 주로 세포질막을 투과성으로 만들어 세균을 치사시키는 반면 (H. Brotz, M. Josten, I. Wiedemann, U. Schneider, F. Gotz, G. Bierbaum and H. G. Sahl, (1998): "Role of lipid-bound peptidoglycan precursors in the formation of pores by nisin, epidermin and other lantibiotics", Mol. Microbiol. 30: 317-27), 메르사시딘-형 란티바이오틱은 주로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세균 세포를 치사시킨다 (H. Brotz, G. Bierbaum, K. Leopold, P.E. Reynolds and H.G. Sahl, (1998): "The lantibiotic mersacidin inhibits peptidoglycan synthesis by targeting lipid I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2: 154-60).
미크로비스포라 코랄리나 (Microbispora corallina) 균주 NRRLL 30420에 의해 생산된 2가지 항생제 (각각 항생제 MF-BA-1768α1 및 MF-BA-1768β1로서 언급됨)가 US 6,551,591 B1에 설명된다. 상기한 특허에 보고된 물리화학적 데이타 (예를 들어, 질량 분광학 데이타, 분자량, 아미노산의 함량) 및 LC-MS 실험적 분석에서 체류 시간의 비교는 항생제 107891 복합체 및 그의 성분 팩터 A1 및 팩터 A2가 항생제 MF-BA 1768α1 및 MF-BA-1768β1과 구분되는 화학물질임을 명백히 보여준다.
EP 0592835A2에서는 항종양 항생제 BU-4803TA1, A2, B, C1, C2 및 D를 설명한다. 항생제 BU-4803TA1, A2, 및 B는 미크로비스포라 ATCC 55327 (AA 9966)의 발효 브로쓰로부터 회수되는 한편, 항생제 BU4803TC1, C2 및 D는 디메틸 술폭시드 중에 보관할 때 각각 항생제 BU 4803TA1, A2 및 B의 변환 (transformation) 생성물이다. 상기 항생제에 대해 EP 0592 835 A에 보고된 물리화학적 데이타 (예를 들어, 애스 펙트 (aspect), U.V. 흡수, 분자량, 항종양 활성)는 이들이 항생제 107891 복합체 및 그의 팩터 A1 및 A2로부터 구분되는 화학 물질임을 명백히 보여준다.
균주 및 발효
미크로비스포라 종 107891은 환경에서 단리되어, 부다페스트 조약 (Budapest Treaty)의 규정 하에 2003년 2월 27일에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미국 20110-2209 버지니아주 매나사스 유니버시티 불리바드 10801)에 기탁되었다. 균주는 기탁 번호 PTA-5024를 받았다.
항생제 107891의 생산은 그를 생산할 수 있는 미크로비스포라 종 균주, 즉,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또는 상기 항생제를 생산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를 배양하고; 생성되는 항생제를 전체 배양 브로쓰 및(또는) 분리된 균사체 및(또는) 여과된 발효 브로쓰로부터 단리하고; 단리된 항생제를 크로마토그래피 수단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달성된다. 어느 경우든, 호기성 조건 하에 쉽게 동화가능한 탄소, 질소, 및 무기염의 공급원을 함유하는 수성 영양 배지 내에서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분야에 보통 사용되는 많은 영양 배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정 배지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탄소원은 수크로스, 프럭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등이다. 바람직한 질소원은 대두분, 펩톤, 육즙 (meat extract), 효모 추출액, 트립톤, 아미노산, 가수분해된 카제인 등이다. 배양 배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무기염 중에, 나트륨, 칼륨, 철, 아연, 코발트, 마그네슘, 칼슘, 암모늄, 클로라이드, 카르보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등의 이온을 생성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가용성 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생제 107891 생산 균주는 발효 튜브 또는 진탕 플라스크 내에서 예비배양한 후, 배양물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양의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자아 (jar) 발효조에 접종한다. 예비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보다 큰 발효에 사용된 것과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배지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균주는 17℃ 내지 37℃의 온도에서 성장할 수 있고, 최적 온도는 약 28-30℃이다.
발효 동안, 항생제 107891 생산은 감수성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분석 (bioassay) 및(또는) HPLC 분석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항생제 107891의 최대 생산은 일반적으로 발효의 약 90시간 후 및 200시간 전에 발생한다.
항생제 107891은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또는 항생제 107891을 생산할 수 있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를 배양함으로써 생산되고, 배양 브로쓰 및(또는) 균사체 내에서 발견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에서, 용어 "항생제 107891"은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팩터 A1 및 A2를 포함하는 항생제 107891 복합체를 나타낸다.
미크로비스포라 ATCC PTA-5024의 형태학적 특징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는 다양한 표준 고체 배지 상에서 잘 성장한다. 현미경적 치수를 1 ml/l의 비타민 용액 (티아민 염산염 25 mg/l, 판토텐산칼슘 250 mg/l, 니코틴산 250 mg/l, 비오틴 0.5 mg/l, 리보플라빈 1.25 g/l, 시아노코발라민 6.25 mg/l, 파라아미노벤조산 25 mg/l, 엽산 500 mg/l, 피리독살 염산염 500 mg/l)을 첨가한 후민산 (humic acid)-미량 염 한천 (Trace Salts Agar) (조성 (g/l): 후민산 0.5, FeSO4*7H2O 0.001, MnCl2*4H2O 0.001, ZnSO4*7H2O 0.001, NiSO4* 6H2O 0.001, MOPS 2, 한천 20) 상에서 성장시킨 배양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액체 배지 (V6 배지, 조성 (g/l): 덱스트로스 22, 육즙 5, 효모 추출액 5, 카제인 3, NaCl 1.5) 중에서는, 28℃에서 6일의 성장 후 균사체의 분절이 관찰되지 않는다. 후민산-미량 염 한천에 대해 현미경 검사하면 (28℃에서 21일 인큐베이션 후), 분지된, 분절되지 않은 기저 균사체 및 단일축 분지된 기중 균사체를 보여주고; 많은 긴 직립형의 거의 분지되지 않은 기중 균사가 또한 보인다. 특징적인 세로 포자쌍이 가지로부터 또는 주요 기중 균사로부터 직접 가로로 뻗어나온 짧은 포자자루에 의해 형성된다. 포자는 구형이고 비운동성이다. 포자낭-유사체 또는 다른 특정 구조가 관찰되지 않는다.
미크로비스포라 ATCC PTA-5024의 배양 특징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를 6일 동안 AF/MS 액체 배지 (실시예 1 참조) 내에서 28℃ 및 200 rpm에서 성장시킨 후, 새로운 AF/MS 액체 배지에 옮기고 (5% 접종물), 추가로 6일 동안 성장시키고 마지막으로 100 ml의 V6 액체 배지 (실시예 1 참조) 내로 접종하였다 (7% 접종물). 28℃ 및 200 rpm에서 6일의 성장 후, 균사체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확하고 멸균 염수 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희석하여 적합한 접종물을 제공하였다. 현탁액의 분액을 크로스해치 (cross-hatched) 방식으로 문헌 [E.B. Shirling and D. Gottlieb, (1966):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ecies", Int. J. Syst. Bacteriol. 16: 313-340]에서 추천하는 다양한 배지, 및 문헌 [S.A. Waksman (1961): "The Actinomycetes", The Williams and Wilkins Co., Baltimore. Vol.2: 328-334]에서 추천하는 배지 상으로 스트리킹하였다.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탄수화물을 이용하는 능력은 기초 배지로서 상기 설명된 1 ml/l의 비타민 용액을 첨가한 전분이 없는 배지 ISP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각각의 탄소원은 1% (w/v)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NaCl 용인성, 성장 pH 범위 및 상이한 온도에서 성장하는 능력은 ISP2 배지 상에서 결정하였다. 모든 배지를 28℃에서 3주 동안 인큐베이팅하였고;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21일로 언급된다. 색상은 문헌 [A. Maerz and M.R. Paul, 1950 - A Dictionary of Colour, 2nd edition. McGraw-Hill Book Co. Inc., New York]의 색 도해를 사용하여 자연 일광에서 평가하였다.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키는 능력은 문헌 [S.T. Williams, M. Goodfellow, G. Alderson, E.M.H. Wellington, P.H.A. Sneath & M.J. Sackin, 1983 - Numerical classification of Streptomyces and related genera - J. Gen. Microbiol. 129, 1743-1813]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슬로피 (sloppy) 니트레이트 배지에서 평가하였다.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에 대한 성장, 콜로니 외관, 기저 및 기중 균사체 색상 및 색소 생산을 표 I에 기록한다. 영양 (vegetative) 성장이 대부분의 사용된 배지 상에 존재하였고, 그 중 일부에만 존재하는 기중 균사체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임의의 배지 상에 명백한 색소침착은 보이지 않는다. 균주의 생리학적 특징을 표 II에 제시한다. 성장 및 기중 균사체 생산은 17℃에서는 존재하지만 43℃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ISP2 상에서 기중 균사체의 생산은 6 초과의 pH에서 존재하는 반면, 1% NaCl의 존재시 부재한다.
성장을 위해 다양한 탄수화물을 이용하는 능력을 표 III에 나타낸다.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성장 특징
배지 성장 및 형태학 역색상 코드
ISP 2 효모 추출액- 맥아즙 한천 풍부한 성장, 주름진 표면; 연분홍색 (2A8)의 우수한 생산 기중 균사체. 주황색/연갈색 가용성 색소의 약한 생산 5 E 12 주황색/적색
ISP 3 오트밀 한천 풍부한 성장; 연분홍색 (2A8)의 우수한 생산, 기중 균사체, 특히 크로스해치형 스트리킹의 아암 (arm) 상에서. 주황색 가용성 색소의 약한 생산 11 H 10 주황색/분홍색
ISP 4 무기염- 전분 한천 우수한 성장; 기중 균사체는 생산되지 않음. 가용성 색소가 생산되지 않음 전분이 가수분해됨. 11 I 9 주황색
Glu/Asp 글루코스- 아스파라긴 한천 분리된 성장, 옅은; 옅은 베이지색/분홍색 (9B4)의 생산. 크로스해치형 스트리킹의 아암 상에 기중 균사체. 가용성 색소가 생산되지 않음 12 K 12 주황색/연갈색
ISP 6 펩톤- 효모 추출액- 철 한천 빈약한 성장, 고지 (height)에서 성장된 분홍색 단일 콜로니, 소용돌이형, 평탄한 표면을 갖는; 기중 균사체는 생산되지 않음. 배지가 어두워지지 않음 nd
ISP 7 타이로신 한천 옅은, 주황색/연갈색 기저 균사체의 불량한 성장; 기중 균사체는 생산되지 않음. 배지가 어두워지지 않음 nd
ISP 3+YE 오트밀/1% 효모 추출액 한천 풍부한 성장, 주름진 표면; 옅은 분홍색 기중 균사체의 매우 빈약한 생산. 가용성 색소가 생산되지 않음 4 B 12 주황색/적색
(1 ml/L의 비타민 용액이 첨가된 ISP 4 및 글루코스-아스파라긴 한천)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생리학적 특징.
시험 반응
전분 가수분해 양성
카제인 가수분해 음성
칼슘 말레이트 소화 음성
리트머스 (Litmus) 우유 펩톤화 음성
리트머스 우유 응고 음성
젤라틴 액화 음성 내지 약한 양성
타이로신 반응 음성
질산염 환원 양성
성장 pH 범위 (14일) 4.2에서 성장 없음, 5.5 내지 8.8에서 우수; 상기 범위를 벗어나 시험되지 않음. pH≤6.5에서 기중 균사체 부재
NaCl % 용인성 ≤2; 1≥에서 기중 균사체 부재
성장 온도 범위 17℃ 내지 37℃. 전체 범위에서 기중 균사체의 존재; 43℃에서 성장 없음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에 의한 탄소원의 이용.
탄소원 성장 (14일)
아라비노스 ++
셀룰로스 -
프럭토스 ++
이노시톨 +/-
만니톨 +++
라피노스 -
람노스 -
수크로스 +++
자일로스 +++
글루코스 ++
글리세롤 ++
당 없음 -
+++ 풍부; ++ 우수한 성장; + 적당한 성장; +/- 빈약한 성장; - 성장 없음; 기중 균사체는 항상 부재함.
미크로비스포라 ATCC PTA-5024의 화학분류학적 특징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를 회전 진탕기 상에서 GYM 배지 (글루코스 4 g/l; 효모 추출액 4 g/l; 맥아즙 10 g/l)에서 28℃에서 성장시키고, 균사체를 수확하고, 멸균 증류수로 2회 세척하고 후속적으로 동결건조시켰다. 아미노산의 분석은 문헌 [J.L. Staneck and G.D. Roberts (1974): "Simplified approach to identification of aerobic actinomycetes by thin-layer chromatography", Appl. Microbiol. 28: 226-231]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메나퀴논 및 극성 지질을 문헌 [D.E. Minnikin, A.G. O' Donnell, M. Goodfellow., G. Alderson, M. Athalye, A. Schaal and J. H. Parlett, (1984): "An integrated procedure of isoprenoid quinones and polar lipids", J. Microbiol. Meth.2: 233-241]의 절차에 따라 추출하였다. 극성 지질은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D.E. Minnikin, V. Patel, L. Alshamaony, and M. Goodfellow (1977): "Polar lipid composi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Nocardia and related bacteria", Int. J. Syst. Bacteriol. 27: 104-117), 메나퀴논은 HPLC로 분석하고 (R.M. Kroppenstedt (1982): "Separation of bacterial menaquinones by HPLC using reverse phase RP18 and a silver loaded ion exchanger as stationary phase", J. Liquid. Chromat. 5:2359-2367; R.M. Kroppenstedt (1985): "Fatty acid and menaquinone analysis of actinomycetes and related organisms", in: Chemical Methods in Bacterial Systematics. No20 SAB Technical Series pp.173-199, M. Goodfellow and D. E. Minnikin eds, Academic Press, London),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는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각각 분석하였다 (L.T. Miller (1982): "A single derivatization method for bacterial fatty acid methyl esters including hydroxy acids", J. Clin. Microbiol. 16: 584-586; M. Sasser (1990): "Identification of bacteria by gas chromatography of cellular fatty acids", USFCC News Letters 20: 1-6). 마이콜린산의 존재는 문헌 [D.E. Minnikin, L. Alshamaony, and M. Goodfellow (1975): "Differentiation of Mycobacterium, Nocardia and related taxa by thin layer chromatographic analysis of whole organism methanolyzates", J. Gen. Microbiol. 88: 200-204]의 방법에 의해 검토하였다.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전세포 가수분해액은 메소-디아미노피멜산을 펩티도글리칸의 디아미노산으로서 함유한다. 주된 메나퀴논은 MK-9 (III, VIII-H4), MK-9 (H2) 및 MK-9 (H0)이다. 극성 지질 패턴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메틸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이노시톨만노시드, 및 인지질, 즉, 문헌 (H.A. Lechevalier, C. De Brieve and M.P. Lechevalier (1977): "Chemotaxonomy of aerobic actinomycetes: phospholipid composition", Biochem. Syst. Ecol. 5: 246-260)에 따른 인지질 타입 IV를 함유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지방산 패턴의 주성분은 안테이소 15:0, 이소 16:0, n-16:0, 안테이소 17:0, 및 10-메틸-헵타데카노익 (10-Me-17:0), 즉, 3c sensu Kroppenstedt (R.M. Kroppenstedt, (1985): "Fatty acid and menaquinone analysis of actinomycetes and related organisms", in: Chemical Methods in Bacterial Systematics. No20 SAB Technical Series pp.173-199. M. Goodfellow and D. E. Minnikin eds, Academic Press, London)이다. 마이콜린산은 검출되지 않는다.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16S rDNA 서열결정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16 rRNA 유전자 (16S rDNA)의 전체 rRNA의 95%에 대응하는 부분 서열, 즉, 1443 뉴클레오티드를 공개된 절차 (P. Mazza, P. Monciardini, L. Cavaletti, M. Sosio and S. Donadio (2003): "Diversity of Actinoplanes and related genera isolated from an Italian soil", Microbial Ecol. 5: 362-372)에 따라 달성하였다. 이를 서열 1에 나타낸다. 상기 서열을 US 6,551,591 B1에 보고된 바와 같은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코랄리나 NRRL 30420 (MF-BA-1768)의 서열과 비교하였다. 2개의 서열을 정렬시켰고, 1456개의 정렬된 위치 중에서 31개 위치에서 차이를 발견하여, 전체 서열 변화율 (divergence)이 2.13%이었다. 97.5% 미만의 서열 동일성을 공유하는 임의의 2가지 균주는 보통 상이한 종에 속한다 (Stackebrandt, E. and Embley, M.T. (2000) "Diversity of Uncultered Microorganisms in the Environment". In: Nonculturable Microorganisms in the Environment, R.R. Colwell and D.J. Grimes (eds). ASM, Press, Washington DC, pp. 57-75). 따라서, 2% 수준의 서열 변화율은 매우 높고 (Rossello-Mora, R., and Amann, R. (2001). "The Species Concept for Prokaryotes". FEMS Microbiol. Rev. 25: 39-67),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와 미크로비스포라 코랄리나 NRRL 30420 (MF-BA-1768)이 상이한 균주임을 나타낸다.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동정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균주는 다음 화학분류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 때문에 스트렙토스포란기아세 (Streptosporangiaceae) 과, 미크로비스포라 속에 지정된다:
- 세포벽 내에 메소-디아미노피멜산의 존재;
- 다량의 MK-9 (III, VIII-H4) 및 문헌 [H.A. Lechevalier, C. De Brieve and M.P. Lechevalier (1977): "Chemotaxonomy of aerobic actinomycetes: phospholipid composition", Biochem. Syst. Ecol. 5: 246-260)에 따른 인지질 IV형;
- 3c sensu Kroppenstedt의 지방산 프로필 (R.M. Kroppenstedt (1992): "The genus Nocardiopsis", in: The Prokariotes, Vol II, pp. 1139-1156, A. Balows, H. Truper, M. Dworkin, W. Harder and K.H. Schleifer eds; New York, Springer-Verlag);
- 마이콜린산의 부재;
- 기중 균사로부터 가로로 분지하는 짧은 포자자루의 끝에 특징적인 세로 포자쌍의 형성. 비운동성 포자.
- 서열 1에 보고된 16 rRNA 유전자 (16S rDNA)의 전체 rRNA의 95%에 대응하는 부분 서열, 즉, 1443 뉴클레오티드가 설명된 미크로비스포라 종의 16S rDNA 서열에 97% 초과의 동일성을 보임.
다른 미생물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균주의 특징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주의 인공 변이체 및 돌연변이체가 다양한 공지의 돌연변이유발제, 예를 들어 자외선 및 화학제, 예를 들어 아질산,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및 많은 다른 것들을 사용하는 처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항생제 107891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의 모든 천연 및 인공 변이체 및 돌연변이체는 본 발명의 목적에서 그와 동등한 것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항생제 107891의 추출 및 정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항생제 107891은 균사체 및 발효 브로쓰의 여과된 분획 내에 거의 동등하게 분포되어 발견된다.
수확된 브로쓰는 발효 브로쓰의 상등액으로부터 균사체를 분리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고, 소비된 균사체의 제거 후 균사체 107891 항생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기 위해 수혼화성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균사체 추출액은 상등액 분획에 대해 이후에 기록된 절차에 따라 별도로 또는 상등액과 함께 처리될 수 있다. 수혼화성 용매가 균사체 추출액으로부터 항생제를 회수하기 위한 조작을 저해할 수 있는 경우, 수혼화성 용매는 증류에 의해 제거될 수 있거나, 물로 비-저해 농도로 희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혼화성 용매"는 본 용어의 기술 분야에서 현재 제시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되고, 사용 조건에서, 합당하게 넓은 농도 범위에서 물과 혼화성인 용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출에 사용할 수 있는 수혼화성 유기 용매의 예로는 저급 알칸올, 예를 들어 (C1-C3) 알칸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 페닐 (C1-C3) 알칸올, 예를 들어, 벤질 알콜; 저급 케톤, 예를 들어 (C3-C4)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틸 메틸 케톤; 시클릭 에테르, 예를 들어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글리콜 및 그들의 부분 에테르화 생성물,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저급 아미드,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에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디메틸술폭시드 및 아세토니트릴이 있다.
생산 미생물의 브로쓰의 상등액으로부터 화합물의 회수는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비-용매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용액의 pH를 변화시킴으로써 침전,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또는 2 이상의 상기 기술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체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여과된 발효 브로쓰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회수하기 위한 절차는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항생제 107891의 추출 후, 가능하게는 침전제를 첨가함으로써 농축된 추출물로부터의 침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경우에,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불혼화성"은 상기 용어에 대해 당업계에서 현재 제시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되고, 사용 조건에서, 의도된 용도에 적합한 합당하게 넓은 농도 범위에서 물과 약간 혼화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혼화성인 용매를 나타낸다.
발효 브로쓰로부터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출에 사용할 수 있는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의 예로는 선형, 분지쇄 또는 환식일 수 있는 탄소 원자 4개 이상의 알칸올, 예를 들어 n-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3-디메틸-1-부탄올, 4-메틸-1-펜탄올, 3-메틸-1-펜탄올, 2,2-디메틸-3-펜탄올, 2,4-디메틸-3-펜탄올, 4,4-디메틸-2-펜탄올, 5-메틸-2-헥산올, 1-헵탄올, 2-헵탄올, 5-메틸-1-헥산올, 2-에틸-1-헥산올, 2-메틸-3-헥산올, 1-옥탄올, 2-옥탄올, 시클로펜탄올, 2-시클로펜틸에탄올, 3-시클로펜틸-1-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시클로헵탄올, 시클로옥탄올, 2,3-디메틸-시클로헥산올, 4-에틸시클로헥산올, 시클로옥틸메탄올, 6-메틸-5-헵텐-2-올, 1-노난올, 2-노난올, 1-데칸올, 2-데칸올, 및 3-데칸올; 적어도 5 탄소 원자의 케톤, 예를 들어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n-아밀케톤, 메틸이소아밀케톤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여과된 발효 브로쓰로부터의 생성물 추출은 pH를 적절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및(또는) 추출 용매에 가용성인 항생제와 이온쌍을 형성하는 적합한 유기염을 첨가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 분리는 수성상에 염을 첨가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추출 후, 상당량의 물을 함유하는 유기상이 회수되면, 그로부터 물을 공비 증류시키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과 최소 공비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용매를 첨가한 후, 필요한 경우 목적하는 생성물을 침전시키기 위해 침전제의 첨가가 요구된다. 물과 최소 공비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n-부탄올, 벤젠, 톨루엔, 부틸 에테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2,5-디메틸푸란, 헥산, 및 m-크실렌이 있고; 바람직한 용매는 n-부탄올이다.
침전제의 예로는 석유 에테르, 저급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 에테르, 프로필 에테르, 및 부틸 에테르, 및 저급 알킬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이 있다.
항생제 107891을 회수하기 위한 바람직한 절차에 따라, 여과된 발효 브로쓰를 흡착 매트릭스와 접촉시킨 후, 극성 수혼화성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로 용출시키고, 감압 하에 유성 잔류물로 농축시키고, 상기 이미 언급된 종류의 침전제를 사용하여 침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회수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흡착 매트릭스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또는 혼합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수지 (예를 들어, M112 또는 S112, 다우 케미칼 컴퍼니. (Dow Chemical Co.); Amberlite(등록상표) XAD2 또는 XAD4, 롬 앤 하스 (Rohm & Haas); Diaion HP 20, (미쯔비시 (Mitsubishi)), 아크릴 수지 (예를 들어, XAD7 또는 XAD8, 롬 앤 하스),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탐, 나일론 및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CC 6, 폴리아미드-SC 6, 폴리아미드-CC 6.6, 폴리아미드-CC 6AC 및 폴리아미드-SC 6AC, 매커레이-나겔 앤 코. (Macherey-Nagel & Co., 독일); PA 400, 엠. 보엘름 아게 (M. Woelm AG, 독일));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PVP-CL (알드리치 케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Aldrich Chemie GmbH & Co., KG, 독일)) 및 제어된 기공의 가교결합된 덱스트란 (예를 들어, Sephadex(등록상표) LH-20, 파마시아 파인 케미칼스, 아베 (Pharmacia Fine Chemicals, AB))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수지가 사용되고, Diaion HP 20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의 경우, 바람직한 용리액은 수혼화성 용매 또는 그의 수성 혼합물이다. 수성 혼합물은 적절한 pH 값의 버퍼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경우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혼화성 용매"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용어에 대해 당업계에 현재 제시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항생제의 단리 및 정제를 위한 연속적인 절차는 브로쓰 상등액으로부터 및 균사체로부터 모아진 추출물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된 발효 브로쓰 또는 상등액 내에 함유된 항생제의 부분은 흡수 수지 상의 흡수에 의해 회수되고, 균사체 내에 함유된 항생제 생성물의 부분은 수혼화성 용매를 사용하여 그로부터 추출된 후 흡수 수지 상에 흡착될 때, 각각의 2가지 세트의 흡수 수지로부터의 용출된 분획을 합하고, 임의로 농축한 후, 하나의 수확물로서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별개의 추출 단계에 사용된 2가지 세트의 흡수 수지가 동일한 종류의 것이고 동일한 기능적 특징을 가지면, 이들은 함께 모아질 수 있고, 혼합물은 예를 들어 수혼화성 용매 또는 물과 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하나의 용출 단계로 보내질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조질 항생제 107891을 회수하기 위해 어떠한 절차가 채용될 수 있더라도, 별개의 추출 단계의 생성물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조질 물질의 혼합물에 대해 연속적인 정제 단계가 보통 수행된다.
조질 항생제 107891의 정제는 자체가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절차에 의해 수행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절차의 예는 회수 단계와 관련하여 보고된 것이고, 또한 실리카겔, 알루미나, 활성화 규산마그네슘 등과 같은 정지상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다양한 기능적 유도체화를 갖는 실란처리 실리카겔 상의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및 수혼화성 용매 또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수혼화성 용매의 수성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지상으로서 RP-8 또는 RP-18, 및 용출 시스템으로서 HCOONH4 버퍼:CH3CN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예비 HPLC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할 수 있다.
정제 단계로부터 회수된 활성 분획들은 함께 모아지고, 진공 하에 농축되고, 상기 언급된 종류의 침전제를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단일 또는 반복 라운드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다. 생성물이 잔류량의 포름산암모늄 또는 다른 완충 염을 함유하는 경우에, 이들은 고체상 추출 칼럼, 예를 들어 역상 수지 칼럼, 예를 들어 SPE Superclean LCP18 Supelco (미국 펜실배니아주 벨레폰테) 상에서 항생제 107891을 흡수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적절한 수성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에탄올:물을 사용하여 용출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용출 용매를 제거하여 항생제를 회수한다.
따라서, 정제된 항생제 107891 복합체 건조 제제는 백색 분말로서 얻어진다. 당업계에 일반적인 바와 같이, 생산과 회수 및 정제 단계는 감수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 분석 및 HPLC 또는 질량 분광학과 결합된 HPLC를 사용하는 분석적 제어를 포함한 다양한 분석 절차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석적 HPLC 기술은 1 ml/min 유속 및 50℃ 온도에서 용출된 칼럼 Waters Simmetry-shield RP8, 5μ (250 x 4.6 mm)이 장치된 Waters 기기 (워터스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Chromathography, 미국 매사추세츠주 밀포드) 상에서 수행된다.
용출은 다단계 프로그램: 시간=0 (30% B상); 시간=8 min (30% B상); 시간=28 min (40% B상)을 이용하였다. A상은 아세토니트릴:10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5.0) 5:95 (v/v)이고, B상은 아세토니트릴이었다. UV 검출기는 282 nm이었다.
칼럼으로부터의 용출액을 5:95 비로 나누고, 대부분 (약 950 ㎕/min)을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로 보냈다. 나머지 50 ㎕/min을 Finnigan LCQ 이온 트랩 질량 분광기 (써모퀘스트, 피니간 매트 (Thermoquest, Finnigan MAT,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 호세))의 ESI 인터페이스에 보냈다.
질량 분광학 분석을 다음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샘플 도입 조건:
Sheat 기체 (N2) 60 psi;
Aux 기체 (N2) 5 psi;
모세관 가열기 250℃;
샘플 도입 전압 세팅:
극성 양성 및 음성 모두;
이온 분무 전압 +/- 5 kV;
모세관 전압 +/- 19V;
스캔 조건: 최대 이온 시간 200 ms;
이온 시간 5 ms;
전체 마이크로 스캔 (full micro scan) 3;
세그먼트 (segment): 지속시간 30 min, 스캔 사건 양성 (150-2000 m/z) 및 음성 (150-2000 m/z).
상기 분석적 HPLC 조건에서,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는 체류 시간이 각각 13.2 min 및 13.9 min이었다. 동일한 HPLC 시스템에서, 라모플라닌 (ramoplanin) A2 팩터 (L. Gastaldo, R. Ciabatti, F. Assi, E. Restelli, J.K. Kettenring, L.F. Zerilli, G. Romano, M. Denaro and B. Cavalleri, (1992): "Isol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A-16686 Factors A'1, A'2 and A'3 glycolipodepsipeptide antibiotics", J. Ind. Microbiol. 11: 13-18)는 체류 시간 7.5 min으로 용출되었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는 예비 HPLC에 의해 항생제 107891 복합체의 정제된 샘플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팩터 A1은 3.5 ml 유속으로 30% 내지 45%의 B상의 25분 직선 구배 용출을 이용하여 Symmetry Prep. C18 칼럼 상에서 DMSO:포름산 95:5 (v/v)에 용해시킨 정제된 항생제 107891 복합체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하였다.
B상은 아세토니트릴이었다. A상은 25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5:아세토니트릴 95:5 (v/v)이었다. 순수 항생제 107891 팩터 A1을 함유하는 용출된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순수 팩터 A1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팩터 A2는 Symmetry Prep. C18 칼럼 상에서 등용매 (isocratic) 용출에 의해 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10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 50:120:80 (v/v) 혼합물에 용해시킨 정제된 항생제 107891 복합체의 샘플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하였다. 등용매 용출은 혼합물 10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아세토니트릴의 비율 82.5:17.5 (v/v)을 사용하여 7 ml 유속으로 수행하였다. 순수 항생제 107891 팩터 A2를 함유하는 용출된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순수 팩터 A2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2-메톡시에탄올 (MCS):H2O 12:3 (v/v)에서 산/염기 적정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는 염기성 기능을 함유하므로,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적합한 산과 염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유리 염기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는 유리 염기형으로 수득될 때 산을 사용하여 무독성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적합한 염은 유기산 및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팔미트산, 콜린산, 파모인산, 뮤신산, 글루탐산, 캄포르산, 글루타르산, 글리콜산, 프탈산, 타르타르산,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살리실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소르빈산, 피크린산, 벤조산, 신남산 등의 산과의 표준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의 산 부가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유리 염기형의 항생제 107891 또는 그의 팩터 A1 또는 그의 팩터 A2를 최소량의 적합한 용매, 일반적으로 저급 알칸올, 또는 저급 알칸올/물 혼합물 내로 용해시키고, 화학양론적 양의 적합한 선택된 산을 수득된 용액에 점차 첨가하고, 수득된 염을 비-용매의 첨가에 의해 침전시킨다. 이어서, 형성하는 부가염을 용매의 여과 또는 증발에 의해 회수한다.
별법으로, 상기 염은 동결건조를 통해 실질적으로 무수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 항생제 107891 또는 그의 팩터 A1 또는 그의 팩터 A2와 휘발성 산과의 염을 적합한 양의 비-휘발성 산으로 용해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임의의 불용물로부터 여과하고, 단일 또는 반복 라운드로 동결건조시킨다.
목적하는 염이 적절한 음이온의 첨가시 침전하는 경우, 항생제 107891 또는 그의 팩터 A1 또는 그의 팩터 A2의 다른 염 형태의 용액으로부터 특정한 부가염을 또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염 화합물을 대응하는 부가염으로 변환시키고, 그 반대,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부가염을 비-염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 내에 있고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의 염의 형성은 상기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의 분리, 정제, 및 치료제 또는 동물 성장 촉진제로서 이들의 사용을 포함하는 몇몇 목적을 위해 수행할 수 있다. 치료 목적에서,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이 보통 사용된다.
용어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은 온혈 동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무독성 염을 의미한다.
항생제 107891 복합체, 그의 팩터 A1 및 A2 및 상기 팩터들의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은 그 자체로 또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와의 혼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및 글리코펩티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치료는 첫번째 투여된 약물의 치료 효과가 후속 약물이 투여될 때 전적으로 사라지지 않는 방식으로 활성 화합물의 순차, 동시 및 별개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부가염은 비경구, 경구 또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시킬 수 있다. 항생제에 감수성인 미생물을 포함한 임의의 감염증의 치료에서 i.v. 투여를 위하여, 비경구 제형은 예를 들어 적절한 가용화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폴리에톡실화 캐스터유)와 함께 물에 존재하는 제형, 또는 주사용 멸균수 중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인지질 기반 제형이다. 주사가능 제형은 또한 적절한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항생제 107891 복합체, 그의 팩터 A1 및 A2 및 상기 팩터들의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은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캡슐제, 정제 또는 수성 현탁액제, 또는 국소 투여를 위한 통상적인 크림 또는 젤리와 같은 적합한 제약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간 및 수의학 치료에서 의약으로서의 용도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동물 성장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합한 사료 중에서 경구 투여한다. 사용되는 정확한 농도는 정상적인 양의 사료가 소비될 때 활성제를 성장 촉진 유효량으로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농도이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동물 사료에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유효량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절한 사료 프리믹스 (premix)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믹스를 완전배합 사료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중간 농축물 또는 사료 보충물을 사료 내로 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사료 프리믹스 및 완전배합 사료가 제조되고 투여될 수 있는 방식은 참조 문헌 (예를 들어, ["Applied Animal Nutrition", W.H. Freedman and CO., S. Francisco, U.S.A., 1969] 또는 ["Livestock Feeds and Feeding" 0 and B books, Corvallis, Ore., U.S.A., 1977])에 설명되어 있다.
항생제 107891의 물리화학적 특징
A) 질량 분광학:
Thermofinnigan 검정 혼합물을 사용하는,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Thermofinnigan LCQ deca 기기 상의 MS 실험에서, 항생제 107891은 각각 복합체 팩터 A1 및 A2의 최저 동위원소 조성에 대응하는 m/z=1124 및 m/z 1116에서 2개의 이중 양성자화 이온을 제공한다. 전기분무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무 전압: 4.7 kV; 모세관 온도: 220℃; 모세관 전압: 3 V; 주입 방식 10 ㎕/min.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를 갖는 메탄올/물 80/20 (v/v) 중의 0.2 mg/ml 용액으로부터 스펙트럼을 기록하였고, 도 1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 및 도 1B (줌 (zoom)-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에 보고한다.
B)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3263; 2929; 1661; 1533; 1402; 1114; 1026 (cm-1)에서 최대 흡수를 보인다. 적외선 스펙트럼을 도 2에 보고한다. 1631, 1596 및 1346에서 흡수 밴드는 잔류량의 포름산암모늄에 기인한다.
C)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비) 내에서 수행된 항생제 107891의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 (shoulder)를 나타낸다. UV 스펙트럼을 도 3에 보고한다.
D) 1H-NMR 스펙트럼은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물 억제 시퀀스 (sequence)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하였다. 내부 표준으로 3.31 ppm에서 나타나는 메탄올-d4의 잔류 시그널을 고려하였다.
항생제 107891의 1H-NMR 스펙트럼을 도 4에 보고한다. 메탄올-d4:H2O (0.01N HCl) 40:10 (v/v)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의 1H-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MeOH-d4를 내부 표준 (3.31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다중도; (속성)]: 0.93 d (CH3), 0.98 d (CH3), 1.07 t (겹친 CH3), 1.18 t (겹친 CH3), 1.26 s (CH3), 1.30 t (겹친 CH3), 1.62-1.74 m (CH2), 1.78 d (CH3), 1.80 d (CH3), 2.03 m (CH2), 2.24 m (CH), 2.36 m (CH2), 2.72 - 3.8 m (펩티드 알파 CH), 3.8 - 5.2 m (펩티드 알파 CH), 5.53 - 6.08 s (CH2), 5.62 d (CH 이중 결합), 6.42 m (CH), 6.92 d (CH 이중 결합), 7.0 - 7.55 m (방향족 CH), 7.62 - 10.4 d 및 m (방향족 및 펩티드 NH).
E) 13C-NMR 스펙트럼은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내부 표준으로 49.15 ppm에서 나타나는 메탄올-d4의 잔류 시그널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항생제 107891의 13C-NMR 스펙트럼 (bb 디커플링된 (decoupled))을 도 5에 보고한다.
메탄올-d4:H2O (0.01 N HCl) 40:10 (v/v)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의 13C-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MeOH-d4를 내부 표준 (49.15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속성)]: 13.6 - 23.2 (지방족 CH3), 26.16 - 73 (지방족 CH2 및 펩티드 알파 CH), 105 - 136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4.3 - 176.3 (펩티드 카르보닐).
F) 항생제 107891 복합체를 몰 과량의 0.01 M 염산을 함유하는 2-메톡시에탄올 (MCS):H2O 12:3 (v/v)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0.01 N 수산화칼륨의 용액으로 역적정하였다. 생성되는 적정 곡선은 하나의 염기성 이온화가능 기능을 보였다.
항생제 107891 및 그의 팩터 A1 및 A2의 아미노산 조성
A) 항생제 107891 복합체에서 "산 내성" 아미노산의 결정
항생제 107891을 완전 산 가수분해 (HCl 6N, 105℃, 24h)시키고, 산 처리에 내성인 항생제의 아미노산 성분을 확인하였다. 산 불안정성 아미노산은 본 방법에서 검출가능하지 않다. 가수분해물을 적합한 유도체화 후 HPLC-MS 및 GC-MS 분석에 의해 유사하게 유도체화된 표준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해, 가수분해된 샘플을 6-아미노퀴놀릴-N-히드록시숙신이미딜 카르바메이트 (AccQ-Tag™ Fluor 시약 키트)로 처리하고, GC 분석을 위해 무수 메탄올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중 3N HCl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정성적 HPLC 분석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상에서 동시 DAD 및 MS 검출과 함께 수행하였다.
HPLC 방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AccQ-Tag™ (Waters C18 NovoPak 4 ㎛ 3.9 x 150 mm)
칼럼 온도: 37℃
유속: 1 mL/min.
A상: 아세트산암모늄 14O mM pH 5 (아세트산)
B상: 물:아세토니트릴 60:40 (v/v)
용출 프로그램
시간 (min.) 0 5 30 35 40 41
%B 5 5 80 95 95 5
UV 검출: 254 nm
MS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분광기: 표준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Finnigan LCQ Deca.
모세관 온도: 250℃
소스 전압: 4.70 KV
소스 전류: 80 μA
모세관 전압: -15V
정성적 GC 분석을 MS-EI 검출이 갖춰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수행하였다.
GC 방법은 다음 조건을 가졌다:
칼럼: J & W Scientific DB-5, 30 m x 0.254 mm ID x 0.25 ㎛ FT
캐리어 기체: 헬륨
주입 방식: 비분할 (splitless)
주입기 온도: 200℃
이송 라인 온도: 300℃
온도 프로그램: 2.5℃/min로 50℃에서 100℃로 (10 min), 10℃/min로 100℃에서 250℃로 (15 min), 250℃에서 15 min.
주입 부피: 1 ㎕
MS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분광기: Finnigan TSQ700
이온화 방식: 전자 충돌
전압 세팅:
필라멘트 전류: 400 mA
전자 증배관 (multiplier): 1400 V
전자 에너지: 70 eV
양이온 모드
스캔 조건:
스캔 범위: 40-650 amu
스캔 시간: 1 sec
항생제 107891의 가수분해물에서 얻어진 LC/MS 및 GC/MS 크로마토그램에서, 다음 아미노산이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확인되었다: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이는 NMR 연구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아스파르트산을 생성하는 아스파라긴의 변환 생성물인 것으로 나타남), 페닐알라닌 및 류신.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를 복합체에 대해서와 동일한 조건 (유도체화 및 HPLC-MS)으로 완전 산 가수분해시켰다. GC-MS 분석을 PTV 주입기가 장치된 Thermo Finnigan Trace GC-MS 기기 상에서 수행하였다.
GC 방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Restek RTX-5MS, 15 m x 0.25 mm ID x 0.25 ㎛ FT
캐리어 기체: 헬륨
인터페이스 온도: 250℃
온도 프로그램: 50℃에서 1.5 min, 20℃/min로 5O℃에서 100℃로, 100℃에서 1 min, 20℃/min로 100℃에서 135℃로, 135℃에서 1 min, 20℃/min로 135℃에서 250℃로, 250℃에서 1 min.
주입 부피: 1 ㎕
주입기: 비분할 모드, 기부 온도 5O℃, 이송 온도 280℃, 이송 속도 14.5℃/min
MS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이온화 방식: 전자 충돌
전압 세팅:
필라멘트 전류: 149 μA
전자 증배관: 200 V
전자 에너지: 70 eV
양이온 모드:
스캔 조건:
스캔 범위: 33-500 amu
스캔 시간: 0.6 sec
항생제 107891의 팩터 A1의 가수분해물에서, HPLC/MS 및 GC/MS 크로마토그램은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다음 아미노산의 존재를 보여주었다: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이는 NMR 연구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아스파르트산을 생성하는 아스파라긴의 변환 생성물인 것으로 나타남), 페닐알라닌 및 류신.
팩터 A2에 대해 수행된 상기 절차는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다음 아미노산의 존재를 밝혔다: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이는 NMR 연구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아스파르트산을 생성하는 아스파라긴의 변환 생성물인 것으로 나타남), 페닐알라닌 및 류신.
B) 항생제 107891 복합체 및 그의 팩터 A1 및 팩터 A2 내 5-클로로트립토판의 결정.
정제된 107891 복합체 및 그의 단일 팩터 A1 및 A2의 완전 가수분해를 문헌 [Simpson RJ, Neuberger MR, Liu TY, "Complete Aminoacid Analysis of Proteins from a Single Hydrolysate". Journal Biol. Chem (United States), April 10, 1976, 251 (7), 1936-4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기 가수분해 절차는 광물산 소화 동안 보통 불안정한 아미노산의 분해를 방지하여, 펩티드의 가수분해물로부터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이들 아미노산의 결정을 허용한다. 5-클로로-DL-트립토판의 표준 샘플은 바이오신트 아게 (Biosynt AG, 스위스 스타아트)로부터 구입하고, 그의 구조를 NMR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고; DL-트립토판은 머크 (Merck KGaA, 독일 담슈타트)로부터 구입하였다.
팩터 A1 (1.5 mg)을 가수분해를 위한 촉매로서 0.2% (w/v) 3-(2-아미노에틸)인돌을 함유하는 0.6 ml의 4N 메탄술폰산에 현탁시켰다. 가수분해를 115℃에서 16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어서, 가수분해물을 5N NaOH로 중화시키고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시켰다. 상기 용액 100 ㎕을 LC-MS로 분석하였다. 분리는 Symmetry C18 (5 ㎛) 3.9 x 20 mm 예비칼럼이 장치된 Symmetry C18 (5 ㎛) 4.6 x 250 mm 칼럼 (워터스 컴퍼니 (Waters Co.)) 상에서 수행하였다. 용출은 1 ml/min 유속에서 0% 내지 50%의 B상의 25 min. 선형 구배로 수행하였다. A상은 25 mM HCOONH4 버퍼 pH 4.5:CH3CN 95:5 (v/v)이고, B상은 CH3CN이었다. UV 검출은 280 nm에서 수행하였다. HPLC 장치는 Finnigan LCQ 이온 트랩 질량 분광기 (써모퀘스트, 피니간 매트)과 결합시켰다. 50 ㎕/min의 칼럼으로부터의 용출액을 LCQ 질량 분광기의 전기분무 이온화 (ESI) 인터페이스로 보냈다. MS 분석을 다음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샘플 도입: shear 기체 (N2) 60 psi; 모세관 가열기 210℃; 샘플 도입 전압 극성: 양성 및 음성 모두; 이온 분무 전압 +/-4.5 KV; 모세관 전압 +/-21 V; 스캔 조건: 최대 이온 시간 50 ms; 전체 마이크로 스캔 3.
트립토판 및 5-클로로트립토판의 표준품은 각각 m/z 205 및 239에서 M+H+에 대응하는 체류 시간 8.1분 및 11.5분에서 용출되었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가수분해물에서, 11.5분에서 m/z 238.97인 피크의 존재는 5-클로로트립토판의 존재를 나타낸다.
표준품 트립토판은 검출 한계 0.3 ㎍/ml로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으로 검출가능하였다. 이 값은 시험된 항생제 샘플 내에 상기 아미노산의 존재를 나타낼 값보다 더 낮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가수분해물의 크로마토그램에서 상기 한계 내에서 트립토판은 검출되지 않았다. 팩터 A2의 가수분해물 및 항생제 107891 복합체의 정제된 샘플의 가수분해물의 LC-MS 분석으로부터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의 질량 분광학
항생제 107891 팩터 A1은 m/z 1124에서, 팩터 A2는 m/z 1116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을 제공하고, 이는 Thermofinnigan 검정 혼합물을 사용하는,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Thermofinnigan LCQ deca 기기 상의 MS 실험에서 최저 동위원소 조성에 상응한다. 전기분무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무 전압: 4.7 kV; 모세관 온도: 250℃; 모세관 전압: 8 V; 주입 방식 10 ㎕/min. 아세트산 0.5%를 갖는 아세토니트릴:물 50:50 (v/v) 중 0.1 mg/ml 용액으로부터 스펙트럼을 기록하고, 도 6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와 도 6B (줌-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 및 도 7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와 도 7B (줌-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에 보고한다.
항생제 팩터 A1 및 팩터 A2의 정확한 질량은 전기분무 소스가 갖춰진 Bruker Daltonics APEX II, 4.7 Tesla 분광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상기 데이타에 기초하여, 팩터 A1은 고분해능 ESI-FTMS에 의해 결정된 분자량 2246.71±0.06 (m/z 1124.36124에서 [M+2H]2+로부터 계산된 모노이소토픽 (monoisotopic) 질량 (정확도 30 ppm))에 지정된다. 팩터 A2는 고분해능 ESI-FTMS에 의해 결정된 분자량 2230.71±0.06 (m/z 1116.36260에서 [M+2H]2+로부터 계산된 모노이소토픽 질량 (정확도 30 ppm))에 지정된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를 항생제 MF- BA -1768α 1 및 MF- BA -1768β 1 과 비교
A) US 6,551,591 B1에 설명된 미크로비스포라 코랄리나 NNRL 30420 (MF-BA-1768)를 NNRL 컬렉션으로부터 입수하였다. 탐구 실험에서, 엠. 코랄리나 NNRL 30420 (MF-BA-1768) 균주를 얼렌마이어 플라스크 내에서 US 6,551,591 B1에 기재된 조건으로 발효시켰다. 수확된 브로쓰를 메탄올로 희석하여 추출하였다. 균사체의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HP20 폴리스티렌계 흡수 수지 상에 로딩하고, 메탄올:물 70:30 혼합물로 용출시키고, 이를 적은 부피로 감소시킨 다음 동결건조시켰다.
크로마토그램에서, 2개의 피크는 각각 MF-BA-1768β1 및 MF-BA-1768α1에 대해 US 6,551,581 B1에 보고된 [M+2H]2+에 대응하는 1091 및 1108 [M+2H]2+ 시그널을 보였다. 이어서, 상기 추출물을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LC-MS로 분석하였다. 항생제 MF-BA-1768β1 및 MF-BA-1768α1과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의 피크는 별개의 체류 시간 및 별개의 [M+2H]2+ MS 토막 (fragment)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B) 추가의 실험에서, 미크로비스포라 종 균주 NRRL 30420 (MF-BA-1768)의 30 리터 탱크 발효를 수행하고, 수확된 브로쓰를 US 6,551,591 B1의 설명에 따라 처리하였다. 순차적으로 HP20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 CC 6 0.1-0.3 mm (매커레이-나겔) 수지 상의 정제 단계 후, 2개의 각각의 물질을 다음 다단계 프로그램으로 유속 27 ml/min에서 용출시킨 μ10 입자 크기 C18 Phenomenex (미국 캘리포니아주 토랜스) Luna (250x12.2 mm) 칼럼 상의 예비 HPLC에 의해 순수한 형태로 얻었다: 시간=0 min (32%의 B상); 시간=8 min (32%의 B상); 시간=20 min (36%의 B상): 시간=32 min (90% B상). A상은 물 중 포름산 0.05% (v/v)이고, B상은 CH3CN이었다.
상기 물질은 표 IV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도상구균 (staphylococci) 및 장구균 (enterococci)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LC-MS 실험에서, 2가지 물질은 미국 특허 6,551,591 B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항생제 MF-BA-1768α1 및 MF-BA-1768β1에 대응하는 [M+2H]++ 이중 양성자화 이온 시그널을 보였다.
균주 MIC (㎍/ml)
MF-BA- 1768α1 MF-BA- 1768β1 107891 A1 107891 A2 107891 복합체
1400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임상 단리물 Met r 0.13 0.5 0.13 0.13 0.13
568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Enterococcus faecium) 임상 단리물 4 16 1 2 2
569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임상 단리물 Van A 4 8 1 2 2
559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임상 단리물 4 8 1 2 1
560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임상 단리물 Van A 4 8 0.5 1 0.5
항미생물 시험의 실험 조건은 하기 표 VI에 보고된 시험에 대해 사용된 조건과 동일하였다.
단리된 항생제 MF-BA-1768α1 및 MF-BA-1768β1의 LC-MS 분석을 Symmetry C18 (5 :m) 3.9 x 20 mm 예비칼럼이 장치된 Symmetry C18 (5 :m) 4.6 x 250 mm 칼럼 (워터스) 상에서 수행하였다 (둘 모두 50℃ 온도에서 오븐 내에 유지시킴). 용출을 1 ml/min 유속에서 다음 다단계 용출 프로그램으로 수행하였다: 시간=0 min (30% B상): 시간=8 min (30% B상): 시간=20 min (45% B상): 시간=24 min (90% B상): 및 시간=28 min (90% B상). A상은 25 mM HCOONH4 버퍼 pH 4.5:CH3CN 95:5 (v/v)이고, B상은 CH3CN이었다. HPLC 장치는 Finnigan LCQ 이온 트랩 질량 분광기 (써모퀘스트, 피니간 매트)와 결합시켰다. 칼럼으로부터 용출액 100 ㎕/min을 LCQ 질량 분광기의 ESI 인터페이스로 보냈다. MS 분석을 다음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샘플 도입: sheat 기체 유동 (N2) 25 psi, aux 기체 유동 5 psi: 모세관 가열기: 21O℃; 샘플 도입 전압 극성 양성 및 음성 모두; 이온 분무 전압: +/- 4.75 KV; 모세관 전압: +/- 12 V; 스캔 조건: 최대 이온 시간 50 ms; 전체 마이크로 스캔 3.
개별 항생제 팩터 MF-BA-1768α1 및 MF-BA-1768β1과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를 개별적으로 및 혼합물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 V에 요약한다.
체류 시간 (min) [M+2H]2+
MF-BA-1768β1 12.86 1091
항생제 107891 A1 16.3 1124
항생제 107891 A2 16.81 1116
MF-BA-1768α1 18.1 1108
동일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에서, 라모플라닌 팩터 A2 (L. Gastaldo, R. Ciabatti, F. Assi, E. Restelli, J.K. Kettenring, L.F. Zerilli, G. Romano, M. Denaro and B. Cavalleri, (1992): "Isol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A-16686 Factors A'1, A'2 and A'3 glycolipodepsipeptide antibiotics", J. Ind. Microbiol. 11: 13-18)는 11.00 min 체류 시간으로 용출되었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의 NMR 분광학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의 1H-NMR 스펙트럼은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물 억제 시퀀스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하였다. 내부 표준으로 1.94 ppm에서 나타나는 아세토니트릴-d3의 잔류 시그널을 고려하였다.
A)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H-NMR 스펙트럼을 도 8에 보고한다.
CD3CN:D2O (1:1)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H-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CD3CN을 내부 표준 (1.94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다중도; (속성)]: 0.84 d (CH3), 0.89 d (CH3), 0.94 t (겹친 CH3), 1.1 d (CH3), 1.13 d (CH3), 1.15 t (겹친 CH3), 1.49 m (CH2), 1.69 d (CH3), 1.75 m (CH2), 2.11 m (CH), 2.26 m (CH), 2.5 m (CH2), 2.68 - 3.8 m (펩티드 CHβ), 3.8 - 5.0 m (펩티드 CHα), 5.45 - 6.17 s (CH2), 5.58 d (CH 이중 결합), 6.36 m (CH), 6.86 d (CH 이중 결합), 7.0 - 7.45 m (방향족 CH). 디메틸 술폭시드 시그널은 2.58 ppm에서 존재하고, 포르메이트 시그널은 또한 불순물로서 8.33 ppm에서 존재한다.
B)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H-NMR 스펙트럼 (bb 디커플링된)을 도 9에 보고한다.
CD3CN:D2O (1:1)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H-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CD3CN을 내부 표준 (1.94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다중도; (속성)]: 0.84 d (CH3), 0.88 d (CH3), 0.94 d (CH3), 1.06 d (CH3), 1.14 d (CH3), 1.48 m (CH2), 1.65 - 1.75 m (CH2), 1.67 d (CH3), 2.15 m (CH), 2.25 m (CH), 2.5 m (CH2), 2.77 - 3.8 m (펩티드 CHβ), 3.8 - 4.9 m (펩티드 CHα), 5.45 - 6.14 s (CH2), 5.59 d (CH 이중 결합), 6.34 m (CH), 6.84 d (CH 이중 결합), 7.0 - 7.42 m (방향족 CH). 디메틸 술폭시드 시그널은 2.58 ppm에서 존재하고, 포르메이트 시그널은 또한 불순물로서 8.32 ppm에서 존재한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의 13C-NMR 스펙트럼은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내부 표준으로 1.39 ppm에서 나타나는 아세토니트릴-d3의 잔류 시그널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C)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 10에 나타낸다. CD3CN:D2O (1:1)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3C-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CD3CN을 내부 표준 (1.39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속성)]: 13.6 - 23.03 (지방족 CH3), 25.69 - 77.9 (지방족 CH2 및 펩티드 CHα), 105 - 137.3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5.6 - 176.6 (펩티드 카르보닐).
D)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3C-NMR 스펙트럼 (bb 디커플링된)을 도 11에 나타낸다.
CD3CN:D2O (1:1)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3C-NMR 스펙트럼은 600 MHz에서 CD3CN을 내부 표준 (1.39 ppm)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낸다 [δ=ppm; (속성)]: 13.6 - 22.9 (지방족 CH3), 25.65 - 73 (지방족 CH2 및 펩티드 CHα), 105 - 137.3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5.7 - 176.1 (펩티드 카르보닐).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팩터 A2의 UV 및 I.R. 스펙트럼.
A)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3294; 3059; 2926; 1661; 1529; 1433; 1407; 1287; 1114; 1021 (cm-1)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낸다. 적외선 스펙트럼을 도 12에 보고한다.
B)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v/v) 내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를 나타낸다. U.V. 스펙트럼을 도 13에 보고한다.
C)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3296; 3060; 2928; 1661; 1529; 1433; 1407; 1288; 1116 (cm-1)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낸다. 적외선 스펙트럼을 도 14에 보고한다.
D)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v/v) 내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를 나타낸다. U.V. 스펙트럼을 도 15에 보고한다.
상기 기록된 물리화학적 데이타에 기초하여, 다음 구조식이 항생제 107891에 지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7484368-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F, Cl, Br, I)이고,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H, OH, 알킬 (분지 또는 비분지형, 치환 또는 비치환형), 또는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형)일 수 있다.
별도의 실시태양에서, R1, R2, R3, 및 R4는 H 또는 OH일 수 있다. 따라서, R1, R2, R3, 및 R4의 가능한 조합은 다음을 포함한다.
R1 R2 R3 R4
H H H H
OH H H H
H OH H H
H H OH H
H H H OH
OH OH H H
OH H OH H
OH H H OH
H OH OH H
H H OH OH
H OH H OH
OH OH OH H
OH OH H OH
OH H OH OH
H OH OH OH
OH OH OH OH
유사하게, R5, R6, R7, 및 R8은 H 또는 OH일 수 있다. 따라서, R5, R6, R7, 및 R8의 가능한 조합은 다음을 포함한다.
R5 R6 R7 R8
H H H H
OH H H H
H OH H H
H H OH H
H H H OH
OH OH H H
OH H OH H
OH H H OH
H OH OH H
H H OH OH
H OH H OH
OH OH OH H
OH OH H OH
OH H OH OH
H OH OH OH
OH OH OH OH
또한, 상기 기록된 물리화학적 데이타에 기초하여, 다음 구조식이 항생제 107891 팩터 A1에 지정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식에서 X는 Cl이고, R1은 OH이고, R2는 OH이고, R3은 H이고, R4, R5, R6, R7, 및 R8은 H인 것이며, 이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그의 염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Figure 112008068225285-pct00027

추가로, 상기 기록된 물리화학적 데이타에 기초하여, 다음 구조식이 항생제 107891 팩터 A2에 지정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식에서 X는 Cl이고, R1은 H이고, R2는 OH이고, R3은 H이고, R4, R5, R6, R7, 및 R8은 H인 것이며, 이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그의 염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삭제
Figure 112008068225285-pct00028
항생제 107891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
항생제 107891의 항미생물 활성은 문헌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commendations (NCCLS, document M7-A5)]에 따라 브로쓰 미량희석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된 균주는 임상 단리물 또는 ATCC로부터의 균주였다. 시험의 결과를 표 VI 및 표 VII에 기록한다.
항생제 107891을 DMSO에 용해시켜 1000 ㎍/ml 원액을 얻고, 후속적으로 물에 희석시켜 작업 용액을 얻었다. 사용된 배지는 포도상구균, 엠. 카타랄리스 (M. catarrhalis), 장구균 및 엘. 모노사이토제네스 (L. monocytogenes)에 대해 양이온-조정 Mueller Hinton 브로쓰 (CAMHB); 연쇄구균 (Streptococci)에 대해 Todd Hewitt 브로쓰 (THB); 나이세리아 (Neisseria) 종에 대해 GC 배지 + 1% 이소비타렉스 + 1% 해민; 에이치. 인플루엔자에 (H. influenzae)에 대해 Brain Heart Infusion + 1% C 보충물; 유산간균 (Lactobacilli)에 대해 락토바실루스 브로쓰; 엠. 스메그마티스 (M. smegmatis)에 대해 Middlebrook OADC 농축물을 갖는 Middlebrook 7H9; 씨. 알비칸스 (C. albicans)에 대해 RPMI 1640 배지; 클로스트리디아 (Clostridia)에 대해 Wilkins Chalgren 브로쓰 + 옥시라제 (1:25 v/v); 프로피오니박테리아 (Propionibacteria)에 대해 시스테인 (0.5 g/L)을 함유하는 브루셀라 (Brucella) 브로쓰이었다. 세균에 대한 접종물은 105 CFU/ml이었다. 씨. 알비칸스 접종물은 1X104 CFU/ml이었다. 모든 시험은 0.02%의 소혈청 알부민 (BSA)의 존재 하에 수행하였다. 배양액을 혐기성 분위기를 필요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아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아 균주를 제외하고는 35℃에서 공기 중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18-24시간 후, 시각적 판독을 수행하고, MIC를 결정하였다. MIC는 가시적 성장이 없는 항생제의 보다 낮은 농도로서 정의하였다.
항생제 107891의 항미생물 활성
미생물 MIC (㎍/ml)
107891
819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mith ATCC19636 ≤0.13
4061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LIM1 ≤0.13
3798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임상단리물 VISA 2
1400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임상단리물 Met-R ≤0.13
613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임상단리물 Met-R ≤0.13
3797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임상단리물 VISA Me 2
4064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LIM2 CHSA Met-R 0.5
1729 스태필로코커스 해몰리티쿠스 (S. haemolyticus) Met-R 8
1730 Met-S 2
147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 epidermidis) ATCC12228 ≤0.13
1139 4
44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Streptococcus pneumoniae) Pen-S ≤0.13
2858 Pco-I ≤0.13
49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제네스 (S. pyogenes) ≤0.13
559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E. faecalis) Van-S 1
560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A 0.5
A533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A 1
568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S 2
569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1
B518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2
A6345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Lnz-R 4
3754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 (Mycobacterium smegmatis) 32
E34 리스테리아 가르비아스 (Listeria garvias) ≤0.13
148 리스테리아 델브루엑키이 (L. delbrueckii) ATCC4797 4
1450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L. monocytogenes) 0.125
833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Haemophilus influenzae) 32
970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ATCC 19418 32
3924 모라셀라 카타랄리스 (Moraxella catharralis) 1
16 모라셀라 카타랄리스 ATCC8176 0.25
1613 나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Neisseria meningitidis) ATCC13090 0.5
997 나이세리아 고노라에에 (Neisseria gonorrhaee) 0.25
47 에스케리치아 콜리 (Etcherichia coli) >128
145 칸디다 알비칸스 >128
혐기성 세균에 대한 항생제 107891의 항미생물 활성
미생물 MIC (㎍/ml)
항생제 107891
ATCC 27520 프로피오니박테리움 림포필룸 (Propionibacterium lymphophilum) 0.015
ATCC 25564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눌로섬 (P. granulosum) 0.03
ATCC 14157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피오니쿠스 (propionicus) 4
P9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 acnes) 0.125
1329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5
ATCC 25746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015
ATCC 6919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125
ATCC 6922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0039
ATCC 1348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25
4018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Clostridium difficile) ≤0.125
4025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0.125
4022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0.125
4032 클로스트리듐 페르프린겐스 (C. perfringens) ≤0.125
4043 클로스트리듐 부티리쿰 (C. butyricum) ≤0.125
4009 클로스트리듐 베이제링키이 (C. beijerinckii) ≤0.125
3052 클로스트리듐 셉티쿰 (C. septicum) ≤0.125
60601 펩토스트렙토코커스 안에어로비우스 (Peptostreptococcus anaerobius) >128
항생제 107891은 그람 (Gram)-양성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인다.
스태필로코커스 종 (메티실린 내성 (MRSA) 및 글리코펩티드 중등 (GISA) 내성 균주 포함)에 대한 MIC 범위는 = 0.13-4 ㎍/ml이고, 엔테로코커스 종 (반코마이신 내성 (VRE) 포함)의 최근 임상 단리물에 대해서는 0.5-4 ㎍/ml이다. 스트렙토코커스 종에 대한 MIC는 ≤ 0.13 ㎍/ml이다.
항생제 107891은 혐기성 그람-양성 균주에 대해서도 활성이고; MIC는 클로스트리디아에 대해 ≤ 0.13 ㎍/ml이고, 프로피오니박테리아에 대해 ≤ 0.004-4 ㎍/ml이다. 항미생물 활성은 엘. 모노사이토제네스 (MIC 0.125 ㎍/ml) 및 유산간균 균주 (MIC 범위 ≤ 0.13-4 ㎍/ml)에 대해 나타났다. 일부 그람-음성 세균이 항생제 107891에 감수성이고; MIC는 엠. 카타랄리스에 대해 1-0.25 ㎍/ml, 나이세리아 종에 대해 0.5-0.25 ㎍/ml, 및 에이치. 인플루엔자에에 대해 32 ㎍/ml이다.
항생제 107891은 시험된 이. 콜리 및 씨. 알비칸스 균주에 대해 활성을 보이지 않는다.
시간-치사 (time-kill) 실험에서, 항생제 107891은 에스. 아우레우스 GISA 및 이. 페칼리스 VanA 균주에 대해 살균 활성을 보이고; 24시간에서, 살균 농도는 Mueller Hinton 브로쓰 내의 MIC값이다.
에스. 아우레우스는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MRSA는 모든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에, 또한 다수의 다른 항생제에 내성이므로 특히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또한, 환자들 사이에 쉽게 전파하여 감염의 집단발생을 일으켜, 의료 시설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W. Witte, (1999): "Antibiotic resistance in Gram-positive bacteria: epidemiological aspect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44:1-9). 미국 질병 통제 센터 (CDC) 국가 병원 감염 감시 시스템 (NNIS)에서는 미국 병원에서 에스. 아우레우스 사이에서 메티실린 내성 균주가 1975년에 2.4%에서 1991년에 29%로 증가하였고, 중환자실에서 보다 높은 내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L. Archibald, L. Philips, D. Monnet, J.E. Jr McGowan, F. Tenover, R. Gaynes, (1997): "Antimicrobial resistance in isolates from inpatients and out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intensive care unit", Clinic Infect. Dis. 24: 211-5). 병원 포도상구균 감염은 상당한 이환률 및 사망률과 관련되어, 입원 지속기간을 연장시키고 입원 비용을 증가시킨다. 대다수의 MRSA 균주는 몇몇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마크롤리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및 현재 사용중인 β-락탐 항생제, 예를 들어 최신 세대의 세팔로스포린에 대해 내성이다.
감염증 (예를 들어, 심내막염, 수막염 및 패혈증)의 원인으로서 병원에서 감염되는 반코마이신 내성 병원체는 그에 대한 치료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Y. Cetinkaya, P. Falk and C.G. Mayhall, (2000):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Clin. Microbiol. Rev. 13: 686-707: L.B. Rice, (2001): "Emerg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Emerg. Infec. Dis.7: 183-7).
에스. 뉴모니아에 및 엠. 카타랄리스는 인간의 중요한 병원체로 인정된다. 이들은 기도 감염, 특히 어린이에서 중이염 및 노인에서 하기도 감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엠. 카타랄리스 및 에스. 뉴모니아에는 최근에 기도의 가장 흔한 병원체로 인정되었다 (M.C. Enright and H. McKenzy, (1997): "Moraxella (Branhamella) catarrhalis. Clinical and molecular aspect of a rediscovered pathogen", J. Med. Microbiol. 46: 360-71).
클로스트리디아는 상이한 질병: 가스 괴저 및 관련 상처 감염, 파상풍, 보툴리누스 중독, 항생제 관련 설사 (CDAD) 및 위막성 대장염의 원인이 된다. 대부분의 상기 미생물은 질병의 발병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외독소를 생산한다. 씨. 디피실레는 CDAD 사례의 25%, 및 위막성 대장염의 실질적으로 모든 사례에 대한 원인균이다. 지난 몇년 동안, 씨. 디피실레 동시감염이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 또는 콜로니형성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J.G. Bartlett, (1992): "Antibiotic associated diarrhea", Clinic. Infect. Dis. 15: 573-581).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
표 VIII은 항생제 107891의 개별 팩터 A1 및 A2의 항미생물 활성을 보고한다. MIC는 상기 설명된 미량브로쓰 희석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항생제 107891 팩터 A1 및 A2의 항미생물 활성
미생물 MIC (㎍/ml)
팩터 A1 팩터 A2
819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Met-S ≤0.03 ≤0.03
1524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Met-R ≤0.03 ≤0.03
2235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Met-R 0.06 0.06
3894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Met-R ≤0.03 0.06
3881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Met-R 0.06 ≤0.03
602 스태필로코커스 해몰리티쿠스 Met-R 0.25 0.25
3919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Pen-R ≤0.0015 ≤0.0015
3915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Pen-S ≤0.0015 ≤0.0015
4323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A ≤0.03 ≤0.03
J1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A 1 1
4341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B 0.5 0.5
4397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B 1 1
4341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VanB 2 2
6349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LNZ-R 2 2
4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1 1
3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0.5 0.5
D561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2 2
A8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A 0.5 0.5
4339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VanD 0.25 0.25
4174 엔테로코커스 갈리나룸 (Ent. gallinarum) 1 1
997 나이세리아 고노라에에 0.5 0.25
1613 나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0.25 0.25
1016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0.03 0.06
항생제 107891의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
체중 23-25 g의 암컷 ICR 마우스 (할란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Harlan Italia SpA - 이탈리아 산 피에트로 알 나티존)를 면역능력 또는 호중구감소 마우스에서 급성 치사 감염의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호중구감소증은 마우스가 감염되기 전에 각각 4일 및 1일에 200 및 100 mg/kg의 시클로포스파미드를 2회 복강내 투여하여 유발시켰다.
감염은 면역능력 마우스 (8 동물/용량/처리군)에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A3817) 또는 표준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mith ATCC19636)의 임상 단리물의 세균 현탁액을 복강내 접종함으로써, 또는 호중구감소 마우스에 글리코펩티드 내성 장구균 (이. 페칼리스 A533)의 임상 단리물을 접종함으로써 유발시켰다. 세균 접종물 (약 106 세포/마우스)을 0.5 ml의 5% 세균학적 뮤신 (딥코 (Difco)) 내에 현탁시켜 제공하였다. 비처리 동물은 감염 후 24-72 h 내에 죽었다. 항생제 처리는 접종 후 10-15 min 내에 시작하였다. 항생제 107891을 상이한 수성 제제 중에서 정맥내 또는 피하로 1회 투여하였다. 50% 유효 용량 (ED50) 및 95% 신뢰 한계는 Spearman-Karber 방법 (D.J. Finney, (1952): "The Spearman-Karber method", in: Statistical methods in biological assay, pp. 524-530, Charles Griffin & Co., Ltd., London)에 의해 제7일에 생존하는 동물의 비율로부터 계산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 IX에 기록한다.
항생제 107891은 200 mg/kg의 최대 시험된 용량까지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마우스의 급성 치사 감염에서 항생제 107891의 ED50
제제 균주 경로 ED50 (mg/kg) 95% 신뢰 한계
A MSSA iv 2.1 1.7 - 2.7
sc 2.1 1.7 - 2.7
A VanA iv 3.2 2.7 - 3.9
sc 11.1 9.2 - 13.5
B MRSA sc 4.2 3.5 - 5.1
C VanA iv 3.7 2.8 - 4.9
sc 12.7 10.7 - 15.0
제제: A: 10% (v/v) DMSO, 10% (w/v) 베타 히드록시-프로필 시클로덱스트린 (시그마 (Sigma)), H2O 중 80% (v/v)의 5% (w/v) 글루코스 B: 10% (v/v) DMSO, 0.1 M 수성 CH3COOH 중 40% (v/v) PEG 400 C: H2O 중 50% (v/v) PEG 400 균주: I. MSSA: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mith 819 ATCC19636 II. MRSA: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3817, 임상 단리물 III. VanA: 이. 페칼리스 A533, 임상 단리물, 호중구감소 마우스 내
도 1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 및 1B (줌-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은 m/z 1124 및 m/z 1116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을 보여주는 항생제 107891의 질량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KBr에 분산된 항생제 107891의 I.R.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메탄올:H2O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의 UV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물 억제 시퀀스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 및 6B (줌-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는 m/z 1124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 [M+2H]2+을 보여주는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질량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전체 스캔 저분해능 스펙트럼) 및 7B (줌-스캔 고분해능 스펙트럼)는 m/z 1116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 [M+2H]2+을 보여주는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질량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물 억제 시퀀스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물 억제 시퀀스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혼합물 CD3CN:D2O (1:1) 내에서 298 K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기록된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KBr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I.R.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3은 메탄올:H2O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1의 U.V.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4는 KBr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I.R.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5는 메탄올:H2O에 용해시킨 항생제 107891 팩터 A2의 U.V.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미크로비스포라 ATCC PTA-5024의 발효 방법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균주를 오트밀 한천 경사면 상에 2-3주 동안 28℃에서 유지하였다. 하나의 경사면의 미생물 함량을 5 ml 멸균수로 스크래핑하고, 덱스트로스 20, 효모 추출액 2, 대두분 8, NaCl 1 및 탄산칼슘 4 (g/l)로 이루어진 100 ml의 종균 배지 (AF/MS)를 함유하는 500 ml 얼렌마이어 플라스크 내로 접종하였다. 배지는 증류수 중에 제조하고, pH를 7.3으로 조정한 후 121℃에서 20 min 동안 멸균시켰다. 접종된 플라스크를 28℃에서 200 rpm으로 작동하는 회전 진탕기 상에서 성장시켰다. 4-6일 후, 상기 배양액 5%를 동일한 발효 배지를 함유하는 두번째 시리즈의 플라스크 내로 접종하였다. 72시간 인큐베이션 후, 200 ml을 3 리터의 동일한 영양성장 배지를 함유하는 4 리터 생물반응기 내로 옮겼다.
발효를 3O℃에서 700 rpm 교반 및 0.5 vvm 폭기를 실시하면서 수행하였다. 72시간 후, 배양액 (1.5 리터)을 15 리터의 동일한 영양성장 배지를 함유하는 20 리터 생물반응기 내로 옮겼다. 발효를 48시간 동안 30℃에서 500 rpm 교반 및 0.5 vvm 폭기로 수행한 후, 생산 탱크로 옮겼다. 항생제 107891의 생산은 전분 20, 글루코스 10, 효모 추출액 2, 가수분해형 카제인 4, 육즙 2 및 탄산칼슘 3 (g/l)으로 이루어진 200 리터의 생산 배지 M8을 함유하는 300 리터 발효조에서 수행하였다. 배지를 탈이온수 중에 제조하고, pH를 72로 조정한 후 121℃에서 25 min 동안 멸균시켰다. 냉각시킨 후, 발효조를 약 14 리터 (7%)의 예비-배양액으로 접종하였다. 발효조를 29℃에서 180 rpm 교반 및 0.5 vvm 폭기로 0.36 bar의 헤드 압력으로 가동시켰다. 98시간의 발효 후 발효조를 수확하였다.
항생제 107891의 생산은 동일한 부피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전체 배양 브로쓰의 추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추출은 실온에서 교반 하에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미크로비스포라 ATCC PTA-5024의 별도의 발효 방법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를 글루코스 10, 말토스 10, 대두유 10, 대두분 8, 효모 추출액 2 및 탄산칼슘 4 (g/l)으로 이루어진 100 ml의 성장 배지 (G1)을 함유하는 500 ml 얼렌마이어 플라스크 내에 접종하였다. 배지를 탈이온수 중에 제조하고, pH 조정 없이 12O℃ x 20 min에서 멸균시켰다. 접종된 플라스크를 120-168시간 동안 28℃에서 200 rpm 교반 하에 우수한 성장이 관찰될 때까지 인큐 베이팅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3 리터의 종균 배지 AF/MS를 함유하는 4 리터 생물반응기를 접종하였다 (3%). 3O℃, 700 rpm 교반 및 0.5 vvm 폭기에서 120시간의 발효 후, 1.5 리터의 배양액을 15 리터의 동일한 영양성장 배지를 함유하는 20 리터 생물반응기에 옮겼다. 발효를 96시간 동안 30℃, 600 rpm 교반 및 0.5 vvm 폭기에서 수행한 후, 생산 탱크에 옮겼다.
항생제 생산은 덱스트로스 20, 효모 추출액 5, 육즙 5, 가수분해형 카제인 3, 펩톤 5 및 NaCl 1.5 (g/l)로 이루어지는 200 리터의 생산 배지 (V6)을 함유하는 300 리터 발효조에서 얻었다. 배지를 NaOH를 사용하여 7.5로 조정된 pH에서 탈이온수 중에 제조하고, 121℃에서 20 min 동안 멸균시켰다.
발효조에 14 리터의 종균 배양물 (7%)를 접종하고, 발효는 29℃에서 수행하고, 180 rpm에서 교반하고, 100 리터의 표준 공기/분 (0.5 vvm)으로 폭기시켰다. 항생제 107891 생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발효물을 약 160시간 후 수확하였다.
실시예 3. 항생제 107891의 회수
실시예 1에 설명된 발효 브로쓰를 접선 (tangential) 여과 시스템 (0.1 ㎛ 세공 크기 막, 코흐 카르보-코르 (Koch Carbo-Cor), 미국 윌밍턴))에 의해 여과하여 170 리터의 상등액 및 30 리터의 농축된 균사체를 얻었다. 항생제 107891 복합체는 여과액 (A) 및 균사체 (B)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A) 여과된 브로쓰를 실온에서 Diaion HP-20 폴리스티렌계 수지 (4 리터)의 존재 하에 하룻밤 교반하였다. 이어서, 수지를 회수하고, 10 리터 메탄올:물 4:6 (v/v)로 세척하고, 처음에 10 리터 메탄올:물 9:1 (v/v), 이어서 10 리터 메탄올:부탄올:물: 9:1:1 (v/v)로 배치식으로 용출하였다.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출된 분획을 모아 회전 증발기 상에서 적은 부피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32 g의 원료 물질을 얻었다. 상기 원료 물질을 n-부탄올 (1 리터)에 용해시킨 후, 800 ml 물로 순차적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유성 잔류물을 얻고, 이를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석유 에테르의 첨가시, 5 g의 조질 항생제 제제를 침전에 의해 얻었다.
(B) 25 리터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균사체를 함유하는 보유 부분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45 리터의 균사체 추출액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물 (20 리터)로 희석하고, 하룻밤 실온에서 Diaion HP-20 폴리스티렌계 수지 (1 리터)와 함께 교반하였다. 이어서, 수지를 회수하고, 2 리터 메탄올:물 40:60 (v/v)로 세척하고, 3 리터 메탄올:물 85:15 (v/v), 이어서 2 리터 메탄올:물 90:10 (v/v)로 순차적으로 배치식으로 용출시켰다. 용출된 분획을 항생제 107891의 존재에 대해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한천 확산 분석에 의해, 및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은 분석적 HPLC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출된 분획을 모으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8.1 g의 조질 항생제 10789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항생제 107891의 별도의 회수법
실시예 2에 설명된 200 리터 탱크 발효로부터의 수확된 브로쓰를 pH 6.8로 하고, 브로쓰를 접선 여과 (0.1 μ 세공 크기 막, 코흐 카르보-코르)에 의해 여과하였다. 투과액 (180 리터)을 2 리터의 Diaion HP20 수지 (Mitsubishi Chemical)와 함께 밤새 실온에서 배치식으로 교반한 후, 수지를 수집하였다.
메탄올 (25 리터)을 농축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접선 여과 장비 (약 20 리터) 내의 보유 부분에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정밀여과 시스템으로 약 20 리터의 잔류 보유물 부피로 여과하였다. 이어서, 추가의 메탄올 (25 리터)을 첨가하고, 상기 공정을 총 5 사이클로 순차적으로 반복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약 125 리터)을 모아 160 리터의 탈염수로 희석하고, 밤새 실온에서 3 리터의 Diaion HP 20 수지와 함께 배치식으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수지를 수집하고, 상기 설명된 공정에 따라 브로쓰 투과액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Diaion HP 20 수지와 함께 모았다. 모은 수지를 20 리터의 물:메탄올 6:4 (v/v)로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내로 세척하였다. 항생제 107891을 23 리터의 메탄올:5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3.5:n-부탄올 9:1:1 (v/v)로 용출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출액을 3 리터의 최종 부피로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농축된 용액을 pH 4.5에서 물:메탄올 7:3 (v/v)으로 컨디셔닝한 2.5 리터의 폴리아미드 CC 6 0.1-0.3 mm (매커레이-나겔)의 칼럼 상에 로딩하였다. 칼럼을 물:메탄올 7:3 (v/v), 이어서 25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3.5:메탄올 7:3 (v/v)으로 세척하였다. 항생제를 물:메탄올 3:7 (v/v), 이어서 1:9 (v/v) 혼합물로 용출시켰다. 용출을 25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2.8:메탄올 1:9 (v/v) 비로 완료시켰다.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모으고 1 리터의 최종 부피로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된 용액의 pH를 7 M 수산 화암모늄으로 4에서 5.7로 한 후,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고체를 물에 현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6.96 g의 항생제 107891 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항생제 107891의 정제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조질 항생제 107891 (3.6 g)을 B-687 구배 형성기, B-684 분획 수집기, B-685 유리 칼럼 70 X 460 mm가 장치된 Buchi B-680 중압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부치 래보래토리움스-테크닉 아게 (Buchi laboratoriums-technik AG, 스위스 플라윌))을 사용하여 100 g의 역상 C8 (EC) 40-70 ㎛ 입자 크기, 6OA 세공 크기, IST (인터내셔널 솔벤트 테크놀로지스 (International Sorbent Technology, 영국 미드글래모건주)) 상에서 중압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지는 A상:B상 8:2 (v/v)의 혼합물로 미리 컨디셔닝한 후, 25 ml/min에서 20% 내지 60%의 B상의 60 min 선형 구배로 60 min 동안 용출시켰다.
A상은 아세토니트릴:2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6.6) 10:90 (v/v)이고: B상은 아세토니트릴:2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6.6) 90:10 (v/v)이었다.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로부터 2회 동결건조시켜, 430 mg의 정제된 항생제 10789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예비 HPLC 에 의한 항생제 107891의 정제
항생제 107891을 30 ml/min 유속에서 30% 내지 45%의 B상의 25분 직선 구배 용출을 사용함으로써 Hibar 예비충전된 lichrosorb RP8 (7 :m 입자 크기) 칼럼 RT 250-25 mm (머크) 상에서 예비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A상은 25 mM 포름 산암모늄 버퍼 pH 4.5:아세토니트릴 95:5 (v/v)이고, B상은 아세토니트릴이었다.
실시예 5로부터의 항생제 107891의 샘플 (300 mg)을 1.5 ml의 350:1의 DMSO:포름산 95:5 (v/v) 내에 용해시키고, 300 ㎕을 크로마토그래피 실행에 따라서 처리하였다. 항생제 107891은 대개 15-16분에서 용출되었다.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5 크로마토그래피 실행의 용출된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 용액을 순차적으로 물로부터 3회 동결건조시켜, 31 mg의 항생제 107891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항생제 107891의 개별 팩터 A1 및 A2의 분리 및 정제
팩터 A1 및 A2를 2가지 상이한 용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ymmetry Prep C18 (7 ㎛ 입자 크기) 칼럼 7.8x300 mm Waters (미국 밀포드) 상에서 예비 HPLC에 의해 실시예 5의 항생제 107891 복합체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하였다.
A) 팩터 A1은 3.5 ml 유속에서 30% 내지 45%의 B상의 25분 직선 구배 용출에 의해 정제하였다. A상은 25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5:아세토니트릴 95:5 (v/v)이고, B상은 아세토니트릴이었다. 정제된 항생제 107891 복합체 (15 mg)을 350 ㎕의 DMSO:포름산 95:5 (v/v)에 용해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 실행에 따라서 처리하였다. A1 및 A2 팩터는 대개 11-13분 시간 프레임에서 용출되었다. 이어서, 용출된 분획을 상기 설명된 분석 조건 하에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순수한 항생제 107891 팩터 A1을 함유하는 14 크로마토그래피 실행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 용액을 순차적으로 물로부터 3회 동결건조시켜, 15 mg의 순수한 팩터 A1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B) 팩터 A2는 7 ml 유속에서 10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아세토니트릴 82.5:17.5 (v/v)를 사용하는 등용매 용출에 의해 정제하였다. 정제된 항생제 107891 복합체 (5 mg)을 250 ㎕의 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100 mM 포름산암모늄 버퍼 pH 4 50:120:80 (v/v)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 실행에 따라 처리하였다. A1 및 A2 팩터는 대개 9-10분 시간 프레임에서 용출되었다. 이어서, 용출된 분획을 상기 설명된 분석 조건 하에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순수한 항생제 107891 팩터 A2를 함유하는 20 크로마토그래피 실행 분획을 모으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 용액을 물로부터 2회 동결건조시켜, 8 mg의 순수한 팩터 A2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Claims (35)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68225285-pct00004
    상기 식에서, X는 F, Cl, Br 및 I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고: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H 및 OH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Cl이고, R2가 OH이고, R1, R3, R4, R5, R6, R7 및 R8이 H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X가 Cl이고, R1이 OH이고, R2가 OH이고, R3, R4, R5, R6, R7 및 R8이 H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4, R5, R6, R7 및 R8이 H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R1이 H이고, R2가 H이고, R3이 H인 화합물.
  6. 제4항에 있어서, R1이 H이고, R2가 H이고, R3이 OH인 화합물.
  7. 제4항에 있어서, R1이 H이고, R2가 OH이고, R3이 OH인 화합물.
  8. 제4항에 있어서, R1이 OH이고, R2가 OH이고, R3이 OH인 화합물.
  9. 제4항에 있어서, R1이 OH이고, R2가 H이고, R3이 H인 화합물.
  10. 제4항에 있어서, R1이 OH이고, R2가 H이고, R3이 OH인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미크로비스포라 (Microbispora) 종 ATCC PTA-5024로부터 생산되는 항생제 107891의 팩터 A1.
    Figure 112008068225285-pct00005
  12.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로부터 생산되는 항생제 107891의 팩터 A2.
    Figure 112008068225285-pct00006
  13. 다음 특징을 갖는 백색 분말인, 제11항의 팩터 A1 및 제12항의 팩터 A2를 포함하는 항생제 107891 복합체:
    (A) 분무 전압: 4.7 kV; 모세관 온도: 220℃; 모세관 전압: 3V; 주입 방식 10 ㎕/min의 전기분무 조건 하에 Thermofinnigan 검정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기분무 소스 (source)가 장치된 Thermofinnigan LCQ deca 기기 상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를 갖는 메탄올:물 80/20 (v/v) 중의 0.2 mg/ml 용액으로부터 기록된 질량 스펙트럼은 각각 팩터 A1 및 A2의 최저 동위원소 조성에 대응하는 m/z 1124 및 m/z 1116에서 2개의 이중 양성자화 이온을 보임;
    (B)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적외선 스펙트럼은 3263; 2929; 1661; 1533; 1402; 1114; 1026 (cm-1)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냄;
    (C)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v/v) 내에서 수행된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 (shoulder)를 나타냄;
    (D)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물 억제 시퀀스 (sequence)를 적용하는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내부 표준으로 3.31 ppm에서 나타나는 메탄올-d4의 잔류 시그널을 사용하여 600 MHz에서 기록된 1H-NMR 스펙트럼은 다음 시그널을 나타냄 [δ=ppm 다중도; (속성)]: 0.93 d (CH3), 0.98 d (CH3), 1.07 t (겹친 CH3), 1.18 t (겹친 CH3), 1.26 s (CH3), 1.30 t (겹친 CH3), 1.62-1.74 m (CH2), 1.78 d (CH3), 1.80 d (CH3), 2.03 m (CH2), 2.24 m (CH), 2.36 m (CH2), 2.72 - 3.8 m (펩티드 알파 CH), 3.8 - 5.2 m (펩티드 알파 CH), 5.53 - 6.08 s (CH2), 5.62 d (CH 이중 결합), 6.42 m (CH), 6.92 d (CH 이중 결합), 7.0 - 7.55 m (방향족 CH), 7.62 - 10.4 d 및 m (방향족 및 펩티드 NH);
    (E) 메탄올-d4:H2O (pH 4.3 HCl) 40:10 (v/v)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Bruker AMX 600 분광기 상에서 내부 표준으로 49.15 ppm에서 나타나는 메탄올-d4의 잔류 시그널을 사용하여 기록된 13C-NMR 스펙트럼은 다음 시그널을 나타냄 [δ=ppm; (속성)]: 13.6 - 23.2 (지방족 CH3), 26.16 - 73 (지방족 CH2 및 펩티드 알파 CH), 105 - 136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4.3 - 176.3 (펩티드 카르보닐);
    (F) 6N HCl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05℃, 24 h)은 6-아미노퀴놀릴-N-히드록시숙신이미딜 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는 유도체화 후에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다음 아미노산의 존재를 나타냄: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 산물), 페닐알라닌 및 류신;
    G) 촉매로서 0.2% (w/v) 3-(2-아미노에틸)인돌을 함유하는 4N 메탄술폰산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15℃, 16h)은 5-클로로트립토판의 존재를 나타냄;
    H) 몰 과량의 0.01 N 염산을 함유하는 2-메톡시에탄올 (MCS):H2O 12:3 (v/v) 중에서 0.01 N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수행된 산/염기 적정에 의해 염기성 이온화가능 관능기가 검출됨.
  14. 제11항에 있어서, 다음 특징을 갖는 백색 분말인, 항생제 107891의 팩터 A1:
    A) 분무 전압: 4.7 kV; 모세관 온도: 250℃; 모세관 전압: 8V; 주입 방식 10 ㎕/min의 전기분무 조건 하에 Thermofinnigan 검정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Thermofinnigan LCQ deca 기기 상에서 아세트산 0.5%를 갖는 아세토니트릴:물 50:50 (v/v) 중의 0.1 mg/ml 용액으로부터 기록된 질량 스펙트럼에서 최저 동위원소 조성에 대응하는 m/z 1124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이 나타남;
    B)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Bruker Daltonics APEX II, 4.7 Tesla 분광기를 사용하여 결정된 항생제의 정확한 질량은 분자량 2246.71±0.06에 해당하고, [M+2H]2+로부터 계산된 모노이소토픽 질량은 m/z 1124.36124 (정확도 30 ppm)에 대응함;
    C) CD3CN:D2O (1:1)에 용해되었을 때, 1H-NMR 스펙트럼은 CD3CN을 내부 표준 (1.94 ppm)으로 사용하여 600 MHz에서 다음 시그널의 군 (ppm 단위)을 나타냄 [δ=ppm 다중도; (속성)]: 0.84 d (CH3), 0.89 d (CH3), 0.94 t (겹친 CH3), 1.1 d (CH3), 1.13 d (CH3), 1.15 t (겹친 CH3), 1.49 m (CH2), 1.69 d (CH3), 1.75 m (CH2), 2.11 m (CH), 2.26 m (CH), 2.5 m (CH2), 2.68 - 3.8 m (펩티드 CHβ), 3.8 - 5.0 m (펩티드 CHα), 5.45 - 6.17 s (CH2), 5.58 d (CH 이중 결합), 6.36 m (CH), 6.86 d (CH 이중 결합), 7.0 - 7.45 m (방향족 CH);
    D) CD3CN:D2O (1:1)에 용해되었을 때, 13C-NMR 스펙트럼은 CD3CN을 내부 표준 (1.39 ppm)으로 사용하여 600 MHz에서 다음 시그널 (ppm 단위)을 나타냄 [δ=ppm; (속성)]: 13.6 - 23.03 (지방족 CH3), 25.69 - 77.9 (지방족 CH2 및 펩티드 CHα), 105 - 137.3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5.6 - 176.6 (펩티드 카르보닐);
    E)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적외선 스펙트럼은 3294; 3059; 2926; 1661; 1529; 1433; 1407; 1287; 1114; 1021 (cm-1)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냄;
    F)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비) 내에서 기록된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를 나타냄;
    G) 6N HCl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05℃, 24 h)은 6-아미노퀴놀릴-N-히드록시숙신이미딜 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는 유도체화 후에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다음 아미노산의 존재를 나타냄: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 산물), 페닐알라닌 및 류신;
    H) 촉매로서 0.2% (w/v) 3-(2-아미노에틸)인돌을 함유하는 4N 메탄술폰산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15℃, 16h)은 5-클로로트립토판의 존재를 나타냄.
  15. 제12항에 있어서, 다음 특징을 갖는 백색 분말인, 항생제 107891의 팩터 A2:
    A) 분무 전압: 4.7 kV; 모세관 온도: 250℃; 모세관 전압: 8V; 주입 방식 10 ㎕/min의 전기분무 조건 하에 Thermofinnigan 검정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기분무 소스가 장치된 Thermofinnigan LCQ deca 기기 상에서 아세트산 0.5%를 갖는 아세토니트릴:물 50:50 (v/v) 중의 0.1 mg/ml 용액으로부터 기록된 질량 스펙트럼에서 최저 동위원소 조성에 대응하는 m/z 1116에서 이중 양성자화 이온이 나타남;
    B) 전기분무 소스가 갖춰진 Bruker Daltonics APEX II, 4.7 Tesla 분광기를 사용하여 결정된 정확한 질량은 분자량 2230.71±0.06에 해당하고, [M+2H]2+로부터 계산된 모노이소토픽 질량은 m/z 1116.36260 (정확도 30 ppm)에 대응함;
    C) CD3CN:D2O (1:1)에 용해되었을 때, 1H-NMR 스펙트럼은 CD3CN을 내부 표준 (1.94 ppm)으로 사용하여 600 MHz에서 다음 시그널 (ppm 단위)을 나타냄 [δ=ppm 다중도; (속성)]: 0.84 d (CH3), 0.88 d (CH3), 0.94 d (CH3), 1.06 d (CH3), 1.14 d (CH3), 1.48 m (CH2), 1.65 - 1.75 m (CH2), 1.67 d (CH3), 2.15 m (CH), 2.25 m (CH), 2.5 m (CH2), 2.77 - 3.8 m (펩티드 CHβ), 3.8 - 4.9 m (펩티드 CHα), 5.45 - 6.14 s (CH2), 5.59 d (CH 이중 결합), 6.34 m (CH), 6.84 d (CH 이중 결합), 7.0 - 7.42 m (방향족 CH);
    D) CD3CN:D2O (1:1)에 용해되었을 때, 13C-NMR 스펙트럼은 CD3CN을 내부 표준 (1.39 ppm)으로 사용하여 600 MHz에서 다음 시그널 (ppm 단위)을 나타냄 [δ=ppm; (속성)]: 13.6 - 22.9 (지방족 CH3), 25.65 - 73 (지방족 CH2 및 펩티드 CHα), 105 - 137.3 (방향족 및 이중 결합 CH 및 4급 탄소), 165.7 - 176.1 (펩티드 카르보닐);
    E) Bruker FT-IR 분광광도계 모델 IFS 48을 사용하여 KBr 내에서 기록된 적외선 스펙트럼은 3296; 3060; 2928; 1661; 1529; 1433; 1407; 1288; 1116 (cm-1)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냄;
    F) Perkin-Elmer 분광광도계 Lambda 16을 사용하여 메탄올:H2O (80:20 비) 내에서 기록된 U.V. 스펙트럼은 226 및 267 nm에서 2개의 숄더를 나타냄;
    G) 6N HCl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05℃, 24 h)은 6-아미노퀴놀릴-N-히드록시숙신이미딜 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는 유도체화 후에 다른 미확인 피크와 함께 다음 아미노산의 존재를 나타냄: 란티오닌, 메틸란티오닌, 글라이신, 프롤린, 발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 산물), 페닐알라닌 및 류신;
    H) 촉매로서 0.2% (w/v) 3-(2-아미노에틸)인돌을 함유하는 4N 메탄술폰산 중에서의 산 가수분해물 (115℃, 16h)은 5-클로로트립토판의 존재를 나타냄.
  16.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또는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를 호기성 조건 하에 탄소, 질소 및 무기염의 동화가능한 공급원을 함유하는 수성 영양 배지 내에서 배양하고;
    생성되는 항생제를 균사체 및(또는) 여과된 발효 브로쓰로부터 단리하고;
    단리된 항생제 107891을 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3항에 기재된 항생제 107891 또는 그의 팩터 A1 또는 A2, 또는 그의 산과의 염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또는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가 예비배양되는 것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항생제 107891의 단리가 발효 브로쓰를 여과함으로써 수행되고, 항생제가 수불혼화성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비-용매의 첨가 또는 용액의 pH 변경에 의한 침전, 흡수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및 상기 기술의 2 이상의 조합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기술에 따라 여과된 발효 브로쓰로부터 회수되는 것인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항생제 107891의 단리가 균사체를 발효 브로쓰의 상등액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수행되고, 균사체를 수혼화성 용매로 추출하여 소비된 균사체의 제거 후에 조질 항생제를 함유하는 수혼화성 용액을 얻고, 이를 항생제 107891을 회수하기 위해,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비-용매의 첨가 또는 용액의 pH 변경에 의한 침전, 흡수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분자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및 상기 기술의 2 이상의 조합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기술에 의해 별도로 또는 여과된 발효 브로쓰와 함께 처리할 수 있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균사체 추출물 내의 수혼화성 용매의 농도를 그로부터 항생제를 회수하기 위해 처리하기 전에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여과된 발효 브로쓰를 흡수 수지와 접촉시키고, 상기 수지를 극성 수혼화성 용매 또는 상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로 용출시켜, 조질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흡수 수지가 폴리스티렌, 혼합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균사체를 C1-C3 알칸올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균사체 추출물을 흡수 수지와 접촉시키고, 극성 수혼화성 용매 또는 상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로 용출시켜, 조질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는 것인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조질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액을 모으고 상기 항생제 107891의 추가의 정제를 위해 처리하는 것인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조질 항생제 107891을 함유하는 용액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조질 항생제 107891 고상 생성물을 수득하는 것인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흡수된 항생제를 함유하는 흡수 수지를 모으고, 그의 혼합물을 극성 수혼화성 용매 또는 상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로 용출시키는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항생제 107891이 크로마토그래피 절차에 의해 정제되는 것인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팩터 A1 및 팩터 A2가 정제된 항생제 107891로부터 예비 HPLC에 의해 분리되는 것인 방법.
  29. 제13항에 기재된 항생제 107891, 항생제 107891 팩터 A1, 항생제 107891 팩터 A2, 및 상기 팩터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항생제 또는 그의 산과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1. 삭제
  32. 제13항에 기재된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그의 팩터 A2, 또는 상기 팩터들의 혼합물, 또는 그의 산과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세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33. 제13항에 기재된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그의 팩터 A2, 또는 상기 팩터들의 혼합물, 또는 그의 산과의 무독성 염을 포함하는 동물 성장 촉진제.
  34. 탄소, 질소 및 무기염의 동화가능한 공급원의 존재 하에 액내 (submerged) 호기성 조건 하에 배양된, 균주 미크로비스포라 종 ATCC PTA-5024,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항생제 107891을 생산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그의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체의 생물학상 순수한 배양물.
  35. 제27항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 절차가 예비 HPLC 및 중압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077018202A 2005-01-12 2005-01-19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892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35,296 US7319088B2 (en) 2003-07-18 2005-01-12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A1 and A2,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11/035,296 2005-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903A KR20070098903A (ko) 2007-10-05
KR100892655B1 true KR100892655B1 (ko) 2009-04-15

Family

ID=3834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202A KR100892655B1 (ko) 2005-01-12 2005-01-19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0892655B1 (ko)
CY (1) CY1113157T1 (ko)
MA (1) MA29144B1 (ko)
PT (1) PT1855705E (ko)
UA (1) UA87546C2 (ko)
ZA (1) ZA200705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1687B2 (en) * 2003-07-18 2008-04-01 Vicuron Pharmaceuticals, Inc.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A1 and A2,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9839B1 (en) * 1997-09-08 2004-03-02 Universite Laval Lantibiotic from Streptococcus mutan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9839B1 (en) * 1997-09-08 2004-03-02 Universite Laval Lantibiotic from Streptococcus mutan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87546C2 (ru) 2009-07-27
ZA200705494B (en) 2008-11-26
CY1113157T1 (el) 2016-04-13
MA29144B1 (fr) 2008-01-02
KR20070098903A (ko) 2007-10-05
PT1855705E (pt)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826B1 (ko)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4163737B2 (ja) 抗生物質107891、そのa1因子とa2因子、その薬剤学的に許容される塩、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EP1855705B1 (en)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100892655B1 (ko) 항생제 107891, 그의 팩터 a1 및 a2, 제약학상허용되는 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
EP0675900B1 (en) Antibiotics ge 37468 a, b and c
US7319088B2 (en)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A1 and A2,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EP0359062B1 (en) Antibiotic GE 2270
US6586393B2 (en) Antibiotics GE 23077,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WO2006075988A1 (en) Antibiotic 107891, its factors a1 and a2,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EP1481986A1 (en) Antibiotic 97518,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