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17B1 -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17B1
KR100889617B1 KR1020070076944A KR20070076944A KR100889617B1 KR 100889617 B1 KR100889617 B1 KR 100889617B1 KR 1020070076944 A KR1020070076944 A KR 1020070076944A KR 20070076944 A KR20070076944 A KR 20070076944A KR 100889617 B1 KR100889617 B1 KR 10088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channel
microparticle
comb drive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802A (ko
Inventor
이진평
이상준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2Red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는, 미세입자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의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1 면을 갖는 코움 드라이브(comb drive), 상기 채널의 다른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과 마주하며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압전소자, 상기 코움 드라이브와 연결되며 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을 상기 압전소자의 제2 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계측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채널을 지나는 미세입자의 변형률을 측정한다.
미세입자, 적혈구, 변형률, 측정, 코움, 드라이브, 압전소자, 채널

Description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DELICATE PARTICLE DEFORM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미세입자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조직의 세포들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각 세포에 영양분과 산소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물질 전달기능을 혈액이 담당하고 있다. 혈액 중에서 특히 적혈구는 신체 조직의 각 세포들에게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적혈구의 평균직경은 10㎛ 정도이지만, 세포와 혈액 사이의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모세혈관의 크기는 최소 2㎛에 이른다. 이와 같이 모세혈관의 크기가 적혈구보다 작기 때문에 적혈구가 그 형태를 변형시켜 모세혈관을 빠져나가게 된다.
그런데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적혈구의 변형성이 감소하여 적혈구가 손끝이나 안구 등의 미세한 모세 혈관을 원활하게 지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적혈구가 해당 세포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해당 세포가 영양결핍으로 죽 음으로서 손발이 썩거나 실명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적혈구의 변형률은 필터를 이용한 측정법과 레이저 회절을 이용한 방법, 전단 응력 변화에 따른 적혈구의 형상변화를 관찰하는 방법과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변형률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은 적혈구의 변형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못할 뿐 아니라 측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움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적혈구를 변형시키고, 압전소자를 이용해서 적혈구에 가해진 힘을 측정함으로써 미세입자의 변형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는, 미세입자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의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1 면을 갖는 코움 드라이브(comb drive), 상기 채널의 다른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과 마주하며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압전소자, 상기 코움 드라이브와 연결되며 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을 상기 압전소자의 제2 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계측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채널을 지나는 미세입자의 변형률을 측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움 드라이브는, 상기 제1 면이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제1 면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핑거, 상기 이동부와 대향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제1 핑거 사이로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핑거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이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전위차를 일으켜 상기 이동부를 상기 압전소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코움 드라이브와 상기 압전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유연막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는 상기 유연막과 상기 압전소자 사이의 채널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받는 압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입자는 적혈구(RBC: red blood cell)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입자의 변형량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CCD 카메라 또는 고속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에 의하면, 코움 드라이브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적혈구와 같은 미세입자를 소정의 힘으로 변형시키고 이렇게 변형된 입자의 변형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코움 드라이브의 이동부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 지지됨으로써 이동부의 위치가 용이하게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반복적으로 미세입자의 변형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에서 코움 드라이브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적혈구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그 힘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유연막은 적혈구와 코 움 드라이브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혈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검출부는 압전소자에서 방생되는 전류의 세기를 이용하여 적혈구에 가해지는 힘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는 적혈구의 변형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적혈구의 변형특성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는, 적혈구(120)와 같은 미세입자가 통과하는 채널(130), 이 채널(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움 드라이브(110), 이 코움 드라이브(110)의 일면과 대향하게 설치되는 압 전소자(150), 코움 드라이브(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부(100) 및 압전소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검출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는 적혈구(120)의 변형 특성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촬영부(1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60)는 고속 카메라, 일반 비디오 카메라 및 CCD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촬영부(160)는 현미경(microscope)과 같은 정밀도가 높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널(130)을 통과하는 미세입자로 적혈구(120)(RBC: red blood cell)를 예로 들었지만, 물론 미세입자의 다른 예로 적혈구(120)뿐만 아니라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다른 입자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혈구(120)는 채널(130)(channel: 통로)을 통과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적혈구(120)의 직경이 대략 10㎛이므로 채널(130)의 최소 폭은 상기 적혈구(120)의 직경과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전소자(150)는 압전 효과(piezo electric effect)가 큰 로셀염, 티탄산 바륨 등을 사용하여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즉, 특수한 결정구조를 갖는 압전소자(150)의 일면에 힘이나 압력을 가하면 그 표면에 전압이 발생한다. 반대로 압전소자(150)에 전압을 인가하면 물리적인 변위가 발생된다.
검출부(140)는 압전소자(150)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적혈구(120)에 가해지는 힘을 계측한다. 즉, 검출부(140)는 적혈구(120)에 가해지는 힘을 정량 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이다.
도 1에 도시된 코움 드라이브(110)는 두 재료 간에 전위차에 의해서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는 장치로써 한쪽 부분에 전류를 인가하면 다른 부분이 압전소자(15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움 드라이브(110)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면 코움 드라이브(110)와 압전소자(150) 사이에 위치하는 적혈구(120)가 압축 변형되면서 압전소자(150)의 일면에는 압력이 가해진다. 이렇게 적혈구(120)에 의해서 압력을 받은 압전소자(150)는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검출부(140)는 이러한 전류의 세기(전압)를 통하여 적혈구(120)에 가해진 힘을 수치 정량적으로 파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140)와 더불어 촬영부(160)는 코움 드라이브(110)에 의해서 가해진 힘에 따른 적혈구(120)의 변형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움 드라이브(110)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제1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제2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움 드라이브(110)는 채널(130)의 내측으로 제1 면(204)이 형성된 이동부(200), 제1 면(204)의 반대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핑거(202), 이동부(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 정부(210), 고정부(210)에서 이동부(200) 방향으로 제1 핑거(202) 사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핑거(212) 및 이동부(2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에서 이동부(200)의 제1 면(204)에는 유연막(230)이 더욱 형성된다. 유연막(230)은 적혈구(120)와 코움 드라이브(11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코움 드라이브(11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적혈구(120)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유연막(230)은 적혈구(120)와 같은 미세입자가 손상되거나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연막(230)은 생체조직과 유사한 실리콘(silico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204)과 대향하는 제2 면(240)이 형성된 압전소자(150)가 더욱 설치됨으로써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전소자(150)는 적혈구(120)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힘을 계측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00)가 코움 드라이브(110)에 전원를 인가하면 도 3과 같이 코움 드라이브(110)의 이동부(200)가 압전소자(15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코움 드라이브(110)의 이동부(200) 변위로 인하여 적혈구(120)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적혈구(120) 주위의 다른 유체는 빠져나가고 적혈구(120)는 변형된다.
여기서, 코움 드라이브(110)의 변위는 구동부(100)가 인가하는 전기적인 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적혈구(120)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40)는 압전소자(15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계측하여 적혈구(120)에 가해진 힘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다음으로, 구동부(100)가 코움 드라이브(110)에 인가하던 전기적인 신호를 차단하여 적혈구(12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변형률 측정수단인 촬영부(160)는 적혈구(120)의 변형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코움 드라이브(110)의 이동부(200)와 고정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전위차에 따라서 이동부(200)는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된다. 한편, 이동부(200)를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 탄성부재(220)가 구비된다. 이동부(200)가 탄성부재(220)에 의해서 탄성 지지됨으로써 이동부(200)의 위치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반복적으로 적혈구(120)의 변형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20)는 이동부(200)와 고정부(210) 사이에 설치되는데, 탄성부재(220)로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20)가 이동부(200)와 고정부(21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고정부재(미도시)를 기준으로 이동부(2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는 바이오 칩(bio chip)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칩(bio chip)은 디엔에이 칩(DNA chip), 단백질 칩(protein chip), 셀 칩(cell chip), 뉴로 칩(neuro chip), 생체삽입용 칩 및 랩온어 칩(lab on a chip) 등을 포함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 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제1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의 제2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동부 110: 코움 드라이브(comb drive)
120: 적혈구(red blood cell) 130: 채널(channel)
140: 검출부 150: 압전소자
160: 촬영부 200: 이동부
202: 제1 핑거 204: 제1 면
210: 고정부 212: 제2 핑거
220: 탄성부재 230: 유연막
240: 제2 면

Claims (10)

  1. 미세입자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채널;
    상기 채널의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1 면을 갖는 코움 드라이브(comb drive);
    상기 채널의 다른 일 측편에 위치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과 마주하며 상기 채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압전소자;
    상기 코움 드라이브와 연결되며 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코움 드라이브의 제1 면을 상기 압전소자의 제2 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미세입자에 가해지는 힘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계측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채널을 지나는 미세입자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드라이브는,
    상기 제1 면이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제1 면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핑거;
    상기 이동부와 대향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제1 핑거 사이로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핑 거;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이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전위차를 일으켜 상기 이동부를 상기 압전소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드라이브와 상기 압전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유연막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는 상기 유연막과 상기 압전소자 사이의 채널을 지나는 미세입 자 변형률 측정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받는 압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는 적혈구(RBC: red blood cell)인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의 변형량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욱 포함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CCD 카메라 또는 고속 카메라를 포함하는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KR1020070076944A 2007-07-31 2007-07-31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KR10088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44A KR100889617B1 (ko) 2007-07-31 2007-07-31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44A KR100889617B1 (ko) 2007-07-31 2007-07-31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02A KR20090012802A (ko) 2009-02-04
KR100889617B1 true KR100889617B1 (ko) 2009-03-20

Family

ID=406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44A KR100889617B1 (ko) 2007-07-31 2007-07-31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0067A2 (en) * 2010-09-22 2012-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US9151705B2 (en) 2012-10-24 2015-10-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10252260B2 (en) 2016-04-01 2019-04-09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particles
US11123734B2 (en) 2019-07-31 2021-09-21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mmune activity determination
US11548003B1 (en) 2022-01-13 2023-01-10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mune activation state
US11592371B1 (en) 2022-01-13 2023-02-28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mune activation state
US11964281B2 (en) 2022-02-03 2024-04-23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patient inde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2057A (ja) * 1989-03-31 1990-10-24 Aloka Co Ltd 赤血球変形能測定装置
KR20040004202A (ko) * 2003-10-28 2004-01-13 (주) 세원메디텍 혈구 변형 센서
KR20060016541A (ko) * 2004-08-18 2006-02-22 (주) 세원메디텍 혈구변형성 측정 장치
KR20060074599A (ko) * 2004-12-27 2006-07-0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압전 효과를 이용한 적혈구 변형률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2057A (ja) * 1989-03-31 1990-10-24 Aloka Co Ltd 赤血球変形能測定装置
KR20040004202A (ko) * 2003-10-28 2004-01-13 (주) 세원메디텍 혈구 변형 센서
KR20060016541A (ko) * 2004-08-18 2006-02-22 (주) 세원메디텍 혈구변형성 측정 장치
KR20060074599A (ko) * 2004-12-27 2006-07-0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압전 효과를 이용한 적혈구 변형률 측정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7532B2 (en) 2010-09-22 2018-02-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WO2012040067A3 (en) * 2010-09-22 2012-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US8935098B2 (en) 2010-09-22 2015-01-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US11169078B2 (en) 2010-09-22 2021-1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WO2012040067A2 (en) * 2010-09-22 2012-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device for high throughput cell deformability measurements
US9464977B2 (en) 2012-10-24 2016-10-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imag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9638620B2 (en) 2012-10-24 2017-05-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10107735B2 (en) 2012-10-24 2018-10-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10295455B2 (en) 2012-10-24 2019-05-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10969327B2 (en) 2012-10-24 2021-04-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9151705B2 (en) 2012-10-24 2015-10-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and analyzing particles
US10252260B2 (en) 2016-04-01 2019-04-09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orming particles
US11123734B2 (en) 2019-07-31 2021-09-21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mmune activity determination
US11986824B2 (en) 2019-07-31 2024-05-21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mmune activity determination
US11548003B1 (en) 2022-01-13 2023-01-10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mune activation state
US11592371B1 (en) 2022-01-13 2023-02-28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mune activation state
US11964281B2 (en) 2022-02-03 2024-04-23 CytoV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patient ind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02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17B1 (ko)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Wei et al. Design of a PVDF-MFC force sensor for robot-assisted single cell microinjection
KR101017908B1 (ko) 뇌 신경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 이동용 마이크로 매니퓰레이터
EP2960637B1 (en) Design and interface of a microfabricated scanning force sensor for combined force and position sensing
EP104294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ssung, kalibrierung und verwendung von laser-pinzetten
BR112015005288B1 (pt) Coagulômetro de sangue e método
WO2017064353A1 (en) Integrated measurement and micromechanical positioning apparatus for real-time test control
KR20090013601A (ko) 미세입자 변형률 측정장치
Murakami et al. Catch, load and launch toward on-chip active cell evaluation
CN110308041B (zh) 一种微纳压缩装置
CN110108625B (zh) 一种基于微镊的粘附力测试方法
Wegiriya et al. A biologically inspired multimodal whisker follicle
US20210140869A1 (en) 3d particle imaging
KR100676694B1 (ko) 압전 효과를 이용한 적혈구 변형률 측정장치
KR20180086753A (ko) 압전 섬유의 압전 물성 측정 장치
US20230140317A1 (en) Measuring deformability of a cell
KR102138930B1 (ko) 비구형 입자의 유변학적 특성 측정 방법
Adam et al. An Overview of Microrobotic Systems for Microforce Sensing
US20220373450A1 (en) Chip fixing device and particle inspection device
Alogla et al. Development of a pneumatically actuated cantilever based Micro-tweezer
US20230251180A1 (en) Measuring deformability of a cell via a pressure field
Kaneko et al. Elasticity Evaluation of Red Blood Cell without Force Sensor under Large Deformation
KR101119564B1 (ko) 액체렌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캐너 시스템
Bruni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iezoelectric composite material for biomedical application
Menciassi et al. 4-axis electromagnetic microgri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