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713B1 -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713B1
KR100888713B1 KR1020080094235A KR20080094235A KR100888713B1 KR 100888713 B1 KR100888713 B1 KR 100888713B1 KR 1020080094235 A KR1020080094235 A KR 1020080094235A KR 20080094235 A KR20080094235 A KR 20080094235A KR 100888713 B1 KR100888713 B1 KR 10088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inclined plate
plate
head control
distribu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박용석
조용우
원흥연
김국배
유기성
Original Assignee
동양수기산업(주)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수기산업(주),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동양수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9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수도시설 또는 오, 폐수처리시설의 침전지에서 침전효율과 부지활용도를 높이고자 설치하는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판의 내부를 일정수의 구역으로 나누어 사각지역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서 면적사용 효율을 높여 침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외부 고정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구성품이 복합소재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경량화와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식이 방지될 수 있으며, 경사판을 하나의 팩으로 조립하여 처리 수량에 따라 팩을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처리수질의 향상, 설치 및 유지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경사판, 침전지

Description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Upflow inclined-plate separating device with head-controlled flow rate distribution type}
본 발명은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판의 내부를 일정수의 구역으로 나누어 사각지역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서 면적사용 효율을 높여 침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판은 장방형 또는 원형 중력침전지의 제한된 면적 효율성을 높이고 침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크게 구조적 문제와 소재의 문제로 인하여 경사판의 이론적 효용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구조적인 문제를 살펴보면, 설치 형태에 따라 상향류 형식과 수평류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향류 방식은 침전지 내부에 저류벽을 설치하여 수류가 경사판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형태이며, 수평류 방식은 수류가 수평으로 흐르며 판과 판 사이를 통과하여 유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침전지내부의 수온과 밀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단락류와 밀도류의 영향을 제어할 수 없는 단순한 구조이며 또한 이로 인해 사수부(dead zone) 및 경사판 내부의 불규칙한 유속 변화가 발생하여 침전효율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경사판의 설치목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접촉면적의 확대가 이로 인해 줄어들기 때문에 면적 효율성의 저하가 발생하며, 또한 침전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단락류 및 밀도류가 발생하는 경우 경사판의 상부 또는 기타 위치에 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장치가 없으므로 이러한 영향을 그대로 받아 고형물의 침전을 방해하여 침전효율을 저감시킨다.
기존 경사판의 형태는 폭 1m, 길이 30㎝ 정도의 작은 판을 철재의 구조물을 이용해 수직으로 연결하여 침전지 상부의 횡단하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매다는 현수형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경사판을 일정한 고정틀 안에 설치하여 하부에 철골빔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적재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모두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쪽 경사판 표면에 조류가 발생하여 슬러지 침전을 방해하였으며 경사판과 경사판의 연결부위에 간극이 있어 이 부분에 슬러지가 쌓이기 시작하여 슬러지의 슬라이딩을 방해하고 계속 쌓이는 악순환이 계속되어 경사판이 폐색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수질의 악화는 물론 쌓인 슬러지의 무게로 인해 경사판의 변형과 이탈을 야기하고 결국 경사판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소재의 문제를 살펴보면, 그동안 경사판에 사용되어왔던 소재는 주로 얇은 철판이나 코팅된 철판이었으며 설치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경사판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여 판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해 조류와 슬러지의 고착현상을 심화시켜 경사판 내부에서 슬러지의 슬라이딩을 방해하여 침전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경사판을 한 장으로만 사용하여 연결을 없애는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그 크기의 기술적 한계를 폭과 길이가 각 1m정도의 주름형태로 절곡하여 보강하였으나 침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크기의 경사판이 필요하였다.
판의 재질도 ABS 수지판 등으로 다양화하였으나 상부가 개방된 구조적인 형태에서는 근본적으로 조류의 발생 및 슬러지 폐색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 실정이어서 경사판이 가진 장점에도 불구하고 설치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판 침전지의 이론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경사판이 가진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에 오리피스 홀이 뚫려있는 판을 이용하여 유출수로를 형성하여 경사판의 폐색 및 조류발생을 예방하고, 경사판 측면부를 폐쇄하고 하부에 일정크기의 유입구를 위치시키므로 원수의 유입경로를 항상 하부로 유도하여 단락류 및 밀도류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55~60도의 경사각도로 세워진 경사판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획을 구분하는 칸막이 역할의 스티프너를 설치하므로 폭과 높이의 비율이 최적화되어 사수부가 해소되어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구조물로 제작하여 적재형 시공이 가능하며, 표면이 매끄럽고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탁월한 경량 복합소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경사판을 사용하여 슬러지 침강효율의 증대가 가능하며, 팩형 구조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피치로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판;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고, 복수의 오리피스홀이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서 상기 상판 위로 공간을 형성하는 플륨; 상기 플륨의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판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수평웨어;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사이에 경사판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하여 차단하는 중앙스티프너; 및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사이에 상기 중앙스티프너의 양측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형성된 한쌍 이상의 측부스티프너를 포함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이다.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유입홀은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유입홀은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 하단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리피스홀은 상기 중앙스티프너와 측부스티프너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대응하게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사판과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경사판과 상기 측부스티프너 사이의 결합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중앙스티프너 및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을 통해 인접하는 상기 결합홀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인트는,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통과후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결합홀에 걸리도록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목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웨어의 높이는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리피스홀은 벤츄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정류판이 설치되어 수류를 정류하고, 상기 정류판에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지내로 유입되는 모든 원수가 반드시 경사판을 거쳐야만 유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경사판을 2~4개의 구획으로 구분하여 경사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접촉면적의 극대화와 사수부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상부 오리피스홀의 작용으로 경사판 내부와 외부의 수두차이를 발생시 켜 경사판내부의 유속과 흐름이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이루어 전체적인 처리조건의 균등화 및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과 플륨, 웨어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고질적인 부식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경량화를 이루어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부 플륨의 햇빛차단작용으로 경사판표면의 조류번식을 차단하여 슬러지 침적현상을 예방함으로 정기적인 청소 빈도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이용하여 침전지뿐만 아니라 농축조나 배슬러지지, 배출수지 등 고액분리가 필요한 다양한 공정에 적용이 가능하여 수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가 침전지(1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의 침전지(10)에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 치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침전지(10)에는 설치빔(31)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빔(31)은 상기 침전지(10) 내에서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빔(31)은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큰 FRP빔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침전지(10)의 단면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방향 침전지 및 원형침전지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치빔(31)에 보조적으로 공지의 설치와이어(미도시)를 더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기본적으로 프레임(33)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3)은 상기 설치빔(31)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3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33)은 부식에 강한 SUS304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3)에 경사판(23)이 일정피치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상기 경사판(23)의 각도는 바닥면에 대하여 55~60°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판(23)의 크기는 최대폭 1.5m, 최대길이 3.0m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23)의 상측으로 벤츄리형으로 가공된 오리피스홀(21)이 형성된 상판(30)이 배치되어, 상기 경사판(23)을 통과한 유체의 유통을 제한한다.
상기 상판(30)의 주위에는 펜스 형태의 플륨(29)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30)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플륨(29)의 일방향은 상기 상판(30)의 높이 또는 그 이하로 개방되어 수평웨어(22)를 이룬다.
상기 수평웨어(22)는 상기 침전지(10)의 일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침전지(10)의 배출구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수평웨어(22)는 상기 침전지(10) 내의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웨어(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륨(29) 내의 수위보다 낮게(수두차 h2) 위치한다.
상기 오리피스홀(21)은 하기하는 중앙스티프너(24) 및 측부스티프너(25,26)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스티프너(24) 및 측부스티프너(25,26)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공간의 면적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는 경사판(23) 사이의 공간은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및 측부스티프너(25,26)에 의해 분할된다.
즉, 상기 중앙스티프너(24)가 상기 경사판(23)을 좌우측으로 양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는 상기 중앙스티프너(24)에 평행하게 상기 중앙스티프너(2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사판(23)을 2분할 또는 4분할 등 2의 배수의 분할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분할하였다.
상기 경사판(23)의 공간을 몇 개로 나눌 것인가는 처리대상유량과 침전지의 깊이와 크기에 따라 경사판의 길이가 결정되어지면 그 길이(L)에 대한 폭(W)의 비를 계산하여 최적의 형태로 결정되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판(23)과 스티프너(24,25,26)의 결합으로 경사판 내부에는 독립된 구획이 형성되며 각 구획은 독립침전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판(23)의 좌우 최외측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27,28)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27,28)은 원활한 유체의 공급을 위해 2개 이상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유체가 상승하면서 혼합하므로, 유체의 원활한 혼입에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홀(27,28)의 위치와 크기는 경사판(23)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또, 상기 유입홀(27,28)은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상기 경사판(23)에 의해 하향하는 슬러지에 의해 유체의 유입을 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7,28)의 형태는 응집이 진행되어 플록이 형성되어 유입될 경우 그 플록이 접촉하여 깨지지 않도록 적당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장방형으로 가공된다.
이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3)과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및 측부스티프너(25,26)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조인트(35)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한다.
상기 조인트(35)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중앙스티프너(24)와 상기 측부스티프 너(25,26)의 단부는 결합홈(41,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판(23)은 상기 조인트(35)의 회전부(36)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43)을 가져야 한다. 또, 상기 결합홀(43)은 상기 경사판(23)에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및 측부스티프너(25,26)가 설치될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41,42)은 대략 C자 모양의 홈으로써, 상기 결합홈(41,42)의 입구는 그 내측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35)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43)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홈(41,42)에 결합하는 회전부(36)와, 상기 회전부(36)가 통과후 상기 결합홈(41,42)에 위치하는 연결부(37)와, 상기 결합홈(41,42)에 걸리도록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의 결합홈(41,42)에 결합하는 고정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회전부(36)는 상기 결합홈(41)에 삽입된 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38)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고정부(38)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부(36)에는 상기 결합홈(41)의 입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목(39)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8)에는 상기 결합홈(42)의 입구와 맞물릴 수 있는 체결홈(40)이 상기 고정부(38)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기 연결부(37)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인트(35)를 통해, 상기 경사판(23)과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측부스티프너(24,25)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경사판(23)의 결합홀(43)을 통해 상기 조인트(35)의 상기 회전부(36)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통과된 회전부(36)를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측부스티프너(24,25)의 결합홈(41)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고정부(36)가 상기 경사판(23)의 가로방향에서 수직방향이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6)는 상기 결합홈(41)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결합홈(41)의 입구는 상기 회전목(39)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경사판(23)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부(38)에 대해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로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측부스티프너(24,25)의 결합홈(42)을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결합홈(42)의 입구는 상기 체결홈(40)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을 반복하면, 상기 경사판(23)과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측부스티프너(24,25)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인트(35)의 길이치수 및 상기 결합홈(41,42)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판(23)과 상기 중앙스티프너(24) 또는 측부스티프너(24,25)가 억지끼움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상기 경사판(23)을 고정하는 상기 프레임(33)을 제외한 모든 구성품을 무게가 가벼우면서 강도가 강한 복합소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경량화 및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 일정한 수량의 경사판(23)을 하나의 팩으로 구성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침전지(10)에 설치시 최외측 경사판(23)이 원수의 공급구(34)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침전지(10)의 폭방향, 즉 상기 원수의 공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침전지(10)와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사이에 원수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또, 상기 수평웨어(22)는 상기 공급구(34)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원수의 흐름상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태양 및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10)의 공급구(34)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최외측 경사판(23)과 접촉한 후 상기 경사판(23)을 우회하여,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의 좌우측으로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된 원수는 상기 측부스티프너(25,26)의 유입구(28)를 통하여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있는 상기 경사판(23)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경사판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경사판(23)과 접촉하여 하부 약 1/4지점에서부터 플록의 크기가 커져 중력의 작용으로 경사판의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처리된 원수는 상기 경사판(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의 오리피스홀(21)을 통해 플륨(29)으로 유출된다.
상기 경사판(23) 내부의 원수의 흐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의 압력으로 인해 일정한 속도로 상부로 향하게 되고, 이 때의 유체의 운동에 의해 교란이 발생하여 상기 경사판(23) 내부의 공간에 사수부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된 유체는 상기 플륨(29)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수평웨어(22)를 통해 침전지(10) 외부로 유출된다.
또, 상기 경사판(23)에 의해 분리되는 슬러지는 상기 경사판(23)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침전지(10)에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30)의 오리피스홀(21) 크기와 상기 수평웨어(22) 높이로 배출되는 유체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리피스홀(21)이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면서,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외부의 수위와 상기 플륨(29) 내부의 수위 차가 발생하며 이 차이로 인해 상기 경사판(23) 내부의 유속과 흐름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경사판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거의 같은 조건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홀(21)은 벤츄리형상으로 가공되어 유체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이와 같은 조건은 결과적으로 침전지(10) 내부의 밀도류나 단략류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외부조건에 대해 충분한 완충작용으로 처리수의 수질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며, 상기 플륨(29)은 상기 경사판(23) 내부로의 햇빛을 차단하여 기존의 경사판이 갖고 있는 치명적인 조류번식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이로 인해 경사판 표면에 조류로 인한 슬러지의 침적현상 또한 예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중앙스티프너(54)의 양측으로 측부스티프너(55,56)가 하나씩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상술한 두쌍의 측부스티프너(25,26)을 가지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보다 경사판(53) 내부의 원수의 흐름에 따른 사수부 형성의 억제능력이 다소 저하되지만,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작은 규모의 침전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 판 침전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3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와 동일하다.
다만, 실시예3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는 경사판(123)과 중앙스티프너(124) 및 측부스티프너(125,126)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판(130)의 하측으로 정류판(159)이 설치된다.
상기 정류판(159)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스티프너(124) 및 상기 측부스티프너(125,126)에 의해 교란된 수류를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정류판(159)은 상기 경사판(123)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류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정류판(159)에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160)을 형성하여 정류의 유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류공(160)이 복수개인 경우 수평방향의 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정류공(16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정류판(159)이 스티프너와 스티프너 사이의 최상부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가 오리피스홀로 배출되기 직전 유체의 흐름을 정류하는 효과를 주어 유체가 오리피스 홀로 유출될 때 미세하게나마 발생할 수 있는 난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가 침전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가 설치된 침전지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사용되는 경사판과 중앙스티프너, 측부스티프터, 및 경사판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사용되는 중앙스티프너, 측부스티프터, 및 경사판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티프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중앙스티프너, 측부스티프터, 및 경사판의 상호 결합시 사용되는 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에 사용된 정류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전조 21,51: 오리피스홀
22: 수평웨어 23: 경사판
24,54: 중앙스티프너 25,26,55,56: 측부스티브너
27,28,57,58: 유입구 29,52: 플륨
30,50: 상판 31: 설치빔
33: 프레임 34: 공급구
35: 조인트 36: 회전부
37: 연결부 38: 고정부
39: 회전목 40: 체결홈
41,42: 결합홈 43: 결합홀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피치로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판;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고, 복수의 오리피스홀이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서 상기 상판 위로 공간을 형성하는 플륨;
    상기 플륨의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판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수평웨어;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사이에 경사판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하여 차단하는 중앙스티프너; 및
    상기 복수의 경사판의 사이에 상기 중앙스티프너의 양측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형성된 한쌍 이상의 측부스티프너를 포함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유입홀은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유입홀은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 하단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홀은 상기 중앙스티프너와 측부스티프너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대응하게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과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경사판과 상기 측부스티프너 사이의 결합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중앙스티프너 및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을 통해 인접하는 상기 결합홀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통과후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결합홀에 걸리도록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스티프너 또는 상기 측부스티프너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목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웨어의 높이는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홀은 벤츄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측에 상기 경사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정류판이 설치되어 수류를 정류하고, 상기 정류판에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KR1020080094235A 2008-09-25 2008-09-25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KR10088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235A KR100888713B1 (ko) 2008-09-25 2008-09-25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235A KR100888713B1 (ko) 2008-09-25 2008-09-25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713B1 true KR100888713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235A KR100888713B1 (ko) 2008-09-25 2008-09-25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7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19B1 (ko) 2010-12-30 2011-04-1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총인〔t-p〕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기존 침전지 개량형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32024B1 (ko) 2010-09-15 2011-05-02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개수로의 녹조류 발생 방지 장치
KR101058435B1 (ko) 2011-07-04 2011-08-24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경사판 거치대
KR101841671B1 (ko) * 2017-10-25 2018-03-26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811A (ja) 1986-11-10 1988-05-24 Waseda Giken Kk 傾斜板装置
US6817476B2 (en) 2003-01-31 2004-11-16 Aerex Industries, Inc. Water clarification system
US6899231B2 (en) 2002-08-14 2005-05-31 Nordic Water Products Ab Settling device
KR100712962B1 (ko) 2007-01-26 2007-05-02 뮤러아시아(주) 경사판 침전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811A (ja) 1986-11-10 1988-05-24 Waseda Giken Kk 傾斜板装置
US6899231B2 (en) 2002-08-14 2005-05-31 Nordic Water Products Ab Settling device
US6817476B2 (en) 2003-01-31 2004-11-16 Aerex Industries, Inc. Water clarification system
KR100712962B1 (ko) 2007-01-26 2007-05-02 뮤러아시아(주) 경사판 침전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24B1 (ko) 2010-09-15 2011-05-02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개수로의 녹조류 발생 방지 장치
KR101027719B1 (ko) 2010-12-30 2011-04-1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총인〔t-p〕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기존 침전지 개량형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58435B1 (ko) 2011-07-04 2011-08-24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경사판 거치대
KR101841671B1 (ko) * 2017-10-25 2018-03-26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713B1 (ko) 손실수두제어 유량분배형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장치
CN209221573U (zh) 一种沉沙池
CN102966080A (zh) 一种新型火、核电厂防盐雾消减泡沫设施
CN100482865C (zh) 异物去除机构、液流处理装置以及异物去除方法
US4579692A (en) Water distribution method and flume for water cooling tower
CN205145682U (zh) 一种畜禽养殖污水前处理的竖流式沉淀池
CN106930199B (zh) 改善弧形排水箱涵出水流态的整流装置
KR0133191Y1 (ko) 정수장용 침전장치
CN205360687U (zh) 平向流斜板净化装置及具有该净化装置的沉降池
CN204589945U (zh) 一种间隔交错式反向挑流消能水力整流装置
CN106968295B (zh) 一种分流槽道式泵站调节池
CN214763502U (zh) 一种高炉水渣系统用多级沉淀装置
CN210434042U (zh) 一种设水平管的改良平流沉淀池
CN109833654A (zh) 一种自动清洗水平卷膜(布)沉淀池
CN109260776A (zh) 一种沉沙池
KR100921529B1 (ko) 수처리장 침전지
CN205586623U (zh) 一种雨水沉沙池装置
CN210438466U (zh) 适配装置及水处理池
CN209537659U (zh) 一种环流电解装置
CN206081775U (zh) 一种新型水平管沉淀池
CN208356184U (zh) 纵横式双功能沉滑净化装置及具有该净化装置的沉淀池
CN205995091U (zh) 一种均布沉淀池
CN112195881A (zh) 一种控制鱼道水深的流量调节池及鱼道
CN205699629U (zh) 用于防止矾花上浮的集水管
CN205307890U (zh) 一种连续沉淀分离斜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