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722B1 -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 Google Patents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722B1
KR100887722B1 KR1020070002800A KR20070002800A KR100887722B1 KR 100887722 B1 KR100887722 B1 KR 100887722B1 KR 1020070002800 A KR1020070002800 A KR 1020070002800A KR 20070002800 A KR20070002800 A KR 20070002800A KR 100887722 B1 KR100887722 B1 KR 10088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goggles
present application
molten salt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750A (ko
Inventor
오경호
Original Assignee
손정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탁 filed Critical 손정탁
Priority to KR102007000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7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원은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이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해독작용 및 살균작용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소금안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의 소금안대는 용융소금만을 내장하는 구조로 제공되거나 또는 제3의 기능성 물질로 황토볼 등을 함께 내장시키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소금안대는 특히 수험생이나, 불면증 환자 등이 잠시의 휴식시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눈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는바, 본원의 소금안대는 인체 공학적 디자인으로 장시간 착용 시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탈, 부착도 가능한 소금안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의 소금안대는 일반소금을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된 후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을 분쇄하여 0.1~3 ㎜ 입자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상기 분말소금을 내장하는 분말소금포는 섬유류나 합성수지류로 제공될 수 있다.
안대, 소금안대, 용융소금, 분말소금포, 황토볼,

Description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Eye bandage including smelting salt}
도 1a : 본원의 소금안대의 간략 사시도
도 1b : 본원의 소금안대의 소금내장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소금안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 소금안대의 사용상태도
도 4 : 본원에서 이용하는 용융소금의 원적외선 방출량 시험성적서
도 5 : 본원에서 이용하는 용융소금의 항균 시험성적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융소금 20 : 소금내장포
30 : 안대 외피포 31 : 접합연결부
32 : 탄성재 40 : 밴드부
100 : 소금안대
21세기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와 잔무에 시달리면서도 쌓인 피로를 씻어줄 안식공간을 찾지 못하여 많은 사람들이 휴식공간으로 찜질방이나 사우나 시설을 찾아 황토방, 숯방, 소금방, 옥반석방 등을 찾아다니며 땀을 흘리며 휴식공간을 찾아다니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다.
본원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용융소금이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인체에 유익한 파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두통, 어깨 결림, 목과 머리의 피로개선의 효과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소금안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을 하지 않은 일반소금이나 암염, 죽염 등은 상온에서 조해성을 가지며 물에 쉽게 용해되고 접착력이나 점착력이 전혀 없지만,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은 일반소금과는 전혀 상이한 성질, 즉 조해성도 없고 물에도 녹지 않으며 수분의 침투도 거의 없는 성질을 가지면서, 이를 분말화 하여 물을 가하면 접착력이 생겨 그 자체를 접착제로 사용하거나 일정한 형상의 고형물을 만들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
종래의 기술에서도 신경통이나 피로회복 등의 치료 용도에 소금성분을 이용한 예로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167797호에 두통을 개선시키기 위한 소금베개가 개시되어 소금베개가 어깨나 목의 신경통 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쾌적한 수면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변잡화용품에 이용되는 소금은 천연의 불순물 성분을 포함 한 상태로 사용되어 왔는바, 소금 불순물 중의 일종인 간수성분은 대기 중에서 조해성을 갖게 되며, 따라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소금이 소량씩 뭉쳐지며 녹아버리는 성질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므로 소금성분을 이용하여 신체에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소금성분으로부터 발생되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소금제픔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371016호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3009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296045호 등에서 소금으로부터 발생되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유사 관련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기술은 소금 성분이 파동에너지를 줄 수 있음을 개시하여, 높은 파동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해저 심층부로부터 채취한 소금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금제품에서도 실제 사용 과정에서 제품 속에 내장된 소금이 조해성을 나타내어 쉽게 뭉쳐지고 서서히 녹아버리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소금 팩을 완전 밀봉상태로 제공하고 소금파우더와 공기를 함께 주입하여 밀봉상태로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는 한계를 갖고 있으므로, 소금이 갖고 있는 원적외선 발생효과, 파동에너지 발생효과 등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원은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이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해 독작용 및 살균작용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소금안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소금안대는 용융소금만을 내장하는 구조로 제공되거나 또는 제3의 기능성 물질로 황토볼이나 숯 등을 함께 내장시키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소금안대는 특히 수험생이나, 불면증 환자 등이 잠시의 휴식시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눈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는바, 본원의 소금안대는 인체 공학적 디자인으로 장시간 착용 시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탈, 부착도 가능한 소금안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과 모델을 만들어 시험하는 단계에서 용융소금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3의 기능성 물질로 용융소금에 황토볼이나 숯 등을 함께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므로 특히 수험생이나, 불면증 환자 등이 잠시의 휴식시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눈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용융소금을 이용한 안대가 본원의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 구조는 용융소금을 0.1~3 ㎜ 입자형태로 제공되는 고체분말 소금을 수용하는 소금내장포에 내장하는 구조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상기 고체분말 소금은 일반소금을 850 ~ 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된 후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을 분쇄하여 0.1~3 ㎜ 입자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상기 분말소금을 내장하는 소금내장포는 섬유류나 합성수지류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소금안대에 사용 가능한 섬유류는 천연섬유가 바람직하며 천연섬유 중에서도 식물성섬유가 좋으며, 식물섬유에는 면화·케이폭면·코이어 등의 종자섬유와 마닐라삼·사이잘삼 등의 엽맥섬유, 그리고 아마·모시풀·황마·삼 등의 인피섬유가 있으나 그 중에 면 섬유는 흡수성과 착용감이 좋고, 오염을 잘 흡수하여 위생적이며, 세탁하기가 편리하므로 본원의 분말소금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더욱 고급스러운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뽕을 먹고 자라는 누에고치로부터 뽑아낸 실로 만든 견 섬유를 사용하면 촉감이 부드럽고 광택이 좋고 보온성이 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소금내장포를 합성수지 필름류 포장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필름이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공간을 갖는 필름류가 아니라, 필름원단에 0.01 ~ 0.9 mm 정도의 미세공(hole)을 형성하도록 하여 베개 내용물인 용융소금의 효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류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소재로서 알루미늄피막비닐, 종이합지, 증착필름, 나일론이나 부직포 등의 소재가 소금분말포로 이용 가능하다.
본원의 용융소금을 내장하는 소금내장포에는 제3의 기능성 물질로 황토볼이나, 숯 등이 추가되어 내장될 수 있으며 숯은 일정 입도크리로 분쇄하여 내장하면 되고 황토볼은 황토 입자 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위하여 가공될 수 있다.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 숨쉬면서 주변 환경을 정화시켜 줌과 동시에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생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황토는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약하여 다른 물질과 혼화가 어렵고 뭉쳐놓으면 크랙이 발생하며 분말화되고자 하는 성격을 가지므로 본원에서는 황토의 우수한 특성에 상승효과를 부여하며 결합력을 높여주는 재료로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음이온이 방출되는 규조토를 사용하고 또한 천연황토나 천연규조토 중에 섞여 있는 불순물 중에서 만에 하나라도 유해물이 방출될 우려를 감안하여 장석을 혼합하여 만든 황토볼을 용융소금과 함께 소금내장포에 내장하거나 용융소금에 숯을 추가하거나 용융소금에 황토볼과 숯을 포함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겸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 실시양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100)의 간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도 1b 는 본원의 소금안대(100)의 외피에 감싸져서 실제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위인 용융소금(10)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를 도시한 간략 사시도 인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100)는 용융소금(10)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를 외부에서 보드러운 천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외피포(30)의 접합연결부(31)를 통하여 용융소금(10)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를 소금안대(100) 안으로 삽입한 후 접합연결부(31)를 원위치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피포(30)를 두부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부(40)를 갖는 소금안대(100)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10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인바, 소금안대(100)의 중앙부에 용융소금(10)이 내장되고 용융소금(10)은 소금내장포(20)로 감싸지며, 용융소금(10)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는 접합연결부(31)를 통하여 외피포(30)내부로 삽입된 구조의 소금안대(1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금안대(100) 외피포(30) 내부에는 착용 시 안면(코) 접촉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폰지 등의 탄성재(32)를 내장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원의 안대구조에서는 외피포(30)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소금내장포(20)를 외부로 꺼내서 따듯한 햇빛을 쪼인 후 다시 사용하거나 외피포(30)를 세탁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100)가 실제적으로 얼굴에 착용되는 사용상태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100)의 소금내장포(20)에는 용융소금(10)층 이외에도 제3의 기능성 물질로 황토볼이나, 숯 등을 추가시켜 제공될 수 있는바, 본원에서 용융소금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과 용융소금에 황토볼을 추가시킨 구조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황토볼을 만들어 사용하고자 하였는바, 황토 1000 gr, 소성규조토 600 gr, 장석 400 gr 을 혼합하여 믹서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200 cc 의 물과 솔잎가루 50 gr을 믹서기에 투입하여 혼합 및 반죽을 실시하고, 반죽물을 토련기에 넣고 토련기 내에서 반죽물 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서 직경 0.5~3 ㎜ 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황토볼을 얻고, 상기 황토볼을 800℃에서 1 ~ 3시간 열처리하여 본원의 소금안대에 용융소금과 황토볼을 7 : 3의 비율로 내장하여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패널테스트를 실시하고자 하였는바, 발명자의 조카가 다니는 대구 시내 소재의 한 고등학교 3학년 급우 학생들 55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용융소금만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로 만든 소금안대를 A타입으로 하고, A타입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금안대를 제공하되 용융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소금을 내장한 소금내장포(20)로 소금안대를 B타입으로 제공하고, A타입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하되 용융소금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황토볼을 이용하여 용융소금과 황토볼을 7 : 3의 비율로 내장한 소금내장포(20)로 한 C타입의 안대를 하나씩 제공해주고 사용 후 설문지에 답변을 해달라는 부탁을 하고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자 46인이 제출한 응답결과를 갖고 평균치를 얻고자 하였다.
설문내용 :
설문 : A타입 안대와 B타입, C타입 안대의 원료성분을 밝히지 않고, 공부를 하다가 눈에 피로도를 느낄 때, 저녁 숙면 시 본원의 A타입 내지 C타입 안대를 번갈아 착용하여 비교 사용하고 사용 후 눈의 피로회복도, 사용 후 눈의 상쾌함, 취침에 이르는 시간단축도, 취침 후 느끼는 만족감, 각각에 대하여 A타입, B타입 또는 C타입 중에서 최량의 것 은 ≫표시로, 더 좋다고 느껴지는 것은>표시로, 대등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 표시로 선택하여 답해줄 것을 부탁하여 체크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 : 눈의 피로회복도 항목에서는, A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62%, C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26% 구분을 못 하겠다 라는 응답자가 12%가 나 왔고, 사용 후 눈의 상쾌함 항목에서는 A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58%, C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32% 구분을 못 하겠다 라는 응답자가 10%가 나왔으며, 취침에 이르는 시간단축도 항목에서는, A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55%, C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24% 구분을 못 하겠다 라는 응답자가 21%가 나왔고, 취침 후 느끼는 만족감 항목에 대하여는 A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60%, C타입이 가장 좋다는 응답자가 28% 구분을 못 하겠다 라는 응답자가 12%의 응답결과를 얻고 본원에서 제공되는 용융소금만으로 제공되는 소금안대 A타입이 가장 선호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용융소금과 황토볼을 내장하는 소금안대 C타입이 다음으로 선호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융소금이 아닌 일반소금을 사용한 안대에 대해서는 A타입이나 C입 안대와 구분을 못 하겠다 라는 응답자는 있었으나 이를 좋은 것으로 선택한 응답자는 전혀 없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에 사용하는 용융소금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측정하였는바, 인체의 온도범위인 40℃에서 KICM-FIR-1005 시험방법에 의한 원적외선 방출량 시험에서 3.69×102 W/㎡ 의 실험결과를 얻었으며 관련자료는 도 4로 첨부하였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융소금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사용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시료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22 시료를 이용하여 대장균 및 녹농균에 의한 항균실험을 한 결과, 99.8%의 세균감소율을 나타내는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관련자료는 도 5로 첨부하였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에 사용하는 용융소금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측정하였는바, 인체의 온도범위인 40℃에서 KICM-FIR-1005 시험방법에 의한 원적외선 방출량 시험에서 3.69×102 W/㎡ 의 실험결과를 얻었으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금안대에 사용하는 경우 눈의 피로를 해소시키고 머리를 맑고 시원하게 하여 자연스런 숙면 및 피로를 풀어주는 기능성을 갖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의 소금안대에 사용하는 용융소금이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원적외선은 두뇌활동을 자극하는 뇌파인 알파파의 활동을 극대화시켜 줌으로 집중력,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줌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본원의 소금안대는 현대생활에 스트레스를 받고 두통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낮 시간 잠시 착용하더라도 스트레스에서 오는 베타파를 안정시켜주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현대인들의 잦은 스트레스로 오는 두통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통기공을 갖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제공되는 내장포에 기능성물질을 내장하여 제공되는 안대에 있어서,
    상기 내장포에는 850~12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된 후 냉각되어 정제된 용융소금분말을 0.1~3 ㎜ 입자크기로 분쇄시켜 내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안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포에는 용융소금 이외에 800℃에서 1 ~ 3시간 열처리하여 얻은 황토볼이 추가 내장되되, 용융소금과 황토볼이 7 : 3의 부피비율로 내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안대.
KR1020070002800A 2007-01-10 2007-01-10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KR10088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00A KR100887722B1 (ko) 2007-01-10 2007-01-10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00A KR100887722B1 (ko) 2007-01-10 2007-01-10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50A KR20080065750A (ko) 2008-07-15
KR100887722B1 true KR100887722B1 (ko) 2009-03-19

Family

ID=3981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00A KR100887722B1 (ko) 2007-01-10 2007-01-10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7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25B1 (ko) 2010-11-29 2012-08-24 김문현 소립황토구슬삽입 숙면안대
CN108013968A (zh) * 2017-10-24 2018-05-11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遮光体结构及新型眼罩结构
KR101891212B1 (ko) 2017-04-28 2018-08-23 이미선 천일염 및 남실을 함유하는 아이 필로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75Y1 (ko) * 1999-12-15 2000-06-01 권호석 수납 기능을 갖는 안대
KR20020042772A (ko) * 2002-04-03 2002-06-07 박석준 게르마늄숙면 고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75Y1 (ko) * 1999-12-15 2000-06-01 권호석 수납 기능을 갖는 안대
KR20020042772A (ko) * 2002-04-03 2002-06-07 박석준 게르마늄숙면 고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25B1 (ko) 2010-11-29 2012-08-24 김문현 소립황토구슬삽입 숙면안대
KR101891212B1 (ko) 2017-04-28 2018-08-23 이미선 천일염 및 남실을 함유하는 아이 필로우 및 그 제조방법
CN108013968A (zh) * 2017-10-24 2018-05-11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遮光体结构及新型眼罩结构
WO2019080687A1 (zh) * 2017-10-24 2019-05-02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遮光体结构及新型眼罩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50A (ko)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9881A (ja) 眼マッサージ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7722B1 (ko) 용융소금이 내장된 안대
CN205181596U (zh) 一种含聚乳酸的一次性自发热护眼罩
CN204654421U (zh) 一种中草药保健枕头
KR20100038638A (ko) 수면안대
CN108294543A (zh) 一种保健床垫及其制造方法
KR100712055B1 (ko) 수면안대
CN104739128B (zh) 一种中草药保健枕头
CN201185779Y (zh) 多功能复合床垫
CN108324007A (zh) 一种仿生睡眠多功能多层结构床垫
CN201234796Y (zh) 多功能复合枕
CN201104706Y (zh) 丝绸茶香枕
CN201234795Y (zh) 保健型复合枕
KR101393641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차렵 침구류
KR20180110544A (ko)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CN106637661A (zh) 一种保健棉纤被芯
CN207492108U (zh) 一种抗菌舒适家居服
CN201586116U (zh) 蚕丝眼罩
CN206197639U (zh) 一种多功能保健型枕头
CN209219290U (zh) 一种抗菌的衣服
CN111436796A (zh) 基于多功能矿石粉末与食品级硅胶的床垫及其制备方法
CN110627477A (zh) 一种无机宽波远红外复合环保材料
KR200421718Y1 (ko) 건강 모자
CN201185777Y (zh) 加热型复合床垫
KR200436284Y1 (ko) 자연석이 내장된 운동용 머리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