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291B1 -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 Google Patents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291B1
KR100886291B1 KR1020067019153A KR20067019153A KR100886291B1 KR 100886291 B1 KR100886291 B1 KR 100886291B1 KR 1020067019153 A KR1020067019153 A KR 1020067019153A KR 20067019153 A KR20067019153 A KR 20067019153A KR 100886291 B1 KR100886291 B1 KR 10088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 adhesion
photocatalyst
lay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6781A (en
Inventor
히데유끼 미야께
히데시 하또리
히로노리 고바야시
히데쯔구 다자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2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5/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topography
    • C12N2535/10Patterned co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의 큰 면적에 걸쳐 효율적으로 세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고, 조직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이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은 상기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세포 접착부와 패턴형으로 형성되며,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를 갖고,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는 상기 세포 접착부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세포 접착부 상의 세포들이 서로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that can arrange cells efficiently over a large area on a substrate and form tissues and the lik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and a cell culture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the cell culture region containing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wherein the cell culture region is the cell The cell adhesion part is formed in a pattern form with the cell adhesion part formed, and has a cell adhesion aid that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wherein the cell adhesion aid is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aid when the cell is attached to the cell adhesion part. It provides a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portion is formed to be able to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기재,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 세포 배양 영역, 세포 접착층, 세포 접착부, 세포 접착 보조부 Substrat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ell culture region, cell adhesion layer, cell adhesion part, cell adhesion aid

Description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혈관 등의 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used for culturing cells such as blood vessels, for example.

현재, 여러 가지의 동물이나 식물의 세포 배양이 행하여지고 있고, 또한 새로운 세포의 배양법이 개발되어 있다. 세포 배양의 기술은 세포의 생화학적 현상이나 성질의 해명, 유용한 물질의 생산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배양 세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합성된 약제의 생리 활성이나 독성을 조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Currently, cell cultures of various animals and plants are carried out, and new cell cultur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Cell culture technology is used for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biochemical phenomena and properties of cells and producing useful substances. In addition,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and toxicity of artificially synthesized drugs using cultured cells.

일부의 세포, 특히 많은 동물 세포는 무엇인가에 접착하여 생육하는 접착 의존성을 갖고 있고, 생체 밖의 부유 상태로는 장기간 생존할 수 없다. 이러한 접착 의존성을 갖은 세포의 배양에는 세포가 접착하기 위한 담체가 필요하고, 일반적으로는 콜라겐이나 피브로넥틴 등의 세포 접착성 단백질을 균일하게 도포한 플라스틱제의 배양 접시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세포 접착성 단백질은 배양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의 접착을 쉽게 하거나, 세포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me cells, especially many animal cells, have an adhesion dependency that grows by attaching to something and cannot survive long-term in a floating state outside of the body. The culture | cultivation of the cell which has such adhesive dependence requires the carrier for cell adhesion, and the plastic culture dish which apply | coated uniformly cell adhesive protein, such as collagen and fibronectin, is used generally. These cell adhesive proteins are known to act on cultured cells to facilitate cell adhesion or to affect the shape of the cells.

한편, 배양 세포를 기재 상의 미소한 부분에만 접착시켜, 배열시키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배양 세포를 인공 장기나 바이오센서, 생물 반응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배양 세포를 배열시키는 방법으로는 세포에 대하여 접착이 용이함이 다른 표면이 패터닝되어 있는 기재를 이용하여, 이 표면에서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가 접착하도록 가공한 표면에만 세포를 접착시킴으로써 세포를 배열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technique for adhering and arranging cultured cells to a minute portion on a substrate has been reported. With this technique, cultured cells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organs, biosensors, bioreactors and the like. As a method for arranging cultured cells, cells are cultured on this surface using a substrate on which a surface that is easily adhered to the cells is patterned, and the cells are arranged by adhering the cells only to a surface that has been processed to adhere to the cells. The method is taken.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회로형으로 신경 세포를 증식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정전하 패턴을 형성시킨 전하 유지 매체를 세포 배양에 응용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로는 세포 비접착성 또는 세포 접착성의 광 감수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터닝한 표면 상에 배양 세포의 배열을 시도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pplies a charge retention medium in which a static charge pattern is formed for cell culture, for the purpose of proliferating neurons in a circuit.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attempts to arrange cultured cells on a surface on which a cell non-adhesive or cell adhesive photosensitive hydrophilic polymer is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또한, 특허 문헌 3으로는 세포의 접착률이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콜라겐 등의 물질이 패터닝된 세포 배양용 기재와, 이 기재를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재의 위에서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콜라겐 등이 패터닝된 표면에 의해 많은 세포를 접착시켜, 세포의 패터닝을 실현하고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cell culture substrate on which a substance such as collagen, which affects the adhesion rate and shape of cells, is patterned,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ubstrate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By culturing the cells on such a substrate, many cells are adhered to the surface on which collagen or the like is patterned, thereby realizing cell patterning.

그러나, 이러한 세포의 배양 방법에 있어서, 세포 배양 패턴의 면적이 넓은 경우, 세포 배양 패턴의 단부로는 세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으나, 세포 배양 패턴의 중앙부에서는 세포의 배열성이 나쁘게 되거나, 세포가 접착하지 않는 경우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세포는 개개의 세포가 형태 변화하여 조직을 형성하고, 이러한 조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포 배양 패턴 등으로 세포 배양을 하는 경우,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부와 세포가 접착하는 것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부와의 경계 영역이 세포를 자극하여, 그것에 따라 세포의 형태 변화가 생겨, 이 형태 변화가 서서히 세포 배양 패턴의 중앙부에 전파하는 것이 비 특허 문헌 1 등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세포 배양 패턴의 면적이 넓게 되면, 세포의 형태 변화가 중앙부까지 전해지기 어려워서, 중앙부의 세포의 형태 변화가 생기기 어렵고, 중앙부에서는 조직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세포를 파종하여 기판에 접착시킬 때, 세포의 접착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in the cell culture method, when the cell culture pattern has a large area, the cells can be regularly arranged at the end of the cell culture pattern, but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becomes poor at the center of the cell culture pattern, or the cells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case that does not adhere. In addition, a general cell is a cell that is adhered to a cell adhesion part having adhesiveness to the cell when the cell culture is performed in the cell culture pattern or the like so that individual cells change in form to form a tissue and form such a tissue. Non-Patent Document 1 and the like show that a boundary region with an inhibitory cell adhesion inhibiting portion stimulates a cell, thereby causing a change in the morphology of the cell and gradually propag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ll culture pattern. However, when the area of the cell culture pattern is widened, it is difficult for the morphology of the cell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er part, so that the morphology of the cell in the center part is less likely to occur and the tissue is not formed in the center part. Moreover, when seeding a cell and adhering it to a board | substrate in this way, there also existed a problem that adhesion of a cell took tim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평) 2-24518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45181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평) 3-757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3-7576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평) 5-176753호 공보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76753

비 특허 문헌 1: [스파르고(Spargo) 등,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94) p.11070 이하]Non-Patent Document 1: [Spargo et a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94) p. 11070 and below]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따라서, 기재 상에 대면적으로, 효율적으로 세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어, 조직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it is desired to provide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apable of efficiently arranging cells in a large area on a substrate and forming tissues and the lik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이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이며,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은 상기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세포 접착부 와, 패턴형으로 형성되며,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를 갖고,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는 상기 세포 접착부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세포 접착부 상의 세포들이 서로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having a substrate and a cell culture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the cell culture region containing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wherein the cell culture region is the cell adhesion layer. The formed cell adhesion part and a cell adhesion aiding part which is formed in a pattern shape and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wherein the cell adhesion aiding part is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aiding part when attaching the cell to the cell adhesion part. It provides a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portion is formed to be able to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포 배양 영역 중에, 세포 접착 보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접착부 상에 세포가 부착하는 경우, 그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접착 보조부 사이에 끼워진 영역마다 세포의 배양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세포 접착 보조부가 없는 상태로 세포 배양 영역 전체에 세포를 배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계 영역에서 자극을 받는 세포수를 많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포의 배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또한 세포의 형태 변화도 균일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는, 세포 접착층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 인접하는 세포 접착부에 부착된 세포들 서로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세포 배양 영역 전체 면에 세포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어, 얻어지는 조직 등을 대면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ll adhesion region is form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when cells adhere to the cell adhesion portion, the cells can be activated, and the cells can be cultured in a short time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cells are cultured for each of the regions sandwiched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s, the number of cells stimulated in the boundary reg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ells are cultured in the entire cell culture region without the cell adhesion assistants. Can be. As a result,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can be improved, and the morphology of the cells can also be uniformly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attached to the cell adhesion layer,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so as not to inhibit the binding of the cells attached to the adjacent cell adhesion units. The cells can b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resulting tissue can be made large.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배양 보조부가 상기 세포 배양 영역 내에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을 형성할 때의 설계가 용이해지고, 또한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culture assistant may be formed linearly in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is case, the design at the time of forming the said cell culture area | region becomes easy,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rrange | position a cell regularly in the case of attaching a cell.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와 상기 세포 접착부와의 경계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을 갖는 패턴에 따라서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 경계 영역에서 세포가 감수하는 자극이 많아져 세포를 보다 정렬하게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세포 접착부에 대한 접착성을 활성화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세포를 기판 상에 접착시키는 것을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and the cell adhes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irregulariti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ells are attached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having the unevenness, the stimuli that the cells take up in the boundary region increase, so that the cells can be arranged more aligned. In addition, the adhesion to the cell adhesion portion of the cells can be activated, an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an be efficiently adhered to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이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이며, 상기 세포 접착층은 단부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having a substrate and a cell culture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the cell culture region containing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the cell adhesion layer is Provided is a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which is formed in a pattern form having irregulariti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포 접착층의 단부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접착층 상에 세포를 부착시킬 때, 경계 영역에서 세포가 감수하는 자극이 많아져, 상기 세포 접착층의 단부를 따라, 세포를 보다 정렬하게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세포 접착부에 대한 접착성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세포를 기판 상에 접착시키는 것을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ell adhesion layer is formed in a pattern shape having irregularities, when the cells are adhered on the cell adhesion layer, the stimulation of the cells is increased in the boundary region, and the end of the cell adhesion layer is increased. Thus, cells can be arranged to be more align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on to the cell adhesion part of the cells can be activate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an be efficiently adhered to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in a short time.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세포 접착층 상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가 직선적으로 정렬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요철의 이러한 크기에 의해, 양호하게 세포를 배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above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to the convex end is a size in which cells align linearly when attaching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layer. This is because with this size of irregularities, cells can be well aligned.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이 0.5 ㎛ 내지 30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의 크기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세포를 양호하게 배열시키는 것이나,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said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of distance from the recessed part edge part of the said uneven | corrugated part to a convex part edge part exists in the range of 0.5 micrometer-30 micrometers. This is because by making the size of the unevenness 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align the cells well and to activate the cells.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접착부 상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그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대면적에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세포의 배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세포의 형태 변화도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apable of activating the cells when attaching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part and culturing the cells in a large area efficiently in a short time. Further,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can be improved, and the change in the morphology of the cells can also be achieved.

[도 1]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is invention.

[도 2]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Fig. 6 is a process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forming a cell adhesion auxiliary part in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보조부의 형성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for forming a cell culture auxiliary part in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forming a cell adhesion layer in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기재1 ... mention

2···세포 배양 영역2 cell culture area

3···세포 접착부3 ... cell adhesion

4···세포 배양 보조부4 cell culture assistant

5···포토마스크5 Photo masks

6···에너지6 ... Energy

본 발명은 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관한 것이며,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은 두 개의 실시양태가 있다. 이하, 각각의 실시양태마다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used for culturing cells, an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embodiments. Hereinafter, each embodiment is demonstrated.

A. 제1 실시양태A. 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1 실시양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1 실시양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이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이며,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first embodiment of a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ulture patterning pattern having a substrate and a cell culture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cell culture region contains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Substrate,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은 상기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세포 접착부와, 패턴형으로 형성되며,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를 갖고,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는 상기 세포 접착부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세포 접착부 상의 세포들이 서로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ell culture region has a cell adhesion part in which the cell adhesion layer is formed, and a cell adhesion assistant part formed in a pattern shape and inhibits adhesion to the cell, and wherei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part attaches the cell to the cell adhesion part. Cells on two of the cell adhesion portions adjacent to the adhesion aid are formed to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id.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1)과, 그 기재 (1) 상에 형성된 세포 배양 영역 (2)을 가지고, 그 세포 배양 영역 (2)는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부 (3)과,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 (4)를 가진다.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is embodiment has the base material 1 and the cell culture area | region 2 formed on this base material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Has a cell adhesion part 3 which has adhesion with the cell in which the cell adhesion layer was formed, and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ssistance part 4 which inhibits adhesion | attachment with a cell.

여기서,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 영역에 세포를 부착시켜 세포를 배양하여, 조직을 형성하는 경우, 세포는 세포 배양 영역의 외측에서 내측에 걸쳐서 서서히 배열한다. 또한, 조직의 형성을 위해 개개의 세포가 형태 변화하여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세포의 형태 변화에 관해서도, 세포 배양 영역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서서히 행해진다.Here, generally, when cells are cultured by attaching cells to a cell culture region to form a tissue, the cells are gradually arranged from outside to inside of the cell culture region. In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tissues, individual cells need to be changed in shape and arranged, and the shape change of these cells is also gradually performed from the end of the cell culture area to the center.

그 때문, 일반적인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경우, 세포를 배양하는 세포 배양 영역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중앙부에서의 세포의 배열성이 나쁘거나, 조직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나, 세포 배양 영역의 중앙부에 세포가 접착하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중앙부에서의 세포의 형태 변화성이 나쁘거나,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Therefore, when culturing cells using a general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when the cell culture area for culturing the cells is large,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in the central portion is poor, or when tissues are not formed, There is a case where the cells do not adhere to the center of the culture region. Moreover, there also existed a problem that the shape change of the cell in the center part was bad, or the target tissue was not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포 배양 영역 중에 세포 접착 보조부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배양 보조부 (4) 사이에 끼워진 세포 접착부 (3)에 세포가 배양된다. 즉, 세포 접착 보조부 (4)와 세포 접착부 (3)와의 경계에서 세포의 배열이나, 세포의 형태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어,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세포 배양 영역 (2)의 내측에도 경계 영역을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 세포 배양 영역 (2)에 접착한 세포는 세포 배양 영역 (2)의 내측에 존재하는 세포 접착부 (3)과, 세포 접착 보조부 (4)와의 경계에서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포 배양 영역 (2)의 전역에서, 세포의 배열성이나 형태 변화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and the cells are cultured in the cell adhesion unit 3 sandwiched between the cell culture assistants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cell arrangement and the cell morphology can be chang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4 and the cell adhesion unit 3, and the cell culture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assistant 4 is not formed. A boundary region can also be provided inside the region 2. Therefore, the cells adhered to the cell culture region 2 can be stimul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portion 3 existing inside the cell culture region 2 and the cell adhesion assistance portion 4. As a result, the arrangement and shape change of the cells can be improv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cell culture region 2.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보조부는 인접하는 2개의 세포 접착층 상에 부착한 세포들이 서로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의 영역의 세포 접착부 (3)에 부착한 세포와, b의 영역의 세포 접착부 (3)에 부착한 세포가 세포 접착 보조부 (4)상에 결합할 수 있도록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세포 배양 영역 (2) 전체 면으로 배양되는 경우와 동일한 면적에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이것은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영역만으로도, 그 양측에 세포가 존재하여, 이들의 세포가 서로에게 영향을 줄 정도로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영역 상에서도, 세포들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so that cells attached on two adjacent cell adhesion layers can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cell adhesion aiding portion 4 is formed so that the cells attached to the cell adhesion portion 3 of the region and the cell adhered to the cell adhesion portion 3 of the region b can bind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ce portion 4. As a result, the cells can be cultured in the same area as in the case of being cultured in the entire surface of the cell culture region 2. This means that the cell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even in areas that inhibit adhesion to the cells, and in areas where the cells are present on both sides and the cells are close enough to affect each other. Because there is.

또한, 세포 접착층에 결함 등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가 활성화되어 그 영역에 세포가 부착하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세포 배양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세포 접착 보조부가 이러한 결함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세포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세포를 기판 상에 접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defects or the like in the cell adhesion layer, it is known that the cells are activated and the cells easily adhere to the region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ell adhesion aid form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exerts the same effect as this defect and the cells are activated, the cells can be efficiently adhered to the substrate in a short time.

이하,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ructure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board | substrate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1. 세포 배양 영역1. Cell Culture Area

먼저,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영역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영역은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세포 접착부와, 패턴형으로 형성되며,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를 갖는 영역이다.First,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gion formed for culturing a cell, and includes a cell adhesion portion in which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with the cell is formed, and a cell adhesion assistant portion formed in a pattern shape and inhibiting adhesion to the cells. It has an area.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한 기재의 전체 면이 세포 배양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영역 (2)가, 기재 (1)의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재 (1)상의 세포 배양 영역 이외의 영역은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비배양 영역이 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1개의 기재 상에 형성되는 세포 배양 영역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1)상에 세포 배양 영역 (2)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재 (1)상의 각 세포 배양 영역 이외의 영역은 상기 세포 비배양 영역이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ell culture region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ubstrate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a cell culture region. He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cell culture region 2 is formed in a part of the substrate 1, a region other than the cell culture region on the substrate 1 inhibits adhesion to the cells. It becomes an uncultured area.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cell culture regions formed on one substrate is not limited to o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ell culture regions 2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 A plurality may be formed. Also in this case, the area | region other than each cell culture area | region on the base material 1 becomes the said cell non-cultivation area | region.

또한, 목적으로 하는 조직의 크기나 종류 등에 의해서도 달라지지만, 통상 하나의 세포 배양 영역의 크기는 0.05 mm2 내지 8000 mm2, 특히 0.1 mm2 내지 10 mm2 범위 내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and type of tissues of interest are also varied, the size of one cell culture region is usually in the range of 0.05 mm 2 to 8000 mm 2 , particularly 0.1 mm 2 to 10 mm 2 .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세포 배양 영역에서는 상기 세포 접착부 중에 세포 접착 보조부가 패턴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이 세포 접착 보조부는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세포 접착부에 부착한 세포들이 서로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세포 접착층 상에 부착한 세포가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또한 세포의 형태 변화가 균일하게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영역 (2) 중에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영역 (2) 중에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cell culture region as described above,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in a pattern form in the cell adhesion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so that cells attached to two cell adhesion units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an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and the cells attached on the cell adhesion layer are regularly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if it arrange | positions and is formed so that the change of the shape of a cell may arise uniform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ell adhesion assistant 4 may be linearly form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2, 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ell may be form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2. The adhesion assistant 4 may be formed at random.

상기 세포 배양 보조부의 폭은 배양하는 세포의 종류나 크기 등에 의해서도 달라지지만, 통상 0.5 ㎛ 내지 10 ㎛, 특히 1 ㎛ 내지 5 ㎛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폭이 넓은 경우에는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세포 접착부 상에 부착한 세포들이 서로 세포 접착 보조부 상에서 상호작용하기 곤란해지고, 또한 상기 범위보다 폭이 좁은 경우에는 후술의 패터닝 기술로는 이러한 크기의 패턴을 정밀히 얻는 것이 어렵고, 세포 접착 보조부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배열성이나 형태 변화성에 영향을 미치기 곤란해진다.Although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cell culture support part changes also with the kind, size, etc. of the cell to culture, Usually, the inside of the range of 0.5 micrometer-10 micrometers, especially 1 micrometer-5 micrometers is preferable. When the width is wider than the above range, cells adhering on two cell adhesion parts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aid become difficult to interact with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aid, and when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range, the patterning technique described below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attern of such a size precisely, and it is difficult for the cell adhesion aid to affect the arrangement and shape change as described above.

또한, 이때 세포 접착 보조부 사이에 끼워지는 세포 접착부의 폭(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x로 표시되는 거리), 또는 세포 접착 보조부와 세포 비배양 영역 사이에 끼워지는 세포 접착부의 폭(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y로 표시되는 거리)는 배양하는 세포의 크기나 종류, 목적으로 하는 조직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1 ㎛ 내지 200 ㎛, 특히 40 ㎛ 내지 80 ㎛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접착부에 접착한 세포가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어, 또한 양호하게 형태 변화가 생겨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cell adhesion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s (for example, the distance indicated by x in FIG. 1), or the width of the cell adhesion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and the cell non-culture region (eg, For example, the distance indicated by y in FIG. 1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cells to be cultured, the type of tissue to be used, etc., but is usually within the range of 1 μm to 200 μm, particularly 40 μm to 80 μm. Do. Thereby, the cells adhering to the cell adhesion part can be arranged regularly, and the shape change can be satisfactorily formed to form the tissue.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특히 세포 접착 보조부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배양 영역을 형성할 때의 설계가 용이해지고, 또한 배양되는 세포의 배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형이란, 세포 접착 보조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세포 접착 보조부가 파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한 방향으로 세포 접착 보조부가 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Especially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is formed linearly. This is because the design at the time of forming the cell culture region can be facilitat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to be cultured can be improved. Linear means that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not only the cell adhesion assistant 4 is continuously formed, but also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broken, for example.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form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aid is linearly formed in one direction, but also when the cell adhesion aid 4 is linearly 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Include.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부와 세포 접착 보조부와의 경계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을 갖는 패턴에 따라서 세포를 배열시킴으로써, 세포를 보다 규칙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부착한 세포가 보다 활성화되어, 효율적으로 세포의 배양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갖는다. 여기서, 요철을 갖는 패턴상이란, 세포가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패턴이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접착부 (3)과 세포 배양 보조부 (4)와의 경계가 직각 형상의 요철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물결형 형상 등의 요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포 접착 보조부가 파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세포 접착 보조부가 랜덤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로도, 이 세포 접착 보조부와 세포 접착부와의 경계는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만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portion and the cell adhesion assistanc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irregularities. By arranging cells according to the pattern having such irregularities, the cells can be arranged more regularly. In this case, the attached cells are more activa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ells can be cultured efficiently. Here, the pattern image having irregulariti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attern in which cells can be arranged regular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part 3 and the cell culture auxiliary part 4 is shown. May have right-angled irregularities, and may also have irregularities such as wavy shapes. For example, even wh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in a broken line shape or wh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formed in a random pattern,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and the cell adhesion part is a pattern having irregularities. Can be formed. This is becaus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only in this case.

여기서,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의 거리는 세포 접착층 상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가 직선적으로 정렬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기는 구체적으로는 배양하는 세포의 형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이 0.5 ㎛ 내지 30 ㎛, 특히 1 ㎛ 내지 5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를 배양했을 때, 세포 배양 영역의 단부에 있어서 세포가 부족하는 일없이, 목적으로 하는 형상에 세포를 배양하여, 조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을 갖는 패턴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의 측정은 세포 접착부와 세포 접착 보조부 경계 200 ㎛ 범위 내에서 각 요철의 최저부에서 최꼭대기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평균을 산출한 값으로 한다.Here, th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of the concave-convex to the convex end is preferably the size of linear alignment of the cells when attaching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layer. Specifically, the size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ultured cell, etc., but in general,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of the uneven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µm to 30 µm, particularly 1 µm to 5 µm. . This is because when the cells are cultured, the cells can be cultured in the desired shape to form tissues without running out of cells at the end of the cell culture region. Here, the measurement of the average of th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of the pattern having the unevenness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end to the highest end of each unevenness within the range of 200 μm between the cell adhesion part and the cell adhesion auxiliary part, The average is calculated.

이하, 이러한 세포 배양 영역을 구성하는 세포 접착부 및 세포 접착 보조부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ell adhesion part and the cell adhesion assistance part which comprise such a cell culture area are demonstrated, respectively.

(세포 접착부)(Cell adhesion part)

우선,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부는 세포 배양 영역 내에서, 기재 상에,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이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세포 접착층은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이용되는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세포 접착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세포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패턴형으로 도포함으로써, 세포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세포 배양 영역 전체 면에 형성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세포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cell adhesion part used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cell adhesion part in this embodiment is an area | region in which the cell adhesion layer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wa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in the cell culture area | region. The cell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dhesiveness with cells, and a layer having adhesiveness with cells used in a general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a cell adhesion part can be formed by forming such a cell adhesion layer in a pattern form, for example, a cell adhesion part is formed by apply | coating the coating liquid for cell adhesion layer formation containing the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in a pattern form.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the cell adhesion layer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ell culture region to form a cell adhesion part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층이 세포와 접착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층이고, 이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패터닝이 행하여져 세포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세포 접착층을 세포 배양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한 후,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어,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와,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이나, 그 때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 등에 관하여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aid cell adhesion layer is a layer containing the cell adhesion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and decompose | disassembles or denatures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and irradiates this cell adhesion layer with energy The cell adhesion may be formed by patterning. In this case, for example, by forming a cell adhesion laye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ell culture region, and then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to form a cell adhesion assistant, the cell adhesion material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 cell adhesion aid that inhibits adhesion with cells and a cell adhesion portion having adhesion to cells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cell adhesion layer containing such a cell adhesion material,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at that time, etc. are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은 세포와의 접착 저해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을 세포 배양 영역 전체 면에 도포하여, 그 후 세포 접착 보조부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조사되어 세포 접착부가 된 영역 이외에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세포 접착 보조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나, 그 때의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 등에 관해서도, 하기에 자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hich has adhesion inhibition with the cells and which is degrad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ell culture region. By applying and then irradiating energy to a region other than the cell adhesion aid,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can be formed to be decomposed or denatured to have adhesion with the cells. In this case, since it is an area | region which inhibits adhesion | attachment with a cell other than the area | region which became the cell adhesion part by energy irradiation, it can use as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such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ell adhesion layer at that time, etc. are also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세포 접착 보조부)(Cell adhesion assistant)

하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영역의 세포 접착 보조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는 상기 세포 배양 영역 중에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또한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함으로써, 상기 세포 접착부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 접착 보조부에 인접하는 2개의 세포 접착부 상의 세포들이 서로 세포 배양 보조부 상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Below, the cell adhesion aid of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pattern in the cell culture region and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thereby adhering the cells 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to the two cell adhesion assistants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assistant. The cell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culture assistant.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재가 노출된 영역 등일 수도 있고, 또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인쇄법이나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을 이용한 패터닝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을 이용한 패터닝의 방법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갖는 세포 접착 저해층을 이용한 세포 접착층의 설명 항목과 겸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ell adhesion ai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 example, a region to which a substrate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or the like, and a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or the like that inhibits adhesion with cells generally used may be formed. As a method of form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a general printing method, a photolithography method, or a patterning method using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may be mentioned. Since the patterning method using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energy irradiation is described in combination with the description item of the cell adhesion layer us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hav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 접착층이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층인 경우에는 세포 접착 보조부는 이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물 또는 변성물 등이 잔존한 영역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의 설명 항목과 겸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ell adhesion layer is a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material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in response to energy irradiati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a region in which the decomposed products or denatured substances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remain.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method of forming the cell adhesion assistant is described in combination with the description item of the cell adhesion layer containing the cell adhesion material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2. 기재2. Description

하기에,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기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기재로는 상기 세포 배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유리,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 및 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유기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가요성이나 투명성 등은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종류나 용도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Below, the description used for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ell culture region can be formed. For exampl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 silicon, organic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flexibility, transparency, etc. of a base material are suitably selected by the kind, application, etc.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기재 상의 세포 배양 영역 이외의 영역은 세포를 배양하지 않는 세포 비배양 영역이 되기 때문에,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상기 세포 배양 영역 이외의 세포 비배양 영역에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rea | region other than the cell culture area | region on a base material becomes a cell non-cultivation area | region which does not culture a cell, it is preferable to inhibit adhesion | attachment with a cell, For example, except for the said cell culture area | region In the cell non-culture region, a layer or the like may be formed that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3.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3.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하기에,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은 상술한 기재 상에 세포 배양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차광부 등의 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Below,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ell culture reg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described above, and a member such as a light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if necessary.

4. 기타4.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세포 배양 영역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은 (1)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고, 또한 (2)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을 형성한 후, 에너지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in the cell culture region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1) contain a cell adhesion material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2) form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hich inhibits adhesion to cells and which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and then energy irradiation; And by degrading or denatur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이하, 각각에 대해 나누어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I. (1)의 경우I. For (1)

우선, 세포 접착층이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으로는 이하의 3개의 실시양태를 들 수 있다.First,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ve layer contains a cell adhesive material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three embodiments are mentioned as a cell adhesion layer containing such a cell adhesion material.

제1의 실시양태는 세포 접착층이, 광촉매 및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이고, 이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 조사되는 경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자체에 함유되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이다.In a first embodiment, the cell adhesion layer is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containing a photocatalyst and a cell adhesion material, and wh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is irradiated with energ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itself causes This is the case when the adhesive material is decomposed or modified.

제2의 실시양태는 적어도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이, 광촉매를 적어도 함유하는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가 조사되는 경우,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가 인접하는 광촉매 처리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이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photocatalyst in which a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ve material is formed on a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cell adhesive layer is adjacent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cell adhesive layer. It is a case where it decomposes or denatures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a process layer.

제3의 실시양태는 적어도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에너지 조사 때, 적어도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 등을 세포 접착층과 대향시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재료가 대향하는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이다. 이하, 각각의 실시양태마다 설명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a cell adhesive material is formed by forming a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ve material on a substrate and irradiating energy by facing a cell adhesive layer wit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r the like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t the time of energy irradiation. This is the case where is decomposed or modifi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opposing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ereinafter, each embodiment is demonstrated.

(1) 제1의 실시양태(1) First Embodiment

먼저, 세포 접착층이, 광촉매 및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이고, 그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 조사되는 경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자체에 함유되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ell adhesive layer is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 photocatalyst and a cell adhesive material, and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itself. Or the case of denaturation is demonstrated.

본 실시양태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이 광촉매와 상기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재료를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어, 에너지가 조사된 영역을 세포가 접착하지 않는 세포 접착 보조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가 조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세포 접착 재료가 잔존하기 때문에, 세포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세포 접착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장치나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부의 내에,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ontains the photocatalyst and the cell adhesive material,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the cell adhesive material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resulting in energy The irradiated area can be a cell adhesion aid where the cells do not adhere. Moreover, since the cell adhesion material remains in the area | region to which energy is not irradiated, it can be set as the cell adhesion part with favorable adhesiveness with a cell. Therefore, by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form without the need for a special apparatus or complicated process,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an easily be formed in the cell adhesion part that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이러한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형성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의 도포는 일반적인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분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비드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ell adhesive material decomposed or modifi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response to energy irradiation, and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photocatalyst.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an be applied using a general coating method. For example,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dip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ead coating method, or the like can be used.

이때, 상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막 두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0.01 ㎛ 내지 1.0 ㎛ 정도, 특히 0.1 ㎛ 내지 0.3 ㎛ 정도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m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r the like, but may be usually about 0.01 μm to 1.0 μm, particularly about 0.1 μm to 0.3 μm.

이하,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 및 광촉매에 관해서 설명하고, 또한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ell adhes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and a photocatalyst are demonstrated, and the formation method of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is demonstrated.

a. 세포 접착 재료a. Cell adhesion material

먼저,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는 세포와 접착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된다면, 그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다는 세포와 양호하게 접착하는 것을 말하며, 세포와의 접착성이 세포의 종류가 다른 경우 등에는 목적으로 하는 세포와 양호하게 접착하는 것을 말한다.First, the cell adhes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ell adhes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dhesive to the cells and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upon energy irradiation. Here, it means that the cell adheres well to the cell having adhesiveness, and when the cell has different types of adhesion, the cell adheres well to the target cell.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재료는 이러한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고 있고,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됨으로써, 세포와의 접착성을 손실시키거나,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변화시키는 것 등에 이용된다.The cell adhesion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dhesiveness with such cells, and is degrad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thereby losing adhesion to the cells or inhibiting adhesion with the cells. It is used for chang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effect.

여기서, 상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에는 물리 화학적 특성에 의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와, 생물화학적 특성에 의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의 2종이 있다.Here, there are two kinds of materials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a material having adhesion with the cells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 material having adhesion with the cells by biochemical properties.

물리 화학적 특성에 의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결정하는 물리 화학적인 인자로는 표면 자유에너지나, 정전 상호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와의 접착성이 재료의 표면 자유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에는 재료가 소정의 범위 내의 표면 자유에너지를 가지면 세포와 재료와의 접착성이 양호해지지만, 그 범위 이하이면 세포와 재료와의 접착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표면 자유에너지에 의한 세포의 접착성의 변화로는 예를 들면 문헌 [CMC Publishing Co., Ltd. "Biomaterial no Saisentan", 이까다 요시또(감수) p.109 하부]에 나타나는 실험 결과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자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친수화 폴리스티렌,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재료의 표면의 관능기가 치환되거나, 분해되는 것 등에 의해, 표면 자유에너지가 변화하여,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질 수 있다.Examples of physicochem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adhesion of cells with the cells by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e surface free energy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dhesion to cells is determined by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material, if the material has surface free energ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adhesion between the cell and the material is good, but if it is below the range, the cells and material Adhesion with is reduced. Such changes in cell adhesion due to surface free energy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CMC Publishing Co., Ltd. "Biomaterial no Saisentan", the lower part of Yoshito (Response) p.109] are known. As a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by such a factor, hydrophilized polystyrene, poly (N-isopropyl acrylamid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such a material, the surface free energy changes due to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by the substitution or decomposition of a functiona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nd thus does not have adhesion to cells. Or inhibit cell adhesion.

또한, 정전 상호작용 등에 의해 세포와 재료와의 접착성이 결정되는 경우, 예를 들면 재료가 갖는 플러스 전하의 양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정전 상호작용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리신 등의 염기성 고분자,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염기성 화합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상기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표면에 존재하는 플러스 전하량을 변화시킬 수 있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cell and the material is determined by electrostatic interaction or the like, the adhesion with the cell is determined by, for example, the amount of positive charge of the material. Examples of materials having adhesion to cells by electrostatic interactions include basic polymers such as polylysine, aminopropyltriethoxysilane, and N- (2-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asic compounds, such as these, and condensate containing these, etc. are mentioned. In the case of using such a material, the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to change the amount of positive charge present on the surface, so that the cell does not have adhesion to the cell, or It may have adhesion inhibition.

또한, 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는 특정한 세포와 접착성이 양호한 것, 또는 많은 세포와 접착성이 양호한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피브로넥틴, 라미닌, 테나이신, 비트로넥틴, RGD(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라긴산) 서열 함유 펩티드, YIGSR(티로신-이소류신-글리신-세린-아르기닌) 서열 함유 펩티드, 콜라겐, 아텔로콜라겐,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재료의 구조의 일부를 파괴하거나, 주쇄를 파괴하는 것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materials having adhesion to cells due to biological properties include those having good adhesion with specific cells, or those having good adhesion with many cells, and specifically, fibronectin, laminin, tenacin, and vitro. Nectin, RGD (arginine-glycine-aspartic acid) sequence-containing peptide, YIGSR (tyrosine-isoleucine-glycine-serine-arginine) sequence-containing peptide, collagen, atelocollagen, gelatin and the like. When such a material is used, it does not have adhesiveness to cells or inhibits cell adhesion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by destroying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r breaking the main chain. May have a last name

이러한 세포 접착 재료는 상기 재료의 종류 등에 의해 달라지지만,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중에 통상 0.01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영역을 세포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영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Although such a cell adhesion material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material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layer is usual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by weight to 95% by weight, in particular 1% by weight to 10% by weight. It is because the area | region containing a cell adhesive material can be made into the area | region with favorable adhesiveness with a cell by this.

b. 광촉매b. Photocatalyst

하기에,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함유되는 광촉매에 관해서 설명한다.Below,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는 상술한 세포 접착 재료를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ecompose or denature the cell adhesive material described above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여기서, 후술하는 산화티탄에 대표되는 광촉매의 작용 기구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빛의 조사에 의해 생성한 캐리어가 근방의 화합물과의 직접 반응, 또는 산소, 물의 존재하로 생긴 활성 산소종에 의해, 유기물의 화학 구조에 변화를 미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 캐리어가 상술한 세포 접착 재료에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Here,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photocatalyst represented by titanium ox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necessarily clear, but the organic substance is formed by the 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oxygen or water in the direct reaction of a carrier produced by light irradiation with a compound nearby. It is believed to change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 In this embodiment, it is believed that this carrier affects the action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described above.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로서, 구체적으로는 광 반도체로서 알려지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티탄산스트론튬(SrTiO3), 산화텅스텐(WO3), 산화비스무스(Bi2O3), 및 산화철(Fe2O3)을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pecifically known as an optical semiconductor, for example, titanium dioxide (TiO 2 ), zinc oxide (ZnO), tin oxide (SnO 2 ), strontium titanate (SrTiO 3 ), tungsten oxide (WO 3 ), bismuth oxide (Bi 2 O 3 ), and iron oxide (Fe 2 O 3 ) may be mentioned, and 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selected and us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특히 이산화티탄이, 밴드 갭 (band gap) 에너지가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독성도 없고, 입수도 용이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산화티탄에는 아나타스형과 루틸형이 있어 본 실시양태로는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아나타스형의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아나타스형 이산화티탄은 여기 파장이 380 nm 이하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itanium dioxide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because of its high band gap energy, chemical stability, no toxicity, and easy availability. There are anatase type and rutile type in titanium dioxide, and both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but 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is preferable. The anatase titanium dioxide has an excitation wavelength of 380 nm or less.

이러한 아나타스형 이산화티탄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해교형의 아나타스형 티타니아 졸(이시하라 산업(주)제 STS-02 (평균 입경 7 nm), 이시하라 산업(주)제 ST-K01), 질산 해교형의 아나타스형 티타니아 졸(일산 화학(주)제 TA-15(평균 입경 12 nm) 등을 들 수 있다.As such anatase titanium dioxide, for example, anatase-type titania sol of hydrochloric acid bridge type (STS-02 by Ishihara Industries, Ltd. (average particle size 7 nm), ST-K01 by Ishihara Industries, Ltd.), nitric acid, for example. The anatase type titania sol (the TA-15 (average particle diameter 12nm) made from Ilsan Chemical Co., Ltd.) of a bridge | bridging type | mold is mentioned.

광촉매의 입경은 작을수록 광촉매 반응이 효과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평균 입경이 50 nm 이하가 바람직하며, 20 nm 이하의 광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smalle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hotocatalyst, the more effectively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ccurs. Preferably,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preferably 50 n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0 nm or less.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있어서의 광촉매의 함유량은 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Content of the photocatalyst i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this embodiment can be set to 5-95 weight%, Preferably it is 10-60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20-40 weight%.

이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에너지 조사된 영역의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는 예를 들면 높은 친수성을 갖는 것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되어 광촉매가 노출한 영역을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은 영역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catalyst used for this embodiment has low hydrophilicity, for example by having high hydrophilicity. It is because the area | region which the cell adhesion material mentioned above decomposes and the photocatalyst exposed by this can be used as a area | region with low adhesiveness with a cell.

c. 기타c. Etc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중에, 상기 세포 접착 재료나 광촉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강도나 내성 등을 향상시키는 결합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특히 결합제로서, 적어도 에너지 조사된 후에,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 재료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된 영역인 세포 접착 보조부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에너지 조사되기 전부터 상기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질 수도 있고,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질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said cell adhesive material and a photocatalyst but a binder etc. which improve strength, tolerance, etc. as needed may be contained in a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In this embodiment, especially as a bind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aterial which h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which inhibits adhesion with a cell at least after energy irradiation. This is because the adhesiveness with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assistant that is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can be lowered. As such a material, it may have the said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before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and may have cell adhesion inhibition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특히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가지는 재료를 결합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되기 전의 영역에서는 상기 세포 접착 재료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에너지 조사된 영역만이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aterial which has cell adhesion inhibition as a binder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especially. This is because in the region before the energy irradiation, only the region irradiated with the energy can lower the adhesion with the cells without inhibiting the adhesion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to the cells.

이러한 결합제로서 이용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주 골격이 상기 광촉매의 광 여기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에너지를 갖는 것으로서,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유기 치환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 졸겔 반응 등에 의해 클로로 또는 알콕시실란 등을 가수분해, 중축합하여 큰 강도를 발휘하는 유기폴리실록산, (2) 발수성이나 발유성에 우수한 반응성 실리콘과 가교된 유기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As a material used as such a binder, for example, the main skeleton has a high binding energy that is not decomposed by photoexcita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n organic substituen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for example, (1) organopolysiloxanes which hydrolyze and polycondense chloro or alkoxysilanes and the like by sol-gel reactions to exhibit great strength, and (2) organopolysiloxanes crosslinked with reactive silicones excellent in water and oil repellency.

상기 (1)의 경우,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규소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수분해 축합물 또는 모두 가수분해 축합물인 유기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said (1), the organopolysiloxane which is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hydrolysis-condensation products of a silicon compound represented by a following formula, or all hydrolysis-condensation products is preferable.

YnSiX(4-n) Y n SiX (4-n)

식 중, Y는 알킬기, 플루오로알킬기, 비닐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에폭시기,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X는 알콕실기, 아세틸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여기서 Y로 표시되는 유기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X로 표시되는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rmula, Y is an alkyl group, a fluoroalkyl group, a vinyl group, an amino group, a phenyl group or an epoxy group, or an organic group containing them, and X represents an alkoxyl group, an acetyl group or a halogen. n is an integer of 0-3.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carbon number of the organic group represented by Y is here in the range of 1-2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lkoxy group represented by X is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 propoxy group, butoxy group.

또한, 상기 (2)의 반응성 실리콘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Moreover, the compound which has a skeleton represented by following General formula (1) is mentioned as reactive silicone of said (2).

Figure 112006067139196-pct00001
Figure 112006067139196-pct00001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 알케닐, 아릴 또는 시아노알킬기이고, 몰비로 전체의 40% 이하가 비닐, 페닐, 할로겐화페닐이다. 또한, R1, R2가 메틸기인 것이 표면에너지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몰비로 메틸기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쇄 말단 또는 측쇄에는 분자쇄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산기 등의 반응성기를 갖는다. 상기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에너지 조사된 영역의 표면이 높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포와의 접착이 저해되어, 에너지 조사된 영역에는 세포가 접착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n is an integer of 2 or more, R 1 and R 2 each represent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alkenyl, aryl, or cyan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40% or less of the total in molar ratio is vinyl, phenyl or halogenated phenyl. .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R <1> , R <2> is a methyl group because surface energy becomes smallest, and it is preferable that a methyl group is 60% or more by molar ratio. In addition, the chain terminal or side chain has a reactive group such as at least one or more hydroxyl groups in the molecular chain. By using the material, the surface of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can have high hydrophilicity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energy irradiation.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with the cells is inhibited and the cells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상기 재료를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가 조사되기 전의 물과의 접촉각이 15° 내지 120°, 특히 20° 내지 1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material is used as a material hav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before energy is irradiat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 to 120 °, particularly 20 ° to 100 °.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with the cells can be improved.

또한, 이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 재료에 에너지가 조사되는 경우에는 물과의 접촉각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친수성을 가질 수 있어,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Moreover,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material which h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is 10 degrees or less. It is because it can have high hydrophilicity and can lower adhesiveness with a cell by setting it as the said range.

또한, 여기서 언급되는 물과의 접촉각은 물, 또는 동등한 접촉각을 갖는 액체와의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교와계면과학(주)제 CA-Z형)을 이용하여 측정(마이크로실린지로부터 액적을 적하하여 30초후)하여, 그 결과로부터, 또는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얻는다.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mentioned here measures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or the liquid which has an equivalent contact angle, using a contact angle measuring device (type CA-Z by Kyowa Interface Science, Inc.) (dropping a droplet from a micro syringe). 30 seconds later), and the results are obtained graphically.

또한, 상기 유기폴리실록산과 동시에, 디메틸폴리실록산같은 가교 반응을 하지않는 안정한 유기 실리콘 화합물을 결합제와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the organopolysiloxane, a stable organosilicon compound that does not undergo a crosslinking reaction such as dimethylpolysiloxane can be mixed with a binder.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에너지가 조사된 영역의 습윤성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그와 같은 변화를 보조하는 분해 물질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may contain the degradation substance etc. which reduce adhesiveness with a cell, or assists such a change, for example, by causing the change of the wettability of the area | region to which energy was irradiated.

이러한 분해 물질로는 예를 들면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친수성이 되는 것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이 저하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닛코케미칼즈(주)제 NIKKOL BL, BC, BO, BB의 각 시리즈 등의 탄화수소계, 듀퐁사제 ZONYL FSN, FSO, 아사히 글래스(주)제조 서프론 S-141, 145,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제 메가팩 F-141, 144, 네오스(주)제 프테르젠트 F-200, F-251, 다이킨 고교(주)제조 유니다인 DS-401, 402, 3M(주)제 플로우라이드 FC-170, 176 등의 실리콘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또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 다.Examples of such a decomposable substance include surfactants that are decompo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and are hydrophilic, and the like, resulting in decreased adhesion to cells. Specifically, hydrocarbons such as NIKKOL BL, BC, BO, and BB series manufactured by Nikko Chemicals, ZONYL FSN, FSO, manufactured by DuPont, Saflon S-141, 145, Dainippon Ink Mega Pack F-141, 144, manufactured by Kagaku Kogyo Co., Ltd. Psentant F-200, F-251, manufactured by Neos Co., Ltd. Manufacture DS-401, 402, 3M, manufactured by Daikin Kogyo Co., Ltd. And silicone-based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Floyd FC-170 and 176.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can also be used.

또한, 계면활성제 외에도, 폴리비닐알코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디아릴프탈레이트,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멜라민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타디엔,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피크롤로히드린, 폴리술피드, 폴리이소프렌 등의 올리고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urfactant, polyvinyl alcohol, unsaturated polyester, acrylic resin, polyethylene, diaryl phthalate,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oxy resin, phenol resin, polyurethane, melamine resin,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poly Amide, polyimide, styrenebutadi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styrene, polyvinyl acetate, nylon, polyester, polybutadiene, polybenzimidazole, polyacrylonitrile, epicrolohydrin, poly Oligomers, polymers such as sulfide and polyisoprene, and the like.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결합제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중에 5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40 중량% 내지 90 중량%, 더욱 특히 60 중량% 내지 80 중량%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such a binde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5 wt% to 95 wt%, especially 40 wt% to 90 wt%, more particularly 60 wt% to 80 w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기재의 세포 배양 영역 상에, 필요에 따라서 차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전체 면에, 기재측에서 에너지를 조사한 경우에, 차광부가 형성된 영역상의 광촉매는 여기되지 않고, 차광부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세포 접착층 중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a light shielding part can be formed on the cell culture area | region of a base material as needed. Accordingly, when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is irradiated with energy from the substrate side, the photocatalyst on the reg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is not excited, and the cell adhes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cell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is decomposed or Can be denatured.

이러한 차광부로는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시에 조사되는 에너지를 차단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진공증착법 등에 의해 두께 1000 내지 2000 Å 정도의 크롬 등의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이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패터닝의 방법으로는 스퍼터 등의 통상의 패터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lock energy irradiat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cell adhesion auxiliary portion, and for example, a metal thin film such as chromiu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0 to 2000 GPa is formed by, for example, sputtering or vacuum deposition. It can be formed by patterning this thin film. As a method of this patterning, normal patterning methods, such as sputter | spatter, can be used.

또한, 수지 결합제 중에 카본 미립자, 금속 산화물,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등의 차광성 입자를 함유시킨 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이용되는 수지 결합제로는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카제인, 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이나, 감광성 수지, 그 위에 O/W 에멀전형의 수지 조성물, 예를 들면, 반응성 실리콘을 에멀전화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제 차광부의 두께는 0.5 내지 10 ㎛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제 차광부의 패터닝의 방법은 포트리소법, 인쇄법 등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the method of forming in a resin pattern the layer which contained light-shielding particle | grains, such as carbo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 metal oxide, an inorganic pigment, and an organic pigment, may be sufficient. As a resin binder used, 1 type (s) or 2 or more types of resins, such as a polyimide resin,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polyacrylamide, polyvinyl alcohol, gelatin, casein, and a cellulose, or a photosensitive resin, and O / on it A resin composition of the W emulsion type, for example, an emulsion of reactive silicone can be used. The thickness of such resin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set within the range of 0.5 to 10 µm. As a method of patterning such a resin light shielding part, the method generally used, such as the photolithography method and the printing method, can be used.

d.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d. How to Form Cell Adhesion Auxiliaries

하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포 접착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 (7)에, 예를 들면 포토마스크 (5)등을 이용하여 에너지 (6)를,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조사함으로써(도 6(a)), 세포 접착층 (7) 중에 세포 접착성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 (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b)). 이때, 세포 접착 보조부에는 광촉매, 및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물이나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Below,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energy 6 is appli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ve layer 7 containing the cell adhesive material and the photocatalyst, for example, using a photomask 5 or the like. By irradiating in a pattern form to form a cell adhesion assistant (FIG. 6 (a)), the cell adhesion material 4 is decomposed or denatured in the cell adhesion layer 7 to inhibit the adhesion to the cells. It can be formed (Fig. 6 (b)). At this time,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ontains a photocatalyst and a decomposed product or modified product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서 에너지 조사(노광)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 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는 어떠한 에너지선의 조사도 포함하는 개념이고, 빛의 조사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energy irradiation (exposure) in this embodiment is a concept including irradiation of any energy ray which can decompose or denature a cell adhesive material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and is not limited to irradiation of light. .

통상 이러한 에너지 조사에 이용하는 빛의 파장은 400 n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80 nm 이하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로서 이용되는 바람직한 광촉매가 이산화티탄이고, 이 이산화티탄에 의해 광촉매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에너지로서, 상술한 파장의 빛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Usuall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for such energy irradiation is set in the range of 400 nm or less,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380 nm or less. This is because the preferred photocatalyst used as the photocatalyst as described above is titanium dioxide, and light of the above-described wavelength is preferable as energy for activating the photocatalytic action by the titanium dioxide.

이러한 에너지 조사에 사용할 수 있는 광원으로는 수은 램프, 메탈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엑시머 램프, 기타 여러 가지의 광원을 들 수 있다.Light sources that can be used for such energy irradiation include mercury lamps, metal halide lamps, xenon lamps, excimer lamps, and various other light sources.

상술한 바와 같은 광원을 이용하여, 포토마스크를 통한 패턴 조사에 의해 행하는 방법의 외에, 엑시머, YAG 등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형으로 묘화(drawing)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가 세포 접착부와 동일 패턴형으로 차광부를 갖는 경우에는 기재측에서 에너지를 전체 면에 조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토마스크 등이 필요 없고, 위치 정렬 등의 공정이 필요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erforming pattern irradiation through a photomask using the light sourc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drawing irradiation in a pattern form using a laser such as excimer, YAG or the like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strate has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e same pattern form as the cell adhesion portion, it can be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with energy from the substrate side.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for a photomask or the like, and there is no need for a process such as positional alignment.

또한, 에너지 조사에 있어서의 에너지의 조사량은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데 필요한 조사량이다.In addition, the irradiation amount of energy in energy irradiation is an irradiation amount required for decomposition | disassembly or denaturation of a cell adhesive material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이때, 광촉매가 함유되는 층을 가열하면서 에너지 조사함으로써, 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30 ℃ 내지 80 ℃ 범위 내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다.At this time, by irradiating energy while heating the layer containing a photocatalyst, since a sensitivity can be raised and a cell adhesive material can be decomposed | disassembled or denatured, it is preferable. Specifically, heating in the range of 30 ° C to 80 ° C is preferable.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포토마스크를 통해 행하는 에너지 조사의 방향은 상술한 기재가 투명한 경우는 기재측 및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측의 어느 쪽의 방향에서나 에너지 조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기재가 불투명한 경우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측에서 에너지 조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As for the direction of energy irradiation performed through the photomask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bove-mentioned base material is transparent, energy irradiation can be performed in either direction of a base material side and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side. On the other hand, when a base material is opaque, it is necessary to perform energy irradiation from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side.

(2) 제2의 실시양태(2) Second Embodiment

하기에, 적어도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이, 광촉매를 적어도 함유하는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세포 접착층에 에너지가 조사되는 경우,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가, 인접하는 광촉매 처리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Below, the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formed o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ontaining at least the photocatalyst, and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cell adhesive layer,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cell adhesive layer is adjacent to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The case where it decomposes or denatures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inside is demonstrat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층이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는 인접하는 광촉매 처리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어, 그 영역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세포 접착 보조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 보조부에는 세포 접착 재료가 소량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물 등이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층이 완전히 분해 제거되어 광촉매 처리층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변성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 보조부 중에는 그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ell adhesion layer is formed on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by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to form a cell adhesion assistant, the cell adhesion material in the cell adhesion layer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adjacent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or It can denature | denaturate and reduce adhesiveness with the cell of the area | region, and can use it as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ssistance part.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ontains a small amount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or a degradation product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or the cell. The adhesive layer is completely decomposed and removed to expose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In addition, when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the modified cell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assistant.

이하,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 및 광촉매 처리층에 관해서 설 명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에 관하여는 상술한 제1의 실시양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ell adhesion layer and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are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a. 세포 접착층a. Cell adhesion layer

먼저,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은 적어도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 재료를 갖는 층이고, 일반적으로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층으로서 이용되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ayer having a cell adhesion material having at least adhesion with the cells, and in general, a layer used as a layer having adhesion with the cells can be used.

구체적인 세포 접착 재료로는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세포 접착층에도, 제1의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으로 설명한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 재료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된 영역인 세포 접착 보조부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As a specific cell adhesion material, the same thing as the cell adhesion material used for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can be used, A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layer of this embodiment also contains the material which h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demonstrated by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1st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adhesiveness with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assistant that is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can be lowered.

또한, 이러한 세포 접착층의 형성은 상기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일반적인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어, 제1의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과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formation of such a cell adhesion layer can be performed by apply | coating the coating liquid for cell adhesion layer formation containing the said cell adhesion material by a general application | coating method, etc., and the formation method of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of 1st Embodiment. Since it may be the same a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이러한 세포 접착층의 막 두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0.001 ㎛ 내지 1.0 ㎛ 정도, 특히 0.005 ㎛ 내지 0.3 ㎛ 정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cell adhesion layer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r the like, but may generally be about 0.001 μm to 1.0 μm, particularly about 0.005 μm to 0.3 μm.

b. 광촉매 처리층b.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하기에,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처리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처리층은 적어도 광촉매를 함유하는 층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촉매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일 수도 있고, 또한 결합제 등,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층 등일 수도 있다.Below,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photocatalyst treated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may be a layer composed of only a photocatalyst, or a layer containing other components such as a binder.

본 실시양태로 사용하는 광촉매로는 제1의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어,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도 특히 산화티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fo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itanium oxide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서, 광촉매만으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처리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에 대한 효율이 향상되고, 처리 시간의 단축화 등의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광촉매와 결합제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처리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촉매 처리층의 형성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Here, when using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which consists only of a photocatalyst, the efficiency regarding disassembly or denaturation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said cell adhesion layer improves,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such as shortening of processing tim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omposed of a photocatalyst and a binder,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rmation of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is easy.

광촉매만으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처리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CVD법, 진공증착법 등의 진공제막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진공제막법에 의해 광촉매 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막으로 또한 광촉매만을 함유하는 광촉매 처리층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포 접착 재료를 균일하게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고, 또한 광촉매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제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다.As a formation method of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which consists only of a photocatalyst, the method of using vacuum film forming methods, such as a sputtering method, a CVD method, and a vacuum deposition method, is mentioned, for example. Since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is formed by the vacuum film forming method,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an be made into a uniform film and contain only the photocatalyst, whereby the cell adhesive material can be uniformly decomposed or denatured, and the photocatalyst is made of only the photocatalyst.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a binder is used, the cell adhesion material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efficiently.

또한, 광촉매만으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처리층의 형성 방법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광촉매가 이산화티탄의 경우는 기재 상에 무정형 티타니아를 형성하고, 이어서 소성에 의해 결정성 티타니아에 상 변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무정형 티타니아로는 예를 들면 4염화티탄, 황산티탄 등의 티탄의 무기염의 가수분해, 탈수축합, 테트라에톡시 티탄, 테트라이소프로폭시 티탄, 테트라-n-프로폭시 티탄, 테트라부톡시 티탄, 테트라메톡시 티탄 등의 유기 티탄 화합물을 산 존재하에서 가수분해, 탈수축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어서, 400 ℃ 내지 500 ℃에서의 소성에 의해 아나타스형 티타니아로 변성되고, 600 ℃ 내지 700 ℃의 소성에 의해 루틸형 티타니아로 변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for forming a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omposed solely of a photocatalyst, for example, when the photocatalyst is titanium dioxide, amorphous titania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then a phase change is made to crystalline titania by firing. have. Examples of the amorphous titania used herein include hydrolysis, dehydration and condensation of inorganic salts of titanium such as titanium tetrachloride and titanium sulfate, tetraethoxy titanium, tetraisopropoxy titanium, tetra-n-propoxy titanium, tetrabutoxy Organic titanium compounds, such as titanium and tetramethoxy titanium, can be obtained by hydrolysis and dehydration condensation in the presence of an acid. Subsequently, it can be modified to anatase titania by firing at 400 ° C to 500 ° C, and to rutile titania by firing at 600 ° C to 700 ° C.

또한, 결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결합제의 주 골격이 상기 광촉매의 광 여기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이러한 결합제로는 상술한 세포 접착층의 항목에 설명한 유기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bin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skeleton of the binder has a high binding energy that is not decomposed by the photoexcitation of the photocatalyst. For example, as the binder, the organopolysiloxane described in the item of the cell adhesion layer may be used. Can be heard

이와 같이 유기폴리실록산을 결합제로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광촉매 처리층은 광촉매와 결합제인 유기폴리실록산을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첨가제와 동시에 용제 중에 분산하여 도포액을 제조하고, 이 도포액을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용제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의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도포는 스핀 코팅, 분무 코팅, 딥 코팅, 롤 코팅, 비드 코팅 등의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결합제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the organopolysiloxane as a binder,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by dispersing the organopolysiloxane, which is a photocatalyst and a binder, in a solvent simultaneously with other additives to prepare a coating liquid, and applying the coating liquid onto a substrate. Can be. As a solvent to be used, alcohol-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ethanol and isopropanol, are preferable. Coating can be performed by well-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and bead coating. When it contains the ultraviolet curable component as a binder, a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an be formed by irradiating an ultraviolet-ray and hardening process.

또한, 결합제로서 무정형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무정형 실리카 전구체는 화학식 SiX4로 나타내고, X는 할로겐,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아세틸기 등인 규소 화합물, 이들의 가수분해물인 실라놀, 또는 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의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morphous silica precursors as binders. This amorphous silica precursor is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SiX 4 , and X is preferably a silicon compound such as halogen, methoxy group, ethoxy group or acetyl group, silanol which is a hydrolyzate thereof, or polysiloxane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 or less.

구체적으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무정형 실리카의 전구체와 광촉매의 입자를 비수성 용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투명 기재 상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시키고 실라놀을 형성시킨 후, 상온으로 탈수 축중합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실라놀의 탈수 축중합을 100 ℃ 이상으로 행하여 실라놀의 중합도를 증가시키고, 막 표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결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etraethoxysilane, tetraisopropoxysilane, tetra-n-propoxysilane, tetrabutoxysilane, tetramethoxysilane, etc. are mentioned. In this case, the precursor of amorphous silica and the particles of the photocatalyst are uniformly dispersed in a non-aqueous solvent, hydrolyzed by moisture in the air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silanol is formed, followed by dehydration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t room temperature. A treatment layer can be formed. The dehydration polycondensation of silanol can be performed at 100 ° C. or high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silanol an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membrane surface. In addition, these bind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광촉매 처리층 중의 광촉매의 함유량은 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처리층의 두께는 0.05 내지 10 ㎛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Content of the photocatalyst in a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an be set to 5-60 weight%, Preferably it is 20-40 weight%.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to 10 μm.

또한, 광촉매 처리층에는 상기 광촉매, 결합제 외에, 상술한 세포 접착층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photocatalyst and the binder, a surfactant used for the cell adhesion layer described above.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촉매 처리층의 그 표면은 세포와의 접착성이, 예를 들면 표면이 친수성인 것 등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세포 접착층이 분해되어 광촉매 처리층이 노출되는 경우에, 그 영역을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은 영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is preferably low in adhesion to cells, for example, in that the surface is hydrophilic. This is because when the cell adhesion layer is decomposed and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is exposed, the region can be a region with low adhesion to the cells.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 처리층 상에 차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포 접착층의 전체 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경우에, 차광부가 형성된 영역상의 광촉매는 여기되지 않고, 차광부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세포 접착층 중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광촉매는 여기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가 조사되는 방향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light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Accordingly, when energy is irradi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ell adhesive layer, the photocatalyst on the reg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is not excited, and the cell adhes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cell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to be. 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the photocatalyst of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light shielding part is formed is not excit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rection to which energy is irradiate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이러한 차광부로는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ame thing as what was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can be used as such a light shielding part,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3) 제3의 실시양태(3) Third Embodiment

하기에, 적어도 세포 접착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에너지 조사 때, 적어도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 등을 세포 접착층과 대향시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재료가 대향하는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Below, a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ve material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when the energy is irradiated,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opposed by op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with the cell adhesive layer and irradiating energy. The case where it decomposes or denatures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s demonstrat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세포 접착층과, 상기 광촉매 함유층을 대향시켜 배치하여,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ell adhesion material in the cell adhesion layer is decomposed or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y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to form the cell adhesion layer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o as to face the cell adhesion layer. It can be denatured to form cell adhesion aids.

이하,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과, 그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을 이용하여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에 관하여는 상술한 제2의 실시양태로 이용되는 세포 접착층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forming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using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used for this embodiment and this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is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cell adhesion layer used by 2nd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a.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먼저,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갖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으로는 통상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갖는 것이고, 통상 기체(基體)와, 그 기체상에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은 예를 들면 패턴형으로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나 프라이머층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hav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ing 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usually has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ing a photocatalyst, and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usually formed on a substrate and the substrate. This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may have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a primer layer, etc. formed in a pattern form, for example. Hereinafter, each structure of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used for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 광촉매 함유층(i)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먼저,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은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가, 근접하는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키는 구성이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촉매와 결합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광촉매 만으로 제막될 수도 있다. 또한, 그 표면의 특성은 특히 친액성 또는 기액성(repellent to liquid)일 수도 있다.Fir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used fo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will be describe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hotocatalys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decomposes or denatures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adjacent cell adhesion layer, and may be made of a photocatalyst and a binder, or may be formed only with a photocatalyst. have. In addition, the properties of the surface may be particularly lyophilic or repellent to liqui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은 기체상에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11)상에 광촉매 함유층 (12)이 패턴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used in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n the substrate, b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12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 on the pattern. .

이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에너지를 조사할 때에, 포토마스크 등을 이용하는 패턴 조사를 할 필요가 없고, 전체 면에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된 세포 배양 보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a pattern form,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pattern irradiation using a photomask or the like when irradiating energy to form a cell adhesion assistant, and irradiates the whole surface to thereby form cell adhesion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layer. The material may form a degraded or denatured cell culture aid.

이 광촉매 함유층의 패터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patterning method of this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carry out by the photolithographic method etc ..

또한, 실제로 광촉매 함유층에 면하는 세포 접착층 상 부분만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기 때문에, 에너지의 조사 방향은 상기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이 면하는 부분에 에너지가 조사된다면, 어떠한 방향에서도 조사될 수 있고, 그 위에 조사되는 에너지도 특히 평행광 등의 평행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Further, since only the portion on the cell adhesion layer that actually face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decomposes or denatures the cell adhesive material, the direction of energy irradiation can be irradiated in any direction if energy is irradiated on the portion that face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on layer. In addition, the energy irradiated there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parallel ones such as parallel light.

여기서, 본 실시양태로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에 관하여는 상술한 제2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광촉매 처리층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abou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used by this embodiment, since the same thing as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mentioned above can be used, the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ii) 기체(基體)(ii) gas

하기에,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에 이용되는 기체에 관해서 설명한다. 통상,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은 적어도 기체와 이 기체상에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을 가진다. 이때, 이용되는 기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후술하는 에너지의 조사 방향이나, 얻어지는 패턴 형성체가 투명성을 필요로 하는가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Below, the base used for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is demonstrated. Usually,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substrate has at least a substrate and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t this tim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ubstrate to be used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energy to be described later, or whether the resulting pattern forming body needs transparency.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기체는 가요성을 갖는 것, 예를 들면 수지제 필름 등일 수도 있고, 가요성을 갖지 않거나,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일 수도 있다. 이것은 에너지 조사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In addition, the gas used for this embodiment may be flexible, for example, a resin film, etc., may not have flexibility, or may be a glass substrate, for example. This is appropriately selected by the energy irradiation method.

또한, 기체 표면과 광촉매 함유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체상에 앵커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층으로는 예를 들면, 실란계, 티탄계의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t is possible to form an anchor layer on the substrate. As such an anchor layer, a silane type, a titanium coupling agen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ii)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iii)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에는 패턴형으로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를 갖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조사에 있어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거나, 레이저광에 의한 묘화 조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과 포토마스크와의 위치 정렬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편한 공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묘화 조사에 필요한 비싼 장치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A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ed in a pattern may be used. By us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hav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is manner,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photomask or to perform drawing irradiation by laser light in energy irradiation. Therefore, since the alignment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is unnecessary, a simple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an expensive device necessary for drawing irradiation is also unnecessar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이러한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를 갖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은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의 형성 위치에 의해, 하기의 두 개의 실시양태로 할 수 있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having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can be made into the following two embodiments by the position at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is formed.

하나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11)상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14)를 형성하여, 이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14)상에 광촉매 함유층 (12)을 형성하여,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으로 하는 실시양태이다. 또다른 하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11)상에 광촉매 함유층 (12)을 형성하여, 그 위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14)를 형성하여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으로 하는 실시양태이다.One forms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14 on the substrate 11 and forms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12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hielding portions 1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is embodiment made into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12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14 is formed thereon to form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substrate. to be.

어느 쪽의 실시양태에 있어서도, 포토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가, 상기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과의 배치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체내 등에 있어서의 에너지의 산란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서, 에너지의 패턴 조사를 매우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In any of the embodiment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n arrangement portion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on layer,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photomask, and thus, the influence of energy scattering in the gas or the like. Can be reduced, and the pattern irradiation of energy can be performed very accurately.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 (12)상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14)를 형성하는 실시양태인 경우에는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때에, 이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의 막 두께를 두 층 사이의 폭과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는 상기 간극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Her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14 is formed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12 as shown in FIG. 9, wh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ve layer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match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with the width between the two layer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used as a spacer for keeping the gap constant.

즉, 소정의 간극에서 상기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을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할 때에, 상기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와 세포 접착층을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간극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 상태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층과 차광부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세포 접착층은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지 않기 때문에, 세포 접착 보조부의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That is, when arrang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ve layer in a state whe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ve layer face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gap, the predetermined gap can be precisely arranged by arrang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and the cell adhesive layer in close contact. By irradiating the energy with the furnace, the cell adhesion layer of the portion where the cell adhesion layer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es not decompose or denature the cell adhesion material, so that the accuracy of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an be improved.

이러한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의 형성면의 특성이나, 필요로 하는 에너지에 대한 차폐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 이용되어,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기재 상에 설치되는 차광부와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ormation method of such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on surface of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the shielding against energy required, etc., it is suitably selected and used and it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Since it can be made the same as the light shielding part provided in the image,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상기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의 형성 위치로서, 기체와 광촉매 함유층과의 사이, 및 광촉매 함유층 표면인 두 가지의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 기체의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표면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를 형성하는 실시양태도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포토마스크를 이 표면에 착탈 가능한 정도에 밀착시키는 경우 등이 생각되고, 세포 접착 보조부의 패턴을 작은 로트로 변경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wo case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light shielding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surface of the side o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not formed i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which forms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in can also be employ | adopted.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photomas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xtent to which the surface is detachable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and when the pattern of the cell adhesion aid is changed to a small lot, it can be preferably used.

(iv) 프라이머층(iv) primer layer

하기에,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에 이용되는 프라이머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상에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를 패턴형으로 형성하여, 그 위에 광촉매 함유층을 형성하여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와 광촉매 함유층과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Below, the primer layer used fo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is formed in a pattern shape on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formed thereon to form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You may form a primer layer in between.

이 프라이머층의 작용·기능은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와 광촉매 함유층과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은 광촉매의 작용에 의한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및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사이에 존재하는 개구부에서의 불순물, 특히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를 패터닝할 때에 생기는 잔사나, 금속, 금속이온 등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프라 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고감도로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 처리가 진행되며, 그 결과 고도로 정밀하게 형성된 세포 배양 보조부를 얻을 수 있다. Although the action and function of this primer layer are not necessarily clear, by forming a primer layer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ortion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primer layer is a factor that inhibits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of cell adhesive material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mpurity in the openings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light-shielding portion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light shielding portion, in particular,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diffusion of impurities such as residues, metals and metal ions generated when pattern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ide light shielding portion. I think. Therefore, by forming the primer layer, the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treatment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proceeds with high sensitivity, and as a result, a highly accurate cell culture assista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프라이머층은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뿐만 아니라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광촉매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프라이머층은 개구부를 포함시킨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 전체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rimer layer prevents the impurity which exists in not only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but also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affecting the action | action of a photocatalyst, a primer layer contains an open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over the whol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프라이머층은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광촉매 함유층측 차광부와 광촉매 함유층과 접촉하지 않도록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primer layer in this embodimen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if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rimer layer was formed so that it might not contact with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light shielding part of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and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이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기 어려운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무정형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정형 실리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무정형 실리카의 전구체는 화학식 SiX4로 나타내고, X는 할로겐,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아세틸기 등인 규소 화합물이고, 이들의 가수분해물인 실라놀, 또는 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의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aterial which comprises this primer layer, The inorganic material which is hard to decompose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is preferable. Specifically, amorphous silica is mentioned. In the case of using such amorphous silica, the precursor of the amorphous silica is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SiX 4 , X is a silicon compound such as halogen, methoxy group, ethoxy group, or acetyl group, silanol which is a hydrolyzate thereof, or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 or less Polysiloxanes are preferred.

또한, 프라이머층의 막 두께는 0.001 ㎛에서 1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1 ㎛에서 0.1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01 µm to 1 µ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01 µm to 0.1 µm.

b.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b. How to Form Cell Adhesion Auxiliaries

하기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접착 보조부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설 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접착층 (7)과,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 (13)의 광촉매 함유층 (12)을, 소정의 간극으로 배치하며, 예를 들면 포토마스크 (5)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 (6)를 소정의 방향에서 조사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된 영역의 세포 접착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 (4)가 세포 접착층 (7) 중에 형성된다. 이때, 세포 접착 보조부는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경우에는 세포 배양 보조부 중에는 그 세포 접착 재료가 소량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물 등이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층이 완전히 분해 제거되어 기재가 노출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변성되는 경우에는 세포 배양 보조부 중에는 그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Below,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for example in FIG. 10, the cell adhesion layer 7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12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predetermined gaps, For example, a photomask ( 5) etc., the energy 6 is irradi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a result, the cell adhesion material in the energy-irradiated region is decomposed or denatured, and a cell adhesion assistant 4 which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is formed in the cell adhesion layer 7. At this time, when the cell adhesion material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the cell adhesion aid contains a small amount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or a degradation product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Or the cell adhesion layer is completely decomposed and removed to expose the substrate. In addition, when the cell adhesive material is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the denatured substance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ell culture assistant.

상기 배치란, 실질적으로 광촉매의 작용이 세포 접착층 표면에 미치는 상태로 배치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실제로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는 상태로 상기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이 배치된다. 간격은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rrangemen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s substantial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ll adhesion layer,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on are arranged in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 interval is 200 micrometers or less.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패턴 정밀도가 매우 양호하고, 광촉매의 감도도 높고, 따라서 세포 접착층 중의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의 효율이 양호한 점을 고려하면 특히 0.2 ㎛ 내지 10 ㎛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5 ㎛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극의 범위는 특히 간극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는 소면적의 세포 접착층에 대하여 특히 유효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p is particularly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2 μm to 10 μm, considering that the pattern precision is very good, the sensitivity of the photocatalyst is high, an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in the cell adhesive layer is good.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 μm to 5 μm. Such a range of gaps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small area cell adhesion layers that can control the gap with high precision.

한편, 예를 들면 300 mm× 300 mm 이상인 대면적의 세포 접착층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미세한 간극을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과 세포 접착층 사이에 서로 접촉 없이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세포 접착층이 비교적 대면적인 경우는 상기 간극은 10 내지 100 ㎛ 범위 내, 특히 50 내지 75 ㎛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을 이러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패턴이 희미해지는 등의 패턴 정밀도의 저하 문제나, 광촉매의 감도가 악화하여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키는 효율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 없고, 또한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에 얼룩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a large area cell adhesion layer of 300 mm × 300 mm or more, for example,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a fine gap without contact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and the cell adhesion layer. Therefore, when the cell adhesion layer is relatively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is in the range of 10 to 100 µm, particularly in the range of 50 to 75 µm. By setting the gaps within these ranges, there is no problem of deterioration of pattern accuracy such as blurring of the pattern, deterioration of the efficiency of decomposing or denaturing the cell adhesive material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ensitivity of the photocatalyst, and decomposing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or It has the effect that spotting does not occur in degeneration.

이와 같이 비교적 대면적의 세포 접착층을 에너지 조사하는 때는 에너지 조사 장치 내의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과 세포 접착층과의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의 간극의 설정을, 10 ㎛ 내지 200 ㎛ 범위 내, 특히 25 ㎛ 내지 75 ㎛ 범위 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치를 이러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패턴 정밀도의 대폭적인 저하나 광촉매의 감도의 대폭적인 악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또한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과 세포 접착층이 접촉하지 않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us, when energy irradiation of the cell adhesion layer of a comparatively large area, setting of the clearance gap in the positioning devi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and cell adhesion layer in an energy irradiation apparatus is in the range of 10 micrometers-200 micrometers, especially 25 micrometers-75 micrometers It is preferable to set in the micrometer range. This is because by setting the set value 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and the cell adhesion layer without caus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pattern accuracy and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 sensitivity of the photocatalyst.

이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 표면을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산소와 물 및 광촉매 작용에 의해 생긴 활성 산소종이 탈착하기 쉽게 된다. 즉, 상기 범위보다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과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경우는 상기 활성 산소종의 탈착이 어렵게 되어, 결과적으로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키는 속도를 느리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범위보다 간격을 분리하여 배치하는 경우는 생긴 활성 산소종이 세포 접 착층에 닿기 어렵게 되어, 이 경우도 세포 접착 재료의 분해 또는 변성의 속도를 느리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By separating and arranging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on lay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by oxygen, water and the photocatalytic action are easily desorbed. In other words,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on layer is made narr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desorption of the active oxygen species becomes difficult, and as a result, the rate of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of the cell adhesion material is likely to be slow. In the case where the interva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bove range, the generated active oxygen species is less likely to reach the cell adhesion layer, and in this case, the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of the cell adhesive material may be slowed, which is not preferable.

이러한 매우 좁은 간극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을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균일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스페이서가 접촉하는 부분은 광촉매의 작용이 세포 접착층 표면에 일어나지 않아, 이 스페이서를 상술한 세포 접착부와 동일한 패턴을 갖게 함으로써,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만의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어, 고도로 정밀하게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생긴 활성 산소종이 확산하지 않고, 고농도로 세포 접착층 표면에 도달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고도로 정밀한 세포 접착 보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forming such a very narrow gap uniformly and arrang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cell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method using a spacer can be mentioned. By using the spacer in this way, a uniform gap can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portion of the spacer contacting the photocatalyst does not occur on the surface of the cell adhesion layer, and the spacer has the same pattern as the cell adhesion portion described above. The cell adhesion material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only in the portion where the spacer is not formed, and the cell adhesion assistant can be formed with high precision. In addition, by using such a spacer, the active oxygen species produc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oes not diffuse and reaches the surface of the cell adhesion layer at a high concentration, thereby efficiently forming a highly precise cell adhesion assistant.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배치 상태는 적어도 에너지 조사 동안만 유지되면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rrangement state of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only needs to be maintained at least during the energy irradiation.

여기서, 본 실시양태로 말하는 에너지 조사(노광)이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는 어떠한 에너지선의 조사도 포함하는 개념이고, 빛의 조사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energy irradiation (exposure) as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concept including the irradiation of any energy ray which can decompose or denature the cell adhesive material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energy irradia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irradiation of light. Do not.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조사되는 에너지의 종류 등에 관하여는 상술한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since the kind etc. of energy irradiated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at of what was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포토마스크를 통해 행하는 에너지 조사의 방향은 상술한 기재가 투명한 경우에는 기재측 및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의 어느 쪽의 방향에서 에너지 조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기재가 불투명한 경우는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측에서 에너지 조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as for the direction of energy irradiation performed through the photomask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bove-mentioned base material is transparent, energy irradiation can be performed in either direction of a base material side and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strate is opaque, it is necessary to perform energy irradia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substrate side.

II. (2)의 경우II. In the case of (2)

하기에, 세포 접착층은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을 형성한 후, 에너지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하의 3개의 실시양태를 들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e cell adhesion layer has a cell adhesion inhibitory effect that inhibits adhesion to cells, and after form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hich is degrad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The case of forming by decomposing or denatur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by energy irradiation is demonstrated. In this case, the following three embodiments are mentioned.

제1의 실시양태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이고, 이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자체에 함유되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층으로 되는 경우이다.The first embodiment is a pattern in which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s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nd a photocatalyst that inhibits adhesion to cells, and forms a cell adhesion layer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This is a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layer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tself by irradiating energy with the type.

제2의 실시양태는 적어도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 광촉매를 적어도 함유하는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세포 접착 저해층에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에 함유되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된 세포 접착층으로 되는 경우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a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formed on a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energy is applied in a pattern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on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This is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제3의 실시양태는 적어도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세포 접착 저해층과, 적어도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 등을 세포 접착 저해층과 대향시켜,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된 세포 접착층으로 되는 경우이다. In a third embodiment,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and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r the like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re opposed to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t is a case where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turns into a decomposed or denatured cell adhesion layer by irradiating energy in the pattern form which forms a cell adhesion layer.

이하, 각각의 실시양태마다 나누어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is divided and demonstrated.

(1) 제1의 실시양태(1) First Embodiment

먼저, 세포 접착 저해층이,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이고, 이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에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에 함유되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 접착층이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s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nd a photocatalyst that inhibits adhesion to cells, and the energy is irradiated in a pattern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양태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은 광촉매와,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여,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 에너지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어, 에너지가 조사된 영역을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부, 즉 세포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에너지가 조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세포 접착 보조부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s a photocatalyst and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nd energy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to decompose or denatur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The area to which energy is irradiated can be made into the cell adhesion part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ie, a cell adhesion layer.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where energy is not irradiated can be used as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ssistance part at this time.

이러한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형성용 도공액을 세포 배양 영역에 도포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형성용 도공액의 도포는 일반적인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분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비드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ormation of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 cell-catalyst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material and a photocatalyst containing a cell adhesion material and photocatalyst decomposed or modifi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upon energy irradiation, and the like. This can be done by.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may be applied using a general coating method, and for example,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bead coating, or the like may be used. have.

이때, 상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의 막 두께로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0.01 ㎛ 내지 1.0 ㎛ 정도, 특히 0.1 ㎛ 내지 0.3 ㎛ 정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m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etc., but may generally be about 0.01 μm to 1.0 μm, particularly about 0.1 μm to 0.3 μm.

이하, 세포 접착 저해 재료에 관해서 설명하고, 또한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에 관하여는 상술한 「I. (1)의 경우」의 제1양태로 이용되는 광촉매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ill be described, and the method for forming the cell adhesion layer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regarding the photocatalyst used for this embodiment, "I. Since it may be the same as the photocatalyst used by 1st aspect of "the case of (1)",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a. 세포 접착 저해 재료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먼저,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된다면, 그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that inhibits adhesion to cells, and is degrad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여기서, 상기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다는 세포가 세포 접착 저해 재료와 접착하는 것을 저해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하며, 세포와의 접착성이 세포의 종류에 의해 다른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Herein, the cell hav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refers to a property of inhibiting adhesion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ith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t has a property to inhibit.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는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있고,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 접착 저해성을 잃거나, 세포와의 접착성이 양호해지는 것이 이용된다.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such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ies, and is degrad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resulting in loss of cell adhesion inhibition or good adhesion to cells. Is used.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는 예를 들면 수화능이 높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화능이 높은 재료는 주위에 수분자가 모인 수화층이 형성되어, 통상 이러한 수화능이 높은 물질은 수분자와의 접착성이 세포와의 접착성보다 높기 때문에, 세포는 상기 수화능이 높은 재료와 접착할 수 없어,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아진다. 여기서, 상기 수화능이란, 수분자와 수화되는 성질을 말하며, "수화능이 높다"는 수분자와 수화하기 쉬운 것을 말하는 것이다.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high hydration ability can be used. A material having high water hydration is formed with a hydration layer in which moisture is collected. Usually, such a high water hydration material has higher adhesion to water than cells, so that cells can adhere to the high water hydration material. There is no adhesion with cells. Here, the said hydration ability means the property which hydrates with a moisture, and "high hydration ability" means that it is easy to hydrate with a moisture.

상기 수화능이 높은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이용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베타인 구조 등을 갖는 양성이온 재료, 인지질 함유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에너지 조사 공정에서 에너지가 조사되었을 때, 광촉매 작용에 의해,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질되어, 표면의 수화층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세포 접착 저해성을 잃게 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having high hydration ability include polyethylene glycol, a zwitterionic material having a betaine structure, and the like, and a phospholipid-containing material. When such a material is used 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when energy is irradiated in an energy irradiation step to be described later,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decomposed or altered by a photocatalytic action, and the surface hydration layer is removed to remove the cell adhesion. Inhibitors may be lost.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발수성 또는 발유성의 유기 치환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닛코케미칼즈(주)제 NIKKOL BL, BC, BO, BB의 각 시리즈 등의 탄화수소계, 듀퐁사제 ZONYL FSN, FSO, 아사히 글래 스(주)제조 서프론 S-141, 145,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제 메가팩 F-141, 144, 네오스(주)제 프테르젠트 F-200, F-251, 다이킨 고교(주)제조 유니다인 DS-401, 402, 3M(주)제 플로우라이드 FC-170, 176 등의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또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rfactant having a water-repellent or oil-repellent organic substituen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can also be used 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As such a surfactant, For example, hydrocarbon type, such as each series of Nikko Chemicals, Ltd. NIKKOL BL, BC, BO, BB, ZONYL FSN, FSO by Dupont, Saflon S-made by Asahi Glass Co., Ltd. 141, 145, Megapack F-141, 144 made by Dai Nippon Ink Chemical Industries, Ltd., Psentant F-200, F-251, manufactured by Neos Co., Ltd. 402, 3M Co., Ltd. fluorine-type or silicone type nonionic surfactant, such as Floyd FC-170 and 176, A cationic surfactant, anionic surfactant, and amphoteric surfactant can be used.

이러한 재료를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이용하여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을 형성했을 때에, 표면에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편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면의 발수성 또는 발유성을 높일 수 있어, 세포와의 상호작용이 작고,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출 수 있다. 또한, 이 층에 에너지 조사 공정에서, 에너지가 조사되는 경우에는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되어 상기 광촉매가 노출되어, 상기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지 않게 할 수 있다. When such a material is used as a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to form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ubiquitous o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water repellency or oil repellency of the surface can be enhanced, the interaction with the cells is small, and the adhesion with the cells can be lowered. In addition,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layer in the energy irradiation step, the photocatalyst can be easily decompo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to expose the photocatalyst, thereby prevent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와의 접착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는 예를 들면 발유성이나 발수성을 갖는 재료를 들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having good adhesion to cells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For example, 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oil repellency or water repellency is used. The material which has a is mentioned.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상기 발수성 또는 발유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발수성 또는 발유성에 의해, 세포와 세포 접착 저해 재료 사이에 예를 들면 소수성 상호작용 등의 상호작용이 작고,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다.As a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n the case of using the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or oil repellency, due to the water repellency or oil repellency of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ell and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for example, hydrophobic interaction, is small. The adhesion with the cells can be lowered.

이러한 발수성 또는 발유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골격이 광촉매의 작 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발수성 또는 발유성의 유기 치환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As such a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or oil repellency, for example, the skeleton has a high binding energy that is not decomposed by the opera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has a water-repellent or oil repellent organic substituen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an be mentioned.

골격이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발수성 또는 발유성의 유기 치환기를 갖는 것으로는 예를 들면, 상술한 「I. (1)의 경우」에 결합제로서 이용되는 (1) 졸겔 반응 등에 의해 클로로 또는 알콕시실란 등을 가수분해, 중축합하여 큰 강도를 발휘하는 유기폴리실록산, (2) 반응성 실리콘과 가교된 유기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skeleton having a high binding energy that is no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having a water-repellent or oil-repellent organic substituen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 In the case of (1), organic polysiloxanes exhibiting high strength by hydrolyzing and polycondensing chloro or alkoxysilanes by (1) sol-gel reaction or the like, and (2) organopolysiloxanes crosslinked with reactive silicones Can be.

이러한 물질은 「I. (1)의 경우」에 있어서 결합제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폴리실록산 등의 측쇄 등을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높은 비율로 분해 또는 변성시켜 초친수성이 되게 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는 재료로서 이용된다. Such substances are described in I. In the case of (1), when used as a binder, the side chains of the organopolysiloxane and the like are decomposed or denatured at a high rate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thereby making them superhydrophilic. It is used as a material which has.

한편,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폴리실록산 등의 측쇄 등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는 분해 또는 변성되지 않는 정도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에너지가 조사된 영역이 세포와의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used as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the side chains of the organopolysiloxane and the like are irradiated with energy to such an extent that they are not completely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due to energy irradiation. The regions can be adhered to the cells.

여기서, 상기 재료를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 통상 물과의 접촉각이 80° 이상, 특히 100° 내지 130° 범위 내인 재료를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각도의 상한은 평탄한 기재 상에서의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물과의 접촉각의 상한이고, 예를 들면 요철을 갖는 기재 상에서의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물과의 접촉각을 측정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문헌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파트 2, 32권, L614-L615, 1993년 오가와 (Ogaw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한이 160° 정도인 경우도 있다.Here, when the material is used as a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t is usually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contact angle with water of 80 ° or more, particularly 100 ° to 130 °, as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This is because the adhesiveness with the cells can be lowered.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said angle is an upper limit of the contact angle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ith water on a flat base material, for example, when measuring the contact angle with the water of the said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on the base material which has an unevenness | corrug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Part 2, Vol. 32, L614-L615, 1993 Ogawa et al., The upper limit is sometimes about 160 °.

또한, 이 세포 접착 저해 재료에 에너지를 조사하여,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것은 경우에는 물과의 접촉각이 10° 내지 40°, 특히 15° 내지 30° 범위 내가 되도록 에너지가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물과의 접촉각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energy on this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nd to irradiate energy so that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is in the range of 10 ° to 40 °, particularly 15 ° to 30 °, in the case of having adhesiveness with the cells. . This is because the adhesiveness with the cell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with the said water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mentioned above.

또한, 상기 유기폴리실록산 등과 동시에, 디메틸폴리실록산 같은 가교 반응을 하지 않는 안정한 유기 실리콘 화합물을 별도로 혼합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as the organopolysiloxane and the like, a stable organosilicon compound which does not undergo a crosslinking reaction such as dimethylpolysiloxane may be mixed separately.

상기 반응성 실리콘을 이용함으로써, 발수성이나 발유성을 높일 수 있어, 세포와의 상호작용이 작고, 세포와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에 에너지가 조사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치환기를 제거하여 표면에 OH기 등을 도입할 수 있어,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By using the said reactive silicone,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can be improved, interaction with a cell is small and adhesiveness with a cell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energy is irradiated to the material, the substituents can be easily removed to introduce OH groups or the like into the surface,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cells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adhesion to the cells. have.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 재료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중에 0.01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 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영역을 세포와의 접착성이 낮은 영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Such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range of 0.01 wt% to 95 wt%, particularly 1 wt% to 10 w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t is because the area | region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can be set as the area | region with low adhesiveness with a cell by this.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는 계면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형성용 도공액 등을 도포한 후, 건조시킬 때 등에, 도막 표면에 편재하는 비율이 높아져, 그 결과 양호한 세포 접착 저해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has surfactant. For example, after coating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contain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or the like, and then drying, the ratio of ubiquitou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becomes high, resulting in good cell adhesion inhibition. Because you can get.

b. 기타b. Etc

또한, 본 실시양태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는 예를 들면 층을 형성할 때의 도공성이나, 층을 형성했을 때의 강도나 내성 등, 필요로 되는 특성에 따라 결합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상기 결합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a binder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properties required, such as coating property when forming a layer, strength and resistance when forming a layer, or the like. . In additio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may function as the binder.

이러한 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주 골격이 상기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에너지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치환기를 갖지 않거나 또는 접착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유기 치환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가수분해, 중축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As such a binder, for example, one having a high binding energy in which the main skeleton is not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can be used. Specifically, the polysiloxane etc. which do not have an organic substituent or the organic substituent of the grade which does not affect adhesiveness are mentioned, These can be obtained by hydrolyzing and polycondensing tetra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etc.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결합제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중에 5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40 중량% 내지 90 중량%, 더욱 특히 60 중량% 내지 80 중량% 범위 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거나,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 강도를 부여하는 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bind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in the range of 5% to 95% by weight, in particular 40% to 90% by weight, more particularly 60% to 80% by weight. This is because the formation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an be facilitated, or the strength can be impar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특히, 상기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중 에, 적어도 에너지 조사 후에,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 재료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이, 에너지가 조사된 영역인 세포 접착부, 즉 세포 접착층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포 접착 재료로는 상기 결합제로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결합제와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에너지 조사되기 전부터 세포와 양호한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고,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와 양호한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다는 세포와 양호하게 접착하는 것을 말하며, 세포와의 접착성이 세포의 종류에 의해 다른 경우 등에는 목적으로 하는 세포와 양호하게 접착하는 것을 말한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is contained especially at least after energy irradiation in the said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This is becaus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can make the adhesion to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portion, that is, the cell adhesion layer, which is a region to which energy is irradiated, better. Such cell adhesive material may be used as the binder, or may be used separately from the binder. In addition, for example, it may have good adhesion with the cells before being irradiated with energy, and may have good adhesion with the cells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energy irradiation. Here, it means that the cell adheres well to the cells having adhesiveness, and in the case where the adhesion with the cells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ell, it means that the cells adhere well to the target cell.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에너지 조사된 후에, 상기 세포 접착 재료가 세포와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다면, 세포와의 접착이 예를 들면 소수성 상호작용이나, 정전적 상호작용,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등의 물리적 상호작용에 의해 양호해질 수도 있고, 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양호해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fter energy irradiation, if the cell adhesion material has good adhesion with the cells, the adhesion with the cells is, for example, hydrophobic interaction, electrostatic interaction, hydrogen bonding, van der Waals, etc. It may be good by the physical interaction of, or may be good by the biological properties.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세포 접착 재료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중에 0.01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 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은 에너지 조사된 영역인 세포 접착층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에너지 조사되기 전부터 세포와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세포 접착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조사되지 않는 영역, 즉 세포 접착 보조부가 되는 영역에서의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세포 접착 저해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cell adhesion material is contained in 0.01 weight%-95 weight%, especially 1 weight%-10 weight% in a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This is becaus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an make the adhesion of the cell adhesion layer, which is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with the cells more favora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material having good adhesion to cells before being irradiated with energy as a cell adhesion material, it does not inhibit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n a region where energy is not irradiated, that is, a region that becomes a cell adhesion assistant. It is preferable to be contained to such an extent.

c.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c. Formation method of cell adhesion layer

하기에,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1) 상의 세포 배양 영역 상에 형성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 및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 (8)에, 예를 들면 포토마스크 (5)등을 이용하여 에너지 (6)를, 세포 접착층(세포 접착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조사한다 (도 11(a)).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된 영역은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고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세포 접착부) (7)을 얻는 동시에, 에너지 조사되지 않은 영역은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보조부 (4)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세포 접착부에는 광촉매, 및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분해물이나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 Below, the formation method of a cell adhesion layer i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8 containing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nd the photocatalyst formed on the cell culture region on the substrate 1 is, for example, The energy 6 is irradiated in a pattern form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cell adhesion part) using a photomask 5 or the like (Fig. 11 (a)). Accordingly, the energy irradiated region obtains the cell adhesion layer (cell adhesion portion) 7 hav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decomposed or denatured and adhered to the cells, while the unirradiated region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The cell adhesion aid 4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cell adhesion portion contains a photocatalyst and a decomposed product or modified product of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서 언급하는 에너지 조사(노광)이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는 어떠한 에너지선의 조사도 포함하는 개념이고, 빛의 조사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energy irradiation (exposure)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is a concept including irradiation of any energy ray which can decompose or denatur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It is not limited.

또한, 이러한 에너지 조사의 방법 등에 관하여는 상술한 「I. (1)의 경우」의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such an energy irradiation, etc. mentioned above "I.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1st Embodiment of "the case of (1),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2) 제2의 실시양태(2) Second Embodiment

하기에, 적어도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 광촉매를 적어도 함유하는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층으로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Below,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t leas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formed on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forms a cell adhesion layer,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decomposes | disassembles by irradiating energy. Or the case where it is set as the cell adhesion layer denatured is demonstrat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층이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접착 저해층에 에너지 조사를 함으로써, 광촉매 처리층 중에 함유되는 광촉매가 여기되어, 세포 접착 저해층 중의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킬 수 있어, 세포 접착부(세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고,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잔존하는 영역을 세포 접착 보조부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s formed on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by irradiat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with energy, the photocatalyst contained in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is excited to inhibit cell adhesion in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The material can be decomposed or denatured to form a cell adhesion part (cell adhesion layer).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where an energy is not irradiated and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remain | survive can be used as a cell adhesion | attachment assistance part at this time.

여기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있다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세포 접착 보조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양과 비교하여,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부 중에는 그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소량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분해물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 등이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변성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부 중에는 그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부에, 적어도 에너지 조사된 후에,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접착부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상기 세포 접착부에만, 고도로 정밀하게 세포를 접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the amoun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less than tha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tha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or that is less than the amount of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auxiliary layer. It refers to what is contained. For example, whe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the cell adhesion part contains a small amoun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or a degradation produc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or the like. to be. In addition, whe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modifi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the modified cell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part.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ell adhesion part contains the cell adhesion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after at least energy irradiation.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with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part can be further enhanced, and the cells can be adhered with high precision only to the cell adhesion part.

이하,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광촉매 처리층에 관하여는 상술한 「I. (1)의 경우」의 제2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관하여는 상기 제1의 실시양태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regarding the photocatalyst treatment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I. Since it can be used similarly to what was described in 2nd Embodiment of "in the case of (1)", and the formation method of a cell adhesion layer can be the same as that of said 1st Embodiment,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세포 접착 저해층)(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은 상기 광촉매 처리층 상에 형성되고,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또한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한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layer, has a cell adhesion inhibitory effect that inhibits adhesion with cells, and inhibits cell adhesion that is degrad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If it contains a material,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층이 형성 가능하다면, 그 형성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 형성용 도공액을 일반적인 도포 방법에 의해 세포 배양 영역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층의 막 두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0.001 ㎛ 내지 1.0 ㎛ 정도, 특히 0.005 ㎛ 내지 0.3 ㎛ 정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f such a layer can be formed, the formation method etc.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cell culturing the coating liquid for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the said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by the general application | coating method is carried out. It can form by apply | coating to an area | region. In addition, the film thickness of such a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r the like, but may generally be about 0.001 μm to 1.0 μm, particularly about 0.005 μm to 0.3 μm.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세포 접착 저해층에 이용되는 구체적인 세포 접착 저해 재료로는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세포 접착 저해층에도, 제1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으로 설명한 세포 접착성을 갖는 재료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너지 조사된 영역인 세포 접착부(세포 접착층)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Here, as a specific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used for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same thing 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used for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can be used. ,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of this embodiment also contains the material which has the cell adhesiveness demonstrated by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adhesiveness with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part (cell adhesion layer) which is an energy irradiated area can be improved.

(3) 제3의 실시양태(3) Third Embodiment

하기에, 적어도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세포 접착 저해층과, 적어도 광촉매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 등을 세포 접착 저해층과 대향시켜,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층으로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Below, a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containing at least a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the cell adhesion layer is made by opposing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the like to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The case wher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is described by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form to be form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층 중에,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접착 저해층과 광촉매 함유층을 대향시켜 배치하여, 세포 접착층(세포 접착부)를 형성하는 패턴형으로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층 중의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세포 접착층(세포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영역에 관하여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잔존하기 때문에,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할 수 있어, 세포 접착 보조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s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which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y irradiating energy in a pattern to form the cell adhesion par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cell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cell adhesion part). have. At this time, since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remains in the region to which the energy is not irradiated, adhesion with the cells can be inhibited and used as the cell adhesion assistant.

여기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분해 또는 변성되어 있다는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세포 접착 보조층에 함유되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양과 비교하여,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적은 양 함유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부(세포 접착층) 중에는 그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소량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의 분해물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 등이 된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 저해 재료가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변성되는 경우에는 세포 접착부 중에는 그 변성물 등이 함유된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 접착부에, 적어도 에너지 조사된 후에, 세포와의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 접착부의 세포와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상기 세포 접착부에만, 고도로 정밀하게 세포를 접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Wherei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not contained or that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decomposed or denatured, or contains less amoun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as compared to the amount of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auxiliary layer. Say what it is. For example, when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a small amoun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part (cell adhesion layer), or a degradation product of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material is contained. It becomes. In addition, whe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modifi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energy irradiation, the modified cell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ell adhesion part.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ell adhesion part contains the cell adhesion material which has adhesiveness with a cell after at least energy irradiation.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with the cells of the cell adhesion part can be further enhanced, and the cells can be adhered with high precision only to the cell adhesion part.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은 상기 제2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세포 접착 저해층과 동일하고, 광촉매 함유층측 기판 및 그 배치에 관하여는 「I. (1)의 경우」의 제3의 실시양태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에너지의 조사 방법 등에 관하여는 상기 제1의 실시양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used for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demonstrated in the said 2nd Embodiment, and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side board | substrate and its arrangement are "I.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3rd Embodiment of "the case of (1),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said 1st Embodiment about the energy irradiation method etc.,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B. 제2 실시양태B. Second Embodiment

하기에,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2 실시양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2 실시양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이며,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이며,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second embodiment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ulture patterning pattern having a substrate and a cell culture region form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cell culture region contains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the cells. Substrate,

상기 세포 접착층은 단부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cell adhesive layer is formed in a pattern shape having an uneven end portion.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1)과, 그 기재 (1)상에 형성된 세포 배양 영역 (2)를 갖는 것으로서, 세포 배양 영역 (2)에 형성되어 있는 세포 접착층 (7)의 단부 a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in this embodiment has the base material 1 and the cell culture area | region 2 formed on this base material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An end a of the cell adhesion layer 7 formed in 2) is formed in a pattern having irregularities.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영역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는 단부로부터 형태 변화에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여기서, 세포를 배양할 때, 직선적인 선에 따라서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와, 요철을 갖는 선에 따라서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 중에 요철을 갖는 선에 따라서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 쪽이, 세포의 형태 변화를 활발화시키고, 또한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 따라, 세포가 배열을 개시하는 세포 접착층의 단부가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단부에 부착한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고, 또한 세포를 규칙적으로 양호하게 배열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cells to the cell culture region, the cells are regularly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from the end, so that tissue is formed. Here, when culturing the cells, the cell morphology changes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cells along a straight line and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cells along the uneven line when the cells are attached along the uneven line. Can be activated and arrang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nd of the cell adhesion layer where the cells start to be arranged is formed in a pattern with irregularities, the cells attached to the end can be activated, and the cells can be arranged regularly well. have.

이하,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기재에 관하여는 상술한 제1 실시양태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ach structure of the cell culture patterning board |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used for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used for the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1. 세포 배양 영역1. Cell Culture Area

먼저,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영역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 영역이란, 세포를 배양하는 영역으로서, 단부에 요철을 갖는 패턴형으로 형성된 세포 접착층을 갖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First,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ell culture region in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ell culture region is a region for culturing cells and has a cell adhesion layer formed in a pattern form having irregularities at its ends.

여기서, 세포 배양 영역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어, 기재의 세포 배양 영역 이외의 부분은 세포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세포 비배양 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세포 접착층의 단부란, 통상 이 세포 배양 영역과 세포 비배양 영역과의 경계이다 (도 12에 있어서, a로 표시됨).Here, a cell culture reg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cell culture region of the substrate is a cell non-culture region that inhibits adhesion with the cells. In addition, the edge part of the said cell adhesion layer is a boundary between this cell culture area | region and a cell non-cultivation area | region normally (it represents with a in FIG. 12).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이 세포 배양 영역에 형성되는 세포 접착층의 단부 전부가 요철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중, 일부만을 요철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ll the ends of the cell adhesion layer formed in this cell culture region may have irregularities, and as shown in FIG. 12, only some of the ends may have irregularities.

이와 같이 세포 접착층의 단부에 형성되는 요철로는 세포 접착층에 부착한 세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는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의 거리가 세포 접착층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가 직선적으로 정렬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the irregularities formed at the end of the cell adhesion layer are preferably those capable of regularly arranging the cells attached to the cell adhesion layer, and in particular, th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adheres the cells to the cell adhesion layer. In this case, the cells are preferably formed in a linearly aligned size.

구체적인 요철의 크기로는 배양하는 세포의 형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이 0.5 ㎛ 내지 30 ㎛, 특히 1 ㎛ 내지 5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포를 배양했을 때, 세포 배양 영역의 단부에 있어서 세포가 부족하는 일없이, 목적으로 하는 형상에 세포를 배양하여, 조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의 측정은 세포 접착부와 세포 접착 보조부의 경계 200 ㎛의 범위에서의 각 요철의 최저부에서 최꼭대기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평균을 산출한 값이다.Although the specific size of the unevenness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ultured cell or the like, it is usually preferable that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of the unevenness is in the range of 0.5 µm to 30 µm, particularly 1 µm to 5 µm. . This is because when the cells are cultured, the cells can be cultured in the desired shape to form tissues without running out of cells at the end of the cell culture region. Here, the measurement of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of the concave and convex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part to the uppermost part of each concave-convex in the range of 200 μm of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part and the cell adhesion auxiliary part. The average is calculated.

이러한 단부를 갖는 세포 접착층으로는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층이다면, 특 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세포 접착층의 형성 방법으로도, 상기 단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 등을 일반적인 인쇄법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이나, 상기 세포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패터닝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실시양태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되는 세포 접착성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층을 형성하여, 에너지 조사에 의해, 세포 접착층을 패터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양태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세포와의 접착 저해성을 갖는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함유하는 세포 접착 저해층을 형성하여,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이 세포 접착 저해 재료를 분해 또는 변성시켜 세포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cell adhesion layer having such an e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layer having adhesion with the cells. In addition, the method for forming the cell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apable of forming the end portion. For example,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 cell adhesive layer containing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with a cell or the like is generally printed.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by the method,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the said coating liquid for cell adhesion layer formation, and the patterning by the photolithographic method etc. are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cell adhesion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ve material that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is formed, and the cell adhesion layer is formed by energy irradiation. Can be patterned.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first embodiment,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contain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hav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property is formed, and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material is form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May be degraded or denatured to form a cell adhesion layer.

이들 방법이나 재료 등에 관하여는 상기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se methods, materials, etc. are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1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여기서,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세포 배양 영역에, 상술한 제1 실시양태에 설명한 세포 접착 보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대면적의 조직 등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adhesion | attachment auxiliary part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formed in the cell culture area mentioned above. This is because cells can be efficiently cultured to form large-area tissues or the like.

2.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2.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하기에,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은 상술한 기재 상에 상기 단부를 갖는 세포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차광부 등의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Below,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ell adhesion layer having the end port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described above, and a member such as a light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양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The said embodiment is an illustration, Any thing which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 of this invention, and exhibits the same effect is contain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이하에 실시예를 도시하여, 본 발명을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n Example is show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concretely demonstrated to it.

[실시예 1]Example 1

<광촉매 함유층을 갖는 포토마스크의 형성> <Formation of a photomask hav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개구부의 폭이 60 ㎛이고, 차광부의 폭이 300 ㎛인, 60 ㎛/300 ㎛의 라인 및 스페이스를 갖고, 그 개구부와 차광부의 경계가 1 ㎛ 각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포토마스크를 형성하였다. A photomask having a line and a space of 60 µm / 300 µm having a width of the opening of 60 µm and a width of the shielding portion of 300 µm,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and the shielding portion having an unevenness of 1 µm was formed. .

하기에, 트리메톡시메틸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5 g과 0.5N 염산 2.5 g을 혼합하여, 8시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의해 10배로 희석하여, 프라이머층용 조성물로 하였다. 이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을 포토마스크의 패턴면 상에 스핀 코팅법로 도포하여, 그 기판을 150 ℃의 온도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Below, 5 g of trimethoxymethylsilane TSL8114 (GE Toshiba Silicone Co., Ltd.) and 2.5 g of 0.5N hydrochloric acid were mixed, and it stirred for 8 hours. This was diluted 10-fold with isopropyl alcohol to make a composition for primer layers. The primer layer was formed by apply | coating this composition for primer layers on the pattern surface of a photomask by spin coating, and drying the board | substrate at the temperature of 150 degreeC for 10 minutes.

하기에, 이소프로필알코올 30 g과 트리메톡시메틸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3 g과 광촉매 무기 코팅제 ST-K03(이시하라 산업) 20 g을 혼합하여, 100 ℃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의해 3배 희석하여, 광촉 매 함유층용 조성물로 했다. 이 광촉매 함유층용 조성물을,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포토마스크 기판 상에 스핀 코터로 도포하여, 150 ℃에서 10분간의 건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투명한 광촉매 함유층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형성하였다.Below, 30 g of isopropyl alcohol, 3 g of trimethoxymethylsilane TSL8114 (GE Toshiba Silicone Co., Ltd.), and 20 g of photocatalyst inorganic coating agent ST-K03 (Ishihara Industries) were mixed, and it stirred at 100 degreeC for 20 minutes. This was diluted three times with isopropyl alcohol to obtain a composition for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is composition for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 was applied to a photomask substrate on which a primer layer was formed by a spin coater, and dried at 150 ° C. for 10 minutes to form a photomask having a transparent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Formation of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5.0 g, 플루오로알킬실란 TSL-8233(GE 도시바 실리콘사제) 1.5 g, 0.005N 염산 2.36 g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100배 희석한 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150 ℃의 온도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가수분해,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막 두께 0.2 ㎛의 세포 접착 저해층을 갖는 기판을 얻었다.5.0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1.5 g of fluoroalkylsilane TSL-8233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and 2.36 g of 0.005N hydrochloric acid were mixed and stirred for 24 hours. After diluting this solution 100 times with isopropyl alcohol, it was applied to an alkali-treated quartz substrate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a substrate having a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μm.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이 기판의 세포 접착 저해층과 상기 광촉매 함유층을 갖는 포토마스크의 광촉매 함유층을 대향시켜, 포토마스크를 통해 수은 램프에 의해 6 J/cm2의 에너지량으로 자외선 노광을 행하여,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고, 노광부가 세포 접착성을 갖도록 패턴화된 세포 접착성 표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The cell adhesion inhibiting layer of the substrate an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f the photomask hav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ultraviolet light is exposed at an energy amount of 6 J / cm 2 by a mercury lamp through the photomask, and the unexposed portion inhibits cell adhesion. And a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having a cell adhesive surface patterned such that the exposed portion had cell adhesiveness.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10% 소태아혈청을 가한 DMEM 배지 중에 상기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침 지하여, 1차 인간 가슴정맥세포(HUVEC)를 파종하였다. 37 ℃, 5% 이산화탄소 환경 하에서 16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세포 접착부에 접착하였다.The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was immersed in DMEM medium to which 10% fetal bovine serum was added, and primary human thoracic vein cells (HUVECs) were seeded. Incubated for 16 hours at 37 ° C. in a 5% carbon dioxide environment, and the cells adhered to the cell adhesion part.

세포 배양 기판에 접착한 세포를 관찰한 바, 세포가 세포 배양 영역중 전 영역에 따르는 방향으로 배향하여, 신전(伸展)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When the cells adhered to the cell culture substrate were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s were orient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entire region of the cell culture region to show the extension shape.

또한, DMEM 배지는 bFGF(시그마사)를 10 ng/ml의 농도로 가한 것과 교환하고, 37 ℃, 5% 이산화탄소 환경 하에서 24시간 배양을 계속하여, 세포가 연속적으로 모세관조직을 형성한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DMEM medium was exchanged with the addition of bFGF (Sigma) at a concentration of 10 ng / ml, and culture was continued for 24 hours in a 37 ° C, 5% carbon dioxide environment to confirm that the cells continuously formed capillary tissue. .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포토마스크가 60 ㎛/300 ㎛의 라인 및 스페이스를 가지고 개구부와 차광부와의 경계부에 요철을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의 배양을 행한 바, 세포 파종후 16시간에서, 기판에 대한 세포의 접착은 실시예 1보다도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을 24시간 후까지 행한 바, 기판에 접착한 세포수는 증가했지만, 세포의 배향, 진전(進展) 형상의 정도는 실시예 1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substrate was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hotomask had a line and a space of 60 µm / 300 µm and did not have irregularitie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and the shielding por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on of cells to was less than in Example 1. When the culture was carried out until after 24 hours, the number of cells adhered to the substrate was increased, but the orientation of the cells and the degree of progression shape were confirmed to be inferior to those in Example 1.

또한, DMEM 배지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bFGF를 가하여, 세포의 조직화를 행한 바, 세포의 모세관 형성은 행해졌지만,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모세관의 길이는 짧고, 조직 형성이 불완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Furthermore, when bFGF was added to DMEM medium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cells were organized, and capillary formation of the cells was performed. However, compared with Example 1, the capillary length was shorter and the tissue formation was incomplete. .

[실시예 2]Example 2

환상 개구부의 폭이 190 ㎛이고, 차광부의 폭이 500 ㎛인, 190 ㎛/500 ㎛의 라인 및 스페이스를 갖고, 상기 개구부내에는 폭 60 ㎛마다 5 ㎛의 차광부가 형성 되어 있는 포토마스크를 제조하여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의 배양을 행하였다. A photomask having a line and a space of 190 μm / 500 μm having a width of the annular opening of 190 μm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of 500 μm, and hav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of 5 μm formed in each of the openings having a width of 60 μm.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ells were used.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When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90 ㎛/500 ㎛의 라인 및 스페이스의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세포의 배양을 행하였다. 이 경우, 세포의 파종 24시간 후라도, 세포 접착부 중앙 부근의 세포만 기판에 접착하지, 배향이나 신전은 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a photomask with a line and space of 190 µm / 500 µm was used. In this case, only 24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only the cells near the center of the cell adhesion part were adhered to the substrate, but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were not confirmed.

[실시예 3]Example 3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의 형성)(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이소프로필알코올 3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훨스 아메리카(Huels America)사제) 0.04 g, 및 광촉매 무기 코팅제 ST-K01(이시하라 산업사제) 1.5 g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20분간, 100 ℃에서 가온하였다.3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0.04 g of N- (2-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Huels America), and photocatalyst inorganic 1.5 g of coating agent ST-K01 (manufactured by Ishihara Industries Co., Ltd.) was mixed and heated at 100 ° C. for 20 minutes while stirring.

이 용액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유리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온도 150 ℃에서 10분간 건조시켜, 가수분해 및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 광촉매가 유기폴리실록산 중에 강하게 고정된 막 두께가 0.2 ㎛인,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성으로부터 세포 접착 저해성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층을 갖는 패터닝용 기판을 형성하였다.The solution is applied to a quartz glass substrate which has been alkali-treated beforehand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whereby the photocatalyst is strongly fixed in the organopolysiloxane. A substrate for patterning was formed hav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layer that changed from cell adhesion to cell adhesion inhibition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with a thickness of 0.2 μm.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이 패터닝용 기판에, 개구부의 폭이 60 ㎛이고, 차광부의 폭이 300 ㎛인, 60 ㎛/300 ㎛의 라인 및 스페이스를 갖고, 그 개구부와 차광부와의 경계가 1 ㎛ 각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수은 램프(파장 365 nm)에 의해 300 mW/cm2의 조도로 900초간 자외선 노광을 행하고,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성을 갖고, 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성을 갖도록 패턴화된 세포 접착성 표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The patterning substrate has a 60 µm / 300 µm line and space having a width of an opening of 60 µm and a width of the shielding portion of 300 µm, and a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and the shielding portion of 1 µm angle is provided. Using a photomask formed so as to have a UV exposure for 900 seconds using a mercury lamp (wavelength 365 nm) at a light intensity of 300 mW / cm 2 , patterning the unexposed portion to have cell adhesion and the exposed portion to inhibit cell adhesion. A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having a prepared cell adhesive surface was obtained.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the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실시예 4]Example 4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이소프로필알코올 3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플루오로알킬실란 TSL8233(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04 g, 광촉매 무기 코팅제 ST-K01(이시하라 산업사제) 1.5 g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20분간, 100 ℃에서 가온하였다.3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0.04 g of fluoroalkylsilane TSL8233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 Co., Ltd.), 1.5 g of photocatalyst inorganic coating agent ST-K01 (manufactured by Ishihara Industries Co., Ltd.) are mixed and stirred. Warmed at 100 ° C. for 20 min.

이 용액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유리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온도 150 ℃에서 10분간 건조시켜, 가수분해 및 중축합 반응을 진행 시켜, 광촉매가 유기폴리실록산 중에 강하게 고정된 막 두께가 0.2 ㎛인, 에너지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세포 접착 저해성으로부터 세포 접착성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 세포 접착 저해층을 갖는 패터닝용 기판을 형성하였다.The solution was applied to a quartz glass substrate which had been alkali-treated beforehand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whereby the photocatalyst was strongly fixed in the organopolysiloxane. A substrate for patterning was formed hav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cell adhesion inhibitory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μm, which changes from cell adhesion inhibition to cell adhesion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energy irradiation.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상기 패터닝용 기판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부로, 노광부가 세포 접착부로 되는 패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 Ultraviolet irradiation was carried out to the said patterning board | substrate similarly to Example 3, an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board | substrate which has a pattern in which an unexposed part is a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and an exposure part becomes a cell adhesion part was obtained.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the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실시예 5]Example 5

(광촉매 함유층의 형성)(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이소프로필알코올 3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및 광촉매 무기 코팅제 ST-K01(이시하라 산업) 1.5 g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20분간, 100 ℃에서 가온하였다.3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and 1.5 g of the photocatalyst inorganic coating agent ST-K01 (Ishihara Industries) were mixed and heated at 100 ° C for 20 minutes while stirring.

이 용액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유리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150 ℃의 온도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가수분해,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 광촉매가 유기폴리실록산 중에 견고하게 고정된 막 두께 0.2 ㎛의 광촉매 함유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였다. The solution is applied to a quartz glass substrate which has been alkali-treated beforehand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the photocatalyst is firmly fixed in the organopolysiloxane.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탆 was formed on the substrate.

(세포 접착층의 형성)(Formation of Cell Adhesion Layer)

피브로넥틴 F-4759(시그마) 0.2 mg과, 순수한 물 200 ml를 혼합하여, 이 수용액을 상기 광촉매 함유층을 설치한 기판의 광촉매 함유층에 대하여, 기판 면적 1 cm2당 300 ㎕의 비율로 적하하여, 이것을 4 ℃ 이하로 24시간 정치하였다. 또한, 기판을 PBS에서 2회 세정하고, 질소 가스에 노출시켜 건조함으로써, 기판 상에 광촉매 함유층과 세포 접착층을 갖는 패터닝용 기판을 얻었다. 0.2 mg of fibronectin F-4759 (Sigma) and 200 ml of pure water were mixed, and this aqueous solution was added dropwise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f the substrate provided wit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t a rate of 300 µl per 1 cm 2 of substrate area. It left still at 4 degrees C or less for 24 hours. Further, the substrate was washed twice with PBS, exposed to nitrogen gas and dried to obtain a patterning substrate hav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a cell adhesive layer on the substrate.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상기 패터닝용 기판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부로, 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부로 되는 패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 Ultraviolet irradiation was performed to the said patterning board | substrate similarly to Example 3, and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s which has a pattern in which an unexposed part is a cell adhesion part and an exposure part becomes a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is obtained.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the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실시예 6]Example 6

(광촉매 함유층의 형성)(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이소프로필알코올 3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및 광촉매 무기 코팅제 ST-K01(이시하라 산업) 1.5 g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20분간, 100 ℃에서 가온하였다.3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Ltd.), and 1.5 g of the photocatalyst inorganic coating agent ST-K01 (Ishihara Industries) were mixed and heated at 100 ° C for 20 minutes while stirring.

이 용액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유리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150 ℃의 온도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가수분해,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 광촉매가 유기폴리실록산 중에 견고하게 고정된 막 두께 0.2 ㎛의 광촉매 함유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였다.The solution is applied to a quartz glass substrate which has been alkali-treated beforehand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the photocatalyst is firmly fixed in the organopolysiloxane.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탆 was formed on the substrate.

(세포 접착 저해층의 형성)(Formation of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이 기판에 이소프로필알코올 5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및 플루오로알킬실란 TSL8233(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04 g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그 후 기판을 150 ℃에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세포 접착 저해층을 형성하였다.A solution consisting of 5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 Co., Ltd.), and 0.04 g of fluoroalkylsilane TSL8233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 Co., Ltd.) was applied by spin coating to form a substrate.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layer was formed by drying at 150 ° C. for 10 minutes.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상기 패터닝용 기판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부로, 노광부가 세포 접착부로 되는 패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Ultraviolet irradiation was carried out to the said patterning board | substrate similarly to Example 3, and the cell culture patterning board | substrate which has a pattern in which an unexposed part is a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and an exposure part becomes a cell adhesion part was obtained.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the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실시예 7]Example 7

(세포 접착층의 형성)(Formation of Cell Adhesion Layer)

이소프로필알코올 3 g, 유기실란 TSL8114(GE 도시바 실리콘사제) 0.4 g, 및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0.4 g을 혼합하고, 교반과 함께 20분간, 100 ℃에서 가온하였다. 이 용액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미리 알칼리 처리한 석영 유리 기판에 도포하여, 그 기판을 150 ℃ 온도로 10분간 건조함으로써, 가수분해,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 막 두께가 약 80 nm인,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유기폴리실록산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여, 패터닝용 기판으로 했다.3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organosilane TSL8114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 Co., Ltd.), and 0.4 g of aminopropyltriethoxysilane were mixed and heated at 100 ° C for 20 minutes with stirring. The solution was applied to a quartz glass substrate which had been alkali-treated beforehand by spin coating, and the substrate was dried at 150 ° C. for 10 minutes to proceed wit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s, and the amino group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80 nm. An organopolysiloxane layer containing was formed on a substrate to obtain a patterning substrate.

(패터닝용 기판의 패터닝)(Patterning of Patterning Substrate)

상기 패터닝용 기판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미노광부가 세포 접착부로, 노광부가 세포 접착 저해부로 되는 패턴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Ultraviolet irradiation was performed to the said patterning board | substrate similarly to Example 1, and the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which has a pattern in which an unexposed part is a cell adhesion part and an exposure part becomes a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was obtained.

(세포의 배양)(Culture of cell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파종 16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바, 세포 배양 영역의 모든 세포에 관해서, 세포의 배향, 신전이 관찰되었다.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cell morphology was observed 16 hours after the seeding of the cells, the orientation and extens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all the cells in the cell culture region.

Claims (6)

기재 (base material)(1), 및 A base material 1, and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세포 접착부(3) 및 세포 접착 저해부(4)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영역(2)A cell culture region (2) comprising a cell adhesion portion (3) and a cell adhesion inhibition portion (4) formed on the substrate 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된 기판으로서,A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comprising: 상기 세포 접착부(3)에는 세포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The cell adhesion layer 3 is formed with a cell adhesion layer, 세포 접착 저해부(4)에 인접하는 2개의 세포 접착부(3) 상의 세포들이 서로 세포 접착 저해부(4) 위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된 기판.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s on the two cell adhesion part (3) adjacent to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4) is formed to be able to bind to each other on the cell adhesion inhibition par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접착 저해부(4)가, 상기 세포 배양 영역(2) 내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패터닝된 기판.The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portion (4)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plan view in the cell culture region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접착 저해부(4)와 상기 세포접착부(3)와의 경계의 형상이 요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패터닝된 기판.The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adhesion inhibiting portion (4) and the cell adhesion portion (3) has an uneven shape. 기재 (base material) (1), 및 Base material (1), and 상기 기재 (base material) (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세포와 접착성을 갖는 세포 접착층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영역(2)A cell culture region (2) containing a cell adhesion layer having adhesion to cell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1) 을 갖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된 기판으로서, A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having 상기 세포 접착층이 평면상으로 볼때, 단부의 형상이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패터닝된 기판.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end of the cell adhesive layer is planar, concave-convex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세포 접착층 상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세포가 상기 세포 접착층의 요철부의 최꼭대기부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정렬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된 기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concave end of the concave to the convex end is such that the cell linearly aligns along the uppermost part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of the cell adhesive layer when attaching the cell onto the cell adhesive layer.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characterized by.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오목부 단부에서 볼록부 단부까지 거리의 평균이 0.5 ㎛ 내지 30 ㎛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패터닝된 기판.The patterned substrate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an average of the distances from the concave end to the convex end of the unevenness is in the range of 0.5 µm to 30 µm.
KR1020067019153A 2004-02-19 2005-02-18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KR1008862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3387A JP4589012B2 (en) 2004-02-19 2004-02-19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JPJP-P-2004-00043387 2004-02-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974A Division KR20080096714A (en) 2004-02-19 2005-02-18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781A KR20070006781A (en) 2007-01-11
KR100886291B1 true KR100886291B1 (en) 2009-03-04

Family

ID=348793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974A KR20080096714A (en) 2004-02-19 2005-02-18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KR1020067019153A KR100886291B1 (en) 2004-02-19 2005-02-18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974A KR20080096714A (en) 2004-02-19 2005-02-18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89012B2 (en)
KR (2) KR20080096714A (en)
WO (1) WO200508054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14B1 (en) 2012-12-20 2014-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plates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e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84B1 (en) 2006-07-28 2007-07-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Stamp for cell dissociation, method for cell dissociation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nual/automatical cell dissociation using the same
EP2180042A1 (en) * 2008-10-24 2010-04-28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Methods and device to constrain multicellular arrangements in stable, stationary and reproducible spatial configuration
JP5905194B2 (en) * 2010-11-18 2016-04-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ilamentous floating cell patterning substrate
KR101240348B1 (en) 2011-04-12 2013-03-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Dynamic Cell Culture System Using Well-Plate
JP6060790B2 (en) * 2013-04-17 2017-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EP3085768A4 (en) 2013-12-18 2017-08-09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Structure for animal cell, method for separating animal cell, and method for adjusting elasticity of surface of structure for animal cell
JP6326915B2 (en) * 2014-04-01 2018-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ell culture substrate
US20220235307A1 (en) * 2019-08-02 2022-07-28 Sekisui Chemical Co., Ltd. Scaffold material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e container
KR102622156B1 (en) 2020-12-10 2024-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xtracellualr matrix (ECM) micropatterns to control cell polarity
CN115322987B (en) * 2022-06-22 2024-03-01 浙江大学 Construction method of two-dimensional cell patter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6A (en) * 1989-06-03 1991-01-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Orientation controlling tool for cell,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controlling orientation of cell
JPH04126074A (en) * 1990-09-14 1992-04-27 Bio Material Kenkyusho:Kk Substrate for culture of tissue cell
JP2003325163A (en) * 2002-03-07 2003-11-18 Sumitomo Bakelite Co Ltd Film for culturing cel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for culturing cell thereof and method for bioassay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269B2 (en) * 1993-09-07 2001-01-22 株式会社バイオマテリアル研究所 Culture substrate
US5776748A (en) * 1993-10-04 1998-07-0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 of formation of microstamped patterns on plates for adhesion of cells and other biological materials, devices and uses therefor
JP2003009860A (en) * 2001-06-27 2003-01-14 Fuji Photo Film Co Ltd Compartmented culture substrate and dna chip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6A (en) * 1989-06-03 1991-01-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Orientation controlling tool for cell,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controlling orientation of cell
JPH04126074A (en) * 1990-09-14 1992-04-27 Bio Material Kenkyusho:Kk Substrate for culture of tissue cell
JP2003325163A (en) * 2002-03-07 2003-11-18 Sumitomo Bakelite Co Ltd Film for culturing cel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for culturing cell thereof and method for bioassay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14B1 (en) 2012-12-20 2014-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plates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e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14A (en) 2008-10-31
JP4589012B2 (en) 2010-12-01
JP2005229914A (en) 2005-09-02
KR20070006781A (en) 2007-01-11
WO2005080547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7449B2 (en)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49711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ll culture substrate
US20080213857A1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KR100886291B1 (en) Patterning Substrate for Cell Culture
JP4401153B2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JP4456393B2 (en) Cell cultur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cell culture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US20050186674A1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US20060019390A1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JP2004344025A (en) Cell culture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65934B2 (en) Patterning substrate for vascular cell culture
US20070148762A1 (en) Cell culture patterning substrate
JP4858166B2 (en) Patterning substrate for vascular cell culture
JP4992950B2 (en) Artificial tissue
JP4862261B2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JP4742599B2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JP4742598B2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JP4826092B2 (en) Patterning substrate and cell culture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