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872B1 -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72B1
KR100883872B1 KR1020070060839A KR20070060839A KR100883872B1 KR 100883872 B1 KR100883872 B1 KR 100883872B1 KR 1020070060839 A KR1020070060839 A KR 1020070060839A KR 20070060839 A KR20070060839 A KR 20070060839A KR 100883872 B1 KR100883872 B1 KR 10088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or
insulated switchgear
gas insulated
contact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440A (ko
Inventor
조정환
박창우
김정배
이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7006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72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로기를 구성하는 가동접점의 구조를 개선하여 접속 성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도록 단로기 몸체의 링크에 결합된 세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있어서, 상기 세 가동접점은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로기 몸체의 링크와 볼트 체결되는 제1관통공 및 서로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두 블레이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을 결합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부재는 설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가 제공된다.
가스 절연 개폐장치, 단로기, 탄력부재, 간격 조절링, 컨택터

Description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Disconnector of Gas Insulation switchg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중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의 가동접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중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컨택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중 가동접점에 컨택터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1의 “C”부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중 가동접점에 컨택터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100c. 고정접점 200a,200b,200c. 가동접점
210,220. 블레이드 211,221. 제1관통공
212,222. 제2관통공 213,223. 요입단
214,224. 요홈 310. 체결볼트
320. 체결너트
411,412,421,422,431,432,401,402. 탄력부재
500. 간격 조절링 600. 컨택터
610. 베릴륨 쿠퍼 620. 실버 플레이트 쿠퍼
본 발명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정접점과의 접촉이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블레이드형 구동방식의 단로기 가동접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장치(GIS;Gas Insulation switchgear)는 금속제 밀폐용기(탱크)에 절연성능과 소호기능이 우수한 절연용 가스(SF6)를 절연매체로 사용하여 도체와 각종 보호기기들을 수납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킨 수변전 설비이다.
상기한 가스 절연 개폐장치는 개폐 및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고 사고발생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진공용기와 이를 동작시키는 차단 기구장치, 주모선과 분기회로를 단속할 수 있는 접지스위치 기능을 부가한 3점 스위치 등의 주회로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모선이 있는 개폐장치의 경우 단로기(Disconnector)가 각 모선별로 하 나씩 구비되어 있고, 한 모선의 사고시 다른 모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상기한 단로기는 고압 모선에 설치되며, 정격전압하에 있어서 단순히 충전된 선로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부하전류의 개폐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부하전류의 차단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로기의 개폐 조작은 차단기 또는, 다른 개폐기가 차단상태일 때에 실행된다.
상기 단로기는 세 개의 가동접점을 가지며, 그 각각의 가동접점은 두 개의 블레이드가 한 쌍을 이루면서 하나의 고정접점 양측면을 파지하듯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가동접점을 이루는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 중 고정접점과 맞닿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지만, 가공 정밀도에 대한 한계로 인해 실질적인 두 블레이드와 고정접점 간의 접촉은 점 접촉으로만 이루어질 뿐이다.
즉,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의 접촉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상호 간의 통전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각 가동접점을 이루는 두 블레이드는 스프링 어셈블리에 의해 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호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상기 세 개의 가동접점들은 모두가 동일한 스프링 어셈블리가 적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의 스프링력은 모든 가동접점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각 가동접점에서 단시간전류 통전시 중앙측 가동접점이 상대적으로 상간 반발력에 따른 유동이 심함에 따라 상기 중앙측 가동접점의 경우 통전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되었다.
특히, 3000A급 GIS와 같이 고용량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에 전술한 각 가동접점의 구조가 적용된다면 더욱 큰 상간 반발력에 따른 유동에 의해 통전 성능이 더욱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기존 구조의 가동접점은 3000A급 GIS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단로기의 고정접점과 접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방열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의 가동접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는 세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도록 단로기 몸체의 링크에 결합된 세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있어서, 상기 세 가동접점은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로기 몸체의 링크와 볼트 체결되는 제1관통공 및 서로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두 블레이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을 결합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 부재는 설치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세 가동접점 중 중간에 위치된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탄력부재가 여타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탄력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각 가동접점의 각 부위 중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부위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탄력부재가 여타 부위에 설치되는 탄력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의 압축력이 서로 달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상기 탄력부재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혹은,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 부분과 상기 탄력부재 사이에는 간격 조절링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력부재의 압축력이 서로 달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상기 간격 조절링의 두께를 달리 형성하거나 혹은, 간격 조절링의 개수를 달리 결정 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는 세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는 세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있어서, 상기 세 가동접점은 각각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형의 두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각 가동접점을 구성하는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 중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탄력 설치된 컨택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택터는 베이스를 이루는 베릴륨 쿠퍼(beryllium copper)와, 상기 베릴륨 쿠퍼의 상면을 따라 상하 압축 가능하게 성형된 실버 플레이트 쿠퍼(silver plate cooper)로 이루어진 멀티 컨택트(multi contact)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실버 플레이트 쿠퍼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요홈 내에 매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택터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4열을 이루면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두 블레이드는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단로기 몸체의 링크와 볼트 체결되는 제1관통공 및 서로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컨택터는 상기 각 블레이드의 제1관통공 내주면에도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중 각 가동접점과 각 고정접점 간의 관계가 도시되고 있다.
이렇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단로기는 세 고정접점(100a,100b,100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는 세 가동접점(200a,200b,20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 가동접점(200a,200b,200c)은 단로기 몸체(도시는 생략됨)의 링크(10) 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10)는 구동수단(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세 가동접점(200a,200b,200c)이 상기 세 고정접점(100a,100b,100c)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세 가동접점(200a,200b,200c)이 각각 두 블레이드(210,220)와 체결볼트(310) 및 체결너트(320)와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는 그 설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블레이드(210,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210,22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하나의 가동접점을 구성하며,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도 같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블레이드(210,220)에는 단로기 몸체의 링크(1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제1관통공(211,221) 및 상기 각 쌍을 이루는 두 블레이드(210,220) 서로 간의 볼트 체결을 위한 제2관통공(212,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211,221)은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의 후방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212,222)은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공(212,222) 중 두 블레이드(210,22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제2관통공(212,222)은 상기 제1관통 공(211,221)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관통공(212,222)의 입구측에는 후술되는 체결볼트(310)의 머리 부분 및 상기 체결볼트(310)와 체결되는 체결너트(320)가 요입될 수 있도록 단턱진 요입단(213,223)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볼트(310) 및 체결너트(3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볼트(310) 및 체결너트(320)는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 간을 결합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의 제2관통공(212,222)을 관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는 상기 체결볼트(310)에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써, 상기 체결볼트(310)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을 형성하는 두 블레이드(210,220)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한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는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세 가동접점(200a,200b,200c) 중 중간에 위치되는 가동접점(200b)의 탄력부재(421,422)가 여타 가동접점(200a,200c)의 탄력부재(411,412,431,4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 각 가동접점(200a,200b,200c) 중 중앙측에 위치되는 가동접 점(200b)이 단시간 통전성능시 전자력에 의한 상간 반발력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측 가동접점(200b)의 두 블레이드(210,220)와 이에 대응되는 고동접점(100b)이 서로 안정적인 통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락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측 가동접점(200b)에 대한 두 블레이드(210,220) 간의 압축력(탄력부재가 제공하는 압축력)을 여타 가동접점에 대한 압축력(탄력부재가 제공하는 압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앙측 가동접점(200b)의 통전 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모든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의 압축력을 강하게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을 이루는 두 블레이드(210,220) 사이로 고정접점(100a,100b,100c)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의 각 부위 중 고정접점(100a,100b,100c)과 접속되는 부위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탄력부재(411,421,431)가 여타 부위에 설치되는 탄력부재(412,422,4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두 블레이드(210,220)의 각 부위 중 고정접점(100a,100b,100c)과 접속되는 부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탄력부재(411,421,431)가 여타 부위에 설치되는 탄력부재(412,422,4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해당 부위가 고정접점(100a,100b,100c)과의 반복적인 접속으로 인한 변형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의 압축력을 조절하여 상기 변형에 대한 보상이 미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가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게 결정함으로써 각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가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를 체결볼트(310)의 머리 부분과 제2관통공(212,222)의 요입단(213,223)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 조절링(500)의 개수(혹은, 두께)를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각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가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의 압축력을 달리하기 위한 구조로써 다수의 상기 간격 조절링(500)이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첨부된 도 1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 가동접점(200b)의 전방측(고정접점과의 접속 부위)에는 2개의 간격 조절링(500)을 제공하고, 후방측에는 1개의 간격 조절링(500)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여타의 가동접점(200a,200c)의 전방측에는 1개의 간격 조절링(500)을 제공하고, 후방측에는 간격 조절링(500)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링(500)은 상기 체결볼트(310)의 머리 부분과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 사이에 설치된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에 의해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이 각 고정접점(100a,100b,100c)에 접속될 경우 각 탄력부재(411,412,421,422,431,432)들은 상대적으로 유동이 심한 부분에서는 더욱 강한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각 가동접점과 각 고정접점 간의 접속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 중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을 형성하는 각 쌍의 블레이드(210,220)는 상호 간의 대향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고정접점(100a,100b,100c)과의 접속이 면접촉에 따른 접속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각 쌍의 블레이드(210,220)가 이루는 상호 간의 대향면은 가공정밀도가 극히 우수하지 않는 이상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실질적으로는 점접촉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오랜 사용으로 인한 두 블레이드(210,220) 간의 대향면에 대한 변형(예컨대, 마모 등)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와 고정접점(100a,100b,100c) 간의 접촉은 점접촉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가동접점(200a,200b,200c)과 고정접점(100a,100b,100c) 간의 접촉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상호 간의 통전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 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와 고정접점(100a,100b,100c)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의 대향면 중 상기 고정접점(100a,100b,100c)과 접속되는 부위에 컨택터(6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컨택터(600)는 상기 고정접점(100a,100b,100c)과의 접촉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탄력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같이 베이스를 이루는 베릴륨 쿠퍼(beryllium copper)(610)와, 상기 베릴륨 쿠퍼(610)의 상면을 따라 상하 압축 가능하게 성형된 실버 플레이트 쿠퍼(silver plate cooper)(620)로 이루어진 멀티 컨택트(multi contact)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블레이드(210,220) 간의 대향면에 상기 고정접점(100a,100b,100c)과의 접속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요홈(214,224)을 형성하고, 상기 컨택터(600)는 상기 실버 플레이트 쿠퍼(62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요홈(214,224) 내에 매립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는, 첨부된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한 컨택터(600)는 상기 고정접점(100a,100b,100c)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4열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접속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컨택터(600)가 1열 내지 3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3000A급 GIS의 단로기에 적용될 경우 원하는 정도의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최소한 4열 이상으로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홈(214,224) 내의 상하단은 그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베릴륨 쿠퍼(610)의 상하측 둘레 부위는 그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컨택터(600)가 상기 요홈(214,224)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 가동접점(200a,200b,200c)이 고정접점(100a,100b,100c)과 접속되는 도중 상기 컨택터(600)와의 마찰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컨택터(600)가 원치 않게 탈거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컨택터(600)가 상기 각 블레이드(210,220)의 제1관통공(211,221) 내주면에도 더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는, 각 가동접점(200a,200b,200c)과 링크(10) 간의 접속 역시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에 의해 각 가동접점(200a,200b,200c)과 고정접점(100a,100b,100c) 간의 접속은 상기 컨택터(600)를 이는 실버 플레이트 쿠퍼(620)에 의한 선접촉을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서로 간의 접속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컨택터(600)의 실버 플레이트 쿠퍼(620)는 자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의 세 가동접점은 상대적 으로 유동이 심하게 발생되는 중앙측 가동접점과 여타의 두 가동접점에 대한 탄력부재의 압축력이 서로 달리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중앙측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탄력부재의 압축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함으로써 유동이 심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의 각 가동접점을 이루는 두 블레이드 사이의 두 탄력부재도 서로 다른 압축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변형이 심한 부위에 대한 접속 정도의 보상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는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에 컨택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각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의 접속이 선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접속성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5)

  1. 세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도록 단로기 몸체의 링크에 결합된 세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있어서,
    상기 세 가동접점은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로기 몸체의 링크와 볼트 체결되는 제1관통공 및 서로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두 블레이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을 결합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부재는 설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세 가동접점 중 중간에 위치된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탄력부재가 여타 가동접점에 설치되는 탄력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각 가동접점의 각 부위 중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부위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여타 부위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의 압축력이 서로 달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상기 탄력부재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 부분과 상기 탄력부재 사이에는 간격 조절링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력부재의 압축력이 서로 달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상기 간격 조절링의 두께를 달리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간격 조절링의 개수를 달리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접점을 구성하는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 중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탄력 설치된 컨택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베이스를 이루는 베릴륨 쿠퍼(beryllium copper)와, 상기 베릴륨 쿠퍼의 상면을 따라 상하 압축 가능하게 성형된 실버 플레이트 쿠퍼(silver plate cooper)로 이루어진 멀티 컨택트(multi contact)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실버 플레이트 쿠퍼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요홈 내에 매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4열을 이루면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각 블레이드의 제1관통공 내주면에도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1. 세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통전시키는 세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에 있어서,
    상기 세 가동접점은 각각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형의 두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각 가동접점을 구성하는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 중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탄력 설치된 컨택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베이스를 이루는 베릴륨 쿠퍼(beryllium copper)와, 상기 베릴륨 쿠퍼의 상면을 따라 상하 압축 가능하게 성형된 실버 플레이트 쿠퍼(silver plate cooper)로 이루어진 멀티 컨택트(multi contact)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블레이드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실버 플레이트 쿠퍼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요홈 내에 매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4열을 이루면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블레이드는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단로기 몸체의 링크와 볼트 체결되는 제1관통공 및 서로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컨택터는 상기 각 블레이드의 제1관통공 내주면에도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KR1020070060839A 2007-06-21 2007-06-21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KR10088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39A KR100883872B1 (ko) 2007-06-21 2007-06-21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39A KR100883872B1 (ko) 2007-06-21 2007-06-21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440A KR20080112440A (ko) 2008-12-26
KR100883872B1 true KR100883872B1 (ko) 2009-02-17

Family

ID=4037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839A KR100883872B1 (ko) 2007-06-21 2007-06-21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9743A (zh) * 2011-02-03 2012-08-08 Abb技术有限公司 用于高压和/或中压设备的配电系统的电气连接布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41B1 (ko) * 2012-12-21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용 나이프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125A (en) 1980-02-16 1983-09-06 Hitachi, Ltd. Gas-insulated disconnecting switch
JP2002334637A (ja) 2001-05-09 200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断路器
KR20040028430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산전 주식회사 나이프 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125A (en) 1980-02-16 1983-09-06 Hitachi, Ltd. Gas-insulated disconnecting switch
JP2002334637A (ja) 2001-05-09 200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断路器
KR20040028430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산전 주식회사 나이프 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9743A (zh) * 2011-02-03 2012-08-08 Abb技术有限公司 用于高压和/或中压设备的配电系统的电气连接布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440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769B2 (en) Vacuum circuit breaker
US9269513B2 (en) Contactor arrangement for use in dielectric liquid
CA2887079C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contact retention assembly therefor
US20150155119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witch
KR100883872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US10854414B2 (en) High voltage electrical disconnect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US11469056B2 (en) Gripping group of caliper-like elements for gripping moveable contacts
US10141125B2 (en) Contact for bus plug switches
US6884952B2 (en) Contact finger for a high-power switchgear
US4379956A (en) Break-jaw construction for a disconnecting switch structure
US11264183B2 (en) Spring loaded auxiliary contact system for bus transfer switching in a center break switch
CN109643617B (zh) 用于高压开关设备的接触臂装置及其应用
US6271493B1 (en) High voltage disconnector with fixed and locking members secure under Lorentz forces
US5072082A (en) Electromagnetically locked contact blade
EP3776619B1 (en) Flexible conductor for disconnector and the disconnector thereof
US9741512B2 (en) Switchgear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ssembly and maintaining method therefor
KR20190110840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20160247638A1 (en) Electrical contacts with a reduced aluminum section
JP2019067547A (ja) 断路器
KR20130102317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콘택 장치
AU2016259341A1 (en) Electric power switch
AU2015203408A1 (en) Electric power switch
KR20090066044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통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