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74B1 -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 Google Patents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3174B1 KR100883174B1 KR1020070109573A KR20070109573A KR100883174B1 KR 100883174 B1 KR100883174 B1 KR 100883174B1 KR 1020070109573 A KR1020070109573 A KR 1020070109573A KR 20070109573 A KR20070109573 A KR 20070109573A KR 100883174 B1 KR100883174 B1 KR 100883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unit
- image
- input pad
- digita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에 힘을 가한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이동 또는 주밍(zooming)을 제어함으로써 단말기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한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 혹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대변되는 핸드헬드(handheld)기반의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꾸준한 기술 개발로 인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네비게이션 등의 복합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거듭나고 있다.As is well known, handheld-based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s'), which are represented by mobile phones or portable multimedia players, have not only been miniaturized and lightened due to steady technology development, but also mp3, camera, and DMB. It is being reborn as having a combination of functions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navigation.
또한, 이러한 단말기의 마케팅 성패는 타사의 제품과 동일 내지 우월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얼마나 얇고 컴팩트하게 기기를 만들 수 있느냐 혹은, 디자인 면에서 소비자에게 얼마나 어필 할 수 있느냐 하는 점에서 좌우가 될 것이다. 그렇지 만, 이러한 점들이 아무리 우수하여도 단말기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불편하다면 그 사업 비전은 불투명할 것이다. 따라서, 마케팅 성패에 있어 무엇보다 단말기 조작의 편의성은 쉽게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In addition, the marketing success of such a terminal will depend on how thin and compact the device can be made while having the same or superior function as that of other companies' products, or how appealing to consumers in terms of design. However, even if these points are excellent, the business vision will be opaque if the user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various functions mounted on the terminal.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the terminal operation can not easily be overlooked in the marketing success.
그러나, 종래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보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동하거나 주밍하고자 할 때, 빈번한 키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테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다른 부위를 보고자 하려면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키를 수차례 조작하여야 하고 여기서, 표시된 해당 부위를 확대 혹은 축소하고자 한다면 이 또한, 그에 상응하는 키를 수차례 조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한 것보다는 간편해질 수 있지만 조작 횟수의 빈번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requests frequent key manipulation when moving or zooming the displayed image.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view another part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the user needs to manipulate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several times. If the user wants to enlarge or reduce the displayed part, the user can also press the corresponding key several times. You have to manipulate it. Of course, in the case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may be simpler than the above, the frequency of the number of operations is not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에 힘을 가한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동하거나 주밍하도록 한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pressure sensor input for allowing the user to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input pad, and to move or zoom the displayed image according to the measured pressure lev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pa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고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감지부, 상기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에서 커패시턴스가 변화된 센싱포인트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센싱포인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 의거하여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와 상기 압력산출부에서 계산된 압력에 의거하여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이동이나 주밍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서 위치 변화의 방향을 확인하는 (a) 단계; 상기 압력산출부에 의해 계산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a) 단계에서 확인한 위치 변화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이동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b) 단계 및 상기 압력산출부에 의해 계산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 우에는 상기 (a) 단계에서 확인한 위치 변화의 방향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주밍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capacitance change amount in a pressure sensor input pad and outputting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and a sensing point of which the capacitance is changed in the pressure sensor input pad.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and outputting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point, a pressur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pressure based on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a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a display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movement or zooming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ressure calculated by the pressure calculation unit. Digital input from position sensing unit (A) identifying a direction of the positional change in the call; (B)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move the image displayed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change identified in step (a) when the pressure calculated by the pressure calculation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by the pressure calculation unit. (C)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zoom the displayed imag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change identified in the step (a) if the calculated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provides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provided.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은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서 위치 변화의 속도를 측정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는 상기 (d)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 변화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영상의 주밍 속도는 상기 (d)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 변화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aving the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further comprises the step (d) of measuring the speed of the position change in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the ( The moving speed of the image in step b) is determined by the speed of the position change measured in step (d), and the zooming speed of the image in step (c) is the position measured in step (d). Preferably determined by the rate of change.
또한, 상기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은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서 위치 변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는 상기 (e)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 변화의 이동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영상의 주밍 속도는 상기 (e) 단계에서 측정된 위치 변화의 이동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aving the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further comprises the step (e) of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osition change in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b) The moving speed of the image in the step is determine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position change measured in the step (e), and the zooming speed of the image in the step (c) is the position change measured in the step (e) It is preferably determined by the moving distance of.
본 발명의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이나 혹은 손이 아닌 다른 부도체 도구로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에 가하는 힘을 조절하면서 움직이는 것만으로, 별도의 빈번한 키 조작 없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이동시키거나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oves only by adjus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with a non-conductor tool other than his or her finger or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ve, enlarge or reduce the image in the desired direction without frequent key opera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의 일 예를 보인 분리사시도와 단면도이다.1 and 2 are respectively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that can be provided in a terminal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이하, 간단히 입력패드라 한다)(100)는 기판(110), 제 1 극판(120), 탄성층(130), 제 2 극판(140), 보호층(150) 및 표시시트(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input pad) 100 may include a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기판(110)은 전극부들(120, 140)을 격자 형상으로 프린팅 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PCB 및 FPCB)과 같은 통상의 기판으로서,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제 1 극판(120)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두 전극부 중에 하나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형상의 얇은 동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극판(120)은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행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기판(110)에 인쇄된다.The
제 1 극판들(120) 위에는 탄성층(130)이 일정한 두께(d: 거리)로 피복된다. 또한, 탄성층(130)은 두 극판(120, 140) 사이에 존재하여 일종의 유전체로 작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층(130)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PVC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등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 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를 사용할 수 있다.The
제 2 극판(140)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두 전극부 중에 다른 하나로서, 제 1 극판(120)과 같이 스트립 형상의 동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극판(140)은 탄성층(130) 위에 제 1 극판(120)과 같은 방식으로 인쇄되지만, 제 1 극판(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일정 간격의 열로 인쇄된다.The
이와 같이, 제 1 극판(120)과 제 2 극판(140)은 탄성층(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인쇄되는바, 이에 제 2 극판(140)은 탄성층(1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제 1 극판(120)과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로 배치된다. 따라서, 양 극판(120, 140) 간의 교차점은 입력패드(100)에서의 압력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켜는 센싱포인트로 작용하는 것이다.As such, the
즉,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패드(100)의 특정 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센싱포인트에서는 탄성층(130)이 수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 1 극판(120)과 제 2 극판(1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거리(d)의 변화에 따라 해당 센싱포인트에서는 C=μA/d의 공식(여기에서 C는 정전용량, μ는 유전율, A는 면적, d는 전극부 사이의 거리이다)에 해당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층(130)과 제 2 극판(140)은 탄성층(130)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보호층(150)은 제 2 극판(14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 스테르(polyester)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50)은 제 2 극판(140)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라면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면 된다.The
표시시트(160)는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문자나 숫자(161) 등이 상기한 센싱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되어 있는 시트가 된다.The
이상에서, 상기 입력패드(100)를 설명하면서 보호층(150)과 표시시트(160)를 기능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보호층(150)과 표시시트(160) 중 하나를 생략하여 나머지가 생략된 것의 기능도 함께 실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의 다른 예를 보인 분리사시도와 단면도이다.3 and 4 are respectively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that can be provided in a terminal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패드(200)는 기판(210), 제 1 극판(220), 탄성층(230), 제 2 극판(240), 보호층(250) 및 표시시트(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기판(210), 탄성층(230), 보호층(250) 및 표시시트(260)는 상기한 입력패드(10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사항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전술한 구성에서, 제1 극판(220)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두 전극부 중에 하나로서, 도 1과 같은 스트립 형상이 아니라 다수개의 원형 동판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제 2 극판(240)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두 전극부 중에 다른 하나로서, 탄성층(230) 위에 형성되지만, 제1 극판(220)과는 달리 제 1 극판(220)의 전체를 커버하는 단일의 동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극판(240) 에서 그 아래에 형성된 제 1 극판(220)의 위치에 해당되는 지점은 입력패드(200)에서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켜는 센싱포인트로 작용하는 것이다.The
즉, 입력패드(200)의 특정위치가 가압되면, 가압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센싱포인트에서는 탄성층(230)이 수축되고, 이에 의해 제1 극판(220)과 제2 극판(2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거리(d) 변화에 해당되는 센싱포인트에서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층(230)과 제 2 극판(240)은 탄성층(230)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at is, when a specific posi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구성도이다.5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이하, 간단히 '단말기'라 한다)(300)는 위 두 실시예로 설명한 형태의 입력패드(310), 입력패드(310)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변화량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감지부(320), 입력패드(310)에서 정전용량이 변화된 센싱포인트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위치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감지부(330), 압력감지부(32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부분의 압력값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부(340) 및 위치감지부(3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와 압력산출부(340)에서 계산된 압력에 의거하여 표시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이동이나 주밍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erminal”) 300 is an
또한, 단말기(300)에는 입력패드(310)의 두 극판에 교류(정현파)를 전송하여 센싱포인트에서 정전용량의 충전/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정현파 발생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패드(310)를 가압하게 되면 해당 센싱포인트에서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a sinusoidal wave generato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 alternating current (sine wave) to the two pole plates of the
또한, 단말기(300)는 핸드헬드기반의 전자장치는 물론, 노트북이나 데스크탑과 같은 퍼스널컴퓨터(PC)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300 should be interpreted more broadly as a concept including a handheld-based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 personal computer (PC) such as a notebook or a desktop.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말기(300)는 내부 클럭 발생에 맞춰 주기적으로, 위치감지부(330)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된 센싱포인트의 위치를 감지하고(단계 S11), 압력감지부(320) 및 압력산출부(330)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된 위치에서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단계 S13).First, the terminal 300 periodically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point whose capacitance is changed by the
한편, 단계 S15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이하, 간단히 '제어부'라 한다)(350)는 위치감지부(3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서 위치값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그 결과 위치값이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단계 S17로 진행하여 위치변화의 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Meanwhile, in step S15, the display control uni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ntrol unit”) 35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value in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다음으로, 단계 S19에서 제어부(350)는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감지부(3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에서 위치값에 변화에 따른 단계 S17 및 단계 S19의 수행은 설명의 편의상, 순 차적인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제어부(350)에 의해 동시에 그리고, 내부 클럭 발생에 맞춰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Next, in step S19, the
단계 S19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압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21로 진행하여 측정된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을 측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부(360)를 제어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9, when the measured press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즉,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조작하듯이 입력패드(310)를 가압하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162)으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기(300)는 이를 인식하되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정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 한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움직이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moves his finger in the
한편, 단계 S19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압력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위치변화가 이동하는 방향이 좌측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 결과, 좌측 방향인 경우에는 측정된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을 확대하도록 표시부(360)를 제어하게 된다(단계 S25). 반면, 위치변화가 이동하는 방향이 우측인 경우에는 측정된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을 축소하도록 표시부(360)를 제어하게 된다(단계 S27).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9, when the measured pressure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low advances to step S23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moves is left. As a result, in the left direction, the
즉, 사용자가 입력패드(310)를 가압하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소정의 방향으로 살짝 움직이게 되면, 단말기(300)는 이를 인식하되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정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 한해서 위치변화의 방향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이다. 아울러, 화면의 주밍을 위한 방향 설정은 좌측을 영상확대, 우측을 영상축소로 한 위의 예시에 국한되지는 않으 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다음으로, 단계 S29에서 제어부(350)는 주밍 작업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테면, 제어부(350)는 측정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복귀하게 된다.Next, in step S29, the
반면, 단계 S29에서의 판단결과 측정되는 압력이 기준치 이하이거나 위치감지부(33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센싱포인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주밍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주밍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손가락을 입력패드(310)에서 떼거나 입력패드(310)로 가하는 압력을 줄이게 되면 단말기(300)는 이를 인식하여 주밍 작업을 종료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9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re is no sensing point at which the capacitance changes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본 발명의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aving the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의 일 예를 보인 분리사시도와 단면도이고,1 and 2 are respectively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that can be provided in a terminal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의 다른 예를 보인 분리사시도와 단면도이며,3 and 4 are respectively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that can be provided in a terminal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구성도이며,5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200: 압력센서식 입력패드100, 200: pressure sensor input pad
300: 단말기 310: 압력센서식 입력패드300: terminal 310: pressure sensor type input pad
320: 압력감지부 330: 위치감지부320: pressure detection unit 330: position detection unit
340: 압력산출부 350: 디스플레이 제어부340: pressure calculation unit 350: display control unit
360: 표시부360: display uni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573A KR100883174B1 (en) | 2007-10-30 | 2007-10-30 |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573A KR100883174B1 (en) | 2007-10-30 | 2007-10-30 |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3174B1 true KR100883174B1 (en) | 2009-02-10 |
Family
ID=4068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9573A KR100883174B1 (en) | 2007-10-30 | 2007-10-30 |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31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0907A (en) * | 2017-02-17 | 2017-06-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shell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with butt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1129A (en) * | 2002-09-02 | 2004-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 apparatus for key signal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KR20050054274A (en) * | 2003-12-04 | 2005-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70030062A (en) * | 2005-09-12 | 2007-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
-
2007
- 2007-10-30 KR KR1020070109573A patent/KR1008831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1129A (en) * | 2002-09-02 | 2004-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 apparatus for key signal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KR20050054274A (en) * | 2003-12-04 | 2005-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70030062A (en) * | 2005-09-12 | 2007-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0907A (en) * | 2017-02-17 | 2017-06-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shell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with butt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5002B2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cellular phone | |
US9292091B1 (en) | Feedback mechanism for user detection of reference location on a sensing device | |
CN101641667B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telephone | |
US20140253454A1 (en) | Keyboard with integrated touch sensing | |
JP2008257374A (en) |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cellphone | |
WO2013154850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pressure sensitive device interface | |
CN103052929A (en)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using proximity sensor | |
US20120105325A1 (en) | Capacitive finger navigation input device | |
CN105867810A (en) | Menu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 |
US20170235404A1 (en) | Feedback mechanism for user detection of reference location on a sensing device | |
CN105843543A (en) | Func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CN105867732A (en) |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 mode switching | |
KR20110138743A (en) | Mobile device having back and side touch pad | |
US20100206643A1 (en) | Input Device | |
WO201901715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CN101943962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key | |
US20050134576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control input module | |
US8643620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883174B1 (en) | Display control method of terminal having capacitive sensor | |
JP4917513B2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electrostatic pad | |
CN105843507A (en) | Webpage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 |
CN105893125A (en) |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 |
US20110043476A1 (en) | Scrollbar and Touchpad with Tactile and/or Audible Feedback | |
CN105892926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user terminal key and user terminal | |
JP2009157709A (en) | Poi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