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953B1 -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953B1
KR100882953B1 KR1020070050721A KR20070050721A KR100882953B1 KR 100882953 B1 KR100882953 B1 KR 100882953B1 KR 1020070050721 A KR1020070050721 A KR 1020070050721A KR 20070050721 A KR20070050721 A KR 20070050721A KR 100882953 B1 KR100882953 B1 KR 10088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floor
flooring material
adhesiv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영 filed Critical 이계영
Priority to KR102007005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953B1/en
Priority to PCT/KR2008/002938 priority patent/WO2008147088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non-flexible floor material. A floor material includes a base material(100a,100b) made of a rigid material with low bendability and high fragility, containing a magnesium board and inorganic material, and a functional board(150), including printed sheet, veneer, and timber series material, or a flexible board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e base material has cut parts in order to be bent along the stylobate surface for close contact.

Description

바닥재 시공 방법{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Flooring construction method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도1은 종래의 바닥재의 시공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비유연성 바닥재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 using a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바닥재들의 상면 사이에 테이프가 접착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while the adhesive is cured in a state where the tape is adhered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looring materials.

도4는 도3과 같이 시공한 것이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is completely cured, as shown in FIG. 3.

도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사용이 가능한 바닥재로서 2종 이상의 재료를 접착하여 사용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materials are adhered and used as a floor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s another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도6이 기능성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plate of FIG. 6. FIG.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간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struction is made between floor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as another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강성체 바닥재에 홈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ove formed in the rigid floor material.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로서 강성체가 조각난 상태로 기능성 판재 또는 유연성 바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gid body is attached to a functional plate or flexible flooring in a fragmented state as a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 구분된 강성체와 기능성 판재 등이 접착된 바닥재가 구부러진 기단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ing is bonded to the base material is bonded to the rigid body divided into pieces and function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nt.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강성체 부분의 절개 공간으로 접착제가 스며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dhesive penetrates into the cutting space of the rigid body portion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바닥재 시공 방법 및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되는 바닥재들의 상부 표면들 사이에 단차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와 같은 시공 방법에 바람직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that can be installed so as not to be stepped or gaps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looring to be constructed, and a flooring preferred for such a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여러 개의 바닥재를 결합하거나 접착하여 시공하게된다. 이러한 바닥재는 먼저 비유연성의 재질로서 천연목재와, 천연목재보다 높은 경도와 탄성이 강한 합판, MDF, HDF,마그네슘보드, 섬유질 경량 시멘트, 및 무기질재 보드 등이 있다. 그리고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탄성이 작은 것으로 인조수지 종류로 대부분 PVC 종류이며 데코 타일, 딜럭스 타일, 우드 타일, 장판 등이 있다. In general, the flooring is constructed by combining or bonding a plurality of flooring. Such flooring materials include, firstly, non-flexible materials such as natural wood, plywood, MDF, HDF, magnesium board, fibrous lightweight cement, and inorganic board, which have higher hardness and elasticity than natural wood. In addition, the flexible flooring material has a small elasticity, most of which is PVC, and there are deco tiles, deluxe tiles, wood tiles, and floor coverings.

건축물의 바닥에 깔거나 붙여서 사용하는 바닥 마감재는 유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종류와 비유연성재질로 만들어진 것, 그리고 소성 및 천연재로 만들어진 것으로 분류된다. Floor finishes us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are classified into types made of flexible materials, those made of non-flexible materials, and made of plastic and natural materials.

유연성 재질의 특징으로는 재질이 인조수지(PVC 류) 종류이며, 두루마리 필름 형태나 얇은 판형으로 만들고 한 면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거나 종이 무늬목등을 접착하여 바닥에 깔거나 직접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인조수지(대부분PVC종류)로 자체 강도가 약하여 수명이 짧고 온도 등에 수축 팽창이 많고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화재 발생시 인화성 물질로 불에 잘 타며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장점으로는 표면 인쇄가 아주 용이하고 재질이 인조수지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아주 좋아 굴곡진 바닥에도 측면의 다른 바닥재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쉽게 붙여서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은 매우 용이한 것으로서 상업적 측면에서 아주 큰 장점에 해당한다.The flexible material is made of artificial resin (PVC), which can be rolled into a film or a thin plate, and printed on various patterns on one side, or a piece of paper veneer. Are made in the form of The flooring of this flexible material is artificial resin (mostly PVC type) and has the disadvantages of low strength, short life span, high shrinkage expansion and temperature,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burning of flammable materials in case of fire and toxic gas release. The advantage is that the surface printing is very easy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rtificial resin, so it is easy to mass-produce and very flexible, so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curved floor without any step with other floor materials on the side. Such construction is very easy and corresponds to a great advantage in the commercial aspect.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로는 목재 재질의 마루 형태의 바닥재가 대표적이며 합판의 한 면에 인쇄지 또는 무늬목 등을 붙이고 표면을 UV 코팅한 후 측면에 상대되는 바닥재와 끼워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시공할 때는 옆에 대응되는 바닥재의 상판과 단차가 생기지 않고 정밀하게 맞도록 홈과 돌기를 끼워 맞춘다. 또한 재료에 따라 기단의 바닥에 접착제를 발라서 부착하는 시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합판마루의 단점은 주재료가 목재로서 화재 발생시 인화성 물질이며 습기에 약하여 수축팽창이 있어 짜 맞춤 틈이 벌어지며 표면이 약하여 수명이 짧고 측면에 짜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목재의 최소 두깨가 8 mm 이상으로 바닥 난방 면에 시공했을 때 열전도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강화 마루는 목재를 가루로 만든 목분을 고압으로 압축 한 판의 상면에 인쇄지 및 멜라민을 적층 고온 고압으로 함침 한 후, 측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시킨 것(유니클릭)으로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환경 문제로 나무를 베기 어렵고 합판의 가격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나무의 자투리까지 모두 목분으로 만들어 효율적으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합판 마루보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물과 습기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물이 묻게 되면 부피가 늘어나며 파손되며 습기에 노출되면 전체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는데 늘어나는 길이가 같은 조건의 합판재질보다 몇 배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강화 마루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에 붙일 수 없고 또한 벽에서도 늘어나는 길이를 감안하여 10 mm - 20 mm 정도 떼어 놓아야한다. 이렇게 바닥과 떨어져 있는 관계로 시공 후 보행 시 발걸음 소리가 퉁퉁거리며 심하게 나는 단점이 있다.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s are typically wooden floors, which have printing paper or veneer on one side of plywood, UV coated on the surface, and have grooves and protrusions to fit with the flooring material on the side. In construction,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are fitted so that the top plate of the floor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side does not generate a step, and is precisely fitt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 construction method is appli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ottom of the base. The disadvantage of plywood flooring as a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 is that the main material is wood, which is a flammable material in case of a fire. When the minimum thickness of wood is more than 8 mm when installed on the floor heating surface, the thermal conductivity is greatly reduced. As another non-flexible flooring, reinforcement floors are formed by impregnating printing paper and melamine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a plate made of wood powder powder at high pressure, and then forming grooves and protrusions on the side for mechanical bonding ( Uni-click) is relatively easy to construct. In addition,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difficult to cut wood, and the price of plywood is increased, and all the parts of the wood are made of wood powder, which can be made at a much lower price than plywood flooring by using materials efficiently.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very weak against water and moisture. When water is applied, the volume increases and breaks, and when exposed to moisture, the overall length increases, which is several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same laminated material. For this reason, the reinforced floor cannot be glued to the floor with adhesive and should be removed from the wall by 10 mm-20 mm, taking into account its elongated length. Since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floor, when walking after construction, the sound of footsteps is bumpy and bad.

이상의 설명에 있어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모두 바닥의 기단에 홈이나 돌기 없이 직접 접착제로 붙여서 시공하는 방식의 바닥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비유연성 바닥재는 자체 탄성력이 있어 바닥 기단에 접착제만으로 시공이 어려워 측면에 모두 홈과 돌기가 있어서 끼워 맞추는 방식을 이용하는 바닥재를 의미한다. 이는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굴곡이 있는 기단이라도 약간의 접착력으로 유연하게 휘어져 바닥에 밀착하여 붙게 되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기단이 약간만 굴곡져도 바닥재 상면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ll of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flexible material means a flooring material which is applied by directly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base of the floor without grooves or protrusions. In addition, the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 has its own elasticity, so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only the adhesive on the floor base, and thus means a flooring material using a method of fitting with grooves and protrusions on both sides. This is because the flexible flooring material is flexibly bent with a slight adhesive force and adheres to the floor even if the base material is curved, but the step material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base material is slightly bent. Because it can not be used.

따라서 탄성이 강한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상면을 단차 없이 정밀하게 맞추기 위하여, CNC와 같은 정밀 가공기계로 정밀하게 측면에 홈과 돌기를 가공하여야만 한다. 또한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100 kg 이상의 사람이 발로 밟았을 때 견디기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 되어야 하는데 합판 마루는 8 mm 이상 강화 마루는 7 mm 정도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한계 상황의 두께로 인하여 비유연성 재질의 나무 재질이 바닥재를 난방하는 장소의 바닥에 시공하였을 때, 열전도율이 떨어져 방안의 난방이 잘 되지 않아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 단차가 0.2 mm 이상 되면 사람의 피부가 접촉되어 다칠 수 있어 못쓰게 되므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CNC 장비로 홈과 돌기를 만들고 많은 공정을 거쳐야한다. Therefore, in order to fit the upper surface of the non-flexible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without any step,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must be precisely processed on the side by a precision processing machine such as CNC. In addition,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should be more than a certain thickness in order to withstand when more than 100 kg of people stepping on the foot, plywood floor is 8 mm or more, reinforcement floor is used more than 7 mm. Due to the thickness of this limit situation, when the non-flexible wood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floor heating area,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the heating of the room is not goo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energy is consumed. In addition, if the step is more than 0.2 mm, the human skin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und and hurt, so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many processes to make grooves and protrusions with expensive CNC equipment.

도1은 종래의 바닥재의 시공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a는 유연성 바닥재의 시공 단면도이고, 도1b는 합판 마루의 시공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1c는 강화 마루의 시공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flexible flooring,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laminate flooring, and Figure 1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floor.

도1a에서, 바닥재(10a)는 유연하게 휨이 잘 발생하여 굴곡진 기단의 형상에 따라 잘 휘어져 바닥 기단(20)에 그대로 접착제(30)를 이용하여 접착시공하는 것이다. 도1b에서, 바닥재(10b)는 합판 마루로서 유연성이 약하고 대신 탄성이 강하여 접착제로서 바닥재(10b) 간에 단차를 맞추기 어려워 돌기(12)와 홈(11)을 이용하여 단차를 맞추고 접착제(30)를 이용하여 기단(20) 위에 시공한다. 도1c에서, 바닥재(10c)는 강화 마루로서 유연성이 약하고 대신 탄성이 강하여 접착제로서 바닥재(10c) 간에 단차를 맞추기 어려워 돌기(12)와 홈(11)을 이용하여 단차를 맞추어 접착제 없이 기단(20) 위에 시공한다.In FIG. 1A, the flooring material 10a is flexibly generated well and flexes wel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rved base end, and is then bonded to the bottom base end 20 using the adhesive 30 as it is. In FIG. 1B, the flooring material 10b is weakly flexible as plywood flooring and has a strong elasticity, thus making it difficult to match the step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10b as an adhesive, so that the stepping is made using the protrusions 12 and the grooves 11 and the adhesive 30 is adjusted. It is constructed on the base 20 by using. In Fig. 1c, the flooring material 10c has a weak flexibility as a reinforcement floor and a strong elasticity,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step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10c as an adhesive, so that the step 12 and the groove 11 are used to fit the stepping step without the adhesive base 20. Install on

하게 휨이 잘 발생하여 굴곡진 기단의 형상에 따라 잘 휘어져 바닥 기단(20)에 그대로 접착제(30)를 이용하여 접착시공하는 것이다.The warpage is well generated and bent wel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rved base end, which is then bonded to the bottom base end 20 using the adhesive 30 as it i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CNC로 정밀하게 가공된 홈과 돌기가 없이 상판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뛰어난 기술자가 건축물의 시멘트 바닥 기단을 만들어도 완전한 평탄면을 만들기 어려워 굴곡은 모두 존재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아무리 잘 만든 마루용 바닥재도 상용적으로 쓰이는 크기(60 ×300 ~ 400 × 1200 mm)로 재단해서 자유상태로 바닥에 놓았을 때, 1 mm - 10 mm 정도의 휘어짐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바닥재가 1 mm - 10 mm 휘어지거나 틀어지면 측면의 바닥재와의 단차가 1 mm - 10 mm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의 단차가 0.2-0.5 mm 이상 생기게 되면 사람의 피부가 접촉되어 스치게 되면 상처를 입게 되기 때문에 바닥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지금까지 홈과 돌기가 없는 비유연성 바닥재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top plate without the grooves and protrusions precisely machined by the CNC so as not to occur. However, even if a skilled engineer makes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s cement floor, it is difficult to make a perfect flat surface, so all the curves exist. In addition, no matter how well-made flooring flooring is cut to the commonly used size (60 × 300 ~ 400 × 1200 mm) and placed on the floor in the free state, the bending of about 1 mm-10 mm is bound to occur. If the flooring material is bent or twisted 1 mm-10 mm, a step with the side flooring material will occur 1 mm-10 mm. However, if the step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is 0.2-0.5 mm or more, the human skin is touched and rubbed, so that it can not be used as a flooring material. So far, it has not been possible to make inflexible flooring without grooves and bump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홈과 돌기 없이 단차 및 틈이 벌어지지 않는 새로운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that does not open step and gap without grooves and protrusio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공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시공방법은, 2개 이상의 바닥재를 기단 위에 시공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단과 상기 바닥재들의 하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며, 상호 인접하는 바닥재들의 표면과 측면이 일치하도록 테이프를 인접하는 바닥재의 양 표면 상부에 접착 고정한 후, 상기 접착제가 경화 또는 굳은 후 상기 테이프를 제거하여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 단차가 생기거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wo or more flooring material on the base end, the base materia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by using an adhesive, adjacent to each other After fixing the tape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of the adjacent flooring material so that the surface and the sides of the flooring material coincide, the tape is removed after the adhesive is cured or hardened so that a step or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will be.

굴곡진 시멘트 기단 위에 비유연성 마루재를 올려놓고 힘으로 눌러 붙이면 마루재는 일시적으로 바닥에 붙어 있게 되나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마루재의 탄성을 접착제가 이기지 못하면 떨어지면서,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접착제의 접착력이 충분히 강하면 안 떨어질 수 있으나 마루 부착용 접착제는 실리콘 또는 가교에 의한 경화형 접착제로 경화되기 전에는 겔 형의 액상으로 접착력이 매우 약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람이 일일이 경화 될 때까지 누르고 있을 수도 없으며, 또한 핀 등을 박아서 고정할 수 있으나 표면 손상이 가고 일일이 작업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바닥에 조각 조각 엄청나게 많은 마루재를 일일이 이음새마다 무거운 쇠덩이를 올려 놓아 작업하기도 곤란하다.When the non-flexible floor is placed on the curved cement base and pressed with force, the floor temporarily stays on the floor, but if the pressure is lost, the elasticity of the floor falls if the adhesive does not win, causing a step. Of cour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may not fall if it is strong enough, but the adhesive for floor attachment is generally a weak adhesive strength in a gel-like liquid before curing with a curable adhesive by silicone or crosslinking. In addition, it can not be pressed until a person hardens one by one, it can also be fixed by pins, etc., but the surface damage and difficult to work individually. And it's hard to work with a huge piece of iron on each floor with a lot of pieces of flooring.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은 마루 바닥재간의 접촉 부분에서 부분 단차가 발생하는 곳에 접착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눌러 붙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접착용 테이프를 접촉되는 마루 바닥재들의 상면에 부착하여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하여 바닥재들이 고정하게 되어 단차 없이 정밀하게 맞추어 진다.As a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 the adhesive tape where the partial step occurs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looring floor. In this way,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looring materials that are in contact, and the flooring materials are fix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tape, so that the flooring materials are precisely adjusted without a step.

또한 유연성 바닥재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도 접착제의 과다 또는 과소 사용으로 인한 부분적인 단차를 제거하거나 틈이 발행하는 것도 위와 같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테이프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 방법은 유연성 바닥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flexible flooring to remove the partial step due to the over or under use of the adhesive or the gap is issued can be more precise construction using the tape as described abov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ape described below can be effectively used in flexible floo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비유연성 바닥재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2a는 테이프로 바닥재 상면에 부착하기 전의 단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바닥재 상면에 테이프로서 단차를 없앤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a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 using a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attaching the tape to the top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Figure 2b is a tape remov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material of Figure 2a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도2a에서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는 기단(400) 위에 접착제(300)로 접착한 상태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400)의 면이 고르지 못한 상태로서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는 바닥재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단차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도2b와 같이 테이프(200)를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의 접하는 상면에 단차 및 틈이 없도록 부착한다. 그리하여 바닥재 아래의 접착제(300)는 테이프(2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양 가장자리로 밀려나면서 평탄하게 되어 단차 및 틈이 없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접착제(300)가 경화되어 바닥재의 시공이 완료된다.In FIG. 2A, the left bottom ash 100a and the right bottom ash 100b are bonded to the base end 400 with the adhesive 300. At this time, as the surface of the base end 400 is uneven, the left flooring material 100a and the right flooring material 100b are stepped by the elasticity of the flooring material itself.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B, the tape 20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bottom member 100a and the right bottom member 100b so that there is no step or gap. Thus, the adhesive 300 under the flooring material is flattened by being pushed to both edges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ape 200 to maintain the step and gaps. Then, the adhesive 300 is cur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도3은 바닥재들의 상면 사이에 테이프가 접착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3에서 테이프(200)를 붙이기 위해 먼저 사람이 인접한 바닥재(100a,100b)의 상면들을 1 차 힘(F)으로 누를 때, 바닥재(100a,100b)의 아랫면이 겔 상태의 접착제(200)를 다시 누르고 그 힘은 결국 시멘트 기단(400)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테이프(200)의 접착면이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하여 붙게 된다. 1차적으로 테이프를 누르는 힘(F)이 없어지면, 바닥재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양쪽 바닥재(100a,100b)는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게 되는데, 이때 기단(400) 바닥의 편평도가 다르면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의 복원되는 위치가 달라져 단차를 발생시키는 힘이 생기게 된다. 이때 양쪽 바닥재의 상면에 붙어 있는 테이프(200)가 양쪽의 바닥재(100a,100b)를 접착력으로 고정시키고 있어 단차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 바닥재(100a)와 우측 바닥재(100b)를 밀착시키게 되면 접촉되는 양 측면사이에서 마찰력이 생기게 되고, 단차가 발생할 때 마찰력이 생기게 되어 복원력을 억제하게 되어,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해도 효과적으로 단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바닥재가 단차 없이 밀착하여 복원된 후, 시멘트 기단(400)과 바닥재 아래에 겔 상태로 존재하는 접착제(300)는 시멘트 기단과 바닥재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면 기포와 함께 기둥(131), 벽, 기타의 형태로 늘어나며 경화되고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는 상면 이음새에 붙였던 테이프(200)를 제거해도 접착력에 의하여 바닥재를 받쳐주고 단차가 생기거나 틀어지고 틈이 벌어지는 변형들을 막아주게 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while the adhesive is cured in a state where the tape is adhered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looring materials. In FIG. 3, when a person first presses the upper surfaces of the adjacent flooring materials 100a and 100b with the primary force F to attach the tape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s 100a and 100b receives the gel adhesive 200. Press again and the force will eventually affect the cement base 400. At this time, the adhesive surface of the tape 200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bottom member 100a and the right bottom member 100b. When the first pressing force (F) of the tape disappears, both flooring material (100a, 100b) i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ity of the flooring material, if the flatness of the bottom of the base (400) is different, the left flooring material (100a) And the restored position of the right flooring material (100b) is changed is the force that generates the step. At this time, the tape 20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flooring material is to fix the flooring material (100a, 100b) of both sides by the adhesive forc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steps. In addition, when the left flooring material 100a and the right flooring material 100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both sid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a step occurs,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thereby restoring the restoring force. Can be reduced. After the flooring material is restored without close contact with the step, the cement base 400 and the adhesive 300 existing in the gel state under the flooring material have a space between the cement base and the flooring material with the air bubbles 131, the wall, After being stretched and cured in other forms and the adhesive is cured, even if the tape 200 attached to the upper seam is removed, the flooring is supported by the adhesive force and the deformation is prevented from forming or stepping and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비유연성 바닥재는 그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고 유연하게 만들 경우, 바닥재 탄성에 의한 복원력 이 줄어들게 되어 단차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Non-flexibl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o increase the flexibility by making the thickness as thin as possible. When made thin and flexible,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floor material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the step difference.

도4는 도3과 같이 시공한 것이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에서 바닥재(100a,100b)들은 기단(400)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것으로서,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어 기단(400)의 굴곡에 따라 상기 바닥재(100a,100b)들이 완전히 부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200)를 제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is completely cured, as shown in FIG. 3. In FIG. 4, the flooring materials 100a and 100b are attached to the base end 400 by an adhesive, and the flooring materials 100a and 100b are completely attached as the adhesive is completely cured and the base end 400 is bent. Removing the tape 200 in this state is to complete the floo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과 도4는 설명을 위하여 각 구성품의 축척이나 굴곡 등이 실제보다 더 외곡되어 설명된 것으로 실제로는 기단이 도시된 것보다 적을 것이며 접착제(300)의 두께도 얇을 수 있다.3 and 4 illustrate that the scale or the bending of each component is more curved than the actual one, and the base is less than that shown,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300 may also be thin.

측면에 홈과 돌기가 없이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바닥재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looring material which can us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grooves and protrusions on the sid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로서 기존의 나무 재질 계열의 바닥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시공 방법은 돌기와 홈이 없이 바닥재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나무재질의 바닥재의 두께를 보다 얇게 약 3mm 내외 정도로 하여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무재질의 바닥재는 두께가 얇을수록 탄성이 약해지면서 구부러지기 쉬워 오히려 본 시공 방법에 더 적합해진다. 그리하여 나무 재료 자체의 비용도 절감되고 자연 훼손도 감소시킬 수 있다.As a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the existing wood flooring as it is, it is preferable to use a thinner thickness. Since this construction method can be installed flooring without protrusions and grooves can be installed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existing wood flooring thinner about 3mm thinner. In addition, as the thickness of the wood floor is thinner, the elasticity becomes weaker and easier to bend, but it is more suitable for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us, the cost of the wood material itself can be reduced and natural damage can be reduced.

또한 비유연성 바닥재의 재질로는 목재, MDF, HDF, 인조 수지로 탄성력이 큰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질 재료인 섬유질 경량 시멘트 종류나 마그네슘보드 내부에 섬유질을 넣은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경량 시멘트나 마그네슘 보드 또는 무기질 재료의 바닥재를 사용할 경우, 불연재로서 화재 발생시 안전하며 물이나 습기 등에 강하여 수축팽창이 적게 발생하고 썩거나 곰팡이가 나지 않고 또한 바닥재 상면에 인쇄지 무늬목을 붙이고 코팅을 한 경우에도, 같은 조건으로 목재류에 코팅을 한 것보다, 찍힘 현상이 현저히 적어 내구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a material of the non-flexible flooring material, not only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ity such as wood, MDF, HDF, and artificial resin can be used, but also a fiber-based lightweight cement type of inorganic material or a fiber inside the magnesium board can be used. When using lightweight cement or magnesium board or inorganic flooring material, it is a non-combustible material that is safe in the event of fire, and it is strong in water or moisture, so there is little shrinkage expansion, no rot or mildew, and printing paper veneer and co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flooring material. Edo, compared to the coating on the woo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mping phenomenon is significantly less durability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바닥재로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as a flooring material for us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사용이 가능한 바닥재로서 2종 이상의 재료를 접착하여 사용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5에서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 판(110) 위에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120), 인쇄지 또는 무늬목(130), 그리고 멜라민 시트(140)를 접착제로 접착한 후 고열 고압으로 압축하여 판재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할 때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면 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materials are adhered and used as a floor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kraft paper or nonwoven fabric 120, the printing paper or veneer 130, and the melamine sheet 140 are adhered with an adhesive on a rigid plate 110 including a magnesium board, and then compressed in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late. I can make it and use it. And it can be cut and used to the size that is easy to use when constructing.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 판(110) 위에 이미 성형되어 만들어진 표면용 기능성 판재(150)로서 무늬목층을 먼저 고열 고압으로 성형한 후, 접착제(190)로 붙이면 표면이 아주 단단하게 강화된 마루판재를 얻을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s another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oard member 150 for a surface that is already molded on a rigid plate 110 including a magnesium board, the veneer layer is first formed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n the surface is hardened by an adhesive 190. Can be obtained.

도7은 도6이 기능성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 와 같이,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120), 인쇄지 또는 무늬목(130), 멜라민 시트(140), 및 무늬가 있는 금속판(170)을 프레스 판(910)위에 순서대로 적층하여 프레스(920)로 고온 고압으로 프레싱 하면 멜라민 수지층(140)에 천연 무늬목의 나이테가 입체로 나타나는 기능성 판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판재를 도6과 같이 제작하면 보다 고급의 마루바닥재를 만들 수 있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plate of FIG. 6. FIG. As shown, kraft paper or nonwoven fabric 120, printing paper or veneer 130, melamine sheet 140, and a patterned metal plate 170 are laminated in order on the press plate 910 to press 920 Pressing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an produce a functional plate material in which a ring of natural veneer is formed in three dimensions on the melamine resin layer 140. If such a functional plate is produced as shown in Figure 6 it can be made of a higher quality flooring material.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재는 2 mm ~ 6 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재는 그 두께가 6 mm 이상 되면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강성재의 탄성이 많아져, 시공시 이음새의 단차가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바닥재의 두께가 커질수록 바닥재 접착제 및 테이프의 접착력이 더 높아져야 한다. 특히 테이프의 접착력이 높아지면 바닥재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된 후, 테이프의 제거시 더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lo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2 mm ~ 6 mm. When the bottom plate is 6 mm or more in thickness, the elasticity of the stiff material such as magnesium board increases, so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 step difference occurs in construction. Therefore, the greater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the higher the adhesion of the flooring adhesive and the tape. In particular, whe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e is increased, a problem may occur that may be more difficult when removing the tape after the bottom adhesive is completely cured.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간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모서리가 모따기된 바닥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0a, 100b)는 상부의 모서리를 깎아내어 모따기(101)를 형성하면 미세하게 발생하는 단차를 없애줄 뿐만 아니라 사람의 맨살이 베이거나 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모서리를 깍아 내었을 때, 마그네슘보드와 같은 강성체(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기능성 판재(150)로서 무늬목층 등이 두께가 얇으면 마그네슘 보드 층 등이 보일 수 있는데, 이때 마그네슘 보드의 옆면 상부 부분을 나무 색, 어두운 색으로 염색하면 미감면에서도 좋게 발휘될 수 있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between the floor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flooring with chamfered corners. As shown, the flooring (100a, 100b) by cutting off the upper corners to form a chamfer 101 can not only eliminate the step that occurs finely, but also can prevent the problem of bare skin. When the corner is cut off, the functional board 150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rigid body 110, such as magnesium board, if the thickness of the veneer layer is thin, the magnesium board layer, etc. can be seen,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magnesium board If you dye the part in wood or dark color, it can be used in aesthetic sense.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 도9의 바닥재는 기 본 강성체(110)의 위 또는 아래에 약간의 탄성이 있는 판(160)을 적층하고 맨 상층에 다시 기능성 바닥재 또는 판재(150)로서 무늬목층 등을 부착하면 보행시 보행감을 향상시키거나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as another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ing material of FIG. 9 is laminated when the plate 160 having a slight elasticity on the top or bottom of the basic rigid body 110 and is attached to the top layer again by attaching a veneer layer as the functional flooring material or the plate material 150 to walk.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eeling or reducing the noise between layers.

보통 바닥 마감재의 구성은 몸체인 부재위에 마감표면처리를 하거나 표면재를 따로 붙이는 형식이다. 특히 표면 강도를 높이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하여 표면재를 따로 제작하고 몸체인 부재위에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으로 변화되어 가는 추세이다.Usually, the floor finish consists of a surface finish or a separate surface material on the body.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surface strength or to add a function to the surface material is a trend to change to the method of making a separate and adhesive to the body member.

위의 설명에서 바닥재의 부재로 사용되는 합판이나 HDF 인조수지 PVC 등은 각종의 단점들이 있다. 목재질 류는 습기나 물 등에 약하여 길이 변화가 심하고 썩거나 곰팡이가 피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인조 수지류는 플라스틱 냄새 온도에 의한 길이 변화 화재 등에 취약한 단점들이 있었다.Plywood or HDF artificial resin PVC used as a member of the flooring in the above description has various disadvantages. Wood materials have weaknesses such as weakness of moisture or water, severe changes in length, rot or mildew, and artificial resins have disadvantages such as length change caused by plastic odor temperature.

그동안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재를 무기 물질로 바꾸는 시도가 있었으나 단순히 나무 중심의 마루 바닥재의 합판을 무기 물질로 바꾸면 무기 물질의 특성이 불에 잘 안타고 습기에 강하고 온도에 의한 형상변화가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바닥재를 무기물질로 바꾸어서 제작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마루 바닥재는 홈과 돌기를 만들고 정밀하게 끼워 맞추어야 하는 등의 시공상의 요구사항과 관련하여 무기물 재질의 바닥재는 물리적 특징으로서 단단함과 취성이 강한 성질 때문에 정밀한 돌기와 홈을 만들기 어려워 바닥재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In order to remedy these shortcoming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hange the members to inorganic materials. However, simply changing the plywood of the wood-floored flooring to inorganic materials has the advantag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materials are not easily burned, resistant to moisture, and the shape change by temperature is small. hav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flooring with inorganic materials. Because flooring materials are hard to make precise projections and grooves because of the hard and brittle nature of inorganic materials, the floo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s is difficult to use as flooring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construction requirements such as making grooves and protrusions and fitting them precisely. .

무기질 판재는 습기나 온도에 대하여 수축 팽창이 아주 적어서 자체적으로는 휘는 현상이 적다. 그러나 무기질 재질의 한쪽면에 수축 팽창이 많은 유기질 표면 재를 접착하면 바이메탈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 위아래로 휘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바닥재의 측면에 CNC에 의한 정밀한 홈과 돌기가 만들어져 있게 되면 서로 틀어져서 맞지않아서 끼워맞출 수 없게 된다.특히 무기질재는 매우 강하고 신축성이 적어 강제로 펴서 끼우려 하면 부러져 파손되게 된다. 무기질 바닥재를 만들면 측면에 홈과 돌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두께가 8mm 정도로 두꺼워 진고 내부에 섬유질 층이 있다 해도 신축성은 매우 적다.Inorganic plates have very little shrinkage expansion and humidity, so they do not warp themselves. However, when an organic surface material with high shrinkage expansion is adhered to one side of the inorganic material, a phenomenon such as bimetal occurs and it is bent up and down. Because of this, i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made by CNC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flooring material, they will be distorted and not fit.In particular, the inorganic material is very strong and elastic, so if it is forcibly pushed in, it will be broken and broken. If you make an inorganic floor, you need to make grooves and protrusions on the side, which is about 8mm thick and even if there is a fibrous layer inside, the elasticity is very smal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재를 아래면에도 잡착하여 휘는 현상을 줄인것이 상품화 되고 있으나 자재비와 공정비가 늘어나 아주 고가의 바닥재로만 사용이 가능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been commercialized that the surface material is caught on the lower surface to reduce the warping phenomenon, but it can be used only as a very expensive flooring material due to the increase of material cost and process cost.

위의 도5 내지 도9에서 설명한 바닥재는 일반적인 비유연성 바닥재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강성체인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무기질 재의 바닥재는 나무와 같은 상대적으로 연성인 성질을 갖는 바닥재와는 달리 탄성이 거의 또한 없으며 휨 자체도 매우 적다. 따라서 강성체 재질의 바닥재는 두께가 얇은 경우 어느 정도 휨이 있어 사용이 가능할 수 있지만 기단의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닥재로서 강성체 재질의 바닥재로서 가공성이 좋은 마그네슘 보드 등을 가공하거나 아니면 강성체 자체를 조각으로 구분하여 나무 계열의 바닥재에 접착하여 바닥재로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나무 계열의 바닥재의 휨 정도로서 전체적으로 바닥재가 휘거나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나무 계열 바닥재의 탄성력만을 테이프 를 이용하여 억제하면 자연스럽게 유연성 바닥재와 같이 접착제로 시공할 수 있다.The flooring described in Figures 5 to 9 above is a general non-flexible flooring is used as it is.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inorganic material such as a magnesium board, which is a rigid body, has little elasticity and very little warp, unlike the floor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oft property such as wood. Therefore, the flooring of the rigid material may be able to be used because there is some degree of bending when the thickness is thin, but there is a fear that a step may occur when the bend of the base is severe. Therefore, as a preferred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cessing a good workability magnesium board as a flooring material of the rigid material, or if the rigid body itself is divided into pieces and adhered to the wood-based flooring material as a flooring material, as a whole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wood-based flooring material. The flooring will bend or bend overall. Therefore, if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wood-based flooring material is suppressed by using a tape, it can be constructed with an adhesive like a flexible flooring material.

도10은 강성체 바닥재에 홈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로서 강성체가 조각난 상태로 기능성 판재 또는 유연성 바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 설명을 위하여 실제 사용되는 경우와 반대로 뒤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0에서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110)는 그 일부가 커터나 그라인더에 의해 일부 절개되어 쉽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공에 의해 절단면(111)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절개 공간(112)이 또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 공간에 의해 여러 부분으로 조각처럼 구분이 된다. 도10에서는 절개 공간이 강성체(110)의 단면 전부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분만 형성되었으나 도11에서 처럼 전체적으로 조각이 구분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도10은 강성체 부분만 도시되었으나 기계가공시 부분 가공은 강성체 자체로 가공하여 기능성 판재 등과 부착할 수도 있고, 또한 미리 부착한 상태로 가공할 수도 있다. 도10의 강성체(110)는 기능성 판재(150)와 접착 결합되어 시공시 절개 공간(112)을 기준으로 쪼개지거나 구부러지면서 유연하게 기단의 표면에 따라 부착하게 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ove formed in a rigid flooring,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gid body is attached to a functional plate or a flexible flooring in a fragmented state as a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rted state as opposed to the actual use case for the description. In FIG. 10, the rigid body 110 including the magnesium board is partially cut by a cutter or grinder to easily bend or bend. The cutting surface 111 is formed by processing, and thereby the cutting space 112 is also formed. In this way, the incision space is divided into pieces in several parts. In FIG. 10, the cutting space is not formed in all of the cross-sections of the rigid body 110, but only a portion thereof is formed. However, the cutting space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pieces are divided as a whole. FIG. 10 shows only the rigid part, but the machining may be performed by machining the rigid part itself and attaching it to a functional plate or the like, or may be processed in a pre-attached state. The rigid body 110 of FIG. 10 is adhesively coupled with the functional plate 150 to be split or bent based on the incision space 112 during construction to be flexibly attached along the surface of the base.

도11은 강성체(110)가 조각 조각 구분된 상태로서 기능성 판재(150)나 유연성 바닥재 등과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바닥재는 강성체(110)를 조각 상태로 절개 공간(115)에 의해 조각(110a, 110b, 110c, 110d)들이 구분되어 기능성 판재(150)와 부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결합은 미리 전체 강성체를 기능성 판 재(150) 등에 부착하여 기계 가공으로 절개 공간(112)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리 강성체 조각들(110a, 110b, 110c, 110d)을 만들어 조각 상태로 기능성 판재(15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는 도10과 같이 일부 절개 공간(112)을 형성하여 충격을 가하면 절개 공간(112)의 나머지 부분이 강성체 자체의 취성에 의해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1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igid body 110 is attached to the functional plate 150 or the flexible flooring as a state in which pieces are divided into pieces. The flooring material is a state in which pieces 110a, 110b, 110c, and 110d are divided by the cutting space 115 in the state of being sculpted into the rigid body 110 and attached to the functional plate 150. This combination is previously attached to the entire rigid body to the functional plate 150, etc. to form the incision space 112 by machining, or in advance to make the rigid pieces (110a, 110b, 110c, 110d) to the functional state in the engraving state It may be attached to the plate member 15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when a part of the incision space 112 is formed and impacted, the remaining part of the incision space 112 may be separated by the brittleness of the rigid body itself.

바닥재의 하부 강성체 만을 일부 자르거나 절개 공간을 내면 바닥재가 전체적으로 휘어지는 유연성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부에 부착한 기능성 판재 등은 휘거나 말아지고 강제로 펴면 부러지거나 찢어진다. 바닥재의 아래에 위치한 강성체도 습도 온도에 따라 약간의 형상 변화가 있는데 도9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체 두 개를 붙이고 강성체를 조각내면 이런 현상을 줄일 수 있다.Only part of the lower rigid body of the flooring is cut or the incision space gives the flooring the flexibility to bend overall. In addition, the functional plat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is bent or rolled up and forced to break or torn. The rigid body located under the flooring material also has a slight change in shape depending on the humidity temperature. As shown in FIG. 9, the two rigid bodies are attached and the rigid body is sculpted to reduce this phenomenon.

강성체를 조각내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구비한 바닥재는 굴곡이 있는 기단에도 쉽게 붙일 수 있으며 단차가 발생하려는 힘을 줄여 단차를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The flooring, which is sculpted from the rigid body and is totally flexibl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ent base and the step can be further reduced by reducing the force to generate the step.

무기질 재료 등의 강성체 조각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5-50 mm 가 적당하다. 무기질재 조각의 크기가 5mm 이하이면 가공성이 떨어져 비용이 많이 들며 50 mm 보다 크면 미세하게 휘는 현상에 의해 바닥에 붙일 때 끼워 맞추기가 어려워진다.A rigid piece of inorganic material or the like is appropriately 5-50 m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If the size of the inorganic material is less than 5mm, workability is expensive, and if it is larger than 50mm, it is difficult to fit when attached to the floor due to fine bending.

무기질재 부재가 잘개 절개되어 상부 표면재에 붙어 있게 되면 상부 표면재의 유연성 만큼 바닥재 전체의 유연성이 많아져 굴곡진 기단에도 유연하게 맞추어 붙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inorganic member is cut open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material,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flooring material is increased as much as the flexibility of the upper surface material, and thus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flexibly attached to the curved base.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 구분된 강성체와 기능성 판재 등이 접착된 바닥재가 구부러진 기단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좌 우측의 바닥재(100a, 100b)는 테이프(200)에 의해 인접하는 부분이 단차없이 접촉하게 된다. 바닥재 하부의 강성체 조각들은 기능성 판재(150) 등과 접착하는 부분까지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 판재(150) 등의 유연성에 따라 강성체 조각들은 각각 간격이 조정되면서 기단에 접착제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착시공된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ing is bonded to the base material is bonded to the rigid body divided into pieces and function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nt. In the left and right flooring materials 100a and 100b, adjacent portion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tape 200. Rigid fragments of the bottom of the floor is cut to the portion to adhere to the functional plate 150 and the like. Therefore, the rigid body pieces according to the flexibility of the functional plate 150 and the like are naturally installed by the adhesive to the base while the interval is adjusted.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강성체 부분의 절개 공간으로 접착제가 스며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3에서, 절개 공간(115)사이로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접착제(300)가 자연스럽게 침투하게 된다. 즉, 바닥재를 시공할 때 눌러 붙이게 되면 시멘트 기단에 발라놓은 접착제는 각 강성체 조각들 사이의 절개 공간으로 침투해서 공간을 메우며 경화하게 된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dhesive penetrates into the cutting space of the rigid body portion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3, the adhesive 300 penetrates naturally by the force pushing upwards between the incision spaces 115. In other words, when the flooring material is pressed, the adhesive applied to the cement base penetrates into the incision spaces between the rigid pieces, filling the space and curing.

절개 공간을 만들 때 무기질 재의 절개 공간을 화장판에 가깝게 만들거나 화장판에 의하여 한쪽의 절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무기질재는 휨이 거의 없어 끼워 맞추기 어렵다. 그러나 절개 공간을 형성하면 상면의 화장판의 탄성(휨)에 의해 끼워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즉, 탄성이 있는 절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충분히 두껍고 탄성이 있는 자재로 예를 들면 화장판과 같은 표면재 상판이 만들어져야 한다.When making the incision space, the incision space of the mineral material should be made close to the board, or one side of the board should be formed by the board. Inorganic materials have little warpage and are difficult to fit. However, when the incision space is formed, the fitting becomes easy due to the elasticity (bending) of the decorative plate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in order to form an elastic incision space, a surface material top plate such as a decorative board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sufficiently thick and elastic.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테이프는 접착력과 유연성에 따라 다양한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의 선택은 사용될 바닥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연성이 좋은 바닥재는 테이프의 접착력이 강하지 않아도 되며 두께 또한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아 스카치 테이프, 포장용 테이프, 일명 청테이프 등 시중의 일반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닥재의 탄성이 강할수록 테이프의 접착력이 강해야 하며 또한 테이프 자체의 유연성도 중요해진다. 왜냐하면 시공 바닥재가 탄성이 강해 복원되려는 힘이 강하면 테이프로 양 바닥재의 인접 상면을 접착했을 때 바닥재 상호간에 서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려는 힘이 커지므로 그 만큼 접착력도 강해야 하며 또한 테이프 자체의 휨이 적고 강하게 양 바닥재를 지지 고정해야 한다.As the tape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ape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adhesive strength and flexibility. The choice of tape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ing to be used. For example, flexible flooring does not have strong adhesive strength and thickness is not a problem, so common tapes such as scotch tape, packing tape, or blue tape Can be used. However, the stronger the elasticity of the flooring, the stronger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e, and the flexibility of the tape itself is also important. Because if the construction flooring material is strong and the strength to be restored is strong, when the adjacent top surfaces of both flooring material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tape, the strength of the flooring materials to be returned to each other is increased. Therefore, the adhesive strength must be strong, and the tape itself is less warped. Strongly support both floors.

특히 바닥재로서 본 발명의 강성체와 표면재를 접착한 바닥재를 사용시에는 잘 휘지 않고 뻣뻣한 성질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테이프로는 PET 계열의 재질을 갖는 테이프로서 그 두께는 약 50-200 ㎛ 정도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using the flooring material to which the rigid body and the surfac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hered as the floor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tape having a stiff property without being easily bent. As such a tape, a tape having a PET-based material is preferably used having a ta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200 μm.

또한 강성체와 표면재를 접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에폭시나 실리콘 계열 등의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선택되는 강성체와 표면재의 성질에 맞는 접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난방시 열에 강한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dhesive used to bond the rigid body and the surface material may be a variety of adhesives such as epoxy or silicone-based, and the adhesive suitable for the properties of the rigid body and the surface material may be used.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choose an adhesive that is resistant to heat when heating.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바닥재를 사용하면 바닥재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바닥 난방 장소에 시공했을 때 일반 온돌 마루 등의 바닥재보다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Using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thinn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energy efficiency when compared to flooring, such as ordinary flooring floor when installed in the floor heating place.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비유연성 바닥재 시공이 간편해져서 거의 데코 타일 시공 수준으로 단순화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ified to the non-flexible flooring construction to almost a deco tile construction level.

또한 바닥에 직접 붙일 수 있어 강화마루의 재질로 된 바닥재를 시공시 보행 시 퉁퉁거리는 발자국 소리를 크게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floor, so that when the flooring made of reinforced floor material is constructed, it can greatly reduce the sound of footsteps when walking.

또한 바닥재의 중간 위치에서 파손이 생겼을 때,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워 맞추는 마루는 한쪽 방향의 마루를 모두 뜯어내야 하는데 비해 끼워 맞추기 홈과 돌기가 없어 해당 파손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가 매우 간편하다.In addition, when the breakage occurs in the middle of the flooring, the fitting floor using grooves and protrusions must remove all the floors in one direction, but there are no fitting grooves and protrusions so that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replaced, which is very easy to replace. .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가 마그네슘 보드 일때 습기와 물에 강해서 수축팽창 현상이 적고 오래 사용해도 틈이 벌어지지 않으며 또한 곰팡이나 썩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다.In addition, as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gid body is a magnesium board, it is resistant to moisture and water, so that there is little shrinkage expansion phenomenon, an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gap and no mold or rot occurs.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로 마그네슘보드나 섬유질 경량 시멘트를 사용하면 바닥 난방 장소에 시공했을 때 목재 질 보다 에너지 효율이 3~4 배 높아진 다. In addition, the use of magnesium board or fibrous lightweight cement as a rigid material as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 to 4 times higher than the wood quality when installed in the floor heating place.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표면재만을 따로 기능성으로 가공하여 만든 후, 강성체 위에 접착제로 붙이는 방법으로 제조했을 때, 표면 강도를 획기적으로 강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a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urface material is processed separately and made, and then produced by a method of adhering the adhesive on the rigid body, the surface strength can be significantly enhanced.

또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을 사용하면 바닥재를 최대 2~3 mm 두께로 만들 수 있어 7 mm ~ 13 mm 두께인 일반마루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훨씬 넓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flooring thickness up to 2 ~ 3 mm, the application range is much wider than the general floor of 7 mm ~ 13 mm thick.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바닥 상면을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 모양으로 재단하여 붙일 수 있어 바닥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t and pasted to the bottom surface in a variety of colors and patterns to decorate the floor beautifully.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를 무기질재로 사용했을 때, 불연재로써 화재 발생시 불이 인화되지 않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다.In addition, when the rigid material is used as the inorganic material as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e occurs as a nonflammable material, the fire is not ignited and no toxic gas is generated, so it is safe.

또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일반 가정과 같은 경보행용 마루나 일반 신발을 신고 사용하는 사무실이나 공장의 중보행용 실내 실외를 막론하고 모든 장소의 바닥에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ny place, regardless of indoor walking outdoor or outdoor of the office or factory using a warning floor or general shoes such as a general home.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로 마그네슘 등 무기질재를 사용하고 표면 재를 외부에서 가공 표면 강도를 강화한 것을 접착하면 일반 마루에 비하여 수명이 2~3 배 가량 획기적으로 늘어난다.In addition, when the inorganic material such as magnesium is used as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rface material is bonded to enhance the processed surface strength from the outside, the service life is greatly increased by two to three times as compared to the general floor.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 시공 방법 및 바닥재를 사용하면 나무 계열의 바닥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세계적으로 나무소비를 줄여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된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wood-based flooring to help protect the environment b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wood worldwide.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마그네슘 보드, 무기질 재료를 포함하여 휨이 적고 취성이 강한 강성체 재질의 바닥재, 및 Low-strength brittle rigid flooring including magnesium board, inorganic materials, and 상기 강성체 재질의 바닥재 표면에 적층되는, 인쇄지, 무늬목, 또는 나무 계열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판재 또는 자체 유연성에 의해 기단의 굴곡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휘는 유연성 재질의 판재,A functional plate including a printing paper, veneer, or wood-based flooring material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of rigid material, or a sheet of flexible material that bends or bends according to the bend of the base by its own flexibility. 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체 재질의 바닥재가 시공될 기단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도록 절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기단의 면에 따라 휨이 발생되어 면 접촉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Includes, the flooring material is formed so that the cutt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warp occurs in the proximal direction in which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rigid material is to be constructed, the warp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urface of the proximal end can be installed by the surface contac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공간이 적층된 타 판재 부분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재 시공을 위한 외부의 힘에 의해 자연 절개될 수 있도록 부분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 The flooring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utting space is partially cut to form another laminated sheet portion or to be naturally cut by an external force for flooring construction.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상면의 모서리가 모따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The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an edge of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is formed with a chamfer.
KR1020070050721A 2007-05-25 2007-05-25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KR100882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21A KR100882953B1 (en) 2007-05-25 2007-05-25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PCT/KR2008/002938 WO2008147088A2 (en) 2007-05-25 2008-05-26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21A KR100882953B1 (en) 2007-05-25 2007-05-25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953B1 true KR100882953B1 (en) 2009-02-12

Family

ID=4068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721A KR100882953B1 (en) 2007-05-25 2007-05-25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9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52A (en) * 2001-10-12 2003-04-18 홍탁 Water-resistant wood floor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52A (en) * 2001-10-12 2003-04-18 홍탁 Water-resistant wood floor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938963T4 (en) floor panel
US11454035B2 (en) Wall or floor covering element
EP3359760B1 (en) Densified foam core tile or plastic composite material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US20030033777A1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20070072369A (en) Floor plank
JP2003514148A (en) New direct laminated floor
ATE267931T1 (en) COVERING ELEMENT FOR BUILDING SURFACES OR THE LIK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20180010635A (en) environment friendly floor board
KR101755075B1 (en) decorative flooring using composite high pressure laminate
KR100882953B1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floor
KR20100019200A (en) Flooring comprising natural fiberboar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90064604A (en) Floor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090105763A (en) Floor
KR102016950B1 (en) Flooring materials for elevato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5378655B2 (en) A wooden decorative floor material and a method for reforming a wooden decorative floor.
KR20210069144A (en) Interior insulation and sound absortion board using spc board
JP2010095879A (en) Woody decorative floor member and method for remodeling woody decorative floor
JP5130006B2 (en) Wood flooring
CN211730557U (en) Inorganic composite board and ground assembly
KR102404593B1 (en) Glass fiber laminated PVC foam sound insulation floorboard
KR20100090859A (en) Final member for laminate floor board
WO2008147088A2 (en) Floor
RU2772253C1 (en) Panel with stone veneer
JPH034667Y2 (en)
JP2001227147A (en) Floor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