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431B1 -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431B1
KR100882431B1 KR1020020035803A KR20020035803A KR100882431B1 KR 100882431 B1 KR100882431 B1 KR 100882431B1 KR 1020020035803 A KR1020020035803 A KR 1020020035803A KR 20020035803 A KR20020035803 A KR 20020035803A KR 100882431 B1 KR100882431 B1 KR 10088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host
authentication
token
delay
acces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726A (ko
Inventor
정제민
현재섭
고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4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랜 환경에서 빈번한 인증 절차로 인한 지연을 감소시켜 신속히 새로운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여 이동 호스트가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 단절을 겪지 않도록 인증 성공이 완료된 이동 호스트에 대해서 인증 절차를 간략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랜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가 제1 무선랜 접속장치(이하 '제1 AP')를 통해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을 받으면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1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토큰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받은 토큰과 상기 이동 호스트의 아이디를 자신과 인접한 다른 AP들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호스트가 상기 다른 AP들 중 어느 하나의 AP(이하 '제2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자신의 토큰과 아이디를 상기 제2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2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수신받은 아이디를 상기 인증 서버로 보내어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접속 링크 변경을 통보한 후에,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링크 변경 통보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이동 호스트에 관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랜 접속 시스템 등에 이용됨.
이동 호스트, AP, 인증, 승인, 토큰 메시지, 아이디(ID)

Description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A Method of reducing authentication delay for mobile host by simplified authentication token}
도 1 은 종래의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AP)간 인증 절차에 대한설명도.
도 2 는 종래의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간 인증 메시지 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호스트와 네트웍 접속 노드간 인증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서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간 인증 메시지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이동 호스트 42 : AP2
43 : AP3 44 : 인증 서버
본 발명은 무선랜 접속 시스템에서의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성이 빈번한 이동 호스트가 인터넷 접속 중에 AP(Access Point)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동 호스트가 생성한 토큰을 통해 재인증을 하지 않고 토큰 검증만으로 신속히 연결을 설정하게 하기 위한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LAN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터넷 접속이 활성화 되면서 이동 호스트에 대한 인증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무선 LAN AP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호스트는 무선 LAN 접속 링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IEEE 802.1x와 같은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런데, 이동 호스트의 이동성이 높은 경우, 즉, 인터넷 접속 도중 이동 호스트가 AP를 자주 바꾸는 경우 매번 AP와 동일한 인증 절차를 반복함으로 인해 무선 링크 접속 지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상위 계층, 특히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제약이 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랜(LAN) 인증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매 AP마다 인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무선 랜의 이동 호스트와 AP, 그리고 네트웍의 인증 서버간 메시지 절차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은 IEEE 802.1x의 절차를 따른다.
즉, AP(22)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호스트(21)가 AP(22)로 "EAPOL-Start" 메시지를 보내 연결에 대한 요청을 하면(201), AP(22)는 "EAPOL-Request/Identity" 메시지를 보내 인증서버(RADIUS Server)(23)에 인증을 요청할 이동 호스트(21)의 아이디(ID)를 요구한다(202). 이에 이동 호스트(21)는 "EAPOL-Response/Identity" 메시지에 자신의 ID를 실어 AP(22)로 전달하면(203), AP(22)는 이를 "RADIUS-Access-Request" 메시지에 실어 인증 서버(23)서버로 전달한다(204).
인증 서버(23)는 이동 호스트(21)를 인증하기 위해 "challenge"값을 생성하여(205) AP(22)를 통해 이동 호스트(21)로 전달하고(206), 이동 호스트(21)는 "challenge"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207) AP(22)를 통해 인증 서버(23)로 전달한다(208).
이에, 생성된 응답값이 옳으면 인증 서버(230)는 "RADIUS-Access-Accept" 메시지를 보내 이동 호스트에게 접속을 허용하고(209), AP(22)는 "EAP-Success" 메시지를 보내고 무선 랜의 포트를 활성화시킨다(210). 그런데, 이동 호스트(21)가 상기 도 1에서 처럼 이동하여 다른 AP에 접속하고자 할 때 이와 같은 절차가 다시 수행되므로 이동이 빈번한 경우 인증으로 인한 접속 지연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랜 인증의 경우, AP가 변경될 때마다 동일한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 인해 이동성이 높은 무선 랜 환경에서 빈번한 인증 절차로 인한 지연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랜 환경에서 빈번한 인증 절차로 인한 지연을 감소시켜 신속히 새로운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여 이동 중인 호스트가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 단절을 겪지 않도록 최초 인증 후 이동한 호스트에 대해서 인증 절차를 간략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랜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가 제1 무선랜 접속장치(이하 '제1 AP')를 통해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을 받으면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1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토큰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받은 토큰과 상기 이동 호스트의 아이디를 자신과 인접한 다른 AP들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호스트가 상기 다른 AP들 중 어느 하나의 AP(이하 '제2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자신의 토큰과 아이디를 상기 제2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2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수신받은 아이디를 상기 인증 서버로 보내어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접속 링크 변경을 통보한 후에,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링크 변경 통보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이동 호스트에 관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호스트와 네트웍 접속 노드간 인증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간 인증 절차는, 이동 호스트가 최초 인증에 성공하여, 포트가 활성화되면 이동 호스트가 간단한 토큰 메시지를 생성하여 AP(AP2)로 전송하고, 이 토큰 메시지를 이동 호스트의 ID와 함께 인접 AP(AP1과 AP3)로 전달하여, 이동 호스트가 가령, AP3로 옮겨 갔을 경우, 이 토큰 메시지에 의해 신속히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 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서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간 인증 메시지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호스트와 네트워크 접속 노드간 인증 메시지 절차에 대해 살펴보면, AP(도 3의 AP2)와 인증 절차를 끝낸 이동 호스트(41)는 간단한 토큰 메시지를 생성하여 AP2(42)로 전달하고(401), AP2(42)는 인접 AP3(43)들에게 이동 호스트 ID를 토큰 메시지와 함께 전달한다(402).
그런 후에, 만약 이동 호스트(41)가 인접 AP(도 3의 AP3)(43)로 이동하게 되면, "EAP-Start with token+ID" 메시지를 AP3(43)에 전달하고(403), AP3(44)는 인증 서버(RADIUS Server)(44) 측으로 "RADIUS-Access-Change-Request" 메시지를 전달하여 인증 완료된 이동 호스트(41)가 접속 AP를 변경했음을 알린다(404). 이때, AP3(43)는 인증 서버(44)에 이동 호스트의 ID를 전달한다.
이에, 인증 서버(44)는 AP3(43)로 "RADIUS-Access-Change-Confirm" 메시지를 전달해 별도의 인증 절차없이 이동 호스트(41)의 인증을 승인하고(405), AP3(43)는 "EAP-Success"를 통해 이동 호스트(41)를 승인하고 포트를 활성화시킨다(406). 인증이 완료된 이동 호스트(41)는 다시 토큰을 생성하여 AP3(43)로 전달하고, AP3(43)는 이 토큰 메시지를 인접 AP들에 전송한다(407).
이와 같은 절차에서 토큰 메시지가 제 3자에게 노출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토큰 메시지의 라이프타임(Lifetime)을 설정하여, 타이머가 종료될 경우 토큰 메시지를 포함한 "EAP-Start with token+ID"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AP는 기존 IEEE 802.1x의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모두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차에서 "EAP-Start with token+ID", "RADIUS-Access-Change-Request", "RADIUS-Change-Confirm"은 기존의 프로토콜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메시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초 무선 LAN 접속이 아닌 서비스 도중에 네트웍 접속 노드, 즉, AP가 변경되는 경우, 인증으로 인한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증 지연을 줄이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중단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 호스트와 AP, 그리고 인증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동작하며, 이동 호스트는 최초 인증 후 AP로 토큰 메시지를 생성해 전달할 수 있으며, AP는 토큰 메시지를 인접 AP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토큰 메시지가 포함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AP는 인증 서버로 인증이 완료된 이동 호스트가 위치를 변경했음을 알리고, 이를 승인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성이 높은 무선 랜 환경에서의 인증으로 인한 서비스 지연과 중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랜 환경에서 빈번한 인증 절차로 인한 지연을 감소시켜 신속히 새로운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여 이동 중인 호스트가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 단절을 겪지 않도록 최초 인증 후 이동한 호스트에 대해서 인증 절차를 간략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랜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가 제1 무선랜 접속장치(이하 '제1 AP')를 통해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을 받으면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1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토큰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받은 토큰과 상기 이동 호스트의 아이디를 자신과 인접한 다른 AP들로 전송하되,
    상기 이동 호스트가 상기 다른 AP들 중 어느 하나의 AP(이하 '제2 AP')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자신의 토큰과 아이디를 상기 제2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2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수신받은 아이디를 상기 인증 서버로 보내어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접속 링크 변경을 통보한 후에,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링크 변경 통보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이동 호스트에 관한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호스트가 상기 제2 AP와 상기 무선 접속 링크를 설정함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제2 AP로 전송하며,
    상기 제2 AP가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토큰을 수신받으면 상기 수신받은 토큰과 상기 이동 호스트의 아이디를 자신과 인접한 다른 AP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호스트가 상기 제1 AP 또는 상기 제2 AP로 보내기 위해 생성하는 토큰은, 제3자에 의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라이프타임(lifetime)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20035803A 2002-06-25 2002-06-25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KR10088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3A KR100882431B1 (ko) 2002-06-25 2002-06-25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3A KR100882431B1 (ko) 2002-06-25 2002-06-25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26A KR20040004726A (ko) 2004-01-14
KR100882431B1 true KR100882431B1 (ko) 2009-02-05

Family

ID=3731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803A KR100882431B1 (ko) 2002-06-25 2002-06-25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997B1 (ko) 2004-09-15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간재가입 방법
KR100678942B1 (ko) 2004-09-15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0619998B1 (ko) * 2005-04-30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전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8931067B2 (en) 2012-01-31 2015-01-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abling seamless offloading between wireless local-area networks in fixed mobile convergence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772A (ko) * 2000-02-09 2001-08-21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에서 안전한 핸드오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EP1176781A2 (en) * 2000-07-26 2002-01-30 Fujitsu Limited VPN system in mobile IP network, and method of setting VPN
KR20030075798A (ko) * 2002-03-20 2003-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랜의 동일 서브넷 내에서의 로밍 방법
KR20030083941A (ko) * 2002-04-23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성을 갖는 인증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772A (ko) * 2000-02-09 2001-08-21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에서 안전한 핸드오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JP2001258059A (ja) * 2000-02-09 2001-09-21 Lucent Technol Inc ネットワーク内のハンドオフの実行方法
EP1176781A2 (en) * 2000-07-26 2002-01-30 Fujitsu Limited VPN system in mobile IP network, and method of setting VPN
KR20030075798A (ko) * 2002-03-20 2003-09-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랜의 동일 서브넷 내에서의 로밍 방법
KR20030083941A (ko) * 2002-04-23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성을 갖는 인증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26A (ko)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w key derivation upon handoff in wireless networks
US723647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ed handover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533461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erminal pre-authentication method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10306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용 키 관리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74513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authentication
US94916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authenticating a mobile node
JP2007505531A (ja) 安全なドメイン内およびドメイン間ハンドオーバ
CN106664286B (zh) 异构网络之间的切换方法及切换系统
US200602408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ession keys
JP200511011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の認証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及び基地局及び認証装置。
KR20080019978A (ko) 이동환경에서의 듀얼 인증 방법
US11310724B2 (en) Key management for fast transitions
CN108495311B (zh) 基于中继站辅助的高速列车目标基站的安全切换方法
KR2014012415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키 하이어라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82431B1 (ko) 축약된 인증 토큰에 의한 이동 호스트 인증 지연 감소 방법
CN101167380A (zh) 生成会话密钥的方法和装置
JP200604159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の認証方法
Chen et al. A seamless handoff mechanism for DHCP-based IEEE 802.11 WLANs
US87133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49918B1 (ko) 공중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접속장치간 로밍서비스 방법
Lotto et al. Baron: Base-station authentication through core network for mobility management in 5g networks
Chen et al. A seamless handoff mechanism for IEEE 802.11 WLANs supporting IEEE 802.11 i security enhancements
KR20070081393A (ko) 확장 가능 인증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Baek et al. A novel pre-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fast channel switching in IEEE 802.11 WLANs
TWI399068B (zh) 用於無線通信系統之鑰管理之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