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380B1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0380B1 KR100880380B1 KR1020080104462A KR20080104462A KR100880380B1 KR 100880380 B1 KR100880380 B1 KR 100880380B1 KR 1020080104462 A KR1020080104462 A KR 1020080104462A KR 20080104462 A KR20080104462 A KR 20080104462A KR 100880380 B1 KR100880380 B1 KR 100880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fall
- electrically connected
- module
- output
- measur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09072 Sorghum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전압 비교 | OPc | |
OP1 | Vs ≥ Vr | 로우(GND) |
OP2 | Vn ≤ Vr | 로우(GND) |
OP3 | Vs ≤ Vr | 로우(GND) |
OP4 | Vo ≥ Vr | 로우(GND) |
Claims (3)
- 빗물을 집하하는 완속 수구(110), 양단에 시소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완속 수구(110)로부터 집하된 빗물에 의해 전도되는 계량컵(120), 상기 계량컵(120)의 중심축(C)에 매달려 상기 계량컵(120)의 전도에 따라 포물선 운동을 하는 영구자석(140) 및 상기 영구자석(140)의 운동에 따라 대응하는 강우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강우량 감지모듈(150)을 갖는 수수구(100)와, 상기 강우량 감지 신호를 통해 강우량을 계측하되 상기 수수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선의 단선, 합선 및 강우량 감지 상태를 판독하는 강우량 계측모듈(300)과, 상기 강우량 계측모듈(300)의 강우량 정상 계측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1)에 있어서,상기 강우량 감지모듈(150)은,전원단(X1, X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D1 내지 D4)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D1 내지 D4)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1제너 다이오드(D6)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D1 내지 D4)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D1 내지 D4)의 출력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 커패시터(C1)와, 상기 평활 커패시터(C1)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커패시터(C2)를 갖는 전원부(151); 및상기 전원부(151)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되 상기 계량컵(120)의 전도에 따라 이동하는 영구자석(140)의 자성을 감지함에 따라 강우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영 구적으로 강우량 감지가 가능하게 하는 홀소자(H)와, 상기 홀소자(H)의 출력단(o)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강우량 감지 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강우량 감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LD1) 및 상기 홀소자(H)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LD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보호저항(R1)을 갖는 감지부(153)를 포함하고,상기 강우량 계측모듈(300)은,상기 감지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강우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CT)와, 상기 커넥터(CT)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정 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12V)과, 상기 커넥터(CT)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을 공급하는 제2전원(GND)과, 상기 커넥터(CT)의 일단과 제1전원(+12V)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저항(R21)과, 애노드가 상기 커넥터(CT)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커넥터(CT)의 일단에 연결된 제1다이오드(D21)와, 애노드가 상기 제2전원(GND)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커넥터(CT)의 타단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D22)와, 상기 제1전원(+12V) 및 상기 제2전원(GND)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너다이오드(D23)와, 상기 제2다이오드(D22)의 캐소드와 상기 제2전원(GND) 사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저항(R22) 및 커패시터(C21)를 갖는 신호 수신부(310);상기 제1전원(+12V) 및 상기 제2전원(GND)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의 단선, 합선 및 강우량 감지 상태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330);상기 신호 수신부(310) 및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330)의 출력 전압을 비교 하여 상기 신호선의 단선, 합선 및 강우량 감지 상태 여부를 판별하되, 반전단자(a)에 합선 기준 전압(Vs)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b)에 신호 수신부(31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는 제1비교기(OP1)와, 반전단자(a)에 신호 수신부(31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b)에 강우량 감지 기준 전압(Vn)이 입력되는 제2비교기(OP2)와, 반전단자(a)에 신호 수신부(31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b)에 합선 기준 전압(Vs)이 입력되는 제3비교기(OP3)와, 반전단자(a)에 단선 기준 전압(Vo)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b)에 신호 수신부(31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는 제4비교기(OP4)와, 두 개의 입력단(a, b)이 상기 제1비교기(OP1) 및 상기 제2비교기(OP2)의 출력단자(c)에 각각 연결된 OR게이트(G)와, 상기 제1비교기(OP1) 및 상기 제2비교기(OP2)의 출력단자(c)와 상기 제1전원(+12V) 사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저항(R41) 및 제4저항(R42)을 갖는 신호 판독부(350); 및상기 OR게이트(G)의 출력단(c), 상기 제3비교기(OP3)의 출력단자(c) 및 상기 제4비교기(OP4)의 출력단자(c) 사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판독부(350)의 출력 전압을 계측단(Mr, FX1, FX2)에 각각 전달하는 제1 내지 제3포토커플러(PC1 내지 PC3)로 이루어지는 출력부(370)를 포함하며,상기 표시 모듈(500)은 상기 제1전원(+12V)과 상기 OR게이트(G)의 출력단(c), 상기 제3비교기(OP3)의 출력단자(c) 및 상기 제4비교기(OP4))의 출력단자(c) 사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표시부(510 내지 5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표시부(510 내지 55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된 보호저항(R5, R6, R7) 및 발광다이오드 소자(L2, L3, L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330)는,일단이 상기 제1전원(+12V)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전원(GN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5저항(R31)과, 상기 제5저항(R31)의 타단과 상기 제2전원(GND) 사이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커패시터(C31, C32)와, 애노드(b)가 상기 제2전원(GN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캐소드(a) 및 기준 단자(r)가 상기 제5저항(R31)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션트 레귤레이터(SR)를 갖는 전원 공급부(331)와,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의 기준 단자(r)와 애노드(b)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의 기준 단자(r)에 일단이 연결된 제1분배저항(R32, R34, R36)과, 상기 제1분배저항(R32, R34, R3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가변저항(VR1, VR2, VR3)과, 상기 가변저항(VR1, VR2, VR3)의 타단과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의 애노드(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배저항(R33, R35, R37)으로 인하여 단선 기준 전압(Vo), 합선 기준 전압(Vs) 및 강우량 감지 기준 전압(Vn)이 제공되는 제1 내지 제3전압 조정부(333, 334, 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강우량 감지모듈(150)의 전원단(X1, X2)은,상기 커넥터(CT)의 일단(a)과 상기 커넥터(CT)의 타단(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강우량 계측모듈(300)로부터 구동 전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4462A KR100880380B1 (ko) | 2008-10-23 | 2008-10-23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4462A KR100880380B1 (ko) | 2008-10-23 | 2008-10-23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0380B1 true KR100880380B1 (ko) | 2009-01-30 |
Family
ID=4048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4462A Active KR100880380B1 (ko) | 2008-10-23 | 2008-10-23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038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93540A (zh) * | 2011-09-05 | 2012-03-28 | 河海大学 | 一种磁悬浮式雨量雨强计 |
KR101503920B1 (ko) | 2014-08-26 | 2015-03-19 |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
KR101530674B1 (ko) * | 2014-10-31 | 2015-06-22 | (주)정한전자시스템 | 강수량계 점검기능을 갖는 강수량관측시스템 및 강우감지를 통한 강수량계 점검방법 |
KR102291198B1 (ko) | 2020-12-14 | 2021-08-20 | 주식회사 이노퀘스트 | 자가진단형 강우량 계측장치 |
CN114217155A (zh) * | 2021-12-14 | 2022-03-2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网环网箱中二次小室压板的状态检测电路和终端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3393A (ko) * | 2001-04-28 | 2002-11-02 | 최식 | 수분검출기능을 가진 디젤엔진용 연료필터 |
KR20040072759A (ko) * | 2003-02-10 | 2004-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과전압 제어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
KR20050010680A (ko) * | 2003-07-22 | 2005-01-28 | 정찬권 | 강우량 측정장치 |
-
2008
- 2008-10-23 KR KR1020080104462A patent/KR10088038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3393A (ko) * | 2001-04-28 | 2002-11-02 | 최식 | 수분검출기능을 가진 디젤엔진용 연료필터 |
KR20040072759A (ko) * | 2003-02-10 | 2004-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과전압 제어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
KR20050010680A (ko) * | 2003-07-22 | 2005-01-28 | 정찬권 | 강우량 측정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93540A (zh) * | 2011-09-05 | 2012-03-28 | 河海大学 | 一种磁悬浮式雨量雨强计 |
CN102393540B (zh) * | 2011-09-05 | 2013-07-03 | 河海大学 | 一种磁悬浮式雨量雨强计 |
KR101503920B1 (ko) | 2014-08-26 | 2015-03-19 |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
KR101530674B1 (ko) * | 2014-10-31 | 2015-06-22 | (주)정한전자시스템 | 강수량계 점검기능을 갖는 강수량관측시스템 및 강우감지를 통한 강수량계 점검방법 |
KR102291198B1 (ko) | 2020-12-14 | 2021-08-20 | 주식회사 이노퀘스트 | 자가진단형 강우량 계측장치 |
CN114217155A (zh) * | 2021-12-14 | 2022-03-2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网环网箱中二次小室压板的状态检测电路和终端 |
CN114217155B (zh) * | 2021-12-14 | 2023-08-2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网环网箱中二次小室压板的状态检测电路和终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0380B1 (ko)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 | |
US608109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 |
KR100915328B1 (ko) | 자기진단이 가능한 재난요소 계측장치 내장 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
CA2034147C (en) | Device for detecting residual capacity of a battery both in load and no load conditions | |
US11156670B2 (en) | LED lamp failure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 |
US20030033119A1 (en) | Pole transformer load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internet network | |
US8324886B2 (en) | Power supply testing system | |
US472889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ting faults in an AC transmission line using two indicators | |
KR102109414B1 (ko) | 활선상태에서 2차 전류 변동량으로 변류기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수배전반 | |
CN102243286A (zh) | 一种检测并显示设备或插座接地状态的仪器 | |
CN111474401B (zh) | 具有故障检测功能的高压带电显示装置及故障检测方法 | |
CN103339516A (zh) | 电连接器系统接地缺陷检测装置 | |
US20230223768A1 (en) | Vehicle jump starter device | |
CN111856332A (zh) | 一种分流器断线检测电路及断线检测方法 | |
CN106324423A (zh) | 一种充电桩接触器触头粘连的检测方法 | |
WO2006125336A1 (en) | An electricity meter | |
KR100882243B1 (ko)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를 활용한 기상관측시스템 | |
KR100908627B1 (ko) |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를 활용한 자동우량경보장치 | |
CN202057749U (zh) | 一种检测并显示设备或插座接地状态的仪器 | |
CN117706162A (zh) | 防反接和掉线的远近端电压采集电路及直流稳压电源 | |
CN110488137A (zh) | 一种检测ct二次回路完整性的装置与方法 | |
CN117192217A (zh) | 一种绝缘电阻的测试系统及方法 | |
JP4443681B2 (ja) | 配線接続チェッカ | |
CN112147390B (zh) | 一种自动报警防窃电能表 | |
US12114409B2 (en) | Energy metering and surge current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