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139B1 -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139B1
KR100880139B1 KR1020057023652A KR20057023652A KR100880139B1 KR 100880139 B1 KR100880139 B1 KR 100880139B1 KR 1020057023652 A KR1020057023652 A KR 1020057023652A KR 20057023652 A KR20057023652 A KR 20057023652A KR 100880139 B1 KR100880139 B1 KR 10088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e
hard base
pad member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7268A (en
Inventor
아키라 다카기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139B1/en
Publication of KR2006003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 탑이 키가 눌러질 때 키 윈도우 프레임 아래로 함몰되는 것과 키 탑의 부상이 방지되고, 키 윈도우 프레임이 적용되지 않는 좁은 피치의 키보드에서 조차도 키 간의 간섭이 방지되고, 자동 조립이 쉽게 될 수 있고, 도광판이 독립된 부품으로서 키 유닛에 적층되는 이중 구조가 제거되는 키 유닛. 키 유닛은 면에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를 갖고,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판과 같은 뻣뻣한 판의 경질베이스와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를 폐쇄하도록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패드부재로 이루어지는 키 패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패드부재는 스위치 누름돌기와 일체로 제공되고, 경질수지의 키 탑은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도록 배열된다.The key top can be prevented from sinking under the key window frame when the key is pressed and injuries of the key top, interference between the keys can be prevented even in narrow pitch keyboards where the key window frame is not applied, and automatic assembly can be facilitated. And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guide plate is laminated to the key unit as an independent component is removed. The key unit includes a key pad made of a pad member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having a through hole or cutout on a surface,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or cutout of a rigid base and a rigid bas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wherein the pad The member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witch pusher, and the key top of the hard resin is arranged to correspond with the switch pusher.

키, 키 유닛, 휴대폰 Key, key unit, mobile phone

Description

키 유닛과 키 유닛의 제조방법{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기기에 사용되기 위한 키 유닛에 대한 것으로, 특히 경질수지(hard resin)판이나 금속판과 같은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hard base)를 갖는 키 패드(key pad)를 포함하는 키 유닛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unit for use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nd in particular, a key pad having a hard base composed of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pad).

키 유닛은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기기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이고, 다수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키(버튼)가 하나의 시트 위에 모여 배열된 장치이다. 키는 연질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재료로 구성된 키 패드와 키 패드의 표면에 부착되고 경질수지로 만들어진 키 탑(key top), 그리고 키 패드의 뒷면에 있는 스위치 누름돌기("보스(boss)"라고 함)로 구성된다. 키는 키 패드를 통하여 다른 키에 연결된다. 스위치 소자가 있는 회로기판이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된 키 유닛의 밑면에 밀착되는 경우, 키 스위치는 각각의 키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지금까지는 키 유닛에 있는 키 탑(key top)이 휴대폰등의 케이스 면에 위치하는 키 윈도우로부터 노출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왔다.The key unit is one component constitu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nd is a device in which keys (buttons)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switches are arranged on one sheet. The key is a key pa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oft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a key top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key pad and made of hard resin, and a switch pushbutton ("boss") on the back of the key pad. ""). The key is connected to another key through the keypad. When the circuit board with the switch ele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nderside of the key unit constructed in this way, the key switch is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key. Until now, a structure has been applied in which a key top in a key unit is exposed from a key window located on a case surface of a mobile phone or the like.

최근에는 휴대폰등의 소형화의 결과로 키 유닛을 얇게하려는 요구가 증가되 어왔고, 키 탑의 윗면으로부터 키 유닛의 밑면에 이르는 거리는 과도하게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얇은 키 유닛에서는 키가 눌러졌을 때 키 탑의 끝단부가 케이스의 키 윈도우 프레임(key window frame) 아래로 함몰되고 눌러진 키가 복귀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iniaturization of mobile phones and the like, the demand for thinning the key unit has increased, and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key top to the bottom of the key unit has been excessively reduced. In such a thin key unit, when the key is pressed, the end of the key top is recessed under the key window frame of the case and the pressed key does not return.

상술한 단점의 원인은 아마도 전체 키 유닛이 부드럽게 늘어나고 수축되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키 유닛이 과도하게 얇아지게 되었기 때문에 유닛은 형상 안정성이 부족하게 되었다. 키가 눌러졌을 때 키 유닛은 변형되고 키 탑은 측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와 같은 키 유닛은 또한 자동 조립이 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cause of the shortcomings mentioned above is probably because the entire key unit is made of elastic material that stretches and contracts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key unit became excessively thin, the unit lacked shape stability. When the key is pressed, the key unit is deformed and the key top slides laterally. Such a key unit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e automatically assembled.

지금까지 키 탑의 함몰에 대한 대응책으로 도 10 의 (A) 에서 보여지듯이 키 탑의 중앙을 둘러싸는 원형의 돌출부(리브 (rib))가 키 패드의 뒷면에 배치되는 키 유닛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조명 기능이 있는 키에 있어서는 이러한 원형 돌출부의 그림자가 키 탑의 윗면으로부터 보이게 되어 키 유닛의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depression of the key top, a key unit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ircular protrusion (rib)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key top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key pad, as shown in FIG. By the way, in the key with the illumination function, the shadow of this circular protrusion is seen from the top of the key top, which causes another problem that degrades the aesthetics of the key unit.

또한, 일반적인 키 유닛에 있어서는 도 10 의 (B) 에서 보여지듯이 키 탑을 조명하는 도광판이 키 유닛에 적층되는 구조이나, 이러한 이중구조는 키 유닛을 얇게하고자 하는 요구에 배치된다. 또 다른 전통적인 기술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3-7161에서 설명된 무선전화기에 대한 키 패드이다.In addition, in a general key unit, as shown in FIG. 10B, a light guide plate for illuminating a key top is laminated on the key unit, but such a dual structure is arranged in a request to thin the key unit. Another traditional technique is the keypad for a cordless phone describ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3-7161.

더 나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PDA등의 키보드에 있어서는, 작은 공간에 많은 키를 배열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키 사이의 간격이 현저하게 좁은 소위 좁은 피치의 키 유닛이 적용되는 경향이다. 좁은 피치의 키 유닛에서는 인접하는 키 탑들 사이에 상술한 키 윈도우 프레임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키 탑들간의 위치 결정은 오직 부드러운 키 패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그와 같은 구조를 갖는 키 유닛에 있어서, 키 탑이 무엇인가에 걸려 위로 튀어오르거나, 하나의 키를 누르는 동작이 키 사이의 움직임에 대한 간섭을 일으켜 인접한 키를 작동시키는 문제를 쉽게 일으킨다.Furthermore, in a rapidly developing keyboard such as a PDA, it is necessary to arrange a large number of keys in a small space, so that a so-called narrow pitch key unit with a significantly narrow space between keys tends to be applied. In the narrow pitch key unit, since there is no space for arranging the above-described key window frame between adjacent key tops, positioning between the key tops can only rely on the soft key pad. In a key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key top is caught by something and bounces up, or pressing one key easily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between the keys, thereby easily causing the problem of operating adjacent keys.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키가 눌러졌을 때 키 탑이 케이스의 키 윈도우 프레임 아래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키 탑의 부상(floating)과 키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키 유닛을 제공하기 위하여 키 유닛의 형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키 탑들끼리의 위치 결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키 윈도우 프레임을 적용하기 불가능한 좁은 피치의 키보드에 대해 손쉽게 자동 조립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별도의 도광판이 키 유닛에 제공되는 이중 구조를 제거하는 것이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unit which can prevent the key top from sinking under the key window frame of the case when the key is pressed, and can prevent the floating of the key top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keys. In order to improve the shape stability of the key unit, and to easily perform automatic assembly on a narrow pitch keyboard that is impossible to apply a key window frame serving as a position determination between key tops. The second object is also to eliminate the duplex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in the key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가요성 패드부재를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가진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와 결합시켜 구성되는 키 패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패드부재의 가요성은 국부적으로 이용되고,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은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에 의해 전체 키 유닛에 강성이 부여되어 상술한 첫 번째 문제점은 해결된다. 또한 이때 광투과성을 갖는 경질수지판이 사용되는 경우, 경질베이스 그 자체는 또한 도광판으로써 기능하여 두 번째 목적이 동시에 해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key pad constituted by combining a flexible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with a hard base made of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Therefore, the flexibility of the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used locally, and rigidity is imparted to the entire key unit by a hard base composed of a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thereby solving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 Also in this case, when a hard resin plate having a light transmissive property is used, the hard base itself also functions as a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second object is solved at the same time.

키 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즉 패드부재를 경질베이스와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 두 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구되는 관통구멍이나 절개부(키 탑이 이러한 관통구멍이나 절개부에 있는 키 패드를 통하여 눌러진다)가 평평한 경질베이스의 표면에 배치되고, 관통구멍이나 절개부를 폐쇄하도록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패드부재가 형성된다. 이 경우, 스위치 누름돌기는 패드부재의 한 면에 동시에 그리고 일체로 형성되고, 키 탑은 스위치 누름돌기에 대응하는 뒷면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드부재는 각각의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대하여 분리된다. 청구범위의 제 1 항에서 설명된 발명은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것이다.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that is, the method of joining the pad member to the hard base may have two forms. 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quired through holes or cutouts (key tops are pressed through the keypads in these through holes or cutout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flat hard base, and the through holes or cutouts are closed. The pad member of the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r the cutout portion. In this case, the switch pusher is formed simultaneously an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pad member, and the key top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rear face corresponding to the switch pusher. In this first embodiment, the pad member is separated for each through hole or cutout.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f the claims relates to the first embodiment.

키 패드의 구조에 대한 두 번째 내지 제 4 실시형태는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된 패드부재가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키 탑과 스위치 누름돌기가 패드부재의 서로 반대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또한 상기의 구조에서는, 패드부재는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에 연결되어 경질베이스를 덮는다. 이 경우, 패드부재가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이나 절개부 이외 부분의 상면(키 탑이 배치된 키 패드의 표면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경질베이스의 표면, 뒷면은 하면으로 통칭한다), 하면 또는 양쪽 면에서 각각의 관통구멍이나 절개부를 넘어서 확장되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패드부재는 관통구멍 외부에서 경질베이스에 연결된다. 청구범위 제 2 항과 제 3 항에서 설명된 발명은 두 번째 내지 제 4 실시형태와 관련된 것이다. 첫 번째 내지 제 4 실시형태는 키 패드의 서로 다른 부분 각각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of the key pad are that the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formed to close the through hole of the hard base, and the key top and the switch pusher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pad memb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n. In the above structure, the pad member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of the hard base to cover the hard base. In this case, the pad member may have an upper surface of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hard base or the cutout portion (the surface of the hard bas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surface of the keypad on which the key top is disposed, the back surfac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lower surface),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extend beyond each through hole or incision, the pad member is connected to the hard base outside the through hole.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2 and 3 relates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through fourth embodiments can be applied in parallel for each of the different portions of the keypad.

상술된 두 번째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이 경질베이스와 패드부재에 부여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이 LED(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인 경우에 발광소자는 경질베이스의 두께 중심에 배치된다. 따라서, 발광소자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과 같은 광원 배치부는 경질베이스에서 관통구멍 이외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이 전계발광(EL, electroluminescence)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인 경우에는, 표면 광원은 키 패드의 경질베이스 및/또는 패드부재에 적층될 수도 있다. 청구범위 제 4 항과 제 5 항에서 설명되는 발명은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한 것이다.The second object described above can be solved by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is imparted to the hard base and the pad membe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ickness of the hard base. Therefore, the light source arranging portion such as a hole for inser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dispos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in the hard base. In the case where the light source is a surface illuminant such as an electroluminescence (EL) element, the surface light source may be laminated on the hard base and / or pad member of the keypad.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4 and 5 relates to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르면,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되며, 표면에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갖는 경질베이스 및 경질베이스보다 더 얇은 필름형부가 관통구멍의 내벽 및/또는 절개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끔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폐쇄하도록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패드부재로 형성되는 키 패드를 포함하는 키 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패드부재에는 스위치 누름돌기가 일체로 제공되고 경질수지로 이루어진 키 탑이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여 배치된다.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is made of a rigid bas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 or cutout on the surface and a thinner film-lik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 key unit is provided comprising a key pad formed of a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to close the through hole of the hard base and / or the cutout por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and / or the inner wall of the cutout, the pad member being provided with a switch. A push top is provided integrally and a key top made of hard resin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witch push projection of the pad member.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키 유닛에 있어서, 패드부재는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폐쇄하도록 경질베이스보다 더 얇은 필름형부가 관통구멍의 내벽 및/또는 절개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에 연결되어 경질베이스를 덮는다.In 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member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lm-shaped portion thinner than the hard base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inner wall of the cut portion so as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 portion of the hard base. Connected to cover the hard base.

청구범위 제 2 항에 따른 키 유닛에 있어서, 패드부재의 얇은 필름형부는 경질베이스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In 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 2, the thin film-like portion of the pad member is adapted to cover one or both sides of the hard base.

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키 유닛에 있어서,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발광소자 등의 광원 배치부가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위치된다.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 1, 2 or 3, wherein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light transmissive, and a light source arrangement such as a light e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of the hard base. Located in another part.

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키 유닛에 있어서,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전계발광(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가 키 패드에 적층된다.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s 1, 2, 3 or 4, wherein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light transmissive, and a surface light-emitting body such as an electroluminescent (EL) element is laminated on the keypad. do.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 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 unit consisting of the following steps is presented.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갖고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를 먼저 형성하는 단계와First forming a hard base composed of a rigid resin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having through holes and / or cutouts;

성형몰드(molding mold)에 경질베이스를 배치한 후,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패드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패드부재를 고정하고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몰드 안에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삽입하고, 키 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에 스위치 누름돌기를 일체로써 형성시키는 단계 및After arranging the hard base in the molding mold, the rubber or thermoplastic in the molding mold to fix and form the pad member such that the through-hole and / or incision of the hard base is closed by the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nserting an elastomer and integrally forming a switch pusher on a pad member constituting a keypad; and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는 경질수지제 키 탑을 결합시키는 단계. Coupling the switch pusher of the pad member with the corresponding hard resin key top.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의 제 1 실시형태에 해당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ke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의 제 2 실시형태에 해당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ke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의 제 3 실시형태에 해당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ke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의 제 4 실시형태에 해당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ke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의 (A) 내지 도 5 의 (F) 는 제 2 실시형태에서 키 탑을 조명하는 광원에 있어 EL소자를 사용하는 EL시트와 같은 표면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의 키 유닛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5A to 5F are side views showing the key unit structure when a surface light source such as an EL sheet using an EL element is used in the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key top in the second embodiment. .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유닛에 있어서 경질베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hard base in the ke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키 패드를 구성하기 위하여 패드부재가 도 6 에서 보여지는 경질베이스의 구멍을 폐쇄하는 방법으로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d member is formed by closing a hole of the hard base shown in FIG. 6 to form a keypad. FIG.

도 8 의 (A) 는 키 탑이 도 7 에서 보여지는 키 패드의 표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B)는 (A)에서 A-A 선의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단면도이며, (C)는 (A)와 (B)에서 B-B 선의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단면도이다.FIG. 8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key top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keypad shown in FIG. 7, (B) is a cross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AA line in (A), and (C) is (A) And (B) are sectional views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BB line.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경질베이스를 갖는 키 패드가 제공된 좁은 피치의 키 유닛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 narrow pitch key unit provided with a keypad having a hard b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일반적인 키 유닛을 보여준다. (A)는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rib)가 제공된 장치의 측면에 대한 단면도이고, (B)는 발광소자와 도광판이 제공된 유닛의 측면도이다. 10 shows a typical key unit.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side of a device provided with a rib to prevent depression, and (B) is a side view of a unit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도면부호 1 은 키 유닛, 2 는 키 탑, 3 은 키 패드, 4 는 경질베이스, 4a 는 관통구멍, 4b 는 절개부, 4c 는 광원 배치부(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구멍), 5 는 패드부재, 5a 는 스위치 누름돌기, 5b 와 5c 는 필름형부, 6 은 LED, 7 은 표면 발광체, 8 은 회로 기판 그리고 9 는 금속 돔(dome)을 나타낸다.The outlin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ach drawing,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key unit, 2 a key top, 3 a key pad, 4 a hard base, 4a a through hole, 4b a cutout portion, 4c a light source arrangement (hole where a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5 is a pad member, 5a is a switch pusher, 5b and 5c are film-like portions, 6 is an LED, 7 is a surface illuminant, 8 is a circuit board, and 9 is a metal dome.

경질베이스 키 유닛의 제 1 실시형태가 도 1 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즉, 키 유닛 (1) 은 키 탑 (2) 과 키 패드 (3) 를 갖는다. 키 탑 (2) 은 PC(polycarbonate)수지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의 경질수지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키 패드 (3) 는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은 경질수지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US등) 또는 아연과 같은 금속 등의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 (4) 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실리콘 고무등)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패드부재 (5) 로 구성된다.A first embodiment of a hard base key uni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That is, the key unit 1 has a key top 2 and a key pad 3. The key top 2 is made into a desired shape by thermoplastic hard resin such as PC (polycarbonate) resin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The keypad 3 is composed of a hard base 4 made of a hard resin such as a PC resin or a PET resin or a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SUS, etc.) or a metal such as zinc, and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silicon). Pad member 5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경질베이스 (4) 에는 면상에서 여러 가지 모양의 많은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는 패드부재 (5) 에 의해 각각 메워진다. 각 패드부재 (5) 에는 한 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치 누름돌기 (5a) 가 일체로 제공되고, 패드부재의 다른 부분은 경질베이스 (4) 보다 더 얇은 필름으로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키 탑 (2) 은 스위치 누름돌기 (5a) 가 형성된 각 패드부재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다.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를 폐쇄하는 각 패드부재 (5) 에 있어서, 패드부재의 끝단면은 각 관통구멍 (4a) 또는 각 절개부 (4b) 의 측벽이나 내부 경계벽에 접합된다.The hard base 4 is provided with many through holes 4a or cutouts 4b of various shapes on the surface. Further, these through holes 4a or cutouts 4b are filled by the pad members 5, respectively. Each pad member 5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witch pusher 5a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part of the pad member is substantially formed of a thinner film than the hard base 4. Further, the key top 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each pad member on which the switch pusher 5a is formed. In each pad member 5 which closes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4b, the end face of the pad member is joined to the side wall or the inner boundary wall of each through hole 4a or each cutout 4b. .

제 1 실시형태의 키 유닛 (1) 의 키 패드 (3) 에 있어서, 패드부재 (5) 는 경질베이스 (4) 의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에만 존재하고,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위에는 놓이지 않는다. 따라서 키 유닛 (1) 의 두께가 모든 실시형태에서 동일하게 설정된다면, 경질베이스 (4) 의 두께가 가장 크게 설정되고, 강성은 이후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형태에 비교하여 가장 높게 될 것이다.In the keypad 3 of the key unit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ad member 5 exists only in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portion 4b of the hard base 4, and the hard base 4 It is not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Therefore, if the thickness of the key unit 1 is set the same in all th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hard base 4 is set the largest, and the stiffness will be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또한, 경질베이스 (4) 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경질베이스 (4) 에 접지부재로써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유닛 (1) 에 대전된 정전기는 경질베이스 (4) 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고, 키 유닛 (1) 에 대전된 정전기에 의해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은 변형에 강하고 그의 형상 안정성이 수지의 경우보다 더 높기 때문에, 관통구멍 (4a), 절개부 (4b)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만족할 만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키 유닛 (1) 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hard base 4 is formed of a metal plate, the hard base 4 can function as a grounding member. Therefore, the static electricity charged in the key unit 1 can be released through the hard base 4, and dust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dsorbed by the static electricity charged in the key unit 1. In addition, since the metal plate is resistant to deformation and its shape st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4a, the cutouts 4b, and the like, and has a key unit having satisfactory dimensional accuracy ( It is possible to get 1).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도 2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에 따르면, 키 유닛 (1) 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키 탑 (2) 과 키 패드 (3) 를 갖는다. 키 탑 (2) 은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의 경질수지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키 패드 (3) 는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은 경질수지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과 같은 금속 등의 강성을 갖는 판으로 이루어진 경질 베이스 (4) 및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실리콘 고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 패드부재 (5) 로 구성된다. 패드부재 (5) 는 경질베이스 (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key unit 1 has the key top 2 and the key pad 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key top 2 is formed into a desired shape by thermoplastic hard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The keypad 3 is composed of a hard base 4 made of a hard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or a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metal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zinc and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silicone rubber or the like). Pad member 5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pad member 5 is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hard base 4.

경질베이스 (4) 에는 면상에서 여러 가지 형상의 많은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가 제공된다. 한 쪽 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치 누름돌기 (5a) 는 각 관통구멍 (4a) 또는 각 절개부 (4b) 를 폐쇄하는 각 패드부재 (5) 의 일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경질베이스 (4) 보다 얇은 필름으로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키 탑 (2) 은 스위치 누름돌기 (5a) 가 형성된 각 패드부재 (5)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다.The hard base 4 is provided with many through holes 4a or cutouts 4b of various shapes on the surface. The switch pressing protrusion 5a protru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ortion of each pad member 5 closing each through hole 4a or each cutout 4b, and the other portion is a hard base 4. Substantially formed into a thinner film. The key top 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each pad member 5 on which the switch pusher 5a is formed.

제 2 실시형태의 키 유닛 (1) 의 키 패드 (3) 에 있어서, 패드부재 (5) 는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에 대응하는 키 패드 일부분에 연결되어 필름형부 (5b) 가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2 에서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은 위로부터 전체적으로 덮여진다. 필름형부 (5b) 는 그 두께가 경질베이스 (4) 의 두께보다 작은 필름 상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경질베이스 (4) 는 각 관통구멍 (4a) 의 측벽/내부 테두리 벽에서뿐만 아니라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에서도 패드부재 (5) 에 접합된다. 따라서, 서로 접합되는 영역 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In the key pad 3 of the key unit 1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ad member 5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key pa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4b to form the film portion 5b. Is configured integrally. Thus, in FIG. 2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is entirely covered from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lm-like portion 5b is formed in a film state whose thicknes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ard base 4. The hard base 4 is joined to the pad member 5 not only at the side wall / inner edge wall of each through hole 4a but also at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Therefore, the areas joined to each other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도 3 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키 유닛 (1) 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키 탑 (2) 과 키 패드 (3) 를 갖는다. 키 탑 (2) 은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이 열가소성의 경질수지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패드 (3) 는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은 경질수지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과 같은 금속 등의 강성을 갖는 판으로 이루어진 경질베이스 (4) 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실리콘 고무 또는 그와 같은 것)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 패드부재 (5) 로 구성된다. 패드부재 (5) 는 경질베이스 (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key unit 1 has a key top 2 and a key pad 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key top 2 is formed in a desired shape by thermoplastic hard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The keypad 3 is made of a hard base 4 made of a hard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or a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metal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zinc, and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silicone rubber or The pad member 5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pad member 5 has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hard base 4.

제 3 실시형태의 키 유닛 (1) 의 키 패드 (3) 에 있어서,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드부재 (5) 는 경질베이스 (4) 의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에 대응하는 키 패드 부위로 연결되고, 필름형부 (5b), (5c) 가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을 그 사이에 끼우고 상하 양측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질베이스 (4) 의 전체 표면 (11) 이 덮이게 된다. 필름형부 (5b), (5c) 는 경질베이스 (4) 보다 더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경질베이스 (4) 는 각 관통구멍 (4a) 의 측벽/내부 테두리 벽에서뿐만 아니라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에서도 패드부재 (5) 에 접합되고, 이에 따라 경질베이스 (4) 는 그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서로 접합되는 부분은 지금까지의 실시형태 중에서 가장 크며, 가장 강한 접합 상태가 실현된다. 덧붙여, 경질베이스 (4) 가 패드부재 (5) 에 일단 접합된 후에는 부수지 않는 한 서로 분리될 수 없다.In the keypad 3 of the key unit 1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pad member 5 corresponds to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4b of the hard base 4. The film-like parts 5b and 5c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sandwiching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between them. Thus, the entir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is cover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lm-like portions 5b and 5c are formed of a thinner film than the hard base 4. The hard base 4 is bonded to the pad member 5 not only on the side wall / inner rim wall of each through hole 4a but also on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so that the hard base 4 is therebetween. To be fitted to. Therefore, the parts joined together are the largest among the embodiments so far, and the strongest bonded state is realized. In addition, once the hard bases 4 are joined to the pad member 5,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unless they are broken.

다음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도 4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키 유닛 (1) 은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키 탑 (2) 과 키 패드 (3) 를 갖는다. 키 탑 (2) 은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이 열가소성의 경질수지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키 패드 (3) 는 PC수지나 PET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메틸 페닐 실리콘 수지(methyl phenyl silicone resin),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epoxy modified silicone resin) 또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그리고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과 같은 UV경화성 수지(ultraviolet setting resin)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경질수지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과 같은 금속 등의 강성을 갖는 판으로 이루어진 경질베이스 (4) 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실리콘 고무 등)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 패드부재 (5) 로 구성된다. 패드부재 (5) 는 경질베이스 (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경질베이스 (4) 가 메틸 페닐 실리콘 수지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와 같은 소위 실리콘 수지으로 형성되고 패드부재 (5) 는 실리콘 고무(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패드부재와 경질베이스와의 접합 성능이 강화된다. 이는 그 조성이 모두 유사한 실리콘계인 패드부재 (5) 와 경질베이스 (4) 사이에 실록산 결합(siloxane bonding, -Si-O-Si-)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key unit 1 has the key top 2 and the key pad 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key top 2 is formed in a desired shape by thermoplastic hard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The keypad 3 is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C resin or PET resin, methyl phenyl silicone resin, thermosetting resin such as epoxy modified silicone resin or epoxy resin and acrylic. Hard bases (4) consisting of various types of hard resins, including UV resins such as acrylic resins, or plates having rigidity, such as metals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zinc, and rubber or The pad member 5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elastomer (silicone rubber or the like). The pad member 5 has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hard base 4. When the hard base 4 is formed of a so-called silicone resin such as methyl phenyl silicone resin or epoxy modified silicone resin and the pad member 5 is formed of silicone rubber (or elastomer), the bonding performance between the pad member and the hard base is This is reinforced. This is because siloxane bonding (-Si-O-Si-) is made between the pad member 5 and the hard base 4 which are all similar in silicone composition.

경질베이스 (4) 에는 면상에서 여러 가지 모양을 갖는 많은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는 패드부재 (5) 에 의해 각각 메워진다. 한 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치 누름돌기 (5a) 가 각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를 폐쇄하는 각 패드부재 (5) 의 일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패드부재의 다른 부분은 대체로 경질베이스 (4) 보다 더 얇은 필름으로 형성된다. 키 탑 (2) 은 스위치 누름돌기 (5a) 가 형성되는 각 패드부재 (5)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다.The hard base 4 is provided with many through holes 4a or cutouts 4b having various shapes on the surface. Further, these through holes 4a or cutouts 4b are filled by the pad members 5, respectively. A switch pusher 5a protru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art of each pad member 5 closing each through hole 4a or cutout 4b, and the other part of the pad member is generally a hard base. It is formed into a thinner film than (4). The key top 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each pad member 5 surface on which the switch pusher 5a is formed.

제 4 실시형태에서 키 유닛 (1) 의 키 패드 (3) 에 있어서, 패드부재 (5) 는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에 대응하는 키 패드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필름형부 (5c) 가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은 도 4 에서 밑에서부터 전체적으로 덮이게 된다. 필름형부 (5c) 는 그 두께가 경질베이스 (4) 보다 얇은 필름 상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경질베이스 (4) 는 각 관통구멍 (4a) 의 측벽/내부 테두리 벽에서뿐만 아니라 경질베이스 (4) 의 표면 (11) 에서도 패드부재 (5) 와 접합된다. 따라서, 서로 접합된 영역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시 더 크게 될 수 있다.In the key pad 3 of the key unit 1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pad member 5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key pa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portion 4b, so that the film-like portion 5c ) Is integrally formed. Thus,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is entirely covered from the bottom up in FIG. 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lm-like portion 5c is formed in a film state whos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at of the hard base 4. The hard base 4 is joined to the pad member 5 not only on the side wall / inner edge wall of each through hole 4a but also on the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Thus, the areas joined to each other can be made larger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키 유닛 (1) 이 도 1 내지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기기에 결합되는 경우, 유닛은 적절한 회로 기판 (8) 위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 (8) 위에는, 적당한 접점 패턴(도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음)이 형성되고, 금속 돔 (9) 이 그 접점 패턴을 덮도록 배치된다. 키 패드 (3) 의 스위치 누름돌기 (5a) 는 금속 돔 (9) 과 마주하면서 배치된다. 키 탑 (2) , 패드부재 (5) , 스위치 누름돌기 (5a) , 금속 돔 (9) 및 회로 기판 (8) 에 있는 접점 패턴은 키 스위치를 구성한다. 키 탑 (2) 이 눌러질때, 패드부재 (5) 는 휘게되고, 금속 돔 (9) 이 스위치 누름돌기 (5a) 를 통하여 변형되어, 회로 기판 (8) 상의 접점이 단락되어 대응하는 키 스위치가 켜지게 된다.When the key unit 1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s coupl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s shown in Figs. 1 to 4, the unit is disposed on a suitable circuit board 8. On the circuit board 8, a suitable contact pattern (not shown) is formed, and the metal dome 9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contact pattern. The switch pusher 5a of the keypad 3 is disposed facing the metal dome 9. The contact patterns on the key top 2, the pad member 5, the switch pusher 5a, the metal dome 9 and the circuit board 8 constitute a key switch. When the key top 2 is pressed, the pad member 5 is bent, and the metal dome 9 is deformed through the switch pusher 5a so that the contact on the circuit board 8 is shor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key switch is closed. It will turn 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는 상술한 두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관련이 있다. 관련된 도면은 도 1 내지 5 이다.Finally,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fth embodiment relates to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second problem. Related drawings are FIGS. 1-5.

본 실시형태는 경질베이스 (4) , 패드부재 (5) 및 키 탑 (2) 모두가 광투과성을 갖고 있고, 발광소자 등을 위한 복수의 광원 배치부 (4c) 가 키 탑 (2) 를 조명하기 위하여 경질베이스 (4) 의 관통구멍 (4a)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키 유닛 (1) 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광투과성 경질베이스 (4) 는 도광판으로도 기능하기 때문에, 키 유닛 (1) 위에 별도의 도광판을 둘 필요가 없는데, 이러한 구성은 키 유닛 (1) 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광원 배치부 (4c) 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4 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경질베이스 (4) 의 밑면에 배치되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가 삽입되는 구멍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키 유닛 (1) 에 적용되는 광원은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위한 점 광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계발광(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로 된 발광소자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rd base 4, the pad member 5, and the key top 2 all have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ions 4c f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or the like illuminate the key top 2. The key unit 1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4a of the hard base 4 in order to do so.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transmissive hard base 4 also functions as a light guide plate, it is not necessary to put a separate light guide plate on the key unit 1, which can contribute to the thinning of the key unit 1.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ight source arranging portion 4c may be a hole into which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disposed on the underside of the hard base 4 is inser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4. The light source applied to the key unit 1 is not limited to a point light source for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evice made of a surface light emitting body such as an electroluminescent (EL) device can also be used.

도 5 의 (A) 내지 도 5 의 (F) 는 EL소자가 키 탑 (2) 들을 각각 조명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예를 보여준다. 즉, 키 유닛 (1) 그 자체의 기본 구조는 상술한 광원으로서 LED등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키 유닛 (1) 에 적용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경질베이스 (4) 에 있는 구멍과 같은 광원 배치부 (4c) 를 형성하는 대신에, 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가 키 패드 (3) 에 적층된다. 표면 발광체 (7) 인 EL소자는 PET필름이나 PC필름과 같은 기판위에 발광층 및 전극 등으로 구성되는 EL소자를 형성하고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시트형 구조를 갖는 EL소자(구조는 이미 알려져 있어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이다(이후 "표면 발광체"는 "EL시트"라고 한다). EL시트 (7) 는 PET필름 또는 PC필름 등의 기판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와, 그 기판으로부터 벗겨내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EL소자는 무기EL 또는 유기EL이 될 수 있다. 또한, EL시트 (7) 의 발광색에는 어떤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각각의 키의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채색층을 배치하는 대신에 EL시트 (7) 를 부분적 또는 개별적으로 발광색을 변화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각각의 키를 소망하는 색으로 조광하는 것도 가능하다. 5A to 5F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EL element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key tops 2, respectively. That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key unit 1 itself is the same as using the LED lamp as the light source described above (an example applied to the key unit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stead of forming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ion 4c such as the hole in the hard base 4, a surface light emitting body such as an EL element is laminated on the keypad 3. The EL element which is the surface light-emitting body 7 is an EL element having a sheet-like structure formed by forming and laminating an EL element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de on a substrate such as a PET film or a PC film. (Hereinafter, "surface light emitting body" is referred to as "EL sheet"). The EL sheet 7 may be used together with a substrate such as a PET film or a PC film, or may be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The EL element can be an inorganic EL or an organic EL. In addi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emission color of the EL sheet 7. However, instead of arranging different color layer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each key, the EL sheet 7 is structured to change the emission color partially or individually, so that each key can be dimmed to a desired color.

도 5 의 (A) 와 도 5 의 (B)에 있어서, EL시트 (7) 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키 패드 (3) 에 부착된다. 도 5 의 (A) 에서 보듯이, EL시트 (7) (도면에서 굵은 파선으로 나타남. 가는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각 패드부재 뒤에 존재하여 단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는 도 5 의 나머지 그림에도 적용된다)는 키 패드 (3) 의 상면, 즉 패드부재 (5) 의 표면에 위치하여 있다.In FIGS. 5A and 5B, the EL sheet 7 is attached to the keypad 3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5A, the EL sheet 7 (indicated by a thick dashed line in the drawing. The part shown by a thin dashed line is present after each pad member to show a part not visible in the cross section.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3,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pad member 5.

도 5 의 (B) 는 EL시트 (7) 가 키 패드 (3) 의 하면, 즉 경질베이스 (4) 의 하면 (11) 에 위치되는 것을 보여준다.FIG. 5B shows that the EL sheet 7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3, that is, on the lower surface 11 of the hard base 4.

도 5 의 (C) 는 EL시트 (7) 가 키 패드 (3) 의 경질베이스 (4) 와 패드부재 (5)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 경질베이스 (4) 와 EL시트 (7) 를 성형몰드 안에 배치하고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키 패드 (3) 의 성형시에 주입하는 인서트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 EL시트 (7) 가 경질베이스 (4) 와 패드부재 (5) 사이에 끼워져 일체화된다.5C shows that the EL sheet 7 is positioned between the hard base 4 of the keypad 3 and the pad member 5. That is, the EL sheet 7 is formed by insert molding in which the hard base 4 and the EL sheet 7 are placed in a molding mold and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injected during molding of the keypad 3. It is integrated between the hard base 4 and the pad member 5 to be integrated.

도 5 의 (D) 는 EL시트 (7) 가 키 패드 (3) 의 패드부재 (5) 에 묻혀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경질베이스 (4) 와 EL시트 (7) 를 성형몰드 안에 배치하고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키 패드 (3) 의 성형시에 주입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EL시트 (7) 가 패드부재 (5) 에 묻히고 일체화된다.FIG. 5D shows a state where the EL sheet 7 is buried in the pad member 5 of the keypad 3. That is, the EL sheet 7 pads the pad member 5 by insert molding in which the hard base 4 and the EL sheet 7 are placed in a molding mold and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injected during the molding of the key pad 3. Buried in and unified.

도 5 의 (E) 는 EL시트 (7) 가 키 패드 (3) 의 경질베이스에 묻혀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우선 EL시트 (7) 를 성형몰드 안에 미리 배치하고 경질베이스 (4) 가 상술한 여러 종류의 경질수지로 성형될 때에 여러가지 종류의 수지를 주입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EL시트 (7) 가 경질베이스 (4) 에 묻히고 일체화된다.FIG. 5E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EL sheet 7 is buried in the hard base of the keypad 3. That is, first, the EL sheet 7 is hardened by insert molding in which the EL sheet 7 is previously placed in the molding mold and the various kinds of resins are injected when the hard base 4 is molded into the various types of hard resins described above. Buried in base 4 and integrated.

도 5 의 (F) 는 금속 돔 (9) 또는 접점 전극이 배치된 회로 기판 (8) 위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EL시트 (7) 가 부착되어 적층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 EL시트 (7) 는 가요성을 갖고 회로 기판 (8) 의 표면과 이 기판 위에 배치된 금속 돔 (9) 을 따라 부분적으로 휘게 된다.FIG. 5F shows that the EL sheet 7 is attached and laminated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on the metal dome 9 or the circuit board 8 on which the contact electrodes are disposed. In this case, the EL sheet 7 is flexible and partially curved along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 and the metal dome 9 disposed on the substrate.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발광체 (7) 가 키 탑 (2) 을 조명하는 광원으로 사용될 때, 발광면의 형상은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면은 다른 도광판을 사용함이 없이 조명이 요구되는 곳(예를 들면 키 탑 (2) 바로 아래)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고, 광원 그 자체는 얇은 시트 형상을 갖기 때문에, 경질베이스 (4) 에 구멍과 같은 광원 배치부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키 유닛 (1) 은 더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키 유닛 (1) 이 사용되는 전체 장치는 얇아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rface light emitter 7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key top 2,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can be arbitrarily formed.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surface can be arbitrarily disposed where illumination is required (for example just below the key top 2) without using another light guide plate, and since the light source itself has a thin sheet shape, the hard base 4 There is no need to arrange a light source arrangement such as a hole in the) and the key unit 1 can be made thinner. Therefore, the entire apparatus in which the key unit 1 is used can be thinned.

다음으로, 키 유닛 (1) 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키 유닛 (1) 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통구멍 (4a) 및/또는 절개부 (4b) 를 갖는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되는 경질베이스 (4) 가 우선 형성된다. 경질베이스 (4) 가 성형몰드에 배치된 후, 관통구멍의 내벽 및/또는 절개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질베이스보다 더 얇은 필름형부를 갖고, 또한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패드부재 (5) 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성형몰드 안에 삽입하여 경질베이스를 고정하고 형성한다. 또한, 스위치 누름돌기 (5a) 는 키 패드 (3) 를 구성하는 패드부재 (5) 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 나아가, 경질수지로 된 키 탑 (2) 은 패드부재 (5) 의 스위치 누름돌기 (5a) 와 대응하여 결합된다.Nex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 unit 1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rd base 4 composed of a rigi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such as a metal plate having a through hole 4a and / or a cutout 4b is provided. First is formed. After the hard base 4 is disposed in the molding mold, the pad member 5 has a thinner film-like portion than the hard bas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inner wall of the cutout, and is also made of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inserted into the molding mold to close and secure and form the hard base. The switch pusher 5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d member 5 constituting the keypad 3. Furthermore, the key top 2 made of hard resin is correspondingly engaged with the switch pusher 5a of the pad member 5.

상술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경질베이스 (4) 가 우선 별개의 요소로 형성된 다음, 성형몰드 안에 경질베이스 (4) 를 배치하고, 경질베이스 (4) 와 패드부재 (5) 를 결합하여 키 패드 (3) 를 형성하기 위해서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몰드에 주입되는 소위 말하는 인서트성형 공정이 적용된다. 이 경우,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 (4) 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패드부재 (5) 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경질베이스 (4) 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전처리가 바람직하게 선행하여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 hard base 4 is first formed as a separate element, and then the hard base 4 is placed in the molding mold, and the hard base 4 and the pad member 5 are joined to the keypad ( 3) The so-called insert molding process is applied in which a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s injected into the mold to form. In this case, for activating the surface of the hard base 4 so that the hard base 4 composed of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is firmly bonded to the pad member 5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Appropriate pretreatment is preferably done prior.

실시예 1 :Example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6 내지 8 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 이다. 도 6 은 본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 (3) 에 있는 경질베이스 (4) 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경질베이스 (4) 에는 다양한 형상의 관통구멍 (4a), 절개부 (4b), LED와 같은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광원 배치부 (4c) 가 제공되고, 두 개의 포지셔닝 홀(positioning hole)이 상측에 배치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rd base 4 in the keypad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llustrated hard base 4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a of various shapes, a cutout 4b, a light source arranging portion 4c in which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is arranged, and two positioning holes are provide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도 6 에서 도시된 경질베이스 (4) 에는 네 종류의 형상으로 된 관통구멍 (4a) 과 두 지점에 있는 절개부 (4b) 가 제공된다. 가장 상위 단에 있으면서 거의 장사방형인 큰 관통구멍은 하나의 다방향 키에 대응한다. 두 번째 단에서 서로 반대 쪽에 있는 짧은 사각형의 절개부 (4b) 는 오른쪽과 왼쪽에서 개방되어 있고 절개부 각각은 하나의 키에 대응한다. 두 번째 단에서 오른쪽과 왼쪽 절개부 (4b) 사이에 있는 중앙의 직사각형의 관통구멍은 두 개의 키에 대응한다. 세 번째 단에 있는 여섯 개의 타원형 관통구멍 (49) 은 각각 하나의 키에 대응한다. 가장 아래 단에 있는 큰 관통구멍 (4a) 은 여섯 개의 키를 수용한다. The hard base 4 shown in FIG. 6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a of four kinds of shapes and an incision 4b at two points. The large through hole, which is at the top end and is almost rectangular, corresponds to one multidirectional key. In the second stage, short rectangular cutouts 4b opposite each other are open on the right and left sides,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one key. In the second stage, the central rectangular through hole between the right and left incisions 4b corresponds to two keys. Six elliptical through-holes 49 in the third stage each correspond to one key. The large through hole 4a at the bottom end accommodates six keys.

도 7 은 패드부재 (5) 가 경질베이스 (4) 에 있는 각각의 관통구멍 (4a) 과 절개부 (4b) 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상태, 즉 경질베이스 (4) 와 패드부재 (5) 로 구성된 키 패드 (3) 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점선으로 빗금쳐진 부분은 패드부재 (5) 이다. 패드부재 (5) 의 평면상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작은 원은 뒷면에 형성된 스위치 누름돌기 (5a) 를 나타낸다.7 shows a state where the pad member 5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close each of the through holes 4a and the cutout 4b in the hard base 4, that is, the hard base 4 and the pad member 5.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keypad 3 composed of the same. In this figure, the part hatched by the dotted line is the pad member 5. The small circle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on the plane of the pad member 5 represents the switch pusher 5a formed on the back side.

도 8 의 (A) 는, 도 7 에서 보여진 키 패드 (3) 의 패드부재 (5) 의 면에 키 탑 (2) 이 장착되어 키 유닛이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 의 (B) 는 도 8 의 (A) 에 있는 단선 A-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 의 (C) 는 도 8 의 (A) 에 있는 단선 B-B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 은 패드부재 (5) , 스위치 누름돌기 (5a) 및 키 탑 (2) 이 각각 관통구멍 (4a) 와 절개부 (4b) 에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FIG. 8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top 2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ad member 5 of the keypad 3 shown in FIG. 7 and the key unit is completed. )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sconnection AA direction in FIG. 8A. (C) is sectional drawing seen from the disconnection line B-B direction in (A) of FIG. It should be noted that Fig.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d member 5, the switch pusher 5a and the key top 2 assembled in the through hole 4a and the cutout 4b,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키 유닛 (1) 에서 패드부재 (5) 는 ,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 (4) 의 표면에 있는 관통구멍 (4a) 과 절개부 (4b) 를 폐쇄하도록, 모든 관통구멍 (4a) 와 절개부 (4b) 에 형성된다. 키 유닛의 표면에 있는 키 탑 (2) 과 그 뒷면에 있는 스위치 누름돌기 (5a) 는 필요한 만큼 형성 또는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가 일련의 시트형 패드부재만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키 패드와 달리, 패드부재 (5) 는 모든 관통구멍 (4a) 과 절개부 (4b) 에 분산되어 위치하게 된다.In the key unit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member 5 has a through hole 4a in the surface of the hard base 4 composed of one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 And the cutouts 4b are formed in all the through holes 4a and cutouts 4b. The key top 2 on the surface of the key unit and the switch pusher 5a on the back thereof are formed or installed as necessary. Therefore, unlike the general keypad which consists entirely of a series of sheet-shaped pad members, the pad members 5 are distributed in all the through holes 4a and the cutout portions 4b.

따라서, 경질수지나 금속으로 된 프레임이 하나 혹은 수 개의 키 그룹을 둘러싸면서 형성되고, 아무런 키가 없는 키 패드 (3) 의 여유 부분은 경질베이스 (4) 의 표면으로 대체된다. 결과적으로, 전체 키 유닛 (1) 의 형상 안정성이 향상되고, 측방향으로의 키 탑 (2) 의 움직임이 제어된다. 따라서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기기에서 키가 눌러질 때 케이스의 키 윈도우 프레임 아래로 키 패드 (3) 가 함몰되는 단점이 방지된다.Thus, a frame made of hard resin or metal is formed surrounding one or several key groups, and the spare portion of the keypad 3 without any keys is replaced by the surface of the hard base 4. As a result, the shape stability of the entire key unit 1 is improved, and the movement of the key top 2 in the lateral direction is controlled. Therefore, the disadvantage that the key pad 3 is recessed under the key window frame of the case when a key is press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is prevented.

또한,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ED와 같은 발광소자가 광투과성을 갖는 경질베이스 (4) 의 두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경질베이스 (4) 를 통과하여, 관통구멍 (4a) 또는 절개부 (4b) 를 경유하여 광투과성을 갖는 패드부재로 가기 때문에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은 키 탑 (2) 의 뒷 면으로 확실하게 유도된다. 경질베이스 (4) 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광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도광판을 키 유닛 위에 둘 필요가 없게 되어 박형화가 실현된다.Also, as shown in Fig. 3,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ickness of the hard base 4 having light transparency.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through the hard base 4 and goes to the pad member having light transparency through the through hole 4a or the cutout 4b,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he key top 2 Is firmly guided to the back side. Since the hard base 4 functions as a light guide plate in this way, it is not necessary to put a separate light guide plate on a key unit, and thickness reduction is achieved.

또한, 도 5 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EL 시트 (7) 와 같은 표면 발광체 (7) 가 키 패드 (3) 에 광원으로서 적층될 수 있다. 표면 발광체 (7) 가 키 탑 (2) 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으로 사용될 때, 예를 들어 키 탑 바로 아래에서 키 탑 (2) 을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광원 그 자체는 얇은 시트처럼 되어 있기 때문에, 키 유닛 (1) 은 더 얇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surface light-emitting body 7 such as an EL sheet 7 can be laminated on the keypad 3 as a light source. When the surface illuminant 7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key top 2,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key top 2, for example just below the key top. In addition, since the light source itself is like a thin sheet, the key unit 1 can be made thinner.

실시예 2 :Example 2:

다음은 제 2 실시예로서, 경질베이스 (4) 와 패드부재 (5) 로 구성된 키 패드 (3) 를 포함하는 좁은 피치의 키 유닛 (1A)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실시예에 따른 좁은 피치의 키 유닛 (1A) 의 측면도이다. 도면상의 도면부호는 실시예 1 에서와 같다.Next, as a second embodiment, a narrow pitch key unit 1A including a keypad 3 composed of a hard base 4 and a pad member 5 will be described. 9 is a side view of the narrow pitch key unit 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1 의 키 유닛 (1) 에서, 키 패드 (3) 의 관통구멍 (4a) 의 연결 치수는 각 키 탑 (2) 의 치수보다 다소 크게 설정된다. 반면, 본 실시예의 키 유닛 (1A) 에서는, 반대로 상기 치수가 작게 설정되고, 관통구멍 (4a) 들 사이의 경계 부분(연결 부분)이 인접하는 키 탑 (2) 들 사이의 작은 간격 아래에 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방법으로 키 유닛이 배치된다.In the key unit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dimension of the through hole 4a of the keypad 3 is set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each key top 2. On the other hand, in the key unit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dimensions are set smaller, and the boundary portions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through holes 4a are located below the small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key tops 2. The key unit is arrang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 키 유닛 (1A) 에 있어서, 키 윈도우 프레임이 적용될 수 없는 상태일지라도 경질베이스 (4) 의 관통구멍 (4a) 에 의해 각각의 키의 움직임이 제어된다. 따라서, 키 탑 (2) 의 부상(floating)이 방지된다. 각각의 키의 움직임은 경질베이스 (4) 의 강성으로 인하여 서로 간에 분리되기 때문에, 키 간의 간섭이 방지된다.In the key unit 1A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e movement of each key is controlled by the through hole 4a of the hard base 4 even if the key window frame cannot be applied. Thus, floating of the key top 2 is prevented. Since the movement of each key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rigidity of the hard base 4, interference between the keys is prevented.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키 유닛은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 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되고, 면에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갖는 경질베이스와,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폐쇄하도록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패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키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재에는 스위치 누름돌기가 일체로 제공되고, 경질수지로 만들어진 키 탑이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키 유닛이다.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key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and includes a hard base having a through hole and / or a cutout in the face, a through hole of the hard base, and And / or a key pad formed by a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to close the incision, wherein the pad member is provided integrally with a switch pusher, and a key top made of hard resin corresponds to the switch pusher of the pad member. The key unit is arranged.

따라서 전체 키 유닛의 강성은 향상되고 키 탑의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어되기 때문에,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장치에서 키가 눌러질때 키 탑이 케이스의 키 윈도우 프레임 아래로 함몰되는 단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각각의 키의 움직임은 어떤 키 윈도우 프레임도 적용될 수 없는 좁은 피치의 키보드에서 서로간에 분리된다. 따라서, 키 탑의 부상 또는 키 사이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로봇 손에 의한 취급에 적합한 강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자동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igidity of the entire key unit is improved and the movement of the key top in the lateral direction is controlled, the disadvantage that the key top is recessed under the key window frame of the case when the key is pressed in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Can be. The movement of each key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a narrow pitch keyboard to which no key window frame can be applied. Thus, the injury of the key top or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keys is effectively prevented. Since rigidity suitable for handling by the robot hand is imparted, automatic assembly can be easily made.

또한, 경질베이스가 금속판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경질베이스는 접지부재로써도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유닛에 대전된 정전기는 경질베이스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고, 먼지등이 키 유닛에 대전된 정전기에 의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금속판은 변형에 매우 강하고 그로 인한 형상 안정성이 수지의 경우보다 더 높기 때문에, 관통구멍이나 절개부 등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만족할 만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키 유닛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hard base is formed of a metal plate, the hard base can also function as a grounding member. Thus, the static electricity charged in the key unit can be released through the hard base, and dust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dsorbed by the static electricity charged in the key unit. Furthermore, since the metal plate is very resistant to deformation and the resulting shape st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the cutout, or the like, and to obtain a key unit having satisfactory dimensional accuracy.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패드부재의 얇은 필름형부는, 경질베이스보다 얇은 필름형부가 관통구멍의 내벽 또는 절개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에 연결되어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폐쇄하고 경질베이스를 덮기 때문에, 경질베이스와 패드부재간의 결합부분이 넓어질 수 있고, 키 패드 또는 전체 키 유닛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thin film-shaped portion of the pad member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 portion where the film-shaped portion thinner than the hard base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or the inner wall of the cut-out, so that the through-hole and / or the incision of the hard base. Since the part is closed and the hard base is covered,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hard base and the pad member can be widened, and the durability of the keypad or the entire key unit can be improved.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에 있어서, 패드부재의 얇은 필름형부는 경질베이스의 한 면 또는 양쪽 면을 덮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경질베이스와 패드부재 사이의 결합부분이 청구범위 제 2 항에 따른 것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고, 키 패드 또는 전체 키 유닛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since the thin film-like portion of the pad member has a structure covering one or both sides of the hard base,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hard base and the pad member is according to claim 2. It can be set wider, and the durability of the keypad or the entire key unit can be improved.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에 있어서,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있고, 발광소자 등의 광원 배치부가 경질베이스의 관통 구멍 및/또는 절개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위치되기 때문에, 경질베이스는 일반적인 도광판의 역할을 수행하고, 키 유닛에 별도의 도광판을 두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키 유닛의 박형화가 실현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since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light-transmitting, and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ion such as a light emitting element is locat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cutout portion of the hard base, the hard base is It is unnecessary to serve as a general light guide plate and to provide a separate light guide plate in the key unit. Therefore, thinning of the key unit is realized.

청구범위 제 5 항의 발명에 있어서,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있고, 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가 키 패드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서 LED와 같은 발광소자가 광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키 유닛은 더 얇아질 수 있다. 키 유닛 근처에서 액정 표시부와 같은 다른 조명을 요구하는 부분을 갖는 장치에 적용함에 있어서, 키 유닛에는 EL 시트 등을 통하여 다른 조명이 요구되는 지점에 대한 광원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는 전체 장치의 제조 비용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since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have optical transparency, and a surface light emitting body such as an EL element is laminated on the keypad,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is used as the light source. The key unit can be thinner. In application to an apparatus having a portion requiring other illumination,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near the key unit, the key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ight source at a point where other illumination is required through an EL sheet or the like, which manufactures the entire apparatus. It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되는 키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를 갖고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판과 같은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를 먼저 형성하고, 성형몰드 안에 경질베이스를 배치한 후,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및/또는 절개부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패드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패드부재를 고정 및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몰드 안에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삽입하고, 키 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에 스위치 누름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며, 또한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여 경질수지제 키 탑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기기에서 키가 눌러질 때 키 탑이 케이스의 키 윈도우 프레임 아래로 함몰되는 단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키 유닛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이 제공된다. 키 탑의 부상 또는 키 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자동 조립이 쉽게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 unit consisting of the following steps, first forming a hard base composed of a plate having rigidity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having a through hole and / or a cutout And arranging the hard base in the molding mold, and then placing the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n the molding mold to fix and form the pad member such that the through hole and / or the incision of the hard base is closed by the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And inserting the switch pressing protrusions integrally with the pad member constituting the keypad, and also engaging the hard resin key top corresponding to the switch pressing protrusion of the pad member. Therefore,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fficiently making a key unit that effectively prevents the disadvantage that the key top is recessed under the key window frame of the case when a key is pressed in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Injuries of the key top or interference between the key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automatic assembly is easily achieved.

Claims (9)

경질수지판 또는 금속판과 같이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되며, 면에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를 갖는 경질베이스, 및 그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가 폐쇄되도록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패드부재로 형성되는 키 패드를 포함하고,It is composed of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and has a through hole, an incision or a through hole and an incision in the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an incision or a through hole and an incision of the hard base. A key pad formed of a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상기 패드부재에는 스위치 누름돌기가 일체로 제공되고, 경질수지로 이루어진 키 탑이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여 배치되고,The pad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witch pusher, and a key top made of hard resin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witch pusher of the pad member. 상기 패드부재는 경질베이스보다 더 얇은 필름형부가 상기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를 폐쇄하는 부위에 이어지고 상기 경질베이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The pad member is a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shaped portion thinner than the hard bas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the incision portion or the through hole and the portion of the incision portion of the hard base to cover the hard 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의 얇은 필름형부는 그 경질베이스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을 덮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film-like portion of the pad member covers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ard base.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발광소자 등의 광원 배치부가 상기 경질베이스의 관통 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4.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both light transmissive, and a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ion such as a light emitting element is locat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the cut portion or the through hole and the cut portion of the hard base. And a key unit.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전계발광(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가 그 키 패드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4. The key unit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light transmissive, and a surface light-emitting body such as an electroluminescent (EL) element is laminated on the keypad.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를 가지며 경질수지판이나 금속판과 같은 강성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경질베이스를 먼저 형성하는 단계,First forming a hard base composed of a through hole, an incision or a through hole and an incision, and having a rigid plate such as a hard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성형몰드 안에 경질베이스를 배치한 후, 그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패드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패드부재를 고정 및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몰드 안에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삽입하고, 키 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에 스위치 누름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After arranging the hard base in the molding mold, the rubber or in the molding mold to fix and form the pad member such that the through-hole, cut-out or through-hole and cut-out of the hard base are closed by a pad member made of rubber or thermoplastic elastomer. Insert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integrally forming a switch pusher on a pad member constituting a keypad; and 패드부재의 스위치 누름돌기와 대응하여 경질수지제 키 탑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Engaging the key top made of hard resi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witch pressing projection of the pad member, 상기 패드부재는 경질베이스보다 더 얇은 필름형부가 상기 경질베이스의 관통구멍, 절개부 또는 관통구멍 및 절개부를 폐쇄하는 부위에 이어지고 상기 경질베이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의 제조방법.The pad memb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like portion thinner than the hard base is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the incision or the through-hole and the part of the incision to close the hard bas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와 키 탑 모두 광투과성을 갖고, 전계발광(EL)소자와 같은 표면 발광체가 그 키 패드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 The key unit as set forth in claim 4, wherein both the keypad and the key top are light transmissive, and a surface light-emitting body such as an electroluminescent (EL) element is laminated on the keypad.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키 유닛은, 상기 관통구멍의 직경 치수가 상기 키 탑의 치수보다 작고,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경계 부분이 이웃하는 키 탑을 사이에 두는 간격의 아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좁은 피치의 키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The key unit has a narrow pitch key,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key-top, and arranged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through-hole corresponds to a distance below the adjacent key top. A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키 유닛은, 상기 관통구멍의 직경 치수가 상기 키 탑의 치수보다 작고,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경계 부분이 이웃하는 키 탑을 사이에 두는 간격의 아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좁은 피치의 키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유닛의 제조 방법.The key unit has a narrow pitch key,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key-top, and arranged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through-hole corresponds to a distance below the adjacent key top. It is a uni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key unit.
KR1020057023652A 2005-12-09 2003-06-10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80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3652A KR100880139B1 (en) 2005-12-09 2003-06-10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3652A KR100880139B1 (en) 2005-12-09 2003-06-10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68A KR20060037268A (en) 2006-05-03
KR100880139B1 true KR100880139B1 (en) 2009-01-23

Family

ID=3714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652A KR100880139B1 (en) 2005-12-09 2003-06-10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1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5U (en) * 1993-06-10 1995-01-10 ホシデン株式会社 Key top support structure and key switch
JPH078927U (en) * 1993-07-13 1995-02-07 しなのポリマー株式会社 Cover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JP2003007161A (en) * 2001-05-22 2003-01-10 You Eal Electronics Co Ltd Keypad for wireless tele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5U (en) * 1993-06-10 1995-01-10 ホシデン株式会社 Key top support structure and key switch
JPH078927U (en) * 1993-07-13 1995-02-07 しなのポリマー株式会社 Cover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JP2003007161A (en) * 2001-05-22 2003-01-10 You Eal Electronics Co Ltd Keypad for wireless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68A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392B1 (en) Key-pad and key-pad assembly using the same
US7250937B2 (en) Hard base key unit
EP2053621A1 (en) Key sheet, key unit having i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1283120B1 (en) Thin keypad assemblies and components for electronics devices and methods
EP1962314B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US7345250B2 (en) Keyboard with key suppor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s
US7655878B2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6861600B1 (en) Integrated switch and backlight assembly
US9142369B2 (en) Stack assembly for implementing keypa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090244905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nput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 having the same
KR100324786B1 (en) Light emitting type push-button switch
US20110226595A1 (en) Illumination type key sheet and push button switch
KR100880139B1 (en)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275169A (en) Keyboard switch
US11631552B2 (en) Keyswitch
KR100689391B1 (en) Keypad assembly
KR100744324B1 (en) Keypad and keypad assembly
KR100689393B1 (en) Key pad assembly
KR20070009495A (en) Keypad and keypad assembly
WO2004112069A1 (en) Ke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45672B2 (en) Waterproof switch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24897B1 (en) Keypad assembly
KR200367833Y1 (en) A keypad for cellular phone
KR20070021964A (en) Sheet switch, sheet switch module and panel switch
KR100807157B1 (en) Keyboard with key suppor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