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235B1 -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235B1
KR100879235B1 KR1020070045585A KR20070045585A KR100879235B1 KR 100879235 B1 KR100879235 B1 KR 100879235B1 KR 1020070045585 A KR1020070045585 A KR 1020070045585A KR 20070045585 A KR20070045585 A KR 20070045585A KR 100879235 B1 KR100879235 B1 KR 10087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emitting
space
light
mark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702A (ko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2007004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2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발광 광고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광고 문구에 해당하는 표식프레임 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부 내에 LED가 위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광 산란부재 없이 단순히 공기중의 산광효과를 통해 표식프레임 전체에 걸쳐 면 발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광산란부재를 통해 빛의 산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전체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작이 손쉬워 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무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면 발광 광고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PCB기판이 아닌 알루미늄재의 설치판을 통해 LED를 설치함과 동시에 설치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벽체등에 직접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방열효과 및 광고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면 발광 광고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광고판, LED, 광 산란, 산광, 면발광, 공기

Description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Face emitting light display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도 1 및 도 2 는 종래 광고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에서 빛의 산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표식프레임 상에 보조표출판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공간부내에 격벽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전체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9 는 베이스판 준비공정 중 베이스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절단공정 중 베이스판을 절단하여 표식프레임을 빼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공간부 형성공정 중 샌드블라스트 방식을 통해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 는 본 발명 중 제2실시예에 따른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3 은 본 발명 중 제3실시예에 따른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식프레임 12 : 공간부
14 : 광 표출면 16 : 개방부
20 : 설치판 30 : 발광부재
40 : 보조표출판 50 : 격벽
일반적으로 상점이나 회사, 각종 기관 등에서 그 상호나 판매상품등을 광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판은 설치장소에 따라 입간판, 돌출간판, 벽면간판, 옥상간판 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야간에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발광부재가 내장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사용되는 발광부재는 네온사인이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그 중 네온사인은 휘도가 높아 식별효율이 좋은 장점은 있으나, 설치 시 간판의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가 많고 자체발열이 심해 안전사 고의 우려도 있다.
그리고 형광등은 간판 내에 설치되어 파손의 우려는 적으나, 휘도가 낮고 사용수명이 길지않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전기소비량이 적고 사용수명이 길며 관리가 용이한 LED를 발광부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LED를 이용한 간판은 간판 문양을 따라 LED를 배치하여 해당 문양이 부각되도록 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종래 발광 간판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물의 글씨나 모양을 나타내는 광고 프레임(1)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바닥에는 LED(2)가 배치되고, 공간부 내에 아크릴이나 에폭시수지층(3)를 충전되며 상부면에 광 표출면(4)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를 갖는 종래 광고프레임의 제작과정은,
평판형태의 아크릴 판을 제작하는 단계와,
원하는 광고문구나 형상을 따라 아크릴 판을 절개하는 단계,
절개된 아크릴판을 가공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형성된 공간부 내면에 에폭시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공간부의 바닥면에 PCB기판 및 LED를 배치하는 단계.
공간부 내에 아크릴이나 에폭시수지를 충진시키는 단계,
충진된 수지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광고프레임은 공간부에 수지층(3)이 충진됨에 따라 완전한 방수 효과 등을 얻을 수는 있으나, 공간부 전체에 걸쳐 충진되기 때문에 프레임(1))의 무게가 상당히 증가된다.
또한 LED(2)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까지도 수지층(3)이 충진됨으로 재료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에서 수지층(3)의 완전한 경화를 위해서는 약 10~24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과정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수지층(3)은 재질의 특성상 경화과정에서 수축이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프레임(1) 표면까지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2)를 감싼 상태에서 경화되기 때문에 LED(2)의 파손 및 전선의 단락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그리고 수지층(3)이 LED(2)를 감싸게 되므로 LED(2)의 방열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어 LED(2)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LED(2)는 빛의 방출각도가 작은 단점이 있는데, 수지층(3)을 통해 빛이 산란되더라도 외부에서 LED(2)의 발광 초점이 육안으로 인식되는 현상, 즉 도트(Dot)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봤을 때 프레임 전체적으로 면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광고효과가 저하됨은 물론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기존 광고프레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개선된 제안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0076904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 면 발광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광고프레임에 해당하는 형틀(5) 내에 공간부(6)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부(6) 측벽에 빛의 산란을 위한 산란층(7)을 형성시킨 후 형틀(5) 상단에 분산층(8)과 광 표출층(9)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 후 공간부(6) 바닥에 LED(2)가 구비된 PCB(2a)기판을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앞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공간부(6)를 비워둠에 따라 LED(2)로부터 발산된 빛이 공간부(6) 내의 공기층과 측벽에 구비된 산란층(7)에 의해 산란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공간부(6) 내부에 수지층을 충진시키지 않음에 따라 수지층에 의한 무게증가, 방열저하, LED유지보수불가능, 제작공정 증가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빛이 공간부(6) 내에서 공기층과 산란층(7)에 의해 산란된 상태로 외부로 표출되기 때문에 앞에서 발생된 도트현상이 방지되어, 외부에서 봤을 때 형틀 전체적으로 면 발광이 이루어져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이러한 장점 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최초 설명한 종래기술에 비해 제작공정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내부에 우레탄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산란층(7)과 분산층(8)이 구비되므로, 이러한 산란층(7) 및 분산층(8)의 도포공정 및 건조공정을 별도로 거쳐야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의 번거로움 및 공정시간이 긴 문제점은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공간부(6) 내의 공기층만으로도 면 발광을 위한 빛의 산란이 충분히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한 바, 상기 종래기술처럼 별도로 산란층(7)을 구비하는 것은 재료의 낭비로 인한 제품의 단가 상승뿐만 아니라 제품의 무게 또한 불필요하게 무겁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더불어 형틀(5)의 두께가 얇게 제작될 경우 산란층을 비롯한 공기층의 면적도 줄어들 수밖에 없어, 원하는 수준의 산광이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표식프레임의 내부구조를 단순화 하여 공기층만으로도 충분한 빛의 산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면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면 발광 광고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산광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고 제작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도 최소화 할 수 있는 면 발광 광고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표식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더라도 산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면 발광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표식프레임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통해 빛의 산란이 배가되어 면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면 발광 광고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 면 발광 광고프레임은,
전면에는 광 표출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표식프레임과,
상기 표식프레임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밀폐시키고 상부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되어 표식프레임과의 결합 시 발광부재가 공간부 내에 외치되며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설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방출된 빛이 공간부내의 공기층를 지나는 과정에서 산광되어 광 표출면을 통해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표출면 상에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보조 표출판이 더 구비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면 발광 광고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은,
표식프레임 준비단계와,
준비된 표식프레임 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공간부 형성단계와,
형성된 공간부 입구에 LED가 구비된 설치판을 설치하는 설치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표식프레임 상에 유색의 보조표출판을 더 구비시키는 단계 및 공간부 내에 격벽을 구비시켜 공기층을 2중으로 형성시키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또 다 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면 발광 광고프레임(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표식프레임(10)과, 설치판(20) 및 발광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표식프레임(10)은 실질적인 광고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형틀로, 도면에서는 단순히 사각박스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특정 광고문구 및 도안의 형상을 띤다.
이러한 표식프레임(10)은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한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부면은 후술하는 발광부재(30)부터 발산된 빛이 외부로 표출되는 광표출면(14)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12)의 바닥면은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6)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16)를 통해 공간부(12)가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표식프레임(10)은 일반적인 광고판에 사용되는 아크릴(acrylic)재를 사용하되 전체적으로 투명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광표출면(14) 또한 표식프레임(10)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재질로 동시에 제작된다. 즉 광표출면(14)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표식프레임(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 표출면(14)의 바닥면, 즉 공간부의 천정에 해당하는 면과 공간부의 각 측벽 상에는 미세한 요철부(14a)가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4a)는 임의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표식프레임(10)에 공간부(12)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가공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식프레임(10)의 재질은 아크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등으로 대체하거나 은은한 미감을 표출할 수 있도록 옥돌(玉石)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표식프레임(10)에 형성된 공간부(12)의 면적은 최대한 많이 확보되도록 하여 빛이 산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개방부(16)의 테두리면에는 단턱부(17)를 형성시켜 후술하는 설치판(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개방부(16)의 단턱부(17)에 결합되는 설치판(20)은 공간부(1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발광부재(30) 설치를 위한 것으로,
개방부(16)의 형상을 따라 판재형태로 제작되고, 개방부(16)에 설치되었을 때 일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설치판(20)은 알루미늄(aluminium)과 같이 비교적 방열효과가 높은 금속재를 사용하여 LED로부터 발산된 열을 원활하게 방출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판(20)의 두께는 단턱부(17)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하여 설치판(20)이 표식프레임(10)에 결합되었을 때 표식프레임(10)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20)과 표식프레임(10)의 결합은 단순 억지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볼트나 실리콘등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설치판(20)의 상부면에는 발광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발광부재(30)는 일반적인 LED를 사용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광고판의 발광에 사용되는 기타 형태의 발광부재로 적용하여도 무관하다.
발광부재(30)를 LED로 사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빛의 방출각이 넓은 파워 LED를 사용하여 도트현상을 최소화 할 수도 있으나, 어짜피 공간부 내의 공기층에 의해 산란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일반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구형 LED가 아닌 칩형 LED를 사용함에 따라 LED와 광 표출면(14)과의 거리를 최대화 하여 빛의 산란시간을 최대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판(20)상에 설치된 각 발광부재(3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인가 시 동시 또는 일정 패턴을 따라 개별적으로 발광가능 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판(20)이 구비된 표식프레임(10)을 설치할 때에는 설치판(20)중 외부로 노출된 면이 건물의 벽체(W)에 직접 맞닿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표식프레임(10)이 벽체(W)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각 발광부재(30)로부터 빛이 발산된다.
이렇게 발광부재(30)로부터 발산된 빛은 공간부(12)내의 공기층을 지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공기내의 산소, 질소 및 기타 이물질의 입자등과 충돌하여 산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공기층에 의해 빛이 산란된 상태로 광 표출면(14)에 조사됨에 따라 광 표출면(14) 전체면적에 걸쳐 면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산란에 의해 도트현상 또한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더불어 발광부재(30)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공간부(12)의 측벽과 광표출면(14) 상에 형성된 요철부(14a)에 의해 다시 사방으로 산란될 뿐만 아니라, 공간부(12) 또한 공기와 표식프레임(10)의 재질차이, 즉 입자의 밀도차이 때문에 공기층에서 산란된 빛은 광 표출면(14)에 조사됨과 동시에 한번 더 분산됨으로 산란효과가 배가 된다.
즉 공기층, 요철부, 광표출면을 통해 3차례에 걸쳐 산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칩형태의 LED를 사용하여 광 표출면(14)과 LED간의 간극을 최대화 함에 따라 공기층 내에서의 산란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LED자체 발열은 알루미늄재인 설치판(20)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열은 설치판(20)자체에서 전도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통해 방출됨에 따라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부 내에 불필요하게 별도로 산란층을 구비시키지 않더라도 공기층만을 통해 빛의 산란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고,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 또한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간부의 가공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빛의 산란이 재차 이루어져 면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더불어 별도의 PCB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방열효과가 높은 재질의 설치판(20)을 통해 발광부재(30)를 설치함에 따라 발광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되, 표식프레임(10)의 상면, 즉 광표출면(14)상에 별도의 보조표출판(40)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표출판(40)은 유색을 통해 광고 프레임의 심미감을 더욱 부가하여 광고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명한 표식프레임(10)과는 달리 특정 색을 보유한 판재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표출판(40)은 표식프레임(10)과 같은 아크릴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일반적인 광고판에 사용되는 플렉스천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스천은 폴리염화비닐 내부에 폴리에스터(Polyester)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써, 얇은 원단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그 표면에는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어,내구성이 뛰어나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으며 빛의 투과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 다.
이러한 유색(有色)의 보조표출판(40)을 더 부가함에 따라 광 표출면(14)을 통과한 빛이 보조표출판(40)의 특정 색깔을 더욱 부가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보조표출판(40)에 조사되는 과정에서 빛이 다시한번 분산됨에 따라 보다 높은 면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만일 상기 표식프레임(10)자체를 투명이 아닌 유색으로 제작할 때에는 반대로 보조표출판(40)을 투명으로 제작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표식프레임(10)을 투명으로 제작한 후 표식프레임(10)의 측면을 통해 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식프레임(10) 측면 상에 별도로 블랙페인트 등을 통해 암막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두 실시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구성은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하나 공간부(12)내에 별도의 격벽(50)을 설치하여 격벽(50)을 기준으로 공간부(12)가 위 아래로 구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40)은 표식프레임(10)과 같은 아크릴 재를 사용하거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된 얇은 필름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공간부(12)의 측벽에는 홈이나 단턱 형태의 설치부(18)를 형성시켜 격벽(50)이 표식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격벽(50)을 더 부가함에 따라 빛의 산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데,
즉 LED로부터 발산된 빛은 격벽(50) 아래에 형성된 제1공간부(12a)를 지나면 서 1차 산란되고 격벽(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분산되며, 다시 제2공간부(12b)를 지나면서 2차 산란된 후 광 표출면(14)과 보조표출면(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시 분산되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격벽(5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앞에서 언급된 요철부를 형성시킨 다면 보다 높은 산란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표출면(40)은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일 표식프레임(10)의 높이를 낮게 형성시킬 경우 내부의 공간부(12)도 줄어들기 때문에 산란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격벽(50)을 통해 여러번 빛의 산란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광 표출면(14)에서 최종적으로 표출되는 발광효과는 저하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격벽(50)을 동일선상에서 복수개로 설치할 경우에는 표식프레임의 높이를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빛의 높은 산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 광 발광 광고프레임(100)의 제작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표식프레임 준비단계(S100)와 표식프레임 공간부형성단계(S200), 설치판 설치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식프레임 준비단계(S100)는 다시 표식프레임의 베이스판재 준비단계(S100-1)와 베이스판재 절단단계(S100-2)로 나누어진다.
상기 표식프레임의 베이스판재 준비단계(S100-1)는 표식프레임으로 사용할 가공 전의 기본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로, 사용될 베이스판재(10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는 단순 판재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아크릴을 포함한 기타 합성수지재 및 옥돌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준비된 베이스판재(10a)는 베이스판재 절단단계(S100-2)를 통해 가공되는데, 상기 베이스판재 절단단계(S100-2)는 [도 10]와 같이 사용될 광고문구나 형상을 따라 베이스판재(10a)를 절단하여 특정형상의 표식프레임(10)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베이스판재(10a)의 절단은 사용된 재질에 따라 다르게 실시되는데 일반적인 프레스나, 레이저커팅 또는 와이어컷팅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단가공을 통해 특정형상의 표식프레임(10)이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된 표식프레임(10)은 내부에 공간부(12)를 형성하는 공간부 형성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공간부 형성단계(S200)는 별도의 가공기를 통해 표식프레임(10) 내부를 파내어 홈 형태의 공간부(12)를 형성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가공기 또한 표식프레임(10)의 재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아크릴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일반 자동수치제어 장치(computer numerical control ; CNC)를 통해 이루어지고, 옥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샌드블라스트(sand blast)장치(60)를 통해 별도의 연마재를 표면에 분사하여 깍아내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공간부(12)의 천정 및 측벽 면에는 연마재와의 충돌로 인해 미세하고 불규칙한 형태의 요철부(14a)가 형성된다. 이렇게 가공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요철부(14a)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빛의 산란효과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공간부(12)가 형성됨에 따라 표식프레임(10)의 바닥면에는 개방부(16)가 형성되어 개방부(16)를 통해 공간부(12)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가 된다.
이렇게 공간부형성단계(S200)가 완료되면 설치판 설치단계(S300)를 거치는데,
상기 설치판 설치단계(S300)는 다시 [도 3]과 같이 개방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알루미늄 판재형태의 설치판(20)을 개방부(16)에 설치하여 공간부(12)를 밀폐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설치판(20) 상에는 발광부재(30), 즉 LED가 구비되되 상기 LED는 칩형을 사용하여 LED와 광 표출면(14) 간의 간극을 최대화함에 따라 공간부(12) 내에서 빛의 산란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판 설치공정(S300)까지 거치게 되면 [도 1]과 같은 면 발광 광고프레임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작방법은 표식프레임 준비단계(S100), 공간부 형성단계(S200), 설치판 형성단계(S300)로 3단계만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 즉 형틀 준비단계, 공간부 형성단계, 산란층 형성단계, 산란층 건조단계, LED 및 PCB설치단계, 이상 5단계이상을 거쳐야는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제작공정의 복작함, 제작공정의 지연, 산란층 구현에 의한 재료낭비, 무게상승, 단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공간부 벽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공기층에서 최초 산란된 빛이 재차 산란되어 산란효과가 배가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표식프레임(10)의 광 표출면(14) 상에, 앞에서 설명한 보조표출판(40)을 더 구비시켜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보조표출판의 준비단계 및 보조표출판과 표식프레임과의 접합공정을 실시한다.
이때 보조표출판의 준비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표식프레임의 각 준비단계(S100-1)(S100-2)와 동시에 실시된다.
즉 표식프레임의 베이스판재 준비단계(S100-1)에서 보조표출판(40)의 베이스판재도 함께 준비하고,
표식프레임의 절단단계(S100-2)과정에서 보조표출판(40)의 절단도 함께 실시한다.
이때 보조표출판(40)은 미리 절단된 표식프레임(10)이 올려진 상태에서 표식프레임(10)의 외곽선을 따라 절단되어 표식프레임(10) 상면의 형상 및 면적과 동일하게 절단된다.
물론 표식프레임을 절단하기 이전에 보조표출판(40)과 표식프레임(10)의 각 베이스판재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해당 형상으로 동시에 절단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보조표출판의 절단단계는 표식프레임의 공간부형성단계(S200)이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즉 공간부만을 형성시킨 상태 또는 설치판까지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보조표출판(40)이 더 구비될 경우에는 절단된 보조표출판(40)을 표식프레임(10)에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접합공정(S100-3)이 더 추가되는데,
상기 접합공정(S100-3)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부재로는 일반적인 본딩접착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접착부위가 매끄럽게 형성되지 못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접착부위가 매끄럽게 형성되는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공정(S100-3)을 좀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부재를 보조표출판(40)이나 표식프레임(10) 상에 도포한 후 서로 맞닿도록 하여 프레스등으로 일정시간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합공정(S100-3)은 상기와 같이 절단단계(S100-2)후 실시할 수도 있으나 절단단계(S100-2)이전에 실시하여 각 베이스판재를 먼저 상호 접합시킨 상태에서 보조표출판(40)과 표식프레임(10)을 동시에 절단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공간부 형성단계(S200) 직후나 설치판 설치단계(S300)까지 거친 후 실시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공간부 형성단계(S200) 직후 격벽설치단계(S4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50)의 설치를 위해서는 공간부 형성단계(S200) 과정에서 공간부(12) 측벽에 설치부(18)를 형성시키는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이 표식프레임의 공간부 내에 별도의 빛 산란부재를 구비시키지 않고 공간부 내의 공기층 만으로 발광부재의 빛이 살란 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작이 쉽고 제작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란부재에 의한 재료 낭비 방지 및 무게경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 발광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은,
먼저 표식프레임내에 별도의 산란층을 형성시키지 않고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공간부 내의 공기층을 지나는 과정에서 산란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산란층이 형성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 및 제작공정이 간소화 되고 제품의 무게 및 단가 상승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를 통해서도 도트현상 없이 기존과 동일한 면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격벽을 통해 공간부를 구획함에 따라 여러단계에 걸쳐 빛의 산란 및 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식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키더라도 적정수준의 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공간부 벽면에 요철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요철부를 통해 빛의 산란이 더욱 증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열효과가 높은 금속 설치판으로 PCB기판을 대체함에 따라 공간부 내의 열을 손쉽게 방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일정형상을 띠고, 전면에는 광 표출면이 측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광 표출면의 내부면과 각 측벽면의 내부면에 요철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표식프레임과,
    상기 표식프레임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밀폐시키고 상부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되어 표식프레임과의 결합 시 발광부재가 공간부 내에 외치되며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설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방출된 빛이 공간부 내의 공기층을 지나는 과정에서 산광되어 광 표출면을 통해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광고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프레임은 전체적으로 투명하되 광 표출면 상에는 별도로 유색의 보조표출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광고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프레임을 투명으로 제작하되 표식프레임 측벽면상에 별도로 암막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광고프레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별도의 격벽이 설치되어 공간부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복수개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광고프레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45585A 2007-05-10 2007-05-10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KR10087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85A KR100879235B1 (ko) 2007-05-10 2007-05-10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85A KR100879235B1 (ko) 2007-05-10 2007-05-10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02A KR20080099702A (ko) 2008-11-13
KR100879235B1 true KR100879235B1 (ko) 2009-01-20

Family

ID=4028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585A KR100879235B1 (ko) 2007-05-10 2007-05-10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75A (ko) * 2000-06-01 2001-12-08 방필기 발광소자 모듈을 이용한 조명간판
KR20020029057A (ko) * 2002-04-03 2002-04-17 김재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20040000603A (ko) * 2002-06-21 2004-01-07 김기수 도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면광원장치
KR200400072Y1 (ko) * 2005-08-22 2005-11-01 손동목 면발광 채널간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75A (ko) * 2000-06-01 2001-12-08 방필기 발광소자 모듈을 이용한 조명간판
KR20020029057A (ko) * 2002-04-03 2002-04-17 김재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20040000603A (ko) * 2002-06-21 2004-01-07 김기수 도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면광원장치
KR200400072Y1 (ko) * 2005-08-22 2005-11-01 손동목 면발광 채널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02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914B1 (ko)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US6591527B2 (en) Indoor/outdoor advertis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10021110A1 (en) Reflec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flector, and internal-lighting display device
CN101488304A (zh) 广告看板
CN101388163A (zh) 广告看板
JP2004062139A (ja) ライトガイド
JP4122964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US20040246203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US7357551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microlight sources and soft light panel
KR101186454B1 (ko) 입체 간판용 광확산 3면 구조체
KR100789851B1 (ko)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KR20110057441A (ko)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이 결합되는 광고패널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9235B1 (ko) 면 발광용 광고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KR200449250Y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KR102130164B1 (ko) 고효율, 고시인성을 갖는 led 면조명 교통신호등
KR20050041659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194518A (ja) 表示装置及びチャンネル文字装置
KR101945860B1 (ko) 발광형 광고장치
KR101026412B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CN207302540U (zh) 一种扫砂机的导光板固定结构
KR101247038B1 (ko) 간판용 입체 문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99001B1 (ko) Led간판
CN2912371Y (zh) 面光源系列广告座椅
KR101350814B1 (ko) 간판용 엘이디 조명 입체 문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