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744B1 -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744B1
KR100878744B1 KR1020070054790A KR20070054790A KR100878744B1 KR 100878744 B1 KR100878744 B1 KR 100878744B1 KR 1020070054790 A KR1020070054790 A KR 1020070054790A KR 20070054790 A KR20070054790 A KR 20070054790A KR 100878744 B1 KR100878744 B1 KR 10087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code
rechargeable
safe deposit
holder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7022A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금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to KR102007005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744B1/en
Publication of KR2008010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여금고실내에 배치된 키오스크에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에서 인증을 받을 경우에만 대여금고를 열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대여금고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여금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holder in which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detachably inserted into a kiosk disposed in the safe deposit box,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safe deposit box only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at the kios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use a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a separate safe deposit ke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unit which is communicatively mounted on the top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a safe deposit box in which a door is unlock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대여금고, 홀더부, 충전식 전자키, 전자락장치, 키오스크, 휴대,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  Safe deposit box, holder part, rechargeable electronic key, electronic lock device, kiosk, portabl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Description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키오스크에 장착되는 홀더부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lder portion mounted to the kiosk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충전식 전자키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대여금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전자락장치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lock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오스크 12 : 키홈10: kiosk 12: keyway

14 : 제1락킹장치 16 : 제어 PC14: first locking device 16: control PC

18 :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 first microcontroller unit

19 : DC/DC 컨버터 20 : 배터리 충전기19: DC / DC converter 20: battery charger

22 : 제1신호 프로세서 24 : 제1파워 콤바이너22: first signal processor 24: first power combiner

26 : 제어블럭체 28 : 키 부분26: control block 28: key portion

30 : 배터리 32 :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30: battery 32: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4 : 제2신호 프로세서 36 : 제2파워 콤바이너34: second signal processor 36: second power combiner

38 : 대여금고의 도어 40 : 제2락킹장치38: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40: the second locking device

42 : 시큐리티 칩 44 :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2: security chip 44: third microcontroller unit

46 : 제3신호 프로세서 48 :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6: third signal processor 48: solenoid controller

50 : PWM 컨트롤러 52 : 파워 스프리터50: PWM controller 52: power splitter

100 : 홀더(Holder)부 200 : 충전식 전자키(Fitter Key)100: Holder 200: Rechargeable Electronic Key

300 : 전자락 장치300: electronic lock device

본 발명은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여금고실내에 배치된 키오스크에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에서 인증을 받을 경우에만 대여금고를 열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대여금고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여금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holder in which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detachably inserted into a kiosk disposed in the safe deposit box,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safe deposit box only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at the kios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use a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a separate safe deposit key.

일반적으로, 대여금고란 금융기관이 금고의 일부를 대여하는 보호예수의 한 형태이며 고객에 대한 서비스중 하나로서, 대여금고 안에 설치된 보호함에 유가증권, 귀중품, 중요서류 등의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말한다.In general, a safe deposit box is a form of protection for which a financial institution lends a part of a safe and is a service to a customer, and means a means of storing securities, valuables, and important documents in a safe box installed in the safe deposit box. .

대개, 대여금고는 금고실 한쪽 벽면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수개가 적층 부착된 타입이 대부분이며, 각 낱개의 대여금고마다 전면에는 도어가 부착되고 있고, 이 도어에는 키홈을 포함하는 기계식 락킹뭉치가 장착되어 있다.In general, most of the safe deposit boxes are stacked on the wall of one side of the vault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oors are attached to the front of each safe deposit box, and the doors are equipped with a mechanical locking bundle including keyways. It is.

보통의 대여금고 운용 시스템은 금고실 입구에 배치된 타워형 키오스크(Kiosk)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절차를 거친 다음, 본인임이 확인되는 경우 금고실로 들어가 해당 대여금고의 도어 락킹장치를 키를 이용하여 해제한 후, 해당 대여금고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safe deposit box operating system goes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to prove the identity at the tower kiosk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safe room, and when it is confirmed, enter the safe room and release the door lock device of the safe using the key. After that, the process of using the loan safe.

상기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과 웹카메라가 상부패널면에 부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제어용 PC가 내장되어 있는 타워형 타입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 절차(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식 방법 등)를 수행하는 일종의 인증용 제어기기이다.The kiosk is a tower type with a touch screen and a web camera attached to the upper panel surface, and a control PC is built into the inside of the kiosk, and an authentication procedure (password or biometric method, etc.) for authenticating the user using the touch screen. It is a kind of authentication controller that performs).

한편, 대여금고의 도어 락킹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키는 금고관리자가 하나를 보관하고, 나머지 하나는 사용자가 휴대를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key for releasing the door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is kept by the safe administrator, the other one is carried by the user.

이렇게 대여금고를 이용하기 위한 키를 사용자가 휴대하다보면 분실의 우려가 있고, 또한 정작 대여금고를 이용하려고 할 때 키를 집에 두고 오는 등의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When the user carries a key for using the safe deposit box, the user may lose it. Also,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afe deposit box, the user may see a failure such as leaving the key at home.

특히, 대여금고를 이용하기 위한 키를 분실한 경우에는 해당 금고 관리자에 신고하여 새롭게 신분확인 등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 을 겪을 수 밖에 없다.In particular, if you lose the key to use the safe deposit box, you must report it to the vault manager and go through a new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identification, which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장착되는 홀더부와, 이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신호 교환 가능하게 삽입 보관되는 충전식 전자키와, 대여금고의 도어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전자락장치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 절차를 거치는 경우에만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되도록 하고, 이 분리된 충전식 전자키에 의하여 전자락장치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대여금고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여금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holder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anel of the kiosk, the chargeable electronic key is inserted and stored so that the holder can be charged and encrypted signal exchange,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By configuring an electronic lock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detached only when the user goes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to prove himself / herself at the kiosk, and the electronic lock device is released by the separated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use a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a separate safe deposit box ke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der unit which is communicatively mounted on the upper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communicable with the control PC of the kiosk;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a safe deposit box in which a door is unlock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홀더부는 키오스크로부터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 발생된 암호코드를 제어PC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CU)와; 상기 충전식 전자키를 평상시에 잠금시키고, 상기 암호코드가 저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의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충전식 전자키의 분리를 위해 해제되는 제1락킹장치와; 상기 제어P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 충전기와; 상기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1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파워와 상기 신호 프로세서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1파워 콤바이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lder unit includes a first micro controller unit (MCU)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encryption code generat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from the kiosk to verify the identity from the control PC; A first locking device which lock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t ordinary times and is released for separation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only when a signal of the microcontroller unit storing the encryption code is received; A battery charger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ontrol PC; A first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first micro controller unit; And a first power combin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the power of the battery charger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충전식 전자키는 상기 홀더부의 제1파워콤바이너와 신호 교환 가능한 제어블럭체와, 이 제어블럭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홀더부의 제1락킹장치의 키홈에 실제 삽입되는 키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블럭체에는 상기 홀더부의 제1파워 콤바이너로부터 파워를 받아 충전되는 배터리와; 및 암호코드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하는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 상기 제2마이크로 컨트롤로 유니트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2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배터리의 파워와 상기 제2신호 프로세서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2파워 콤바이너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a control block body capable of exchanging a signal with a first power combiner of the holder part, and a key part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ontrol block body and actually inserted into a key groove of the first locking device of the holder part. The control block body includes a battery that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of the holder; And a second micro controll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encryption code signal; A second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unit with the second micro control; And a second power combiner for combining and outputting the battery power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or.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전자락장치는 대여금고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제2락킹장치와; 사용자의 암호코드가 미리 저장된 시큐리티 칩과;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암호코드를 수신하여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에 저장시키는 제3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 이너로부터의 암호코드와, 상기 시큐리티 칩에 미리 저장된 암호코드간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 암호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락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컨트롤러와; 상기 솔레노이드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PWM 컨트롤러와;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파워를 공급받아 상기 제3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 제3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PWM 컨트롤러에 파워를 분할 배분하는 파워 스프리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onic lock device includes a second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A security chip in which a user's encryption code is stored in advance; A third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 encryption code from a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storing the encryption code in a third micro controller unit; A third micro controller unit for comparing the encryption code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with the encryp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chip; A solenoid controller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a third micro controller unit to unlock the second locking device when the encryption codes match; A PWM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solenoid controller; And a power splitte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divides and distributes power to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the third signal processor, and the PWM controller.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홀더부의 키홈으로부터 충전식 전자키가 빼내어진 다음, 일정시간(대여금고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나도록 충전식 전자키가 재삽입되지 않으면, 키오스크 또는 홀더부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removed from the key groove of the holder, and the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not reinser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time when the loan safe can be used sufficiently), the speaker embedded in the kiosk or the hold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roug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그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대여금고의 이용을 위한 키를 휴대하지 않고 대여금고실의 입구에 마련된 키오스크의 홀더부에 항시 삽입 보관하여,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홀더부에서 키의 분리가 이루어져 대여금고의 이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키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과 분실에 따른 번거로움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inserted and stored in the holder portion of the kiosk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the key for the use of the safe deposit box, the key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to prove that the use of the safe deposit box. By making it possible, the main point i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carrying the key and the hassle caused by los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대여금고실의 입구에 배치된 키오스크의 터치스크린 또는 생체인식기 등을 이용하여 본인임을 인증하는 절차를 거친다(단계 100).The user goes through a procedure of authenticating himself / herself using a touch screen or biometric reader of the kiosk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safe deposit box (step 100).

다음으로, 본인임이 증명되는 경우 키오스크의 제어PC에서 홀더부에 암호코드를 전송하고, 이 홀더부에서 충전식 전자키에 암호코드를 입력 저장시키는 동시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단계 200).Next, if the identity is proved, the control PC of the kiosk transmits the encryption code to the holder, and at the same time to store and input the encryption code to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n the holder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step 200).

이어서, 상기 키오스크의 홀더부에서 충전식 전자키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충전식 전자키를 홀더부로부터 빼낸다(단계 300).Subsequently, the locked state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released from the holder of the kiosk, and the user remove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step 300).

연이어, 사용자가 충전식 전자키를 본인의 대여금고쪽으로 가지고 가서, 충전식 전자키를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에 마련된 키홈에 삽입한다(단계 400).Subsequently, the user take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to his / her safe deposit box and insert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nto the key groove provided in the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step 400).

따라서, 상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전자락장치내의 시큐리티 칩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비교하고(단계 500), 암호코드가 일치되는 경우에 전자락장치의 잠금이 해제되어(단계 600), 사용자가 대여금고의 도어를 열고 대여금고를 이용하게 된다(단계 700).Accordingly,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hip in the electronic lock device are compared (step 500), and when the encryption code matches, the electronic lock device is unlocked (step 600). The user opens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and uses the safe deposit box (step 700).

여기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운용되는 본 발명의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각 구성 및 그 동작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 each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in the above mann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홀더부(100)와, 충전식 전자키(200)와,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300)로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holder part 100,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and a safe deposit safe electronic device 300.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키오스크에 장착되 는 홀더부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lder portion mounted to a kiosk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홀더부(100)는 키오스크(10)의 상부패널상에 장착되는 블럭 타입의 케이스체 구조로서, 그 상면에는 두 개의 충전식 전자키(200)를 삽입 보관할 수 있는 키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키홈(12)의 내부에는 충전식 전자키(200)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제1락킹장치(14)가 구성되어 있다.The holder unit 100 is a block-type case body structure mounted on the upper panel of the kiosk 10,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key groove 12 for inserting and storing two rechargeable electronic keys 200, The first locking device 14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nside the key groove 12.

특히, 상기 홀더부(100)의 내부에는 충전 및 각종 칩을 포함하는 제어수단들이 내장되어 있는데, 그 제어수단을 보면 키오스크(10)로부터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 발생된 암호코드를 제어PC(16)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 MCU)와, 상기 제어PC(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 충전기(20)와, 상기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1신호 프로세서(22)와, 상기 배터리 충전기(20)의 파워와 상기 제1신호 프로세서(22)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1파워 콤바이너(24: Power Combiner)로 이루어져 있다.In particular, the holder 100 has a built-in control means including the charging and various chips, the control means to control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during authentication to prove the identity from the kiosk 10 control PC (16)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8 (MCU) to receive and store the data, the battery charger 20 receives power from the control PC 16, and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8 A first power combiner 24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an output first signal processor 22 and a power of the battery charger 20 and an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or 22; Consists of

이때, 상기 제1락킹장치(14)는 키홈(12)에 삽입된 충전식 전자키(200)를 평상시에는 잠금시키고, 상기 암호코드가 저장된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의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그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충전식 전자키(200)의 분리가 가능해진다.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device 14 normally lock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2, and only when a signal from the first micro controller unit 18 in which the encryption code is stored is received.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nd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can be detached.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충전식 전자키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n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는 외관상 상기 홀더부(100)의 제1파워콤바이너(24) 와 신호 교환 가능한 제어블럭체(26)와, 이 제어블럭체(26)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홀더부(100)의 제1락킹장치(14)의 키홈(12)에 실제 삽입되는 키 부분(28)으로 구성된다.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externally attached to the control block 26 which is capable of exchanging a signal with the first power combiner 24 of the holder part 100, and the control block 26. It consists of a key portion 28 that is actual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2 of the first locking device 14 of the portion 100.

특히, 상기 제어블럭체(26)에는 상기 홀더부(100)의 제1파워 콤바이너(24)로부터 파워를 받아 충전되는 배터리(30)와, 암호코드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하는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32)와, 상기 제2마이크로 컨트롤로 유니트(32)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2신호 프로세서(34)와, 상기 배터리(30)의 파워와 상기 제2신호 프로세서(34)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2파워 콤바이너(36)가 내장된다.Particularly, the control block 26 includes a battery 30 that is charged with power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24 of the holder unit 100 and a second micro controller that receives and stores an encryption code signal. A unit 32, a second signal processor 34 for outputting an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unit 32 with the second micro control, the power of the battery 30 and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or 34 A second power combiner 36 for combining and outputting the encryption code signal is incorporated.

일구현예로서, 상기 홀더부(100)의 제1파워콤바이너(24)로부터의 파워 및 암호코드 신호를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어블럭체(26)내의 배터리(30) 및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키 부분(28)의 저면과 그 내부에는 통신라인(포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and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24 of the holder unit 100, the battery 30 and the first in the control block 2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A communication line (por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key portion 28 and inside thereof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icrocontroller unit 18.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오스크의 홀더부 및 충전식 전자키의 동작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lder portion and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of the kiosk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홀더부(100)에 충전식 전자키(200)가 삽입 보관된 상태, 즉 홀더부(100)의 제1락킹장치(14)에 의하여 충전식 전자키(200)가 잠금되어 빼낼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오스크(10)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 또는 생체인식기 등을 이용하여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절차를 밟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inserted and stored in the holder part 100, that i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locked by the first locking device 14 of the holder part 100 and thus cannot be remove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o prove the identity by using a password input or a biometric reader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kiosk 10.

이러한 인증 절차에 의거 본인임이 증명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10)의 제 어PC(16)에서 암호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홀더부(100)의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 MCU)에 전송하게 된다.If it is proved that the identity i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e encryption code is generated in the control PC 16 of the kiosk 10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8 (MCU) of the holder unit 100. .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PC(16)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DC/DC 컨버터(19)에서 감압 조절되어 배터리 충전기(20)에 공급된다.At the same tim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 PC 16 is regulated by the DC / DC converter 19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er 20.

이어서, 상기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제1신호 프로세서(22)에서 제1파워 콤바이너(24)로 출력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8 is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or 22 to the first power combiner 24.

따라서, 상기 제1파워 콤바이너(24)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20)로부터의 파워와 상기 제1신호 프로세서(22)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로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ower combiner 24 combines the power from the battery charger 20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or 22 to output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

이때, 상기 키오스크(10)의 제어PC(16)로부터 암호코드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18: MCU)에서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를 잠금시키고 있는 제1락킹장치(14)의 솔레노이드(미도시됨)에 작동을 위한 전류 신호를 보내어 제1락킹장치(14)가 잠금해제되며, 결국 홀더부(100)의 키홈(12)으로부터 충전식 전자키(200)를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device 14 which lock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n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receives and stores an encryption code from the control PC 16 of the kiosk 10. Sending a current signal for operation to the solenoid (not show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14 is unlocked, the state that can finally remove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from the key groove 12 of the holder portion 100 Becomes

결국,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에 내장된 배터리(30)는 상기 홀더부(100)의 제1파워 콤바이너(24)로부터 파워를 받아 충전된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부(100)의 제1파워 콤바이너(24)로부터 전송받은 암호코드는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에 내장된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32)에 저장된다.As a result, the battery 30 embedd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charged with power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24 of the holder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holder 100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24 is stored in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 embedd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이와 같이,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는 평상시에 홀더부(100)에 삽입되어 잠금(고정)된 상태로 항시 보관되고, 키오스크(10)의 인증절차를 거친 경우에만 잠금 해제되어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As such,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always inserted into the holder 100 and is always kept in a locked state (locked), and can be unlocked and removed only when the kiosk 10 has passe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Becomes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를 홀더부(100)로부터 빼내어 본인의 해당 대여금고로 가지고 간 다음, 해당 대여금고의 도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에 삽입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take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from the holder part 100 and takes it to his / her own safe deposit box, and inserts it into the key groove formed on the front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이때,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32)에 저장된 암호코드가 제2신호 프로세서(34)에 의하여 제2파워 콤바이너(36)로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30)의 파워가 제2파워 콤바이너(36)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제2파워 콤바이너(36)는 상기 배터리(30)의 파워와 상기 제2신호 프로세서(34)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전자락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32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output to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by the second signal processor 34 and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30 Is output to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Accordingly,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supplies the power of the battery 30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or 34. In combination, 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is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전자락 장치에 대한 구성 및 그 작동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lock device and its operation state will be described in order.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중 대여금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전자락장치를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lock apparatu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of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자락장치(300)는 대여금고의 도어(38)에 내설되는 제2락킹장치(40)와, 이 제2락킹장치(4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is composed of a second locking device 40 in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and a control means for unlocking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상기 전자락장치의 제어수단의 구성 및 그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일단 사용자의 암호코드가 미리 저장된 시큐리티 칩(42: Security Chip)과,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 암호코드를 수신하여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에 저장시키는 제3신호 프로세서(46)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of the electronic lock device and its connection relationship, once the security code (42) in which the user's encryption code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The third signal processor 46 for receiving the encryption code from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44 and storing it in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is connected for signal exchange.

이때, 상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는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의 암호코드와 상기 시큐리티 칩(42)에 미리 저장된 암호코드간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compares whether the encryption code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matches the encryp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chip 42. It will function.

또한, 상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의 출력측에는 제2락킹장치의 솔레노이드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가 연결되는 바,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의 암호코드와 상기 시큐리티 칩(42)에 미리 저장된 암호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에서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에 작동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는 상기 제2락킹장치(40)의 솔레노이드(미도시됨)에 잠금 해제를 위한 전류 신호를 보내어 제2락킹장치(4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olenoid controller 48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operatio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and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provided. If the encryption code from) and the encryp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chip 42 match,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olenoid controller 48, and the solenoid controller 48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is unlocked by sending a current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 to a solenoid (not show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에는 전원을 인가하는 PWM 컨트롤러(50)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controller 48 is connected to a PWM controller 50 for applying power.

또한, 상기 전자락 장치(300)의 제어수단에는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 파워를 공급받아 상기 제3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와 제3신호 프로세서(46)와 상기 PWM 컨트롤러(50)에 파워를 분할 배분하는 파워 스프리터(52 : Power Splitter)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of 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and the third signal processor ( 46 and a power splitter 52 which divides and distributes power to the PWM controller 50.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충전식 전자키(200)를 해당 대여금고의 도어(38)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54)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 파워와 암호코드가 조합된 신호가 상기 전자락장치(300)로 전송되는 바, 상기 제3신호 프로세서(46)에서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 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 암호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에 저장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충전식 전자키(200)의 제2파워 콤바이너(36)로부터의 파워는 전자락장치(300)의 파워 스프리터(52: Power Splitter)로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sert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nto the key groove 54 formed in the front of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the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A signal combined with a power and an encryption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36 to 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In the third signal processor 46,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transmitted. Receive the encryption code from the) and to store in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at the same time the power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36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The power splitter 52 is supplied to the power splitter.

이때, 상기 파워 스프리터(52)는 제3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와 제3신호 프로세서(46)와 PWM 컨트롤러(50)에 필요한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ower splitter 52 distributes power required for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the third signal processor 46, and the PWM controller 50.

연이어, 상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에서는 저장된 암호코드(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수신 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시큐리티 칩(42)에 미리 저장된 암호코드간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연산을 수행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third micro controller unit 44 determines whether the stored encryption code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the encryp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chip 42 are matched. The comparison operation is performed.

비교 연산 결과, 암호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44)에서 솔레노이드 잠금 해제를 위한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에 해제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 컨트롤러(48)에서는 상기 PWM 컨트롤러(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제2락킹장치(40)의 솔레노이드(미도시됨)에 작동 전류 신호를 보내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ion, when the encryption code matches, the releas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microcontroller unit 44 to the solenoid controller 48 for releasing the solenoid, and the PWM controller 50 is provided from the solenoid controller 48. The power supply is applied from the operating current signal to the solenoid (not show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따라서, 상기 전자락장치(300)의 제2락킹장치(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대여금고의 도어(38)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locked state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of the electronic lock device 300 is released, and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can be open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여금고의 도어(38)를 열고, 그 내부의 대여서랍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and use the rental drawer therein.

한편, 대여금고 사용후에는 대여금고의 도어(38)를 닫은 다음, 충전식 전자키(200)로 제2락킹장치(40)를 수동 작동시켜 대여금고의 도어(38)를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고, 충전식 전자키(200)를 빼낸 다음 상기 홀더부(100)의 키홈(12)에 다시 삽입하여 보관시킨다.On the other hand, after using the safe deposit box, close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and manually operate the second locking device 40 with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to lock the door 38 of the safe deposit box,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remov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2 of the holder part 100 to be stored.

또한, 상기 홀더부(100)의 키홈(12)으로부터 충전식 전자키(200)가 빼내어진 다음, 일정시간(대여금고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나도록 충전식 전자키(200)가 재삽입되지 않으면, 키오스크(10) 또는 홀더부(1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되고, 이 경보음을 들은 관리자가 대여금고 이용상태에 이상여부를 확인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removed from the key groove 12 of the holder part 100,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200 is not reinserted so that a predetermined time (a time for which the loan safe can be used sufficiently) passes. If not,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rough a speaker built in the kiosk 10 or the holder 100, and the manager hears the alarm sound and checks whether the manager is in trouble with the safe deposit box.

이와 같이, 대여금고 사용자는 별도의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항상 대여금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safe deposit box user can always use the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a separate key.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장착되는 홀더부와, 이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신호 교환 가능하게 삽입 보관되는 충전식 전자키와, 대여금고의 도어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전자락장치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 절차를 거치는 경우에만 충전식 전자키가 분리되도록 하고, 이 분리된 충전식 전자키에 의하여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대여금고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여금고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part mounted on the upper panel of the kiosk, a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nserted and stored in the holder part so as to be exchanged with a charge and a password signal, and a safe deposit box It is configured as an electronic lock device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door of the door, so that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separated only when the user goes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at proves himself / herself at the kiosk, and the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by the separated rechargeable electronic key. By releasing the user, there is a convenience that the user can use the safe deposit box without carrying a separate safe deposit box key.

즉, 사용자가 대여금고의 키를 분실하거나, 정작 대여금고를 이용하려고 할 때 키를 집에 두고 오는 등의 낭패를 완전히 배제하여, 항상 키를 휴대하지 않고도 대여금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loses the key of the safe deposit box or tries to use the safe deposit box, the user can completely use the safe deposit box without having to carry the key all the time. have.

Claims (5)

삭제delete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A holder portion mounted on the top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PC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nsisting of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that the door is releas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상기 홀더부는:The holder portion: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 발생된 암호코드를 제어PC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CU)와;A first micro controller unit (MCU)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encryption code generat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from the kiosk from a control PC; 상기 충전식 전자키를 평상시에 잠금시키고, 상기 암호코드가 저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의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충전식 전자키의 분리를 위해 해제되는 제1락킹장치와;A first locking device which locks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t ordinary times and is released for separation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only when a signal of the microcontroller unit storing the encryption code is received; 상기 제어P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 충전기와;A battery charger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ontrol PC; 상기 제1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1신호 프로세서와;A first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first micro controller unit;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파워와 상기 신호 프로세서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1파워 콤바이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And a first power combin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the power of the battery charger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A holder portion mounted on the top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PC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nsisting of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that the door is releas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상기 충전식 전자키는: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상기 홀더부의 제1파워콤바이너와 신호 교환 가능한 제어블럭체와, 이 제어블럭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홀더부의 제1락킹장치의 키홈에 실제 삽입되는 키 부분으로 구성하되, A control block body capable of exchanging signals with the first power combiner of the holder part, and a key part integrally attached to the control block body and actual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of the first locking device of the holder part, 상기 제어블럭체에는 상기 홀더부의 제1파워 콤바이너로부터 파워를 받아 충전되는 배터리와; The control block body includes a battery that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combiner of the holder; 암호코드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하는 제2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A second micro controll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encryption code signal; 상기 제2마이크로 컨트롤로 유니트에 저장된 암호코드를 출력하는 제2신호 프로세서와;A second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unit with the second micro control; 상기 배터리의 파워와 상기 제2신호 프로세서로부터의 암호코드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2파워 콤바이너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And a second power combin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the power of the battery and the encryption code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or.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A holder portion mounted on the top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PC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nsisting of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that the door is releas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상기 전자락장치는:The electronic lock device is: 대여금고의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제2락킹장치와;A second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of the safe deposit box; 사용자의 암호코드가 미리 저장된 시큐리티 칩과;A security chip in which a user's encryption code is stored in advance;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암호코드를 수신하여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에 저장시키는 제3신호 프로세서와;A third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 encryption code from a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storing the encryption code in a third micro controller unit;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암호코드와, 상기 시큐리티 칩에 미리 저장된 암호코드간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A third microcontroller unit which compares an encryption code from a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with an encryp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security chip; 암호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3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락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컨트롤러와;A solenoid controller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a third micro controller unit to unlock the second locking device when the encryption codes match; 상기 솔레노이드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PWM 컨트롤러와;A PWM controller for applying power to the solenoid controller; 상기 충전식 전자키의 제2파워 콤바이너로부터 파워를 공급받아 상기 제3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와 제3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PWM 컨트롤러에 파워를 분할 배분하는 파워 스프리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And a power splitt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second power combiner o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and divide power between the third micro controller unit, the third signal processor, and the PWM controller.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의 상부패널상에 키오스크의 제어 PC와 통신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부와; A holder portion mounted on the top panel of the kiosk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manageme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PC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에 충전 및 암호코드 통신 가능하게 보관 삽입되어, 상기 키오스크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시에만 빼낼 수 있는 충전식 전자키와; A chargeable electronic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o as to be charged and communicated with an encryption code and can be removed only at the time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kiosk; 상기 홀더부로부터 충전식 전자키에 저장된 암호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가 열림 가능하게 해제되는 대여금고의 전자락장치로 구성된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onsisting of an electronic lock device of the safe deposit box that the door is released to be opened only when it matches the encryption code stored i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from the holder, 상기 홀더부의 키홈으로부터 충전식 전자키가 빼내어진 다음, 일정시간(대여금고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나도록 충전식 전자키가 재삽입되지 않으면, 키오스크 또는 홀더부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대여금고 시스템.If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removed from the key groove of the holder and then the rechargeable electronic key is not reinser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time that can be used sufficiently for the loan safe),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rough a speaker built into the kiosk or the holder. Rechargeable safe deposit box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54790A 2007-06-05 2007-06-05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KR10087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90A KR100878744B1 (en) 2007-06-05 2007-06-05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90A KR100878744B1 (en) 2007-06-05 2007-06-05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22A KR20080107022A (en) 2008-12-10
KR100878744B1 true KR100878744B1 (en) 2009-01-14

Family

ID=4036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790A KR100878744B1 (en) 2007-06-05 2007-06-05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7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3506A (en) * 2018-07-06 2018-12-25 成都之行人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ystem based on power supply station's car key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72A (en) * 2000-01-25 2001-08-11 김헌영 Deposit boxes security system
JP2002013323A (en) * 2000-06-30 2002-01-18 Raccoon:Kk Key deposit service system
KR200293466Y1 (en) 2002-07-31 2002-10-30 김상훈 Private vault access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KR20030017457A (en) * 2002-12-27 2003-03-03 주식회사 신진세이프-테크 Safe deposit box by using bio recognition techn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72A (en) * 2000-01-25 2001-08-11 김헌영 Deposit boxes security system
JP2002013323A (en) * 2000-06-30 2002-01-18 Raccoon:Kk Key deposit service system
KR200293466Y1 (en) 2002-07-31 2002-10-30 김상훈 Private vault access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KR20030017457A (en) * 2002-12-27 2003-03-03 주식회사 신진세이프-테크 Safe deposit box by using bio recognition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22A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7413A (en) Locking systems
US20110084799A1 (en) Lock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key and a passive lock
EP2991050A1 (en) Secure enclosure
KR100878744B1 (en)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CN110111464A (en) A kind of individual palpation key controller entrance guard safety system
US10797872B2 (en)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lock
CN106761014B (en) A kind of intelligence electromechanical double-control electronic lock
CN107424242B (en) Central control access control system
KR101104867B1 (en)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4423920B (en) Passive electronic lock and use method thereof
KR1007392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of digital door lock
US10990356B2 (en) Tamper-resistant smart factory
KR20110006474A (en) The key locking and holding device for electric key box system
US11544980B2 (en) Electronic key storage device
KR20100075104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reof
RU2740880C1 (en) Locking system operation method and locking system for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s
CN115176291A (en) Electronic key for electronic lock and use method thereof
KR101642566B1 (en) One-to-many locking system and the unlock method
JP2009249821A (en) Key management system
KR200257691Y1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CN211776599U (en) Electronic lock with electronic emergency unlocking key
EP4053807A1 (en) Electronic key storage device
KR20010090074A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CN214623817U (en) Lottery storage cabinet and lottery station
CN211258110U (en) Outer padlock device of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