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585B1 - Beverage auto injector - Google Patents

Beverage auto in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585B1
KR100876585B1 KR1020070049737A KR20070049737A KR100876585B1 KR 100876585 B1 KR100876585 B1 KR 100876585B1 KR 1020070049737 A KR1020070049737 A KR 1020070049737A KR 20070049737 A KR20070049737 A KR 20070049737A KR 100876585 B1 KR100876585 B1 KR 10087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injection
ai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2805A (en
Inventor
백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백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백구영 filed Critical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585B1/en
Publication of KR2008010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2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engaging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04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without applying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6Bottle lifting devices actuated b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67C3/282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related to filling level control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음료용기에 생수 등의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는, 메인 축과; 상기 메인 축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축이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축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캠부와; 상기 메인 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음료용기내에 주입하는 주입노즐부와; 상기 음료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캠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용기홀더부를 구비하고, 주입노즐을 음료용기에 밀착시켜 자연압 방식에 의해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음료가 누설되는 일이 없고, 회전방식으로 구성하더라도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음료공급파이프가 회전에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 beverage, such as bottled water into a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af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shaft to rotate the main shaft; A base plate to which the main shaft is fixed; A cam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surrounding the main shaft; A beverage storage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shaft to store a beverage supplied from a beverage storage tank; An injection nozzle unit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to inject a beverage stored in the reservoir into a beverage container;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and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which is movable along the cam portion, the injection nozz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verage container by injecting the beverage by natural pressure method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in a rotating manner Even if configured, the beverage supply pip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Description

음료 자동주입장치{AUTOMATIC DRINK FILLER}Drink automatic filling device {AUTOMATIC DRINK FILL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노즐부와 용기홀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and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노즐부와 용기홀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and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의 용기홀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평면단면도이다. Fig. 4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lan sectional view thereof.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노즐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노즐부로부터 음료가 주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주입노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jection nozz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캠을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c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캠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cam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injec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저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탱크수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is a view showing a tank leve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저장부의 수위조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4 is a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음료주입장치를 포함한 일련의 음료용기 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 series of beverage container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음료주입장치1: drink injection device

10 : 메인 축 11 : 하우징10: main shaft 11: housing

20 : 구동부 21 : 구동모터20: drive unit 21: drive motor

22 : 구동풀리 23 : 감속기22: drive pulley 23: reducer

30 : 베이스플레이트30: base plate

40 : 캠부 41 : 캠40: cam portion 41: cam

42 : 캠홀더 43 : 캠가이드부42: cam holder 43: cam guide portion

50 : 음료저장부 51 : 음료저장본체50: beverage storage unit 51: beverage storage body

52 : 공급파이프 53 : 공기배출파이프52: supply pipe 53: air discharge pipe

54 : 음료주입탱크 55 : 서비스탱크54: beverage injection tank 55: service tank

57 : 미끄럼부57: sliding part

60 : 주입노즐부 61 : 노즐본체60: injection nozzle portion 61: nozzle body

62 : 노즐실린더 63 : 외측파이프62: nozzle cylinder 63: outer pipe

64 : 공기파이프 65 : 패킹부64: air pipe 65: packing

66 : 탄성스프링66: elastic spring

70 : 용기홀더부 71 : 고정플레이트70: container holder portion 71: fixed plate

72 : 리프트 샤프트 73 : 리프트 홀더72: lift shaft 73: lift holder

74 : 네크 플레이트 75 : 롤러74: neck plate 75: roller

80 : 탱크수위조절장치 81 : 제 1 체크볼80: tank level control device 81: the first check ball

82 : 제 1 조절레버 83 : 에어실린더82: first adjustment lever 83: air cylinder

84 : 공기조절밸브 85 :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84: air control valve 85: level device for detecting low water level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음료용기에 생수 등의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노즐을 음료용기에 밀착시켜 자연압 방식에 의해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음료가 누설되는 일이 없고, 회전방식으로 구성하더라도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음료공급파이프가 회전에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음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 beverage, such as bottled water in the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injection nozz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verage container injecting the beverage by the natural pressure method does not leak the beve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jection device, which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everage supply pip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even if the rotating system is configured in a rotating manner.

일반적으로 생수나 각종 음료수, 주류 등의 음료는 유리병이나 PET병에 저장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Generally, beverages such as bottled water, variou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etc. are stored in glass bottles or PET bottles and distributed on the market.

종래의 음료주입장치는, 컨베이어벨트 등에 의해 이송된 음료용기에 음료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된 음료를 노즐등의 장치를 통해 일정양만큼 공급하고, 상기 공 급되는 음료의 양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등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beverage injection device, a beverage supplied from a beverage supply tank to a beverage container transferred by a conveyor belt, etc. is suppli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a device such as a nozzle, and the amount of the supplied beverage is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unit. The process is don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료주입장치는, 음료용기가 일직선 상으로 공급되고 있거나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주입노즐이 승강구동하여 음료용기내로 삽입되어 음료를 주입하기 때문에, 공급된 음료용기가 제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때에는 음료용기내에 정확히 음료가 주입되지 않을 염려가 많았다. 또한 각각의 주입노즐을 승강구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주입되는 음료용기 외에는 음료용기의 공급이 정지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everage injection device,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in a straight line or the injection nozzl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re driven up and down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o inject the beverage, the supplied beverage container is not positioned in position. When not, there was a lot of concern that the drink will not be correctly injec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each injection nozzle has to be driven up and down,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such as the complex of the device and the supply of the beverage container must be stopped except for the beverage container being injected.

따라서, 상기 음료주입장치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회전방식으로 구성하고,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음료용기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일정양의 음료가 정확히 공급되도록 구성된 음료주입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is configured in a rotational manner so as not to occupy a lot of space, it is necessary to fix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configured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accurately required It is becoming.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주입노즐을 구비한 주입장치를 회전방식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주입노즐에 공급되는 음료용기를 음료용기의 목부분(neck part)을 정확히 파지하여 주입노즐에 공급함으로써 주입장치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음료주입이 가능한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inje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installed in a rotational manner, the beverage container supplied to each injection nozzle neck part (neck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icient beverage injection by injecting a beverage while rotating the injection device at a high speed by accurately grasping and supplying the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주입노즐을 승강구동시킬 필요없이 주입장치 의 회전에 따라 공급된 음료용기내로 주입노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the injection nozzle into the supplied beverage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jection device without having to drive up and down each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입노즐에 음료용기를 밀착시키고 자연압 방식으로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일정량의 음료가 정확히 주입될 수 있는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can be accurately injected by injecting a beverage containe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jection nozzle and injecting the beverage in a natural pressure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입장치를 회전방식으로 구성하더라도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주입장치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 등이 주입장치의 회전에 방해되는 일이 없이 음료를 주입할 수 있는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jection device is configured in a rotary system,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that can inject a beverage without supplying the beverage to the injection device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to the rotation of the injection device, etc.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주입장치에 배치되는 주입탱크의 일정수위를 감지하여 주입탱크내를 적정수위로 유지할 수 있는 음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on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injection tank by sensing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injection tank disposed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는, 메인 축과; 상기 메인 축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축이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축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캠부와; 상기 메인 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음료용기내에 주입하는 주입노즐부와; 상기 음료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캠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용기홀더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af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shaft to rotate the main shaft; A base plate to which the main shaft is fixed; A cam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surrounding the main shaft; A beverage storage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shaft to store a beverage supplied from a beverage storage tank; An injection nozzle unit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to inject a beverage stored in the reservoir into a beverage container;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iner holder portion which is movable along the cam portion.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메인 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 motor,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 reducer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a first drive gear connected to the reducer, and a second drive gear that rotates the main shaft by engaging the first drive ge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캠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며 캠홀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m portion includes a cam holder attached to and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a cam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by the cam holder.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캠은 음료용기가 공급되는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상승하도록 형성된 상승구간과, 상기 상승구간의 끝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상승유지구간과, 상기 상승유지구간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도록 형성된 하강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m has an ascending section formed to ascend upwardly from a plane 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an ascending maintenance section that maintain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ascending section, and so as to desce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ascending holding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lling section formed.

상기 캠부는, 상기 상승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기 캠에 상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캠가이드와, 상기 캠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캠가이드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m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section and the falling section, the cam guide is formed inclined upward or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cam formed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nd a cam including a support pillar for supporting the cam guid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상기 용기홀더부는, 상기 저장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된 리프트 샤프트와, 상기 리프트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마련된 리프트 홀더와, 상기 리프트 홀더에 고정되며 음료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네크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트 홀더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캠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a lift plat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 lift shaft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 lift hold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ift shaf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ift holder accommodates the beverage container It further comprises a neck plate formed with a groove, and a roll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ft holder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to rotate along the cam.

여기서, 상기 리프트 샤프트와 상기 리프트 홀더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플레이트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lift shaft and the lift holder is provided in a pair of oppo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lift shafts to position the pair of lift shafts.

상기 주입노즐부는, 상기 음료저장부로부터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구멍이 복수 형성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부에 맞닿아 설치되는 노즐실린더와, 상기 노즐실린더 및 상기 노즐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음료가 주입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용기의 개구에 맞닿는 패킹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jection nozzle unit may include a nozzle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ly holes for supplying a drink from the beverage storage unit, an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a nozzle cylinder installed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A nozzle cylinder and an outer pipe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and into which a beverage is injected,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outer pipe is inserted are formed, and further include a packing part in contact with an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여기서, 상기 주입노즐부는 상기 노즐실린더와 상기 노즐본체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에는 음료용기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파이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nozzle cylinder, the nozzle body and the outer pipe, the low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ir pipe is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beverage container. .

상기 공기파이프는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장탱크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ir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top of the storage tank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또한, 상기 노즐본체의 하부에는 ㄱ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실린더의 외측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is formed with a L-shaped groove, the outer side of the nozzle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groove is further formed.

상기 음료저장부는, 음료저장본체와, 공급된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주입탱크와, 상기 음료저장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음료통로파이프와, 상기 음료저장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통로파이프에 연결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음료통로파이프의 하측에 연결되는 주입파이프와, 상기 주입파이프의 하부에 마련되는 서비스탱크와, 상기 서비스탱크로부터 상기 음료주입탱크에 연결되는 다수의 주입분기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storage unit, a beverage storage body, a beverage injection tank in which the supplied beverage is stored, a beverage passage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beverage storage body, and a supply connected to the beverage passage pipe through the beverage storage body A pipe, an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everage passage pipe, a service tank provided below the injection pipe,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branch pipes connected from the service tank to the beverage injection tank.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음료저장부는, 음료용기내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파이프와,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음료용기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파이프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분기파이프와, 음료통로파이프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배출파이프 및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 다수 마련된 공기배출하우징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everage storage unit, the ai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outside, the ai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ischarge pipe And an air discharge hous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discharge branch pipe and the beverage passage pipe to the air discharge pipe and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상기 음료주입탱크는, 상기 주입분기파이프와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을 둘러싸는 외측벽과, 상기 메인축과 연결되는 저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injection tank may include an inner wall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injection branch pipe and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wall, and a bottom surface connected with the main shaf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상기 공기배출하우징과 상기 음료저장본체와의 사이에는 음료주입탱크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공기가 공급·배출되는 공기연결통로가 마련된 에어조인트 본체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air joint body provided with an air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air discharge housing and the beverage storage main body to supply and discharge the level control air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또한, 상기 음료저장부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탱크수위조절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는 음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제 1 체크볼과, 상기 제 1 체크볼과 연결된 제 1 조절레버와, 상기 제 1 조절레버에 연결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제 1 조절레버 및 상기 에어실린더에 연결된 공기조절밸브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tank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irst check ball which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beverage, and the first check ball. And a first control lever connected to the first check ball, an air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lever, and an air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lever and the air cylinder.

여기서, 상기 제 1 조절레버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rst control lever, the air cylinder and the air control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체크볼과, 상기 제 2 체크볼에 연결된 제 2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w water level detection level device including a second check ball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and a second control lever connected to the second check ball.

상기 에어조인트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탱크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위조절공기파이프가 삽입되는 수위조절연결구멍이 다수 마련된 미끄럼부가 더욱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er side of the air join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connecting hole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air pipe connected to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음료주입장치를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1)는 메인 축(10)과, 구동부(20)와, 베이스플레이트(30)와, 캠부(40)와, 음료저장부(50)와, 주입노즐부(60)와, 용기홀더부(70)로 구성되어 있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haft 10, a drive unit 20, a base plate 30, a cam unit 40, and a beverage storage unit 50. ), An injection nozzle part 60 and a container holder part 70.

상기 메인 축(1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20)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된다. 상기 메인 축(10)의 외주면 외측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11)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더욱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축(10)의 상하부에는 상기 메인 축의 회전에 의한 마찰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The main shaft 10 is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base plate 30,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 to rotat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housing 11 is install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10, and a flange may be formed below the housing 11 to be further fixed to the base plate 30. In addition, bearings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shaft 10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base plate 30 against friction due to rotation of the main shaft.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메인 축(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를 둘러싸는 커버(26)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구동모터(21)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21)에는 구동풀리(2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는 감속기(2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2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워엄감속기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감속기(23)에는 제 1 구동기어(2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구동기어(24)에는 상기 메인 ㅊ축(10)에 연결된 제 2 구동기어(25)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drive unit 20 may be installed under the main shaft 1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rotected by a cover 26 surrounding the drive unit 20. The drive unit 20 includes a drive motor 21, a drive pulley 22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1, and the drive pulley is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23. The reducer 23 uses a worm reducer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 first drive gear 24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23, and a second drive gear 25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0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e gear 24.

또한, 상기 감속기(23)에는 별도의 구동기어를 연결하여, 후술하는 음료용기공급부를 하나의 구동모터로써 상기 음료주입장치와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a separate drive gear to the reducer 23, the beverage container supply unit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together with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s a 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은 상기 구동풀리(22)를 통하여 상기 감속기(23)에 전달되고, 상기 감속기(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기어를 통하여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린 제 2 구동기어에 전달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에 연결된 상기 메인축(10)을 회전구동하게 된다. The rotational force by driving of the drive motor 21 is transmitted to the reducer 23 through the drive pulley 22, and the first drive gear through the first drive gear by the rotation of the reducer 23.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e gear meshed with, and rotates the main shaft 10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gear.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캠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캠부(40)는, 상기 하우징(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캠홀더(42)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며 캠홀더에 의해 고정지 지되는 캠(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3 and FIG. 8, the cam part 40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housing 1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aid housing. The cam portion 40 has a cam holder 42 attached to and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1,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formed by a cam hol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m 41 is fixed.

상기 캠(41)은, 후술하는 음료용기공급부가 형성하는 기준면으로부터 일부구간에서는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캠(41)은, 음료용기가 공급되는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상승하도록 형성된 상승구간(41a)과, 상기 상승구간(41a)의 끝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상승유지구간(41b)과, 상기 상승유지구간(41b)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도록 형성된 하강구간(41c)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am 41 is configured to ascend in some sections from a reference surface formed by a beverage container supply section described later. That is, the cam 41, the rising section 41a formed so as to incline upward from the plane 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and the rising holding section 41b that maintain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rising section 41a. ) And a falling section 41c formed to desce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rising holding section 41b.

상기 상승구간(41a)에서, 상기 캠(41)의 상부면을 따라 굴러회전하는 후술하는 롤러에 의해 상기 용기홀더부는 상승하게 되어 주입노즐부를 개방하여 음료용기내에 음료가 주입되기 시작하며, 상기 상승유지구간을 지나는 동안에 음료가 계속하여 주입되며, 상기 하강구간을 지나는 동안에 상기 용기홀더부는 하강하여 음료주입이 완료된 음료용기를 후속 공정으로 배출하는 준비를 하게 된다. In the ascending section 41a, the container holder part is raised by a roller to be rolled and rota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41 to open the injection nozzle part and starts to inject beverage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is continuously inje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tenance section, while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descends while passing the descent section to prepar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completed the beverage injection into the subsequent process.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부(40)는 캠가이드부(43)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가이드부(43)는 음료용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에 주입노즐의 끝단이 확실하게 용기내로 진입하여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캠의 외측에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가이드부(43)는 상기 상승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기 캠(41)에 상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캠가이드(44)를 구비하며, 상기 캠가이드(44)는 지지기둥(4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cam portion 40 may further include a cam guide portion 43. The cam guide portion 43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m so that the tip of the injection nozzle reliably enters and leaves the container while the beverage container is raised or lowered. The cam guide portion 43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section and the falling section, and has a cam guide 44 inclined upward or down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m 41 formed inclined upward or downward, The cam guide 44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illar 45.

상기 캠부(40)의 부근에는 상기 용기홀더부(70)가 설치된다. 상기 용기홀더부(70)는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축(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부(4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ainer holder part 70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am part 40. The container holder 70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cam unit 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홀더부(70)는, 상기 음료저장부(5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7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71)에 연결된 리프트 샤프트(7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 샤프트(72)는 하나의 축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음료용기내에 음료가 주입된 후에 상기 용기홀더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3, 4A and 4B, the container holder 70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71 and the fixed plate 7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Lift shaft 72. The lift shaft 72 may be configured as one axis, but as shown in FIG. 4A, the lift shaft 72 may be configured as an opposite pair to support a load acting on the container holder after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configured to

상기 리프트 샤프트(72)에는 리프트 홀더(73)가 마련되어, 상기 리프트 샤프트(7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홀더(73)에는 상기 리프트 샤프트(7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 홀더(73)의 상기 주입노즐부측으로는 네크 플레이트(74)가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A lift holder 73 is provided on the lift shaft 72, and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ift shaft 72. The lift holder 73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ift shaft 72 is inserted, and the neck plate 74 is fixed to the injection nozzle part side of the lift holder 73 by means of a bolt or the like. have.

상기 네크플레이트(74)는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네크 플레이트의 첨단부분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용기홀더용 홈(74a)이 형성되어 음료용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음료용기의 목부분을 수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네크플레이트(74)는, 상기 용기홀더용 홈(74a)측의 두께가 상기 리프트 홀더(73)측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The neck plate 7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hape, and a recessed container holder groove 74a is formed in a tip portion of the neck plate to receive and grip the neck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uppli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supply unit. It is configured to be. Further, the neck plate 74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holder groove 74a side is thinner than that of the lift holder 73 side.

상기 리프트 홀더(73)의 이면, 즉 상기 네크 플레이트(74)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롤러(7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75)는 상기 캠(41)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41)을 구름 회전한다. 상기 롤러(75)가 상기 캠(41)의 상기 상승구간(41a)을 지날 때에, 상기 롤러(75)는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롤러(75)가 고정된 상기 리프트 홀더(73)는 상기 리프트 샤프트(72)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리프트 홀더(73)에 고정된 상기 네크 플레이트(74)에 수용 파지된 음료용기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주입노즐부의 패킹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음료가 주입되게 된다. The roller 7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ft holder 73,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where the neck plate 74 is installed. The roller 75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41 and rolls the cam 41. When the roller 75 passes the rising section 41a of the cam 41, the roller 75 is moved upward, whereby the lift holder 73 on which the roller 75 is fixed is Ascending upwardly along the lift shaft 72, the beverage container held by the neck plate 74 fixed to the lift holder 73 is raised to press the packing part of the injection nozzle unit upward. Will be injected.

상기 리프트 샤프트(72)가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7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위치고정플레이트(76)를 더욱 설치하여,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72)가 서로 벌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위치고정시킨다. In the case where the lift shafts 72 are constituted by opposing pairs, the pair of lift shafts 72 are further provided by further providing a position fixing plate 76 connecting lower ends of the pair of lift shafts 72. Position them so that they do not open or close each other.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입노즐부(60)는 상기 음료저장부(50)의 저면에 상기 음료저장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부착설치된다. 상기 주입노즐부(60)는, 노즐본체(61)와, 노즐실린더(62)와, 외측파이프(63)와, 공기파이프(64)와, 패킹부(65)를 포함한다. 3, 5 to 7, the injection nozzle unit 6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The injection nozzle part 60 includes a nozzle body 61, a nozzle cylinder 62, an outer pipe 63, an air pipe 64, and a packing part 65.

상기 노즐본체(6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부측은 상기 음료저장부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측은 상기 음료저장부의 외측에서 상기 용기홀더부(70)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노즐본체(61)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음료주입구멍(61a)이 형성되어, 상기 음료주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음료저장부로부터 음료가 주입된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의 하부측에는 상기 노즐본체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홈(61b)가 형성되어 있다. The nozzle body 6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storage part, the upp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beverage storage part, and the lower side is the container holder part 70 at the outside of the beverage storage part. Is located in proximity to. A plurality of beverage injection holes 61a ar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nozzle body 61, and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beverage storage unit through the beverage injection holes.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ody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61b) formed in a substantially L-shape from the end of the nozzle body.

상기 노즐본체의 하부에는 노즐실린더(62)가 배치되며, 상부측의 내경이 하부측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측 외주면에는 체결돌기(62a)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홈(61b)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돌기(62a)의 체결은, 상기 노즐실린더(62)를 상기 노즐본체(61)의 체결홈(61b)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끼워맞춘 후, ㄱ자로 연장된 부분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되어 상기 노즐실린더(62)가 상기 노즐본체(6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A nozzle cylinder 62 is disposed below the nozzle body,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nd a fastening protrusion 62a is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It is inserted in 61b. The fastening protrusion 62a is fastened by fitting the nozzle cylinder 62 upward from the end of the fastening groove 61b of the nozzle body 61, and then rotating the nozzle cylinder 62 to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tter A. The cylinder 62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nozzle body 61.

상기 노즐본체의 내측에는 탄성스프링(66)이 수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66)은 상기 노즐실린더(62)에 마련된 단턱에 맞닿아 상기 노즐실린더(62)를 탄성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n elastic spring 66 is accommodated inside the nozzle body, and the elastic spring 66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nozzle cylinder 62 in contact with a step provided in the nozzle cylinder 62.

상기 노즐실린더(62) 및 상기 노즐본체(61)의 내측에는 외측파이프(63)이 수용된다. 상기 외측파이프(63)는 상기 노즐본체(61)의 상부에 까지 연장되어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측으로 음료가 주입된다. An outer pipe 63 is accommodated inside the nozzle cylinder 62 and the nozzle body 61. The outer pipe 63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61 and drinks are injected into the outer pipe.

상기 외측파이프(63)의 내측에는 공기파이프(64)가 수용된다. 상기 공기파이프(64)는 일끝단은 끝이 뾰족한 첨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끝단은 상기 노즐본체(61)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저장부(50)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An air pipe 64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pipe 63. The air pipe 64 has one end formed in a sharp tip shape, and the other end extends through the nozzle body 6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상기 공기파이프(64)의 첨단부분에 근접하여 공기배출구멍(64a)이 형성되어 음료주입시 음료용기내의 공기를 상기 음료저장부의 상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파이프(64)는 상기 공기배출구멍(64a)으로부터 첨단부분까지가 상기 외측파이프(63)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기파이프가 수용된 상기 외측파이프는 상기 패킹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An air discharge hole 64a is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tip of the air pipe 64,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part when the beverage is injected. The air pipe 64 is disposed such that the air pipe 64a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pipe 63 from the air discharge hole 64a, and the outer pipe containing the air pipe is inserted through the packing part.

상기 공기파이프(64)의 첨단부분과 상기 노즐실린더(62)와의 사이에는 패킹부(65)가 마련된다. 상기 패킹부(65)는, 음료용기의 개구에 맞닿는 패킹(65a)과, 상기 패킹(65a)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65b)와, 상기 스페이서(65b)의 상부에 마련되어 캡볼트(65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볼트(65c)의 상부면에는 상기 노즐실린더(62)의 하단면이 접촉한다. A packing part 65 is provided between the tip portion of the air pipe 64 and the nozzle cylinder 62. The packing part 65 is provided with a packing 65a that abuts the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a spacer 65b installed on the packing 65a, and a cap bolt 65c provided on the spacer 65b. Consist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cylinder 6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bolt (65c).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롤러(75)가 상기 캠(41)을 따라 상기 상승구간을 지나감에 따라, 상기 롤러는 상승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음료용기를 파지한 상기 용기홀더부(70)가 상승 이동하면, 파지된 음료용기도 상승하여 상기 패킹부(65)를 가압하여 상기 패킹부를 상승시킨다. 상기 패킹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외측파이프(63)의 하단개구는 개방되어 상기 음료저장부로부터 음료가 주입되고, 상기 공기파이프(64)의 상기 공기배출구멍(64a)을 통하여 음료용기내의 공기가 상기 음료저장부의 상부로 배출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roller 75 passes the rising section along the cam 41, the roller moves up, thereby holding the container holder 70 holding the beverage container. As the up) moves, the gripped beverage container also rises to press the packing part 65 to raise the packing part. As the packing portion rises,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outer pipe 63 is opened to inject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portion, and air in the beverage container is pass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64a of the air pipe 64. It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노즐부(60)의 끝단을 음료용기의 개구에 밀실하게 맞닿을 수 있는 패킹으로 배치함으로써, 음료주입시 음료용기내는 밀실하게 패쇄되어, 음료주입이 주입되면서 음료용기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음료용기내의 주입이 진행되며, 음료용기내의 압력이 평형상태를 이루면서 일정한 양만큼의 음료가 주입될 수 있다(이하, 이러한 음료주입방식을 자연압충전방식이라 약칭한다). As described above, by disposing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unit 60 in a packing that can tightly contact the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is tightly closed when the beverage is injected, and the beverage injection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s the air is discharged, the injection into the beverage container proceeds, and a certain amount of the beverage can be injected while the pressure in the beverage container is in an equilibrium state (hereinafter, the beverage injection method is abbreviated as natural pressure filling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압충전방식에 의해 음료주입이 완료되기 때문에, 음료가 과도하게 주입되거나 하여 음료가 음료용기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별도의 센서가 없이도 일정량만큼을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jection of the drink is completed by the natural pressure filling method, the beverage is not excessively injected and the beverage does not spill 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certain amount of liquid can be certainly injected without a separate sensor. Can be.

상기 음료저장부(50)는 상기 음료주입장치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음료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음료를 공급받아 음료용기에 음료를 주입한다. 상기 음료저장부(50)는, 음료저장본체(51)와, 공급파이프(52)와, 공기배출파이프(53)와, 음료저장탱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receives a beverage from a beverage storage tank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nd injects the beverage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includes a beverage storage body 51, a supply pipe 52, an air discharge pipe 53, and a beverage storage tank 54.

상기 음료저장본체(51)의 내측에는 음료통로파이프(51a)가 수용되며, 상기 음료저장본체(51)와 상기 음료통로파이프(51a)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파이프(52)가 연결되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음료가 공급된다. The beverage passage pipe 51a is accommodated inside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and a hole is formed in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and the beverage passage pipe 51a so that the supply pipe 52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The beverage i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상기 음료저장본체(51)의 하부에는 상기 음료통로파이프(51a)를 둘러싸는 중공 원통형상의 공기배출하우징(53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하우징(53b)에는 복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이 연결구멍에 복수의 공기배출분기파이프(53a)가 연결되어, 음료용기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파이프로 배출한다.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53a)의 타측끝단은 상기 음료주입탱크(54)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is provided with a hollow cylindrical air discharge housing (53b) surrounding the beverage passage pipe (51a), the air discharge housing (53b)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branch pipes 53a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s to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ischarge pipes.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53a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상기 음료통로파이프(51a)의 하부에는 중공 원통형상의 주입파이프(51b)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입파이프(51b)의 하부개구끝단에는 서비스탱크(5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입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에 플랜지 및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연결된다. A hollow cylindrical injection pipe 51b is disposed below the beverage passage pipe 51a, and a service tank 55 is provided at the lower opening end of the injection pipe 51b. In addition, the injection pip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by means such as flanges and bolts.

상기 서비스탱크(55)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저면과 연결고정되어 있고,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저면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축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축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구동된다. The service tank 55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by a fixing means such as bol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by a fixing means, the rotational drive of the main shaft It is rotated accordingly.

상기 서비스탱크(55)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복수의 주입분기파이프(55a)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주입분기파이프(55a)는 상기 음료주입탱크(54)에 연결되어 있다.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rvice tank 55 to connect the plurality of injection branch pipes 55a, and the plurality of injection branch pipes 55a are connected to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이에 따라,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상기 공급파이프(52)를 통해 공급된 음료는, 상기 통로파이프(51a)와 상기 주입파이프(51b)를 통과한 후, 상기 서비스탱크(55)에 일시저장된 후, 상기 서비스탱크(55)에 연결된 복수의 주입분기파이프(55a)를 통하여 상기 음료주입탱크(54)내로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through the supply pipe 52 passes through the passage pipe 51a and the injection pipe 51b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ervice tank 55, and then the It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branch pipes 55a connected to the service tank 55.

상기 음료주입탱크(54)는 상기 주입분기파이프(55a)와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53a)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54a)과, 상기 내측벽(54a)을 둘러싸는 외측벽(54b)과, 상기 메인축과 연결되는 저면(54c)으로 구성되어, 대략 고리(環)형상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공급된 음료를 저장한다.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includes an inner wall 54a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injection branch pipe 55a and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53a, and the inner wall 54a. The outer wall 54b which surrounds and the bottom surface 54c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said main shaft are formed, and the substantially ring-shaped storage space is formed and stores the drink supplied.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본체(51)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배출하우징(53a)를 둘러싸는 에어조인트본체(56)이 마련되어있으며,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의 하부외측에는 미끄럼부(57)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an air joint main body 56 surrounding the air discharge housing 53a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main body 51, and a sliding part is provid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air joint main body 56. 57 is provided.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는 상기 음료저장본체(51)에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공기통로구멍(56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통로구멍(56a)은 후 술하는 수위조절연결구멍(56a)에 연결되어 있다. The air joint body 56 is fixed to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by means of a bolt or the like, an air passage hole 56a is provided, and the air passage hole 56a is described later. It is connected to the hole 56a.

상기 미끄럼부(57)와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와 맞닿는 부위에는 칼라(58)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58)는 베어링 등의 매개체가 없더라도 인접한 부재가 회전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열화가 발생하지 않고 매끄럽게 미끄러져 회전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A collar 58 is dispos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ortion 57 and the air joint body 56, and the collar 58 may be deteriorated due to friction even when an adjacent member is rotated even without a medium such as a bearing.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lide and rotate smoothly.

또한, 상기 미끄럼부(57)와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가 맞닿는 측면에는 복수의 쿼드링(57b; quad ring)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쿼드링은 회전마찰용의 것을 사용하여, 상기 미끄럼부와 상기 에어조인트본체와의 상대적 회전에 의한 마찰에 의한 마모를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quad rings (57b) are arranged on the side where the sliding portion 57 and the air joint body 56 abut, the quad ring is used for rotating friction, the sliding portion And to withstand wear caused by friction due to relative rotation with the air joint body.

상기 에어조인트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탱크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위조절공기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수위조절연결구멍(57a)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에 마련된 상기 공기통로구멍(56a)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고 상기 수위조절연결구멍(57a)을 통하여 탱크수위조절장치에 공급 및 배출된다. The outside of the air joint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connecting hole (57a)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air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Accordingly,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air passage hole 56a provided in the air joint body 56 and is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connecting hole 57a.

음료주입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별도의 음료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음료를 공급받는 동시에, 메인 축의 회전에 따라 음료주입장치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음료가 주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저장부는 음료저장탱크와 연결된 부위는 고정되어야 하고, 주입노즐부 및 용기홀더부에 연결된 음료주입탱크측은 회전되어야 한다. In order to be supplied with a beverage connected to a separate beverage storage tank disposed out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nd the beverage is injected while rotat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the beverage storage unit and The joint is to be fixed and the beverage injection tank side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and container holder is to be rotated.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설치된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안정적으로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회전하는 메인 축에 연결된 음료주입탱크로부터 음료용기에 음료를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inject beverage into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beverage injection tank connected to the rotating main shaft while being stably supplied with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fixedly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have.

즉, 상기 음료저장본체(51)와, 상기 공급파이프(52)와, 상기 공기배출파이프(53)과, 상기 음료저장본체(51)에 고정연결된 상기 에어조인트본체(56)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설치되어 있으면서도, 상기 메인축에 연결된 음료주입탱크(54)와, 상기 음료주입탱크에 연결된 주입분기파이프(55a)와, 공기배출분기파이프(53a)와, 주입파이프(51b)와, 통로파이프(51a)와, 공기배출하우징(53a)와, 탱크수위조절파이프가 연결되는 미끄럼부(57)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안정적으로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회전하는 메인 축에 연결된 음료주입탱크로부터 음료용기에 음료를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That is,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the supply pipe 52, the air discharge pipe 53, and the air joint body 56 fixedly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body 51 are fixed without being rotated. While installed,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connected to the main shaft, the injection branch pipe 55a connected to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53a, the injection pipe 51b, and the passage pipe ( 51a), the air discharge housing (53a), and the sliding portion 57 to which the tank water level control pipe is connected is configured to rotate, beverages connected to the rotating main shaft while being able to be stably supplied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stably inject beverage into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injection tank.

또한, 도 13a, 도 13b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부는, 상기 음료주입탱크내의 수위를 측정하여 음료저장탱크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탱크수위조절장치(80)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3a, Figure 13b and Figure 14, the beverage storage unit,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8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by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beverage injection tank further. It can be provided.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80)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내측벽(54a)에 설치된다.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80)는, 음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제 1 체크볼(81)과, 상기 제 1 체크볼(81)과 연결된 제 1 조절레버(82)와, 상기 제 1 조절레버(82)에 연결된 에어실린더(83)와, 상기 제 1 조절레버 및 상기 에어실린더에 연결된 공기조절밸브(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84)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8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54a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he tank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80 includes a first check ball 81 which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beverage, a first control lever 82 connected to the first check ball 81, and the first adjustment. And an air cylinder 83 connected to the lever 82, and an air control valve 84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lever and the air cylind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control valve 84 is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 1 체크볼(81)은 상기 음료주입탱크(54)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조절레버(82)와, 상기 에어실린더(83) 및 상기 공기조절밸브(84)는 상기 음료주입탱크(54)의 외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를 음료주입탱크의 외부에 마련함으로써, 전기장치를 사용할 때에 음료액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누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check ball 81 is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and the first control lever 82, the air cylinder 83 and the air control valve 84 are the beverage inj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outside the tank 54.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ir cylinder and the air control valve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with the beverage liquid when using the electr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device to prevent a short circuit accident, etc. have.

상기 음료주입탱크(54)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 1 체크볼(81)은 상하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체크볼에 연결된 상기 제 1 조절레버(82)가 구동되며, 상기 제 1 조절레버(82)의 구동에 의한 기계적 신호가 상기 공기조절밸브(84)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공기조절밸브(84)로부터 상기 에어실린더(83)에 전달된 신호는, 상기 에어실린더(83)에 부착된 리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전기적 신호로 감지되어 상기 음료주입탱크내의 수위를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beverage injection tank 54, the first check ball 81 is moved up and down, thereby driving the first control lever 82 connected to the first check ball, the first adjustment The mechanical signal driven by the lever 82 is transmitted to the air regulating valve 84. T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ir control valve 84 to the air cylinder 83 is sensed as an electrical signal in a reed switch (not shown) attached to the air cylinder 83, the in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he water level will be recognized.

이에 따라, 탱크내의 적정수위를 설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된 수위가 상기 적정수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에어실린더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료저장탱크에 연결된 펌프를 구동하여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음료가 공급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proper level in the tank is set, and when the recognized level is out of the proper level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is transferred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by driving a pump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air cylinder. To be supplied.

또한,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80)는 음료주입탱크 내의 최저허용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85)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체크볼과, 상기 제 2 체크볼에 연결된 제 2 조절레버를 포함하여, 음료주입탱크내의 수위가 허용되는 한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의 기타 구성 은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80 may further include a low level level detecting device 85 to detect the lowest allowable water level in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he low water level sensing level device includes a second check ball installed below the beverage injection tank and a second control lever connected to the second check ball,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beverage injection tank does not depart from the allowable limit. Can be configured.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ank water level control device,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자동주입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자동주입장치(1)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주입장치(1)의 외경과 맞물려 공급얼리인먼트(2)와 배출얼라인먼트(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얼라인먼트(2)는 별도의 용기세척장치로부터 세척이 완료된 음료용기를 공급한다. 상기 배출얼라인먼트(3)는 음료주입이 완료된 음료용기에 용기의 캡을 씌우는 캐핑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First, the automatic inj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the supply alignment 2 and the discharge alignment 3 are engaged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automatic injection device 1. It is arranged, the supply alignment (2) is supplied from the separate container washing apparatus to supply the beverage container is complete cleaning. The discharge alignment 3 is connected to the capping device for capping the container to the beverage container is completed drink injection.

공급된 음료용기는 상기 용기홀더부의 상기 네크플레이트(74)에 마련된 용기홀더용 홈(74a)에 수용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supplie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holder groove 74a provided in the neck plate 74 of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메인 축(10)은 회전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축에 연결된 상기 음료저장부(50)는 회전되고, 상기 음료저장부(5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된 상기 용기홀더부(70)도 회전하게 된다. As the drive unit 20 is driven, the main shaft 10 is rotated, and accordingly,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connected to the main shaft is rotated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50. The container holder 70 is also rotated.

이에 따라 상기 용기홀더부(70)의 상기 리프트 홀더(73)에 부착된 상기 롤러(75)가 상기 메인축을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11)을 따라 설치된 상기 캠(41)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41)을 구름 회전한다. 상기 롤러(75)가 상기 캠(41)의 상기 상승구간(41a)을 지날 때에, 상기 롤러(75)는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롤러(75)가 고정된 상기 리프트 홀더(73)는 상기 리프트 샤프트(72)를 따 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리프트 홀더(73)에 고정된 상기 네크 플레이트(74)에 수용 파지된 음료용기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주입노즐부의 패킹부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Accordingly, the roller 75 attached to the lift holder 73 of the container holder 7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41 installed along the housing 11 surrounding the main shaft. The cam 41 is rotated by rolling. When the roller 75 passes the rising section 41a of the cam 41, the roller 75 is moved upward, whereby the lift holder 73 on which the roller 75 is fixed is Ascending upward along the lift shaft 72, the beverage container held by the neck plate 74 fixed to the lift holder 73 is raised to press the packing part of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upward. .

상기 패킹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외측파이프(63)의 하단개구는 개방되어 상기 음료저장부로부터 음료가 주입되고, 상기 공기파이프(64)의 상기 공기배출구멍(64a)을 통하여 음료용기내의 공기가 상기 음료저장부의 상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분기파이프(53a)와 상기 공기배출하우징(53b)을 거쳐 상기 공기배출파이프(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s the packing portion rises,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outer pipe 63 is opened to inject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portion, and air in the beverage container is pass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64a of the air pipe 64.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the discharg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ipe 53 through the air branch pipe (53a) and the air discharge housing (53b).

그런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압 충전방식에 따라 음료주입이 완료된 음료용기는 상기 캠(41)의 하강구강을 지나게 된다. 상기 캠이 하강구간을 지날 때에는 상술한 상승구간을 지날 때와 반대의 작동을 하게 되고, 상기 주입노즐부(60)의 상기 탄성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킹부(65)는 하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측파이프의 하단 개구와 상기 공기파이프의 구멍을 패쇄한다. Then, the beverage container in which the beverage inje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natural pressure fill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lower oral cavity of the cam 41. When the cam passes the falling section, the cam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rising section, and the packing part 65 moves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66 of the injection nozzle part 60. It pressurizes and closes the lower opening of the outer pipe and the hole of the air pipe.

그런 다음, 주입이 완료된 음료용기는 배출얼라인먼트를 통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Then, the beverage container with the filling completed is transferred to the subsequent process through the discharge alignment.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both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주입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주입노즐을 구비한 주입장치를 회전방식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주입노즐을 개별로 상승/하강 구동시킬 필요없이 장치 자체의 회전에 따라 음료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고, 주입장치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음료를 주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음료주입이 가능하다. Due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re installed in a rotational manner, the device itself without the need to drive each injection nozzle up / down individually The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nd the beverage can be injected more efficiently by rotating the infusion device at high speed.

자연압충전방식에 의해 음료주입이 완료되기 때문에, 음료가 과도하게 주입되거나 하여 음료가 음료용기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별도의 센서가 없이도 일정량만큼을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Since the injection of the drink is completed by the natural pressure filling method, it is possible to reliably inject a certain amount even without a separate sensor without causing the drink to be excessively infused and the drink to overflow the outside of the drink container.

또한, 주입장치를 회전방식으로 구성하더라도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주입장치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 등이 주입장치의 회전에 방해되는 일이 없이 고정설치된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안정적으로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도, 회전하는 메인 축에 연결된 음료주입탱크로부터 음료용기에 음료를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injection device is configured in a rotational manner, while the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orage tank to the injection device can be stably supplied with the beverage from the fixed beverage storage tank without disturbing the rotation of the injection device, The beverage can be stably injec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beverage injection tank connected to the rotating main shaft.

또한, 음료주입장치에 배치되는 주입탱크의 일정수위를 감지하여 주입탱크내를 적정수위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etecting a certain level of the injection tank disposed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can maintain the inside of the injection tank to the appropriate level.

Claims (1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료용기에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주입장치에 있어서, I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beverage into a beverage container, 메인 축과; Main axis;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메인 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축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A drive motor,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 reducer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a first drive gear connected to the reducer, and a second drive gear engaged with the first drive gear to rotate the main shaf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shaft to rotate the main shaft; 상기 메인 축이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A base plate to which the main shaft is fixed; 상기 메인 축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캠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며 캠홀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캠을 구비하는 캠부와;A cam holder attached to and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surrounding the main shaft; A cam portion having a cam formed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cam holder; 상기 메인 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저장부와; A beverage storage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shaft to store a beverage supplied from a beverage storage tank;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음료용기내에 주입하는 주입노즐부와;An injection nozzle unit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and injecting a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storage unit into a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캠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용기홀더부;A container holder part installed below the beverage storage part and movable along the cam part;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캠은, The cam, 음료용기가 공급되는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상승하도록 형성된 상승구간과, A rising sec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a plane 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상기 상승구간의 끝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상승유지구간과, 상기 상승유지구간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도록 형성된 하강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 falling section configured to maintain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rising section, and a falling section formed to descend downwardly from the end of the rising s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m unit, 상기 상승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기 캠에 상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 캠가이드와, 상기 캠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캠가이드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section and the falling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cam guide portion including a cam guid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cam formed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nd a support pillar for supporting the cam guide. Drink automatic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홀더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ainer holder portion,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A fixed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된 리프트 샤프트와, A lift shaft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상기 리프트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마련된 리프트 홀더와, A lift hold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ift shaft is inserted; 상기 리프트 홀더에 고정되며 음료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네크플레이트와, A neck plate fixed to the lift holder and having a groov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상기 리프트 홀더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캠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캠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 roller which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ft holder and rotates along the cam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샤프트와 상기 리프트 홀더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리프트 샤프트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플레이트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 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ft shaft and the lift holder is provided in a pair opposite, and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lift shafts to position the pair of lift shafts Beverage auto-injection equipment as a featu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노즐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jection nozzle unit, 상기 음료저장부로부터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구멍이 복수 형성된 노즐본체와, A nozzle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ly holes through which beverage is supplied from the beverage storage unit; 상기 노즐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과, An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부에 맞닿아 설치되는 노즐실린더와, A nozzle cylinder installed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상기 노즐실린더 및 상기 노즐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음료가 주입되는 외측파이프와, An outer pipe inserted into the nozzle cylinder and the nozzle body and into which a beverage is injected; 상기 외측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용기의 개구에 맞닿는 패킹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and the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ck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노즐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jection nozzle unit, 상기 노즐실린더와 상기 노즐본체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에는 음료용기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파이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n air pipe inserted into the nozzle cylinder, the nozzle body, and the outer pipe, and having an air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for discharging air in the beverage contain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파이프는 상기 음료저장부의 저장탱크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10. The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ir pipe extends up to an upper portion of a storage tank of the beverage storage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하부에는 ㄱ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실린더의 외측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10. The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is provided with an L-shaped groove, and an outer side of the nozzle cylinder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everage storage unit, 음료저장본체와, Beverage storage body, 공급된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주입탱크와, A beverage injection tank in which the supplied beverage is stored; 상기 음료저장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음료통로파이프와, A beverage passage pipe accommodated inside the beverage storage body; 상기 음료저장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음료통로파이프에 연결되는 공급파이프와, A supply pipe penetrating the beverage storage body and connected to the beverage passage pipe;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음료통로파이프의 하측에 연결되는 주입파이프와, An injection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everage passage pipe; 상기 주입파이프의 하부에 마련되는 서비스탱크와, A service tank provided below the injection pipe; 상기 서비스탱크로부터 상기 음료주입탱크에 연결되는 다수의 주입분기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 plurality of injection branch pipes connected to the beverage injection tank from the service tank.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everage storage unit, 음료용기내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파이프와,An ai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outside;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음료용기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파이프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분기파이프와, An air discharge branch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to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ischarge pipe; 음료통로파이프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배출파이프 및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 다수 마련된 공기배출하우징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n air discharge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air passage pipe and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to surround the beverage passage pip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주입탱크는,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everage injection tank, 상기 주입분기파이프와 상기 공기배출분기파이프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과, An inner wall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injection branch pipe and the air discharge branch pipe; 상기 내측벽을 둘러싸는 외측벽과,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wall; 상기 메인축과 연결되는 저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bottom surface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하우징과 상기 음료저장본체와의 사이에는 음료주입탱크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공기가 공급·배출되는 공기연결 통로가 마련된 에어조인트본체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15. The air joint body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n air joint body provided between the air discharge housing and the beverage storage main body, and an air connection passag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Beverage automatic injection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everage storage unit,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탱크수위조절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further comprises a tank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는,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음료의 수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제 1 체크볼과, The first check ball moving in Shanghai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rink, 상기 제 1 체크볼과 연결된 제 1 조절레버와, A first control lever connected to the first check ball, 상기 제 1 조절레버에 연결된 에어실린더와, An air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lever; 상기 제 1 조절레버 및 상기 에어실린더에 연결된 공기조절밸브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n air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lever and the air cylind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레버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The automatic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irst control lever, the air cylinder, and the air control valve are installed outside the beverage injection tank.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수위조절장치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체크볼과, 상기 제 2 체크볼에 연결된 제 2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저수위감지용 레벨장치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nd a second level check ball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and a level device for detecting a low water level comprising a second control lever connected to the second check bal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인트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음료주입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탱크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위조절공기파이프가 삽입되는 수위조절연결구멍이 다수 마련된 미끄럼부가 더욱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주입장치.According to claim 15, The outer side of the air joint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sliding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connecting holes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air pipes connected to the tank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injection tank. Drink automatic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49737A 2007-05-22 2007-05-22 Beverage auto injector KR100876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37A KR100876585B1 (en) 2007-05-22 2007-05-22 Beverage auto in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37A KR100876585B1 (en) 2007-05-22 2007-05-22 Beverage auto in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05A KR20080102805A (en) 2008-11-26
KR100876585B1 true KR100876585B1 (en) 2008-12-31

Family

ID=4028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737A KR100876585B1 (en) 2007-05-22 2007-05-22 Beverage auto in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58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07B1 (en) * 2010-04-27 2012-04-20 주식회사 엠엘씨 Guide apparatus of a water filling nozzle for pressure test
KR101575202B1 (en) 2014-11-20 2015-12-21 송영숙 Level providing device for beverage
KR101633416B1 (en) 2015-02-13 2016-06-24 정영석 Multi-stage type auto rinsing and filling of bott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936A (en) * 2017-07-11 2018-01-05 苏州首达机械有限公司 Filling apparatus follower
CN114803982B (en) * 2022-05-31 2024-01-26 上海铭奔科技有限公司 Automatic wine receiving device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07B1 (en) * 2010-04-27 2012-04-20 주식회사 엠엘씨 Guide apparatus of a water filling nozzle for pressure test
KR101575202B1 (en) 2014-11-20 2015-12-21 송영숙 Level providing device for beverage
KR101633416B1 (en) 2015-02-13 2016-06-24 정영석 Multi-stage type auto rinsing and filling of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05A (en)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85B1 (en) Beverage auto injector
JP5254134B2 (en) Open jet filling system, method and filling machine
JP4459766B2 (en) Processing machine for containers such as bottles, cans etc
US4938261A (en) Apparatus for filling cans with a liquid
RU2342314C2 (en) Method for vessels treatment
US6244309B1 (en) Rugged high flow rate valve for bottle filling machines
JP4008011B2 (en) Filling equipment
US20130061980A1 (en) Method and filling element for the pressure-filling of containers with a liquid filling material
JPH1191876A (en) Rotary filling machine
US20140215965A1 (en) Container-treating machine
US20140360624A1 (en) Filler element and filling system
US201600527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US5150740A (en) Filling valve
GB1595627A (en) Centering device for bottle filling machines
JP2008265851A (en) Filling device of rotary type
EP0082990B1 (en) Low particulate liquid filling machine and method
JP2921450B2 (en) 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filling device
KR20110051770A (en) Gravity valve for filling liquid into bottles
JP4496571B2 (en) Rotary filling device
JP4352815B2 (en) Filling equipment
KR101389991B1 (en) Automatic Injection Apparatus For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EP34689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liquid, in particular for bottling
JP4687445B2 (en) Filling valve
ES2216665A1 (en) Nitrogen filling spout for wine bottles has nitrogen injector extending transversely of spout and connected to oxygen supply via valve
US910265A (en) Can-fi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