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163B1 - 절전기 - Google Patents

절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163B1
KR100876163B1 KR1020020046730A KR20020046730A KR100876163B1 KR 100876163 B1 KR100876163 B1 KR 100876163B1 KR 1020020046730 A KR1020020046730 A KR 1020020046730A KR 20020046730 A KR20020046730 A KR 20020046730A KR 100876163 B1 KR100876163 B1 KR 10087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ies
resistor
overvoltag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692A (ko
Inventor
조인현
Original Assignee
조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현 filed Critical 조인현
Priority to KR102002004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1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와 저항 및 축전기 다이오드를 3상 회로의 각 단자인 R, S, T, N, G의 사이에 적절히 연결하고, 회로 소자 사이 또는 인접한 위치에 구리 영역과 산화 규소 영역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전송 선로에서의 서지를 억제하고 전자파, 수맥파 등의 유해파를 차단하며 역율을 향상시켜 절전 효과를 발휘한다.
절전기, 과전압억제기, 중성미자.

Description

절전기{Power sa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소비량을 절감하는 절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현대 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사용하기 간편하고 접근하기 용이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사용량도 점점 증가하여 매년 발전소를 증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 사용 분야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충분한 전기 절감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를 절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R, S, T, N 및 G 단자, 상기 R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상기 R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3)과 축전기(C1), 상기 S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도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7 내지 Z12), 상기 S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6)과 축전기(C2), 상기 T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3 내지 Z18), 상기 T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9)과 축전기(C3),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10)과 축전기(C4), 상기 R 단자와 상기 S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5, Z26), 상기 R 단자와 상기 S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 2), 상기 S 단자와 상기 T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7, Z28), 상기 S 단자와 상기 T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3), 저항(R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 상기 T 단자와 상기 R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9, Z30), 상기 T 단자와 상기 R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 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 저항(R1, R2) 및 램프(DS1), 상기 R과 상기 N 사이, 상기 S와 상기 N 사이 및 상기 T와 상기 N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 R3과 C1의 직렬 회로, R6과 C2의 직렬 회로 및 R9와 C3의 직렬 회로에 각각 인접한 부분,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2)의 직렬 회로, 다이오드(D3), 저항(R 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 및 다이오드(D1), 저항(R1, R2) 및 램프(DS1)의 직렬 회로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리 영역,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리 영역과 각각 인접한 위치,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 사이 및 R10 및 C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 규소 영역을 포함하는 절전기를 마련한다.
이 때, 상기 구리 영역은 순도 99.9% 이상의 구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산화 규소 영역은 200메쉬 이상의 산화 규소 가루를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기 3상 회로로써 5개의 단자를 가진다. N이 중성 단자이고, R, S, T 단자를 통하여 위상차가 120도씩 차이나는 교류가 입력된다. G는 접지 단자이다.
R, S, T, N 단자에는 각각 퓨즈(F)가 연결되어 있다. 퓨즈(F)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절단됨으로써 절전기의 내부 회로를 보호한다.
R 단자와 N 단자 사이에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저항(R3)과 축전기(C1)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R3) 및 축전기(C1)의 직렬 회로와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는 병렬 연결 상태에 있다.
S 단자와 N 단자 사이에도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7 내지 Z1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저항(R6)과 축전기(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R6) 및 축전기(C2)의 직렬 회로와 과전압 억제기(Z7 내지 Z12)는 병렬 연결 상태에 있다.
T 단자와 N 단자 사이에도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3 내지 Z18)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저항(R9)과 축전기(C3)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R9 ) 및 축전기(C3)의 직렬 회로와 과전압 억제기(Z13 내지 Z18)는 병렬 연결 상태에 있다.
G 단자와 N 단자 사이에도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저항(R10)과 축전기(C4)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R10 ) 및 축전기(C4)의 직렬 회로와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는 병렬 연결 상태에 있다.
R 단자와 S 단자 사이에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5, Z26) 직렬 회로와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2)의 직렬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S 단자와 T 단자 사이에도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7, Z28) 직렬 회로와 다이오드(D3), 저항(R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T 단자와 R 단자 사이에도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9, Z30) 직렬 회로와 다이오드(D1), 저항(R1, R2) 및 램프(DS1)의 직렬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는 절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 회로 등을 통하여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 배치된다. 이 때, 절연 기판 위에는 99.9%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구리(Cu)와 산화 규소(SiO2) 가루[200 메쉬(mesh)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메쉬(mesh)]를 에폭시(Epoxy) 수지에 혼합하여 코팅한 구리 영역과 산화 규소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R과 N 사이, S와 N 사이 및 T와 N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에 구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R3과 C1의 직렬 회로, R6과 C2의 직렬 회로 및 R9 와 C3의 직렬 회로에 각각 인접하여 구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2) 의 직렬 회로, 다이오드(D3), 저항(R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 및 다이오드(D1), 저항(R1, R2) 및 램프(DS1)의 직렬 회로에 인접하여서도 구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구리 영역과 각각 인접한 위치에 산화 규소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G 단자와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 사이 및 R10 및 C4에 인접한 위치에 산화 규소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SiO2를 볼밀(ball mill)하여 200 메쉬 이상의 고운 입자로 만들고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기판에 코팅하고 그 주위에 전기 회로 소자를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SiO2가 광 에너지를 여기하고 전기 회로의 영향으로 자연 방사보다 큰 방사 주기를 가지는 광파가 방사함으로써 반감기가 증가한다. 이 때, 광파는 전송 선로의 선로 이상을 초래하는 서지(surge)를 억제하고 노이즈를 방지한다. 또, 99.9%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구리를 소정의 비율로 배치함으로써 전자파를 차단하고 역율을 향상시킨다.
전기 회로에서 과전압 억제기는 서지를 억제하고 순간 정전을 보상하며, 이 과전압 억제기 다수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고전압의 충격 전압을 흡수한다. 물질의 고유 에너지인 중성 미자(Neutrino) 파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 위에 에폭시로 코팅 처리한 SiO2 영역을 배치한다. 저항 여러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자기파(self wave)를 유도하고 전기장의 힘을 이용 SiO2의 반감기를 늘려 준다. 과전압 억제기가 서지를 억제하고 SiO2에서 방사되는 중성 미자 파가 전원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동력기 등의 전기 기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이즈 등으로 인한 기계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구리 영역은 전자파를 막아주고 역률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기는 전송 선로에서의 서지를 억제하고 전자파, 수맥파 등의 유해파를 차단하며 역율을 향상시켜 절전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R, S, T, N 및 G 단자,
    상기 R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상기 R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3)과 축전기(C1),
    상기 S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도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7 내지 Z12),
    상기 S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6)과 축전기(C2),
    상기 T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3 내지 Z18),
    상기 T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9)과 축전기(C3),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10)과 축전기(C4),
    상기 R 단자와 상기 S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5, Z26),
    상기 R 단자와 상기 S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2),
    상기 S 단자와 상기 T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7, Z28),
    상기 S 단자와 상기 T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3), 저항(R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
    상기 T 단자와 상기 R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29, Z30),
    상기 T 단자와 상기 R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 저항(R1, R2) 및 램프(DS1),
    상기 R과 상기 N 사이, 상기 S와 상기 N 사이 및 상기 T와 상기 N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 R3과 C1의 직렬 회로, R6과 C2의 직렬 회로 및 R9와 C3의 직렬 회로에 각각 인접한 부분, 다이오드(D2), 저항(R4, R5) 및 램프(DS2)의 직렬 회로, 다이오드(D3), 저항(R7, R8) 및 램프(DS3)의 직렬 회로 및 다이오드(D 1), 저항(R1, R2) 및 램프(DS1)의 직렬 회로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리 영역,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 내지 Z6, Z7 내지 Z12, Z13 내지 Z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리 영역과 각각 인접한 위치, 상기 G 단자와 상기 N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과전압 억제기(Z19 내지 Z24) 사이 및 R10 및 C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 규소 영역
    을 포함하는 절전기.
  2. 제1항에서,
    상기 구리 영역은 순도 99.9% 이상의 구리로 이루어진 절전기.
  3. 제1항에서,
    상기 산화 규소 영역은 200메쉬 이상의 산화 규소 가루를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이루어진 절전기.
KR1020020046730A 2002-08-08 2002-08-08 절전기 KR10087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30A KR100876163B1 (ko) 2002-08-08 2002-08-08 절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30A KR100876163B1 (ko) 2002-08-08 2002-08-08 절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723U Division KR200296714Y1 (ko) 2002-08-08 2002-08-08 절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92A KR20040013692A (ko) 2004-02-14
KR100876163B1 true KR100876163B1 (ko) 2009-01-07

Family

ID=3732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730A KR100876163B1 (ko) 2002-08-08 2002-08-08 절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1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654U (ko) * 1993-03-02 1994-10-22 박해철 절전기
KR950034479U (ko) * 1994-05-16 1995-12-18 김영호 역율자동조정식 절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654U (ko) * 1993-03-02 1994-10-22 박해철 절전기
KR950034479U (ko) * 1994-05-16 1995-12-18 김영호 역율자동조정식 절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92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2965B2 (en) Controller circuit including a switch mode power converter and automatic recloser using the same
RU2672857C2 (ru) Компоновка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RU2006144862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земления и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CN113748479B (zh) 多相ac电力触头电弧抑制器
US8937442B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structure
KR20160038648A (ko) 과전압 보호장치
US6624997B1 (en) Electrical power conditioner
CA2785367C (en) Voltage-modifying device for electric meter
KR100876163B1 (ko) 절전기
KR200296714Y1 (ko) 절전기
US10117301B2 (en) Surge protection for light-emitting diodes
EP3394971A1 (en) Grounding scheme for power conversion system
US20120081004A1 (en) Light emitting diode system
RU2016140265A (ru) Разрядник для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системы светосигна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аэродрома и вторичная цепь системы светосигна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аэродрома
DE102009050203B4 (de) Vorrichtung mit einer Unterdrückungsschaltung eines Restlichts
ES2255397B1 (es) Mejora de "bus de campo" mediante la incorporacion de conductores de tierra adicionales.
WO2004015836A1 (en) Power saving equipment
KR200471607Y1 (ko) 서지 보호장치
CN214046116U (zh) 一种防护电路板及用电装置
CN217283478U (zh) 一种兼容高低功率因数的防频闪电路及灯具
KR200203171Y1 (ko) 자동접지에 의한 유해파차폐장치
KR20060047605A (ko) 트랜지언트 블록 및 터미네이터 어셈블리
KR101866988B1 (ko) 전도성 노이즈 방지를 위한 전원라인 필터 구조
KR100537927B1 (ko) 전자파 소멸회로
KR20030049966A (ko) 전자파차단 콘센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