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277B1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5277B1 KR100875277B1 KR1020070083666A KR20070083666A KR100875277B1 KR 100875277 B1 KR100875277 B1 KR 100875277B1 KR 1020070083666 A KR1020070083666 A KR 1020070083666A KR 20070083666 A KR20070083666 A KR 20070083666A KR 100875277 B1 KR100875277 B1 KR 100875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cutter
- cut
- moving block
- alignment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에 대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종이 재단장치에 있어서, 종이 배출 측을 나타낸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discharge side in the paper cutting device of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터에 의해 원지가 봉투용 종이로 절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utting the original paper into the envelope paper by the cutter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재단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paper cutting devic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원지 2..봉투용 종이1.
3..종이 부스러기 110..프레임3..paper scraps 110..frame
120..정렬 안내부 121..정렬 안내 블록120.
122..이동 블록 130..커터122. Move
131..커터 날 140..수평 구동부131.
본 발명은 원지를 필요한 형태의 종이로 재단하는 종이 재단장치에 관한 것 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cutting device for cutting into a paper of the required form.
일반적으로, 각종 우편물이나 서류를 담는 종이봉투는 인쇄 과정을 거쳐 인쇄된 원지를 종이봉투 제조에 필요한 형태인 봉투용 종이로 재단한 후, 재단된 봉투용 종이를 접어서 붙이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종이봉투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이 재단은 종이 재단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a paper bag containing various mails or documents i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original paper printed through a printing process into an envelope paper, which is a form necessary for manufacturing a paper bag, and then folding and cutting the cut envelope paper. In manufacturing a paper bag, the paper cutting is made by a paper cutting device.
종래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에 의해 종이를 재단하는 과정을 일 예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재단할 원지를 종이 재단장치의 재단 테이블에 적재한 후 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정렬한 다음, 정렬된 원지의 상부에 커터를 올려놓는다. 이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원지는 다수 장으로 쌓인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커터에 의해 원지가 절단되게 종이 재단장치의 가압 블록을 커터 측으로 하강시켜 커터를 가압한다. 커터에 의해 원지가 절단되어 봉투 제조에 필요한 형태인 봉투용 종이로 재단된 후, 작업자는 재단된 봉투용 종이를 후속 공정을 위해 배출하는 한편, 종이 부스러기를 폐지함에 버리게 된다. Referring to the process of cutting the paper by the paper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as follows. First, the operator loads the paper to be cut on the cutting table of the paper cutting device, aligns it using a hand or a mechanism, and then places a cutter on the top of the aligned paper.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he base paper may be stacked in a stacked state. Then, the worker presses the cutter by lowering the pressure block of the paper cutting device to the cutter side so that the paper is cut by the cutter. After the paper is cut by the cutter and cut into envelope paper, which is a form required for bag production, the worker discharges the cut envelope paper for subsequent processing, and throws the paper scrap into the waste paper waste box.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는 종이 재단을 할 때마다 작업자가 원지를 재단 테이블에 적재한 후 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정렬해야 하며, 원지 정렬이 끝난 후 원지의 상부에 커터를 올려놓아야 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이 재단이 끝난 후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치워야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the paper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ry time the paper cutting, the operator should load the paper on the cutting table and align it using a hand or a mechanism, and after the paper alignment is finished, the cutter on the top of the paper Since you have to put up, there may be a hassle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the worker has to remove the paper scraps generated manually after finishing the paper cutting,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지가 절단되기 전에 원지가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고 원지의 상부에 수작업으로 커터를 올려놓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지가 절단된 후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가 자동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 재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aper can be easily aligned before the paper is cut, the operation of manually placing the cutter on top of the paper can be omitted, as well as the paper generated after the paper is cu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cutt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s the debris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재단할 적어도 한 장의 원지를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원지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정렬 안내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정렬된 원지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게 설치된 커터; 및 상기 정렬된 원지를 상기 커터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터에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정렬된 원지가 상기 커터에 의해 소정 형태의 종이로 절단되게 하는 수평 구동부;를 구비한다. Paper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An alignment guide for aligning at least one sheet of paper to be cut on the frame in an upright position and guiding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aligned paper; A cutter installed on the frame, the cutter blade being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ligned original surface;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which moves the aligned original pap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cutter and presses the cutter so that the aligned original paper is cut into a predetermined type of paper by the cut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paper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100)는 종이봉투 제조 등에 있어서 원지를 제조에 필요한 형태의 종이로 재단하는 것으 로, 프레임(110), 정렬 안내부(120), 커터(130), 및 수평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프레임(110)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종이 재단장치(100)가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조작 버튼(111)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 버튼(111)은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방향변환 레버(112)가 마련될 수 있다. 방향변환 레버(112)는 후술하겠지만 이동 블록(122)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The
정렬 안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상에 재단할 적어도 한 장의 원지(1)를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정렬된 원지(1)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원지(1)는 다수 장으로 쌓인 상태로 공급되어 한꺼번에 재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정렬 안내부(120)는 원지(1)들을 쌓인 상태로 세워서 정렬함과 아울러, 원지(1)들을 정렬된 상태로 수평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이를 위한 정렬 안내부(120)는 정렬 안내 블록(121)들과, 이동 블록(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렬 안내 블록(121)들은 프레임(110)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정렬 안내 블록(121)들은 상호 간에 소정 공간을 한정하는데, 한정되는 공간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이룬다. 이와 함께, 정렬 안내 블록(121)들은 상호 마주하는 면들 사이가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배치된다. The
이는 사용자가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원지(1)를 세워진 채로 놓게 되면, 정렬 안내 블록(121)들의 내측 면들에 원지(1)의 4개 모서리들 중 인접한 2 개 모서리들이 각각 맞닿게 되어 원지(1)가 자연스레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정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원지(1)를 정렬할 수 있게 된다. This means that when the user places the
그리고, 정렬 안내 블록(121)들은 하부에서, 특히 커터(130)와 인접한 하부에서 상호 이격됨으로써, 하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단이 끝난 후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종이 부스러기(3)가 발생하는 경우, 종이 부스러기(3)가 낙하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이 부스러기(3)가 배출되는 프레임(110) 하측에는 종이 부스러기(3)를 담을 수 있는 폐기함(116)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정렬 안내 블록(121)들은 수평 구동부(140)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원지(1)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원지(1)가 수평 구동부(140)에 의해 커터(130) 쪽으로 수평 이동할 때, 원지(1)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이동 블록(122)은 전술한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원지(1)가 세워진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원지(1)가 세워져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이동 블록(122)은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원지(1)가 놓인 상태에서 원지(1)에 있어 커터(130)를 향한 면의 반대쪽 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The moving
이동 블록(122)은 후술하겠지만, 수평 구동부(140)의 액추에이터와 연결됨으로써, 원지(1)를 지지한 채로 커터(130) 쪽으로 수평 이동시켜 원지(1)를 절단하거 나, 원지(1)가 절단된 후 커터(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moving
이때, 이동 블록(122)은 원지(1)가 절단된 후 커터(130)의 커터 날(131)과 부딪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커터 날(131)이 손상될 수 있다. 커터 날(13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블록(122)에서 원지(1)를 지지하는 면에는 보호 부재(12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123)는 이동 블록(122)에 단순히 면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123)는 플라스틱이나, 나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ving
커터(130)는 원지(1)를 소정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이봉투를 제조한다고 할 때, 커터(130)는 원지(1)를 종이봉투 제조에 필요한 형태인 봉투용 종이(도 3 참조, 2)로 절단할 수 있는 커터 날(131)을 구비한다. The
커터(130)는 프레임(110) 상에서 정렬 안내 블록(121)들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터(130)는 커터 날(131)이 정렬된 원지(1)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이는 커터 날(131)이 원지(1) 면과 수직을 이루어 원지(1) 면을 가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지(1)가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커터(130)는 커터 날(131)에 의해 원지(1)가 봉투용 종이(2)로 절단된 후, 원지(1)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커터(130)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의 면적은 봉투용 종이(2)가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종이(2)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커터(130)는 프레임(110) 상에 마련된 커터 장착 블록(11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단하여 얻고자 하는 종이의 형태에 상응하여 커터(13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커터 장착 블록(11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위에 커터(13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응하는 크기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터(130)에 의해 재단된 봉투용 종이(2)는 커터(130)의 중앙 관통공을 거쳐 커터 장착 블록(117)의 중앙 관통공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이러한 커터(130)는 적어도 일측 부위가 탄성 부재(136)를 매개로 커터 장착 블록(117)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터(130)는 하측 부위가 체결 부재에 의해 커터 장착 블록(117)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측 부위가 탄성 부재(136)에 의해 커터 장착 블록(117)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The
탄성 부재(136)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와이어는 커터(130)의 상측 부위가 커터 장착 블록(117)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커터(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커터 장착 블록(117)에 고정됨으로써, 커터(130)를 커터 장착블록(117)에 탄성 지지되게 연결할 수 있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130)가 커터 장착 블록(117)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이동 블록(122)에 의해 원지(1)가 커터(130)로 이동하여 커터(130)를 가압하게 되면, 커터(130)는 원지(1)의 가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원지(1)를 가압함으로써, 커 터 날(131)과 이동 블록(122) 사이에서 원지(1)가 더욱 잘 절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이와 함께, 원지(1)가 다수 장으로 쌓인 상태로 커터(130)로 이동하여 절단되는 과정에서, 원지(1)들이 쓰러지지 않은 상태로 더욱 잘 절단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지(1)들이 커터(130)에 의해 절단됨에 따라 재단된 봉투용 종이(2)들이 커터(13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 장으로 쌓인 원지(1)들이 커터(130)로 이동하여 커터 날(131)에 의해 한 장씩 절단될 때마다, 커터 날(131)은 탄성력에 의해, 절단된 원지 다음에 위치하는 후속 원지로 신속히 이동하여 후속 원지를 가압함으로써, 후속 원지가 잘 절단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터 날(131)과 이동 블록(122) 사이에 남아 있는 원지들이 쓰러지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커터 날(131)이 후속 원지로 신속히 이동하는 과정에서, 절단된 종이는 커터(13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each time the
커터(1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33)는 커터(130)에 의해 원지(1)들이 봉투용 종이(2)들로 각각 절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3)들이 커터(130)의 측면을 따라 더 이상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돌기(133)에 의해 진행이 멈춰진 종이 부스러기(3)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의 하부 개구를 통해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종이 부스러기(3)들은 폐기함(116)에 자동으로 담길 수 있는 것이다. At least one protrusion 133 is preferably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한편, 커터(130)에 의해 재단된 봉투용 종이(2)들은 커터(130) 내부를 통과 하여 커터(130) 외부로 배출되는데, 봉투용 종이(2)들이 배출되는 위치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용 종이(2)들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 블록(118)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배출 안내 블록(118)들은 커터(130)를 거쳐 재단된 봉투용 종이(2)들이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배출될 수 있도록 정렬 안내 블록(121)들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출 안내 블록(118)들은 상호 간에 한정되는 공간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하는 면들 사이가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배출 안내 블록(118)들은 정렬 안내 블록(121)들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blocks 118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alignment guide blocks 121 so that the
수평 구동부(140)는 정렬 안내부(120)에 의해 정렬된 원지(1)를 커터(130)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된 원지(1)가 커터(130)에 의해 봉투용 종이(2)로 절단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평 구동부(140)는 액추에이터와 이동 블록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액추에이터는 이동 블록(122)을 수평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액추에이터는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놓인 원지(1)가 커터(130)에 의해 절단되는 방향으로 이동 블록(121)을 수평 이동시키거나, 커터(130)에 의해 원지(1)가 절단된 후 커터(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블록(122)을 수평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actuator is for horizontally reciprocating the moving
액추에이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공압 실린더(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압 실린더(141)는 압축기(146)로부터 공급된 압축공 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피스톤 로드(142)를 전,후진 왕복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압 실린더(141)의 피스톤 로드(142)를 이동 블록(122)에 결합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142)의 왕복 이동에 따라 이동 블록(122)이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ctuator may include a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압 실린더(141)로는 피스톤 로드(142)의 전,후진 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복동식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블록(122)이 커터(13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이동 블록(122)이 커터(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공압 실린더(141)에서 피스톤 로드(142)의 전진, 후진은 압축기(146)와의 사이에 설치된 방향변환 밸브(14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변환 밸브(143)는 1개의 공기 유로관(144)에 의해 압축기(146)와 연결되며, 2개의 공기 유로관(145)들에 의해 공압 실린더(141)와 연결된다. 방향변환 밸브(143)는 방향변환 레버(112)의 조작에 따라, 압축기(146)로부터 공압 실린더(141)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로 방향을 변환함으로써, 피스톤 로드(14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Forward and backward of the
한편, 수평 구동부(140)는 압축 공기의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 조절밸브와 압력 값을 표시하기 위한 압력 표시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이동 블록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범주에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회전 모터와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시 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수평 구동부(14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 블록(122)이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 블록(122)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 블록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블록 안내부는 이동 블록(122)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부(147)들과, 끼움부(147)들에 각각 끼워지고 브래킷에 의해 프레임(110)에 설치된 안내 봉(148)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봉(148)들은 이동 블록(1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됨으로써, 이동 블록(122)의 왕복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재단장치(100)의 작동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example of the
먼저, 작업자가 재단할 원지(1)들을 다수 장으로 쌓은 상태로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에 세워서 놓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1)들은 정렬 안내 블록(121)들에 의해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정렬된 상태로 이동 블록(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operator lays up between the alignment guide blocks 121 in a state of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of
이렇게 원지(1)들이 정렬되고 이동 블록(1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블록(122)이 커터(130) 쪽으로 이동하도록 작업자가 수평 구동부(140)를 동작시키게 되면, 원지(1)들은 이동 블록(122)에 지지된 채로 정렬 안내 블록(121)들의 안내를 받아 커터(130)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1)들 중 최선단에 위치한 원지가 커터(130)에 도달한 후, 이동 블록(122)의 이송력에 의해 커터 날(131)에 가압됨으로써, 봉투용 종이(2) 형태로 절단된 후 커터(130) 내로 유입된다. With the
이어서, 최선단 원지에 후속하는 원지들도 이동 블록(122)의 이송력에 의해 커터 날(131)에 하나씩 가압됨으로써, 봉투용 종이(2)들로 각각 절단된 후 커터(13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커터(130)는 이송 블록(122)에 의한 가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원지(1)들을 가압하게 되므로, 커터 날(131)과 이동 블록(122) 사이에 있는 원지(1)들이 쓰러지지 않게 되며, 봉투용 종이(2)들로 원활히 절단된 후 커터(130) 내로 순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heets of paper following the top edge paper are also pressed into the
이렇게 커터(130)에 의해 절단되어 커터(130) 내로 유입된 봉투용 종이(2)들은 커터(130) 내부를 거쳐 배출 안내 블록(118)들의 안내를 받아 커터(13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절단 과정에서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3)들은 정렬 안내 블록(121)들 사이의 하부 개구를 통해 낙하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종이 부스러기(3)들은 폐기함(116)에 자동으로 담길 수 있게 된다. 원지(1)들을 절단하는 과정이 모두 끝나게 되면, 작업자는 이동 블록(122)이 커터(130)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 구동부(140)를 동작시켜, 이동 블록(122)을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면, 후속 재단 작업을 위해 대기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지가 절단되기 전에 정렬 안내부에 의해 원지가 간편하게 정렬되어 커터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원지의 상부에 수작업으로 커터를 올려놓는 작 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원지가 절단된 후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가 낙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종이 부스러기를 자동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편의성과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aper can be easily aligned by the alignment guide before the paper is cut and can be cut by moving horizontally toward the cutter.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operation of placing the cutter by hand on the top of the paper can be omitted, since paper scrap generated after the paper is cut may be discharged, paper scraps without a separate manual work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herefore,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3666A KR100875277B1 (en) | 2007-08-20 | 2007-08-20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3666A KR100875277B1 (en) | 2007-08-20 | 2007-08-20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5277B1 true KR100875277B1 (en) | 2008-12-23 |
Family
ID=4037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3666A KR100875277B1 (en) | 2007-08-20 | 2007-08-20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527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6866B1 (en) | 2009-03-11 | 2011-04-06 | 배유근 | apparatus for cutting paper |
CN105690460A (en) * | 2016-03-31 | 2016-06-22 |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 Hose segmented tapping machine and segmented tapping method |
CN107891480A (en) * | 2017-12-13 | 2018-04-10 | 黄旭敏 | A kind of die-cutting machine |
KR102234938B1 (en) | 2020-10-29 | 2021-03-31 | 김경환 | Cutting material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84891U (en) * | 1981-12-04 | 1983-06-08 | 玉本 吉昭 | Paper cutting machine with paper holding device |
JP2003170912A (en) | 2001-12-04 | 2003-06-17 | Toppan Printing Co Ltd | Carton feeder of box-making and filling machine of prismatic paper vessel for liquid |
KR200368213Y1 (en) | 2004-08-20 | 2004-11-17 | 김민중 | The system which makes the name card |
-
2007
- 2007-08-20 KR KR1020070083666A patent/KR10087527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84891U (en) * | 1981-12-04 | 1983-06-08 | 玉本 吉昭 | Paper cutting machine with paper holding device |
JP2003170912A (en) | 2001-12-04 | 2003-06-17 | Toppan Printing Co Ltd | Carton feeder of box-making and filling machine of prismatic paper vessel for liquid |
KR200368213Y1 (en) | 2004-08-20 | 2004-11-17 | 김민중 | The system which makes the name car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6866B1 (en) | 2009-03-11 | 2011-04-06 | 배유근 | apparatus for cutting paper |
CN105690460A (en) * | 2016-03-31 | 2016-06-22 |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 Hose segmented tapping machine and segmented tapping method |
CN107891480A (en) * | 2017-12-13 | 2018-04-10 | 黄旭敏 | A kind of die-cutting machine |
CN107891480B (en) * | 2017-12-13 | 2024-02-20 | 黄旭敏 | Die cutting machine |
KR102234938B1 (en) | 2020-10-29 | 2021-03-31 | 김경환 | Cutting material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5277B1 (en)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
KR100875278B1 (en) | Apparatus for cutting out paper | |
US20050005750A1 (en) | Multipurpose blind cutting machine | |
CN106585251B (en) | Full-automatic plate engraving machine | |
CN106042068A (en) | Equipment for automatically cutting boards | |
CN108380726A (en) | Automatically transporting materials cutting device | |
CN205870745U (en) | A equipment for automatic cutout panel | |
JP2008200807A (en) | Device for cutting and rounding corner of sheet stacking body | |
CN220883539U (en) | Die cutting machine for carton production | |
CN106976143B (en) | Covering machine for plate window | |
CN114834091B (en) | Corrugated board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 |
CN114888898A (en) | Production process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reducing packaging product | |
CN213562906U (en) | Cutting device with compression function for copy paper production | |
JP5499285B2 (en) | Sheet material cutting device | |
FI106187B (en) | Revolverilävistyspuristin | |
CN211333559U (en) | Environment-friendly packaging box raw material cutting machine | |
CN212352117U (en) | Automatic abrasive paper dicing production line | |
CN209615029U (en) | A kind of peripheral frame puncher | |
CN113043657A (en) | Flute tapping machine for corrugated carton | |
CN210480164U (en) | Feeding device of flat-pressing indentation cutting machine | |
CN106393277A (en) | Trimming machine | |
US10953562B2 (en) | Print finishing machine | |
CN110948539A (en) | Automatic abrasive paper dicing production line | |
CN220593307U (en) | Quick cutting device for processing printing paper board | |
CN215880062U (en) | Automatic sheet shearing device for stack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