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599B1 -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599B1
KR100874599B1 KR1020070051217A KR20070051217A KR100874599B1 KR 100874599 B1 KR100874599 B1 KR 100874599B1 KR 1020070051217 A KR1020070051217 A KR 1020070051217A KR 20070051217 A KR20070051217 A KR 20070051217A KR 100874599 B1 KR100874599 B1 KR 10087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home network
network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441A (ko
Inventor
박세현
김관연
김용
조주형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59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상에서의 정보전달시 정보의 신로도를 높이고,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며, 휴대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부가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확인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회귀하는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한 신호세기정보를 검출하는 제3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제어부들로부터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수신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신호세기정보 중 가장 큰 값을 검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홈네트워크, 유비쿼터스, 위치검출, 기기제어, 음성통신, 보안알고리즘, 객체인증, 전자서명, DSA

Description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Home-network service system using portable device based on security technology and thereof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단말기 110: 관리서버 120: 제어부
210: 월패드 220: 셀룰러폰 310: 전자기기
410: 컨트롤러 420: 화면출력부 430: 오디오출력부
440: 송수신부 441: 지그비통신부 442: FM통신부
450: 가속도계센서 460: 전원공급부 470: 입력부
본 발명은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상에서의 정보전달시 정보의 신로도를 높이고,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며, 휴대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휴대폰 등의 개인단말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휴대폰 등의 개인단말을 이용함에 따라 개인의 위치를 확인하고,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통신 또는 인터넷 등을 사용하여야만 하여 이로 인한 통신비용이 추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홈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즉, 사용자가 특정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요청이 있을 시에만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이에 사용자의 요청이 없이도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각 기기간 정보 전송에 있어 보안기술의 적용을 통한 정보보호보다는 오류검출 및 정보 재전송이라는 단순 보완 차원에 머물러 있다. 이에,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상에서 각 기기간 정보송수신시 보안기술을 적용하여 의도적인 외부침입 및 데이터 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이외의 시스템으로의 의도적인 외부침입을 차단하고, 통신시 정보의 안전한 송수신을 보장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또는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이도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부가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확인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회귀하는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한 신호세기정보를 검출하는 제3단계; 관 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제어부들로부터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수신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신호세기정보 중 가장 큰 값을 검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부가 휴대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확인신호를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회귀하는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한 신호세기정보를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부가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암호화하는 제3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제어부들로부터 암호화된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한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복호화하는 제5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복호화된 상기 신호세기정보 중 가장 큰 값을 검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가 셀룰러폰에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월패드가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제2단계; 휴대단말기와 상기 월패드간 FM통신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FM통신을 통해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댁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관리서 버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의 목록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서버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댁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의 목록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신호를 암호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어부로 암호화된 상기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신호세기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해 획득한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하기 동작신호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동 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신호세기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해 획득한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암호화하여 하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암호화된 하기 동작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하기 동작신호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암호화된 상기 신호세기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기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증/무결성/비밀성을 강조하여 외부 침입을 차단하고, 안전한 정보 전송과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안기술 및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기술을 적용한다.
먼저, 프라이버시 보안기술은 개인 프로파일이나 요청에 의한 보호정책을 설정하고 프로파일 기반 하에 위치 공개 여부, 시간과 날짜, 정확도를 주요한 부분으로 다룸으로써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한 것이다. 또한 이는 요청 기반(위치 공개 항상 On/Off, 조건부 공개)과 선택사양(필요시마다 허용 요청) 그리고 사전 허용 없이 누구도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보호를 위한 상호 인증 시스템을 포함한 인증 및 암호화 시스템이다.
다음으로,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기술은 서명자가 자신이 서명한 사실을 부인할 수 없고 서명한 사용자에 대해 제3자가 확인 가능한 '전자서명'과 서명된 메시지 내용의 무결성을 보증하는 '암호화'가 있으며, 임의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주체의 능력이나 자격을 검증하고 시스템의 부당한 사용이나 정보의 부당한 전송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외부에서 시스템으로의 무단침입을 차단하고 인증된 사용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을 시스템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으로의 접근 제어를 위한 객체 인증 보안 알고리즘인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전송시 데이터의 오염을 방지하고 외부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전자서명 알고리즘인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를 적용한다.
여기서, 객체 인증 프로토콜은 통신하고 있는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ID-password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 있으며, ISO/IEC 9798이 국제표준이다. 이 객체 인증 프로토콜은 단방향 인증과 양방향 인증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 두 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환경을 고려할 때, 단방향 인증은 서버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의미하며, 양방향 인증은 서버가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도 접속하려는 서버가 올바른 지를 인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100),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와의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11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00) 및 제어부(120)는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지그비(ZigBee)통신을 지원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20)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전 휴대단말기(100)가 자신에게 접근 가능한 기기인지 인증한다.
즉, 제어부(120)는 접속되는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제어를 위해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즉, 제어부(120)는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접속되는 휴대단말기(100)를 인증한다. 물론, 휴대단말기(100) 또한 제어부(120)를 인증하기 위해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20)는 댁내의 특정 장소에 다수개 설치되어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하고 댁내의 특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120)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확인신호를 휴대단말기(100)로 송출한다. 송출한 위치확인신호가 휴대단말기(100)에 도달한 후 회귀하여 다시 제어부(120)로 돌아오면 제어부(120)는 회귀한 위치확인신호의 신호세기정보를 통해 자신으로부터의 휴대단말기(100)가 떨어져 있는 정도인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제어부(120)들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들과 소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각각 파악한다.
각각의 제어부(120)들은 검출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인 신호세기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120)와 관리서버(110)간의 통신에는 유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이 중 지그비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와 관리서버(110)는 상호간의 정보전송시 DSA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신호세기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정보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한다.
관리서버(110)는 각각의 제어부(120)들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세기정보를 상호비교하여 가장 큰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세기정보에 해당하는 제어부(120)의 관리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했음을 파악 및 저장관리한다.
한편, 각각의 제어부(120)들은 지그비통신을 통해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여 자신들이 검출한 신호세기정보를 상호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들간 신호세기정보의 상호비교를 통해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세기정보에 해당하는 제어부(120)가 검출될 수 있고, 검출된 제어부(120)는 자신의 고유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110)로 하여금 사용자의 위치를 저장관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제어부(120)들간 정보전송은 DSA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100) 및 댁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월패드(210)를 포함한다.
댁내 곳곳에 설치된 월패드(210)는 셀룰러폰(220)을 도킹할 수 있는 도킹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셀룰러폰(220)의 충전이나 거취를 위해 월패드(210)의 도킹모듈에 셀룰러폰(220)을 위치시키면 셀룰러폰(220)과 월패드(210)는 기존의 핸즈프리 기능과 같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셀룰러폰(220)을 소지하지 않고, 휴대단말기(100)만을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셀룰러폰(220)에 전화가 걸려오면, 월패드(210)는 셀룰러폰(220)으로부터 획득한 음성정보를 FM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월패드(210)와 휴대단말기(100)간에는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전 상호 간의 FM통신을 위한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월패드(210)와 휴대단말기(100)는 상호간의 정보전송을 위한 통신 전에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간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한다. 즉, 월패드(210)는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접속되는 휴대단말기(100)를 인증하고, 휴대단말기(100) 또한 월패드(210)를 인증하기 위해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월패드(210)로부터 셀룰러폰(220)에 걸려온 전화에 대한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휴대단말기(100)는 오디오출력부(430)를 통해 음성정보를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는 셀룰러폰(220)을 충전 및 비휴대 위치에 거취한 상태에서도 셀룰러폰(220)의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제1실시예에서의 관리서버(110) 및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위치에 대해 제1실시예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100),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댁내에 설치된 전자기기(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와의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관리하고 전자기기(310)들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1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댁내에 위치한 전자기기(310)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요청신호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110)는 휴대단말기(100)가 접속해옴에 따라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휴대단말기(100)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한다.
이어, 관리서버(110)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어요청신호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에 기반한 제어가능 전자기기(310)들의 목록을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의 위치에서 제어가능한 전자기기(310)들의 목록이나 사용자의 제어가능레벨에 따른 전자기기(310)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가능레벨에 따른 서비스는 사용자별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310)들을 따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어린이일 경우 보일러 및 가스레인지 등 어린이 접근의 제한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310)들에 대해서는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어린이와 어른 등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함께 같은 위치에 위치할 경우 특정인에게 전자기기제어의 우선권을 주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는 제공받은 전자기기(310)들의 목록을 화면출력부(42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10)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목록의 출력은 화면출력부(420)뿐 아니라, 오디오출력부(43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목록 중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10)를 선택하고, 이어 출력시킬 전자기기(310)의 제어를 위한 제어종류를 선택한다.
선택된 전자기기(310)에 대한 제어신호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되고, 관리서 버(110)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전자기기(310)의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관리서버(110)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신호에 따라 전자기기(310)의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100), 제어부(120) 및 관리서버(110)간의 통신은 유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이 중 지그비통신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와 관리서버(110)는 상호간 통신시 DSA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작신호 등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정보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한다.
한편, 관리서버(110)는 상기 일련의 과정들을 저장관리한다. 관리서버(110)는 제어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저장관리한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특정 위치에서 전자기기 제어 등 사용자가 요청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력정보인 제공시간 및 서비스 종류 등을 저장관리한다. 따라서, 관리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 서비스 요청 시간대 및 서비스 종류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패턴을 학습한다. 이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별도의 요청 없이도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맞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100)는 댁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310)들의 제 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계센서(450),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러(410), 컨트롤러(4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440), 휴대단말기(100)로의 정보 입력 및 휴대단말기(100)로부터의 정보 출력을 위한 입출력부(470, 420, 430) 및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60)를 포함한다.
가속도계센서(450)는 사용자가 전자기기(310)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인 핸드액션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의 입출력부에 포함된 화면출력부(420)를 통해 출력되는 전자기기(310)들의 목록 중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10)를 입출력부에 포함된 입력부(470)를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전자기기(3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에 행한 핸드액션을 감지한다. 여기서 화면출력부(420)는 LCD일 수 있으며, 화면출력부(42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입출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출력부(430)를 통해서도 출력가능하다. 또한 입력부(470)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터치패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제어정보는 가속도계센서(450)를 통한 사용자의 핸드액션뿐 아니라, 입출력부에 포함된 입력부(4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410)는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생선된 제어신호는 컨트롤러(410)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부(440)를 통해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된다.
송수신부(440)는 지그비통신부(441) 및 FM통신부(442)를 포함한다. 지그비통 신부(441)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자 할 때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와의 통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로부터 위치확인신호 또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10)들의 목록을 수신하고자 할 때 통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지그비통신부(441)는 휴대단말기(100)와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간 정보 송수신시 사용된다. 또한, FM통신부(442)는 댁내의 월패드(210)와의 음성정보 송수신시 월패드(210)와의 통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는 컨트롤러(410)를 통해 입력부(470) 또는 가속도계센서(450)로부터의 사용자 제어정보를 확보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부(440)를 통해 제어부(120) 또는 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 ID와 같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사항 등 사용자에 대한 개인 프로파일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 이외의 시스템으로의 의도적인 외부침입을 차단하고, 통신시 정보의 안전한 송수신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위치에 따른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이도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와 월패드간 음성정보의 송수신을 제공함으로써 셀룰러폰의 충전 및 거취 상태에서도 셀룰러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가 셀룰러폰에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월패드가 휴대단말기의 접근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제2단계;
    휴대단말기와 상기 월패드간 FM통신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FM통신을 통해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객체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지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월패드와의 FM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FM통신부; 및
    상기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출력부
    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댁내에 설치되어 셀룰러폰에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셀룰러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월패드; 및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월패드와의 FM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FM통신부; 및
    상기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출력부
    를 포함하는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51217A 2007-05-28 2007-05-28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17A KR100874599B1 (ko) 2007-05-28 2007-05-28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17A KR100874599B1 (ko) 2007-05-28 2007-05-28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441A KR20080104441A (ko) 2008-12-03
KR100874599B1 true KR100874599B1 (ko) 2008-12-18

Family

ID=4036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217A KR100874599B1 (ko) 2007-05-28 2007-05-28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64B1 (ko) * 2008-12-30 2015-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무선 조정 시스템
KR101045394B1 (ko) * 2009-03-16 2011-06-30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에서의 월패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248803B1 (ko) * 2009-07-17 2013-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근허용영역에 기반한 정보 유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53422B1 (ko) * 2011-03-16 2013-04-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무선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조작 인식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441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8112B1 (en) Portable authorization device
US20160277933A1 (en) Secure Dat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IoT smart devices and a Network gateway under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US8800013B2 (en) Devolved authentication
EP3122017B1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henticating and controlling access over customer data
KR101314751B1 (ko) 디알엠 설치 관리 방법 및 장치
US8990887B2 (en) Secure mechanisms to enable mobile device communication with a security panel
US9443069B1 (en) Verification platform having interface adapted for communication with verification agent
CN109492371B (zh) 一种数字证书空发方法及装置
US20050250472A1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a wireless device
KR100874599B1 (ko) 보안기술 기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7249B1 (ko) 사용자 토큰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보안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298947B (zh) 一种开锁方法及电子锁
KR101001197B1 (ko) 로그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559378B (zh) 汽车门锁解锁装置、系统及方法和智能终端
US20190379655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2229116B1 (ko)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인에이블링
KR102053993B1 (ko)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1302362B1 (ko) 키 입력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0037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bank account access
KR101451163B1 (ko) 무선 네트워크 접속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74698A (ko) 웹사이트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1918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server
CN107026737B (zh) 一种通过可穿戴设备进行密码管理的系统
CN117858079B (zh) 一种楼宇对讲系统的安全控制方法
KR102462707B1 (ko) 모바일 근접 통신에서 공개키 기반의 인증 서버를 이용한 기기 인증 및 보안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