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267B1 -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67B1
KR100874267B1 KR20070058766A KR20070058766A KR100874267B1 KR 100874267 B1 KR100874267 B1 KR 100874267B1 KR 20070058766 A KR20070058766 A KR 20070058766A KR 20070058766 A KR20070058766 A KR 20070058766A KR 100874267 B1 KR100874267 B1 KR 10087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5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국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05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로밍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해외 로밍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예기치 못한 과금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58766
해외 로밍, MO 메시지, MCC, 과금

Description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Controlling of Transmiting Mobile Originated Message in Outbound Roam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해외 로밍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로 로밍 후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각종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유사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하였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각종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 그에 대한 응답을 SMS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렇게 송신하는 메시지를 일반적으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데이터호가 끊기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데이터호가 끊긴 시점에 데이터 제공자측 주소인 메시지 ID와 데이터호가 끊겼음을 나타내는 에러코드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데이터 제공자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 완료한 경우 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메시지 ID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완료했음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데이터 제공자측으로 송신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해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로밍한 가입자의 경우, 데이터 로밍이 가입자가 가입한 국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라우팅 되기 때문에 해외로 로밍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방식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데이터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신 확인 메시지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제공자측으로 보고하기 위한 오류 메시지 송신 등으로 인해 해외 로밍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과금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외 로밍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를 확인하 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처리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제1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유 망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인 제2 이동통신 시스템의 로밍 망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모듈; 상기 고유 망 정보 및 상기 로밍 망 정보를 비교하는 망 정보 비교 모듈; 및 상기 망 정보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 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외 로밍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내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를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측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방식으로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비스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전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할당받은 소정의 번호(예를 들어, 교통방송의 경우, "200-0295")로 전송하면, 전환 서비스 시스템을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요청한 전환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양방향성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해외 로밍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로밍 시스템은 크게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 국제 로밍 게이트웨이 시스템(150) 및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각각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가입되어 있는 국내 이동통신 시스템과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로밍할 해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가정하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국내 이동통신 시스템인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서 해외 이동통신 시스템인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으로 로밍한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의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전환 번호 또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 요청하여 수신한 전환 번호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 할당한다. 또한,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에 대해, 할당받은 전환 번호로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이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을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텍스트 이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인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은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에 전환 서비스 요청을 하고,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을 통해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은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요청한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제공하 면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컨텐츠 관련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신 확인 메시지 송신 또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에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정보가 포함된 오류 메시지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국제 로밍 게이트웨이 시스템(150)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 사이에 접속되며, 두 시스템(130, 170) 간의 신호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국제 로밍 게이트웨이 시스템(150)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의 입장에서는 방문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의 역할을 수행하여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이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위치를 국제 로밍 게이트웨이 시스템(150)으로 인식하게 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의 입장에서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을 담당하여 로밍 단말기(180)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은 홈 위치 등록기(13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135)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37)를 포함한다.
홈 위치 등록기(133)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 등록된 전체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등록기(133)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 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의 서 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로밍 여부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로밍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135)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과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서버(137)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과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 간에 송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서버이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해외 로밍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도면에는 패킷 데이터 망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으로부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데이터 서비스 요청에 따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으로부터 로밍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의 망 정보를 제공하며, 이 망 정보에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의 이동 국가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173)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세션을 관리하며,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 인터넷망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177)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으로 로밍한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무선 처리 모듈(181), 메모리 모듈(182), 표시 모듈(183), 키입력 모듈(184),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 및 제어 모듈(187)을 포함한다.
무선 처리 모듈(181)은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에서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처리 모듈(181)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을 통해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메모리 모듈(182)은 제어 모듈(187)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및 현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에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가입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이동 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가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정보에는 현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국가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홈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이동 국가 코드를 고유 이동 국가 코드로, 현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국가 코드를 로밍 이동 국가 코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국가 코드를 포함하는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IMSI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는 이동 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Mobile Network Code) 및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MSIN: Mobile Station Identifier Number)를 포함한다.
이동 국가 코드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각 국가별로 고유한 번호를 할당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세 자리 수를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 이동 국가 코드는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네트워크 코드는 각 국가 내에서 망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동일한 이동 국가 코드를 사용하는 국가 내에서 여러 망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두 자리 또는 세 자리의 수를 가진다.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는 각 망 내에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동일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를 사용하는 망 내에서 여러 이동국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이동 네트워크 코드와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를 합하여 국가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자(NMSI: 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라 하며, 이동 국가 코드와 국가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자를 합하여 국제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라 한다.
국가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국제적으로 고유한 식별 번호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의 길이에 따라 최대 15 자리 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자의 이동 국가 코드와 이동 네트워크 코드를 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국제적 로밍을 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느 국가와 어느 망에 속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표시 모듈(183)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며,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에 따른 내용을 표시한다.
키입력 모듈(184)은 다수의 숫자/문자 키와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 모듈(187)로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 모듈(184)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위해 입력하는 문구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은 메모리 모듈(182)에 저장된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으로부터 제공받은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를 비교한다.
여기서,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에서의 확인 결과 두 개의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로밍을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두 개의 코드가 불일치하는 경우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로밍한 것을 의미한다.
제어 모듈(187)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제어 모듈(187)은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의 이동 국가 코드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87)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87)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메시지 송신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라 수신하는 데이터의 수신 완료에 따른 수신 확인 메시지 송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보고하기 위한 오류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의 송신일 수 있다.
먼저,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에서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의 비교 결과 두 개의 코드가 일치하면, 제어 모듈(187)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로밍하지 않고 홈 네트워크인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허용한다.
또한, 이동 국가 코드 비교 모듈(185)에서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의 비교 결과 두 개의 코드가 불일치하면, 제어 모듈(187)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홈 네트워크인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서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로 로밍한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메시지 송신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두 개의 코드가 불일치하여 해외 로밍한 것으로 판단하면,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메시지 송신을 금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송신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홈 네트워크인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서 해외의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으로 로밍한 단말기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에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170)을 통해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다(S410). 이때, 전환 서비스 시스템(110)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해당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있음을 전달한다.
이어서,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120)으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420).
만일 단계 S420에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면,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현재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를 비교한다(S430).
이어서, 단계 S430에서의 비교 결과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가 불일치하면,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해외 로밍한 것으로 판단하 여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한다(S460).
만일, 단계 S430에서의 비교 결과 고유 이동 국가 코드와 로밍 고유 이동 국가 코드가 일치하면,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80)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허용한다(S47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로밍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해외 로밍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예기치 못한 과금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청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의 수신 여부 정보가 포함된 수신 확인 메시지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보고하기 위한 오류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제1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유 망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속한 제2 이동통신 시스템의 로밍 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 로밍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망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상기 제1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동국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에 포함된 이동 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이고, 상기 로밍 망 정보는 상기 제2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국가 코드인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 로밍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 로밍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MO 서비스 관련 메시지 송신을 허용하는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 제어 방 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발신(MO: Mobile Originated)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처리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제1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유 망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속한 이동통신 시스템인 제2 이동통신 시스템의 로밍 망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모듈;
    상기 고유 망 정보 및 상기 로밍 망 정보를 비교하는 망 정보 비교 모듈; 및
    상기 망 정보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 또는 허용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시지인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신 확인 메시지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보고하기 위한 오류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인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망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상기 제1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동국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에 포함된 이동 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인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망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 로밍한 제2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국가 코드인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망 정보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 해외 로밍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금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 로밍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허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처리 모듈은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8766A 2007-06-15 2007-06-15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8766A KR100874267B1 (ko) 2007-06-15 2007-06-15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8766A KR100874267B1 (ko) 2007-06-15 2007-06-15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267B1 true KR100874267B1 (ko) 2008-12-16

Family

ID=4037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58766A KR100874267B1 (ko) 2007-06-15 2007-06-15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11B1 (ko) 2009-12-18 2012-11-1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의 아웃바운드 로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833A (ja) 1996-11-14 1998-05-29 Fujitsu Ltd ローミング呼制御システム
KR20020065122A (ko)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서비스 방법
KR20060015136A (ko)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외 로밍정보 자동 알림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833A (ja) 1996-11-14 1998-05-29 Fujitsu Ltd ローミング呼制御システム
KR20020065122A (ko)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서비스 방법
KR20060015136A (ko)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외 로밍정보 자동 알림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11B1 (ko) 2009-12-18 2012-11-1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의 아웃바운드 로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2081B2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for temporarily associating unique connection numbers with terminals having token identification modules
US891402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to roamed multimedia message receiver and system thereof
US7218952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utilizing the internet
KR100874267B1 (ko) 해외 로밍에 있어서 단말기 발신 메시지 송신을 제어하는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0182235B1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882941B1 (ko) 아웃 바운드 로밍 이동 단말기에 대한 등기 문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87361B1 (ko) 해외로밍 가입자의 위치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84113B1 (ko)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7241A (ko) 홈 기지국에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
KR100719894B1 (ko) 광대역 이동 통신망에서 화상통화 지역 통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000070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016650B1 (ko)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39796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4281B1 (ko) 스팸호 차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521004B1 (ko) 번호 이동성에 따른 단문 서비스의 연락 번호 전달 방법및 시스템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676893B (zh) 通信方法、基站和通信系统
KR2010003505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등록 제어를 통한 선호 사업자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9297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갱신하는 방법
KR20040109975A (ko) 번호 이동성 도입에 따른 acq/qor 혼용 수용 방법및 시스템
KR100520999B1 (ko) 단문 메시지 분배 시스템 및 장치
KR101202411B1 (ko) 이동 단말의 아웃바운드 로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1039539A2 (en) Method for monitoring authent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132317A (ko) 인바운드 로머의 문자메시지 무한 발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